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698B1 - 스포일러 장착의 후미 미러 - Google Patents

스포일러 장착의 후미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698B1
KR100406698B1 KR10-2000-0078848A KR20000078848A KR100406698B1 KR 100406698 B1 KR100406698 B1 KR 100406698B1 KR 20000078848 A KR20000078848 A KR 20000078848A KR 100406698 B1 KR100406698 B1 KR 100406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iler
mirror
motor
storage case
rol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9642A (ko
Inventor
장명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8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698B1/ko
Publication of KR20020049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9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7Rear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 타입의 차량의 후미를 운전석에서 관측하기 위한 후미 미러에 관한 것으로, 스포일러 내에서 자동으로 나왔다가 들어갈 수 있는 미러이다.
본 발명은 후방에 힌지(5)를 가지고 있는 미러(2)가 스포일러(9) 내에 있는 수납케이스(1) 안에서 전후방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다. 스위치(10)의 작동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모터(3)의 축에는 롤부재(4)가 감겨져 있어서 모터(3)가 구동하면 미러(2)를 밀었다 당겼다 할 수 있다. 후진할 때에는 미러(2)가 스포일러(9) 밖으로 나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고 주행중에는 미러(2)가 스포일러(9) 내부로 들어간다. 스포일러의 외관이 미려하고 주행중의 후방시계가 충분히 확보되며 스포일러의 기능에도 전혀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다.

