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124A - 오일필터의 수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오일필터의 수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124A
KR19990028124A KR1019970050671A KR19970050671A KR19990028124A KR 19990028124 A KR19990028124 A KR 19990028124A KR 1019970050671 A KR1019970050671 A KR 1019970050671A KR 19970050671 A KR19970050671 A KR 19970050671A KR 19990028124 A KR19990028124 A KR 19990028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ilter
engine
water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구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0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124A/ko
Publication of KR1999002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124A/ko

Links

Landscapes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필터의 수분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오일필터에는 수분 제거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인해 상기 오일 순환 시에 발생되는 수분이 오일점도를 감소시켜 오일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고 또한 오일의 변질에 의해서 엔진의 수명이 단축될 뿐 아니라 배기가스가 다량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 오일을 여과시키는 필터(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오일 순환 시에 상기 필터(100)내에 발생되는 수분을 열에너지로 증발시키는 소정형상을 갖는 히팅소자(103)와, 상기 히팅소자(103)의 중앙에 결합되고 하우징(102)의 상부를 통해 축전지에 접촉되는 컨넥터(104)와, 상기 필터(100)를 하우징(102)으로부터 이탈시켜 필터만을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부(108)로 구성하며, 이에 따라 엔진용 오일 순환할 시에 발생되는 수분을 히팅소자(103)가 발열하여 제거하게 됨으로써, 오일점도를 감소시키는 희석이 방지되어 오일 수명 및 엔진 수명이 길어지고 또한 배기가스가 저감됨은 물론 오일필터의 교환 시에 필터만을 제거함으로서 오일 필터의 교환 가격이 저감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오일필터의 수분 제거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오일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의 마모 저감을 위해 사용되는 엔진 오일 필터에서 오일 교환 시에 발생되는 수분을 제거하여 오일 점도를 감소시키는 오일 희석을 방지시키고 엔진의 수명 연장 및 배기가스를 저감시키도록 하는 오일필터의 수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 오일용 필터는 엔진 오일을 여과하고, 금속 등의 마모된 찌꺼기나 카본 덩어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오일 여과 방법에는 계통에 있는 오일의 전량을 여과하는 풀 플로식, 바이패스가 설치되어 오일의 일부를 여과하는 바이패스 플로식 및 두가지 방법을 조합한 콤비네이션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은 엔진 오일용 필터에 있어서, 엔진 오일의 흐름 경로는, 실린더 블록 하부에 설치된 오일팬에 저장된 오일이 석션 파이프(Suction Pipe)를 통해 오일 펌프에 유입된다.
상기 오일펌프는 크랭크 샤프트 또는 캠 샤프트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석션 파이프를 통해 오일팬으로부터 엔진 오일을 흡입·가압하여 오일필터에 공급한다.
오일필터는 유입되는 엔진 오일을 엔진 오일을 여과하여 캠 샤프트에 공급하고 캠샤프트에서 사용된 엔진 오일은 다시 오일팬에 저장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엔진용 오일 필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일 순환 시에 필터에 수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오일 필터내에 수분제거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인해 상기 오일 순환 시에 발생되는 수분이 오일점도를 감소시켜 오일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고 또한 오일의 변질에 의해서 엔진의 수명이 단축될 뿐 아니라 배기가스가 다량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일필터의 상부에 소정형상을 갖는 히팅소자를 설치하고 히팅소자의 중앙에는 축전지와 접속되는 컨넥터를 접속하여 오일 순환 시에 발생되는 수분을 상기 히팅소자를 통해 제거하고 또한 오일 필터의 교환 시에 피터부분만을 할 수 있게 하는 오일필터의 수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오일용 필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필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오일 순환 시에 필터내에 발생되는 수분을 열에너지로 증발시키는 소정형상을 갖는 히팅소자와, 상기 히팅소자의 중앙에 결합되고 하우징의 상부를 통해 축전지에 접촉되는 컨넥터와, 상기 필터를 하우징으로부터 이탈시켜 필터만을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오일펌프에 오일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일이 오일필터에서 여과되어 순환할 시에 수분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축전지와 컨넥터를 통해 접속된 소정형상을 갖는 히팅소자가 발열하여 상기 오일 순환 시 발생되는 순분을 증발시켜 제거하게 됨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오일필터의 수분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실시예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필터 101 : 유입구
102 : 하우징 103 : 히팅소자
104 : 컨넥터 105 : 배출파이프
106 : 스로틀 보디 107 : 인테이크 매니폴드
108 : 체결부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은 본 발명 오일필터의 수분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실시예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펌프(도면에 미 도시)의 흡입·가압에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을 여과하는 필터(100)와, 상기 필터(100)의 상부에 체결부(108)를 통해 착탈 가능케 결합된 하우징(102)과, 상기 필터(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오일 순환 시에 발생하는 수분을 열에너지로 증발시켜 제거하는 요철형상의 히팅소자(103)와, 상기 히팅소자(103)의 중앙에 결합되고 하우징(102)의 상부를 통해 축전지(도면에 미 도시)에 접촉되는 컨넥터(104)와, 상기 필터(100)에서 여과되고 히팅소자(103)를 통해 수분이 제거된 오일을 배출하는 배출호스(105)와, 상기 배출호스(105)에서 배출되는 엔진 오일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보디(106)와, 상기 스로틀 보디(106)에서 조절된 엔진오일을 공기와 혼합하여 실린더에 공급하는 인테이크 매니폴드(107)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오일 펌프의 흡입·가압작용에 의해 오일팬에 저장된 엔진용 오일이 필터(100)의 유입구(101)로 유입되면 상기 필터(100)는 유입된 오일을 여과시켜 불순물을 걸러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100)를 통해 여과된 오일은 릴리프 밸브(도면에 미 도시)를 통해 필터(100)의 상부측으로 순환하게 된다.
상기 순환된 오일은 도 2에서와 같이, 히팅소자(103)를 통해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히팅소자(103)를 통해 오일이 순환할 시에 그 히팅소자(103) 부분에서는 수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히팅소자(103)는 컨넥터(104)를 통해 입력되는 축전지의 전압에 발열하여 상기 오일 순환 시에 발생되는 수분을 제거하여 주게 된다.
수분이 제거된 상기 오일은 배출파이프(105)를 통하고 스로틀 보디(106)에서 오일량이 조절되어 인테이크 메니폴드(107)에서 공기와 혼합되어 실린더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오일 필터 교환 시에 필터(100) 부분만을 교환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02)과 필터(100)를 체결부(108)를 통해 착탈이 가능토록 체결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용 오일 순환할 시에 발생되는 수분을 히팅소자가 발열하여 제거하게 됨으로써, 오일점도를 감소시키는 희석이 방지되어 오일 수명 및 엔진 수명이 길어지고 또한 배기가스가 저감됨은 물론 오일필터의 교환 시에 필터만을 제거함으로서 오일 필터의 교환 가격이 저감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엔진 오일을 여과시키는 필터(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오일 순환 시에 상기 필터(100)내에 발생되는 수분을 열에너지로 증발시키는 소정형상을 갖는 히팅소자(103)와 상기 히팅소자(103)의 중앙에 결합되고 하우징(102)의 상부를 통해 축전지에 접촉되는 컨넥터(104)와 상기 필터(100)를 하우징(102)으로부터 이탈시켜 필터만을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부(10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오일필터의 수분 제거장치.
KR1019970050671A 1997-09-30 1997-09-30 오일필터의 수분 제거장치 KR199900281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671A KR19990028124A (ko) 1997-09-30 1997-09-30 오일필터의 수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671A KR19990028124A (ko) 1997-09-30 1997-09-30 오일필터의 수분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124A true KR19990028124A (ko) 1999-04-15

