KR19990028321U -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321U
KR19990028321U KR2019970040947U KR19970040947U KR19990028321U KR 19990028321 U KR19990028321 U KR 19990028321U KR 2019970040947 U KR2019970040947 U KR 2019970040947U KR 19970040947 U KR19970040947 U KR 19970040947U KR 19990028321 U KR19990028321 U KR 199900283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crew shaft
right screw
electric motor
room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0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321U/ko
Publication of KR19990028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321U/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스테이(12)에 의해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되고, 스테이(12)와 피봇결합되어 임의의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며, 양측면에는 각각 내부로 길게 삽입공간(116,116´)이 형성되고, 삽입공간(116,116´)의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가이드 홈(118,118´)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메인미러(112)와; 하우징(110)의 후면 하부에 고정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전기모터(120)를 가지며, 전기모터(120)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왼나사축(124)과 오른나사축(122)이 연장되어 전기모터(12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수단과; 하우징(110)의 삽입공간(116)에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면에는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어 가이드 홈(118)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더(134)가 형성되고, 가이더(134)에는 오른나사축(122)에 체결되어 오른나사축(122)을 따라 이동되도록 오른나사구멍(136)이 형성된 제 1홀더(130)와; 하우징(110)의 다른 삽입공간(116´)에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면에는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어 가이드 홈(118´)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더(134´)가 형성되고, 가이더(134´)에는 왼나사축(124)에 체결되어 왼나사축(124)을 따라 이동되도록 왼나사구멍(136´)이 형성된 제 2홀더(130´)와; 홀더(130,130´)들의 전면에 각각 부착되는 보조미러(132,132´)들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
본 고안은 자동차용 룸 미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룸 미러의 양측면에서 보조미러가 선택적으로 연장되어 후방의 시계를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운전자가 차선을 변경하여 주행을 하거나 주차 또는 후진을 위하여 후방을 관측할 경우에 운전자의 후방 시계 확보를 위하여 백 미러가 제공되며, 이러한 백 미러에는 자동차의 좌 우측에 자동차의 폭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는 사이드 미러와 자동차의 실내에 부착되는 룸 미러가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룸 미러의 하나의 예가 사시도롤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고하면, 종래에는 룸 미러(2)가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전방 헤드라이닝(6)상에 스테이(4)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차량에 따라서는 룸미러(2)가 윈드 쉴드 글래스의 상단에 부착되어 있기도 한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룸 미러(2)의 각도를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룸 미러(2)와 스테이(4)는 피봇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따라서, 운전자는 룸 미러를 조작하여 후방의 시계를 자유롭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에는 자동차에서 룸 미러(2)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후방의 시계를 자유롭게 확인한다 하더라도 룸 미러(2)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는 후방의 시계는 한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어떤 운전자의 경우에는 후방의 시계를 더 많이 확보하기 위해 룸 미러(2)에 별도로 보조 미러를 부착하여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룸 미러(2)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룸 미러의 양측면에서 보조미러가 선택적으로 연장되어 후방의 시계를 더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룸 미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작동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윈드 쉴드 글래스 12: 스테이
14: 볼 100: 룸미러
110: 하우징 112: 메인미러
114: 체결구 116,116´: 제 1 및 제 2삽입공간
118,118´: 제 1 및 제 2가이드 홈 120: 전기모터
122: 오른나사축 124: 왼나사축
130,130´: 제 1 및 제 2홀더 132,132´: 제 1 및 제 2보조미러
134,134´: 제 1 및 제 2가이더 136: 오른 나사구멍
136´: 왼나사구멍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테이에 의해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되고, 스테이와 피봇결합되어 임의의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며, 양측면에는 각각 내부로 길게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간의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가이드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계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메인미러와; 하우징의 후면에 고정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전기모터를 가지며, 이 전기모터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왼나사축과 오른나사축이 연장되어 전기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수단과;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면에는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더가 형성되고, 이 가이더에는 오른나사축에 체결되어 오른나사축을 따라 이동되도록 오른나사구멍이 형성된 제 1홀더와; 하우징의 다른 삽입공간에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면에는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더가 형성되고, 이 가이더에는 왼나사축에 체결되어 왼나사축을 따라 이동되도록 왼나사구멍이 형성된 제 2홀더와; 홀더들의 전면에 각각 부착되는 보조미러들로 구성된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자동차 윈드 실드 글래스(10)의 상부에 고착되어 있는 스테이(12)의 타측에는 볼(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룸 미러(100)는 이 볼(14)에 피봇결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룸 미러(100)는 전면에 메인미러(112)가 부착되어 있는 하우징(110)을 가지며, 하우징(110)의 후면에는 스테이(12)의 볼(14)에 피봇결합되도록 체결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구(114)보다 하부에는 전기모터(120)가 장착되어 있다.