Description

스포일러 장착의 후미 미러{REAR UNDER VIEW MIRROR WITH SPOILER IN}
본 발명은 밴 타입의 차량의 후미를 운전석에서 관측하기 위한 후미 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포일러 내에서 자동으로 나왔다가 들어갈 수 있는 미러에 관한 것이다.
밴 타입의 차량은 차고가 높기 때문에 차량의 후미가 보이지 않아 이러한 차량의 후미를 관측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리어 도어의 윗쪽 프레임에 후미 미러를 장착시키고 있다. 그러나 요즘에는 차량의 유동 해석에 따라 유체 저항을 줄이기 위한 수단으로 스포일러를 장착한 차량이 많아짐으로 해서 후미 미러를 스포일러에 부착시키고 있다. 스포일러에는 위와 같은 후미 미러 외에도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스몰 라이트도 장착되어 있다.
위와 같이 밴 타입의 차량의 후미에 스포일러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포일러에 후미 미러나 라이트 등을 부착하기 때문에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행중의 후방시계를 확보하는데 장애가 되며 스포일러의 기능에도 장애를 일으키고 있다. 다시 말해서 후미 미러는 차량의 후진시에만 사용하는 것인데 이것이 차량의 주행중에도 항상 그 자리에 있다는 것은 운전자가 후방의 시계를 확보하는데 방해가 되는 것이다. 또 후미 미러가 스포일러에 붙어 있게 되면 그 부분에서 유체 저항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원래 스포일러가 가지는 고유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포일러의 고유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주행중에 후방시계의 확보에 장애를 일으키지 않도록 스포일러에 장착될 수 있는 후미 미러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후방에 힌지를 가지고 있는 미러와, 이 미러가 전후방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수납되며 스포일러의 후면 내에 설치되는 수납케이스와, 이 수납케이스의 후방에 설치되어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모터, 그리고 모터축에 감겨 있으면서 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힌지를 밀었다 당겼다 할 수 있는 롤부재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스위치를 작동시켜 모터를 정역회전시키면 롤부재가 미러를 밀어내어 힌지를 제외한 부분이 스포일러 밖으로 나와 하향으로 경사를 이루거나 다시 스포일러 안으로 들어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스포일러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미러 설치부분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수납케이스 2:미러 3:모터 4:롤부재
5:힌지 7:안내돌기 8:레일홈 9:스포일러
10:스위치 11:변속레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A부분을 단면도이며, 도 3은 수납케이스(1)를 제외한 미러(2)와 모터(3), 그리고 롤부재(4)만을 나타낸 것이다.
미러(2)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사경(2a)이 하우징(2b)의 안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힌지(5)가 후방(미러가 인출되는 반대방향으로 차량의 전방이 됨)에 핀(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미러(2) 본체와 힌지(5)에는 양 측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안내돌기(7)가 돌출되어 있다.
수납케이스(1)는 상기한 미러(2)의 안내돌기(7)가 끼워져 미끄럼운동할 수 있는 레일홈(8)이 내부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스포일러(9)의 후면 중앙에서 내부로 들어가 있게 설치되어 있다. 수납케이스(1) 내에 미러(2)가 끼워져 있을 때 수납케이스(1) 및 미러(2)의 외면은 스포일러(9)의 외면과 동일면을 이룬다.
모터(3)는 스위치(10)에 의하여 정역회전된다. 모터(3)는 수납케이스(1)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 스위치(10)는 변속레버(11)의 'R'(후진)단에서 작동하도록 설치한다. 모터(3)의 정회전은 스위치(10)의 접속이 있을 때 이루어지는데 역회전은 2가지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다. 그 하나는 스위치(10)가 다시 폐쇄될 때미도시한 전자제어유니트(ECU)에 의하여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한 스위치 (10) 외에 또 다른 스위치(미도시)를 'R'(후진)단의 해제경로에 설치하여 변속레버 (11)가 일단 'R'단에서 해제되면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표현하지 않았지만 관용수단의 하나로서 모터(3)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부가한다.
롤부재(4)는 모터(3)의 축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그 단부는 미러(2)의 후방에 있는 힌지(5)에 고정되어 있다. 이 롤부재(4)는 모터(3)의 구동력에 따라 풀릴 때 접히지 않는 상태로 미러(2)를 밀어내야 한다. 재질은 길이방향으로 휨탄성이 높은 합성수지나 스프링판으로 제작하면 된다. 롤부재(4)는 그 길이가 비교적 짧으므로 특수한 재질을 요하지 않는다. 롤부재(4)의 길이는 미러(2)의 각도를 유지하는데 중요하다. 롤부재(4)가 완전히 풀렸을 때 미러 (2)는 힌지(5)를 제외한 부분이 스포일러(9), 즉 수납케이스(1)의 밖으로 나와 도 1의 가상선과 같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설계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해결수단으로서 고려되었던 것중의 하나는 모터(3)와 롤부재(4)를 유압이나 공압에 의한 액츄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이었으나 스포일러(9)의 장착에 문제가 있고 별도의 유압 또는 공압라인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포일러(9)의 폭이 좁기 때문에 액튜에이터의 방향을 직각방향으로 바꿔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사상과 등가라고 여겨지는 미러(2)의 인출 수단의 하나로는 리니어 모터와 같은 직선운동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포일러의 폭이 매우 넓지 않는 한 리니어 모터가 스포일러의 밖으로 나와 있어야 한다.
작동 순서는, 먼저 차량의 후진을 위하여 변속레버(11)를 'R'(후진)단으로 변속하면 스위치(10)가 작동되어 모터(3)가 정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롤부재(4)가 풀리면서 미러(2)를 밀게 된다. 롤부재(4)에 의하여 밀리는 미러(2)는 그 안내돌기 (7)가 레일홈(8)을 타고 미끄럼운동을 하여 수납케이스(1)의 바깥쪽으로 나오게 된다. 거의 다 나왔을 때 미러(2)는 핀(6)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그 자유단이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롤부재(4)가 완전히 풀렸을 때 모터(3)는 정지하며 미러(2)도 완전히 나와 멈춰 있는 상태이다. 이때의 미러(2)는 도 1의 가상선과 같은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로서 운전자가 차량 후미를 충분히 관측할 수 있는 각도이다.
변속레버(11)를 'R'(후진)단에서 해제하면 모터(3)가 역회전하게 된다. 모터(3)가 역회전하면 롤부재(4)가 감기게 된다. 이에 따라 미러(2)는 핀(6)을 중심으로 그 자유단이 다시 위로 올라가 수납케이스(1) 안으로 들어오게 되고 계속 당겨져 롤부재(4)가 모터(3)의 축에 완전히 감기게 되면 모터(3)는 정지하며 미러 (2)도 수납케이스(1)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미러(2)의 외면이 스포일러(9)의 외면과 일치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외관이 미려한 스포일러를 밴 타입의 차량에 설치할 수 있으며, 후진시에는 기존의 후미 미러와 같이 차량의 후미를 충분히 관측할 수 있다가 주행을 개시하면 스포일러 속으로 자동으로 들어가게 되므로 주행중의 후방시계가 충분히 확보되며 스포일러의 기능에도 전혀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다.