Family

ID=66045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671A KR19990028124A (ko) 1997-09-30 1997-09-30 오일필터의 수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1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106A (ko) * 2000-12-01 2002-06-08 이계안 다공질 재료의 오일제거장치
KR100469371B1 (ko) * 2001-04-14 2005-01-31 장세동 오일 재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106A (ko) * 2000-12-01 2002-06-08 이계안 다공질 재료의 오일제거장치
KR100469371B1 (ko) * 2001-04-14 2005-01-31 장세동 오일 재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0745A (en) Process for removing water and/or other volatile impurities from lubricating oil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KR19990066683A (ko) 윤활유 재생 시스템
KR20180075680A (ko) 특히 선박 엔진을 위한, 필터가 있는 오일 회로
KR19990028124A (ko) 오일필터의 수분 제거장치
KR100435731B1 (ko) 자동차의 블로바이가스 오일분리기
JP3544959B2 (ja) エンジン洗浄装置およびエンジン洗浄方法
KR200174683Y1 (ko) 선박용 내연기관의 여과공정에 적용된 엘리멘트
KR940002805Y1 (ko) 자동차용 침적식 에어크리너
RU2274753C2 (ru) Система смазки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19980033477U (ko) 자석 흡착식 이중 오일 여과기
KR200181175Y1 (ko) 오일여과기의 바이패스 구조
CN217176731U (zh) 一种多功能集成式机油过滤模块及机油滤清系统
RU46047U1 (ru) Система смазки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200464387Y1 (ko) 엔진오일 냉각 및 노폐물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유동시스템
KR100527514B1 (ko) 블로우바이 가스의 오일 분리장치
KR100227316B1 (ko) 에어 클리너 겸용 오일 필터
KR100249244B1 (ko) 수냉엔진의 냉각수 정화장치
KR100300708B1 (ko) 자동차엔진의윤활장치
KR100221729B1 (ko) 실린더 헤드 윤활용 오일공급라인
KR100228092B1 (ko) 공기 청정기
KR960007793Y1 (ko) 리저버탱크의 오일여과장치
JPH078011Y2 (ja) オイルフイルタ装置
KR20060000032A (ko) 오일필터 역류방지밸브의 장착구조
KR200325421Y1 (ko) 자동차의 오일필터 구조
KR100623314B1 (ko) 자동차의 고압펌프로 공급되는 연료 내의 이물질 제거용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