전기모터(120)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배터리나 발전기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며, 정회전 및 역회전은 도시하지 않은 통상의 스위칭 수단에 의해 운전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기모터(120)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오른나사축(122)과 왼나사축(124)이 수평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이 오른나사축(122)과 왼나사축(124)은 전기모터(12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일측면에는 내부로 길게 제 1삽입공간(11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삽입공간(116)의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 1가이드 홈(118)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 1가이드 홈(118)의 외측에는 스토퍼(1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삽입공간(116)에는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출입되는 제 1홀더(130)가 장착되어 있고, 이 제 1홀더(130)의 전면에는 제 1보조미러(132)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 1홀더(130)의 후면에는 제 1가이드 홈(118)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제 1가이더(134)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 1가이드 홈(118)의 단부에는 오른나사축(122)에 체결되는 오른나사구멍(1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타측면에는 내부로 길게 제 2삽입공간(11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삽입공간(116´)의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 2가이드 홈(118´)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 2가이드 홈(118´)의 외측에는 스토퍼(1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삽입공간(116´)에는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출입되는 제 2홀더(130´)가 장착되어 있고, 이 제 2홀더(130´)의 전면에는 제 2보조미러(132´)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 2홀더(130´)의 후면에는 제 2가이드 홈(118´)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제 2가이더(134´)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 2가이드 홈(118´)의 단부에는 왼나사축(124)에 체결되는 왼나사구멍(136´)이 형성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룸 미러(100)는 스테이(12)의 볼(14)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확인하고자 하는 후방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보다 넓은 후방의 시계를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기모터(120)를 정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모터(120)와 연결되어 있는 오른나사축(122) 및 왼나사축(124)이 정회전을 하게 되고, 오른나사축(122)과 왼나사축(124)에 체결되어 있는 제 1 및 제 2가이더(134,134´)가 축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조미러(132,132´)가 부착되어 있는 제 1 및 제 2홀더(130,130´)들이 하우징(110)의 삽입공간(116,116´)으로부터 인출되고, 따라서 메인미러(112)의 양측으로 보조미러(132,132´)들이 연장되어 펼쳐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보다 넓은 후방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보조미러(132,132´)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전기모터(120)를 역회전시키면, 앞에서 설명한 순서와는 반대로 보조미러(132,132´)가 부착되어 있는 홀더(130,130´)들이 하우징(110)의 삽입공간(116,116´)내로 삽입되기 때문에 룸 미러(100)의 외관은 미려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가 본 고안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수정예 및 다른 실시예들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되는 청구범위는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속하는 수정예들 및 실시예들을 포함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는 룸 미러의 양측면에서 보조미러가 선택적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후방의 시계는 더 많이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보조미러가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룸 미러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스테이(12)에 의해 자동차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테이(12)와 피봇결합되어 임의의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며, 양측면에는 각각 내부로 길게 삽입공간(116,116´)이 형성되고, 이 삽입공간(116,116´)의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가이드 홈(118,118´)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계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 부착되어 있는 메인미러(112)와;
    상기 하우징(110)의 후면에 고정되어 선택적으로 정 역회전하는 전기모터(120)를 가지며, 이 전기모터(120)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왼나사축(124)과 오른나사축(122)이 연장되어 상기 전기모터(12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하우징(110)의 삽입공간(116)에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면에는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118)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더(134)가 형성되고, 이 가이더(134)에는 상기 오른나사축(122)에 체결되어 오른나사축(122)을 따라 이동되도록 오른나사구멍(136)이 형성된 제 1홀더(130)와;
    상기 하우징(110)의 다른 삽입공간(116´)에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면에는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118´)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더(134´)가 형성되고, 이 가이더(134´)에는 상기 왼나사축(124)에 체결되어 왼나사축(124)을 따라 이동되도록 왼나사구멍(136´)이 형성된 제 2홀더(130´)와;
    상기 홀더(130,130´)들의 전면에 각각 부착되는 보조미러(132,132´)들로 구성된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
KR2019970040947U 1997-12-26 1997-12-26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 KR199900283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947U KR19990028321U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947U KR19990028321U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321U true KR19990028321U (ko) 1999-07-15

Family

ID=6967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947U KR19990028321U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32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1337A (en) Telescopic side mirror
KR19990028321U (ko) 자동차용 룸 미러 조립체
JP4122685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KR100220339B1 (ko) 차량용 방향전환이 자유로운 카메라
KR19980052458U (ko) 차량용 스피커 팝업장치
KR0117348Y1 (ko) 자동차용 실외후사경
KR0171803B1 (ko) 후면경을 구비한 승용차 스포일러
KR100423828B1 (ko) 자동차의 선 바이저
KR19980031689U (ko) 룸램프 어셈블리
KR200144581Y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0132909Y1 (ko) 자동차 리어 시트 탑승객용 화장 거울
KR20020079120A (ko) 차량용 백미러 쉴드
KR950006996B1 (ko) 좌·우회전식 자동차용 룸밀러
KR970004478Y1 (ko) 자동차용 자동 절첩식 사이드밀러
KR100406698B1 (ko) 스포일러 장착의 후미 미러
KR19990032551U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각도 조정장치
JPH0114516Y2 (ko)
KR100494617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KR20000000908U (ko) 자동차용 회전식 사이드 미러
KR19980029250U (ko) 차량용 선바이저
KR20050008168A (ko) 차량용 선 바이저
KR19980011376U (ko) 자동차의 상하접이가 가능한 사이드미러
KR19990026449U (ko) 자동차의 룸미러
KR19980052360A (ko) 자동차용 후방하향미러
KR19990041610U (ko) 차량용 룸 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