Claims (2)

  1. 후방에 힌지를 가지고 있는 미러와, 이 미러가 전후방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수납되며 스포일러의 후면 내에 설치되는 수납케이스와, 이 수납케이스의 후방에 설치되어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모터, 그리고 모터축에 감겨 있으면서 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힌지를 밀었다 당겼다 할 수 있는 롤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일러 장착의 후미 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모터를 구동시키는 스위치는 변속레버의 'R'(후진)단에서 작동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일러 장착의 후미 미러.
KR10-2000-0078848A 2000-12-19 2000-12-19 스포일러 장착의 후미 미러 KR100406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848A KR100406698B1 (ko) 2000-12-19 2000-12-19 스포일러 장착의 후미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8848A KR100406698B1 (ko) 2000-12-19 2000-12-19 스포일러 장착의 후미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642A KR20020049642A (ko) 2002-06-26
KR100406698B1 true KR100406698B1 (ko) 2003-11-21

Family

ID=27683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8848A KR100406698B1 (ko) 2000-12-19 2000-12-19 스포일러 장착의 후미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69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7430A (ja) * 1987-11-13 1989-05-19 Koito Mfg Co Ltd 自動車のリアアンダービューミラー
JPH09150672A (ja) * 1995-11-30 1997-06-10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KR970038493U (ko) * 1995-12-23 1997-07-29 자동차용 후방스포일러의 보조부재
KR970069600A (ko) * 1997-08-27 1997-11-07 김중신 자동차용 후방 백미러
JPH1016643A (ja) * 1996-06-27 1998-01-20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アンダーミラー装置の駆動制御装置
KR19980058615U (ko) * 1997-02-25 1998-10-26 조규호 자동차 후진경
WO1999002371A1 (en) * 1997-07-11 1999-01-21 Levent Akar Automobiles: electric rearview mirror under spoil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7430A (ja) * 1987-11-13 1989-05-19 Koito Mfg Co Ltd 自動車のリアアンダービューミラー
JPH09150672A (ja) * 1995-11-30 1997-06-10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KR970038493U (ko) * 1995-12-23 1997-07-29 자동차용 후방스포일러의 보조부재
JPH1016643A (ja) * 1996-06-27 1998-01-20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アンダーミラー装置の駆動制御装置
KR19980058615U (ko) * 1997-02-25 1998-10-26 조규호 자동차 후진경
WO1999002371A1 (en) * 1997-07-11 1999-01-21 Levent Akar Automobiles: electric rearview mirror under spoiler
KR970069600A (ko) * 1997-08-27 1997-11-07 김중신 자동차용 후방 백미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9642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452B1 (ko) 차량용 자동백미러
EP2050662A1 (en) Body for a motor vehicle
KR100406698B1 (ko) 스포일러 장착의 후미 미러
GB2442120A (en) Vehicle overhead assembly having a combination mirror and storage bin assembly
US5059014A (en) External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US5724198A (en) Retractable rear under view mirror device for an automotive vehicle
JP3356887B2 (ja) 一方向性ダンパー機構
KR100460610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 핸들
US5071165A (en) Emergency lock for passive seat belt system
JPH10166947A (ja) バックミラー
KR0117348Y1 (ko) 자동차용 실외후사경
JP3512928B2 (ja) 車両用ロールカーテン装置
JPH0625377Y2 (ja) サンルーフ装置
KR100513685B1 (ko) 승합차량의 리어스포일러 일체형 후미경
JP2006500490A (ja) 閉鎖装置
US20040075922A1 (en) Actuator for rear-view mirrors
KR940001903Y1 (ko) 전자동 빽미러
KR19980023140U (ko) 스포일러 내장형 리어 언더 미러
KR960004753Y1 (ko) 자동차용 백미러 슬라이딩 장치
KR19990026449U (ko) 자동차의 룸미러
KR20030015722A (ko) 자동차의 떨림 방지형 아웃 사이드 미러
KR0130673Y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 레일 구조
KR0171803B1 (ko) 후면경을 구비한 승용차 스포일러
KR100349564B1 (ko) 승합차량의사이드글라스구동장치
KR100656006B1 (ko) 전동 접이식 사이드 미러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