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066U -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066U
KR19990028066U KR2019970040676U KR19970040676U KR19990028066U KR 19990028066 U KR19990028066 U KR 19990028066U KR 2019970040676 U KR2019970040676 U KR 2019970040676U KR 19970040676 U KR19970040676 U KR 19970040676U KR 19990028066 U KR19990028066 U KR 199900280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ase
support
load
mov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준하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40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066U/ko
Publication of KR199900280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066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측면(11) 내측에 상하 연통된 안내레일(12)을 구비하여 주행부재에 결합한 케이스(10); 케이스(10)의 도어(13) 배면에 설치하여 하물의 상승 정도에 따라 접점되어 외부에서 인지하기 위한 경보음 및 하물의 승강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리미트스위치(20)(21)(22); 리미트스위치(20)(21)(22)들에 전기적인 접점을 이루도록 케이스(10)의 안내레일(12)에 진입하여 블록(5)의 지지력에 의해 상하측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부재(30)와 연결대(40)로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승강하는 가동단자(50); 가동단자(50)에 승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블록(5)의 상면에 접촉하는 지지구(60) 및 이에 핀(62)결합한 하축(70)을 가동단자(50)와 슬라이드부재(30)를 연결한 연결대(40)를 지지하는 상축(72)의 하단에 도피홈(74)을 형성하여 결합한 지지수단; 지지수단의 지지구(60)와 접촉하는 블록(5)의 상승력에 의한 충돌 하중을 완충하기 위하여 하축(70)의 외경에 끼워진 조절너트(80) 및 상축(72)의 하단에 지지되는 탄성부재(90)와, 탄성부재(90)의 탄성력이 해제되는 블록(5)과 지지구(60)의 이격시 하강된 가동단자(50)가 케이스(10)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연결대(40) 상부에 걸림판(45)를 부착하고 케이스(10)이 하측에는 걸림판(45)이 걸리는 멈춤돌기(18)를 형성한 가동부재 이탈방지수단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over winding control device of hoister for overhead travelling crane )
본 고안은 천정기중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정기중기에 구비하여 하물을 감아 올리거나 내리는 승강기의 안전을 위하여 권상 범위를 제한하는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기중기는 도1에서와 같이 주행부재(1)에 구비된 승강장치, 즉 드럼(2)에 감기거나 플리는 로프(3)에 후크(4)를 구비한 블록(5)을 설치하고, 후크(4)의 수용공간에 하물을 건후 기계실의 조작에 의한 구동수단(6)의 작동에 의해 로프(3)를 하물을 들어올린 상태로 주행부재(1)의 주행 및 횡해에 의해 하물을 목적하는 적재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로프(3)를 풀어 하물을 바닥면에 착지한 상태로 후크(4)로부터 하물을 분리하여 하물의 운송을 완료한다.
이러한 천정기중기는 하물을 후크(4)에 매단상태로 운송하게 되며, 이에 하물을 권상하는 과정에서 과권상, 즉 후크(4)를 구비한 블록(5)이 주행부재(1)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과권상 방지장치를 구비하였다.
종래의 천정기중기용 과권상 방지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와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주행부재(1)의 로프(3)에 연결되어 로프(3)가 감기거나 풀리는 것에 의해 동방향으로 승강하는 추(7)와, 추(7)와 와이어(8)로 연결됨과 동시에 로프(3)를 통해 드럼(2)에 연결된 구동수단(6)과 전기적인 접점을 이루어 추(7)의 하중 여부에 따라 경보음 및 구동수단(6)의 작동회로를 차단하는 리미트스위치(9)로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의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는 로프(3)가 구동수단(6)에 의해 감기면, 이에 추(7)가 동상승함과 동시에 리미트스위치(9)가 추(7)에 걸린 하중의 변화를 감지하여 즉, 경량 상태의 변화된 추(7)의 하중에 대해 리미트스위치(9)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경보음을 발생하는 단계와 구동수단(6)의 작동을 멈추(7)어 로프(3)의 감김을 제어하는 단계를 가지면서 로프(3)의 후크(4)에 매달린 하물의 과권상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는 와이어(8)를 매개로 로프(3)와 리미트스위치(9)를 연결한 추(7)가 일측에 편심되어 매달린 상태로 승강함으로서, 이에 추(7)의 흔들림음 물론 이에 연동하여 하물이 흔들리게 된다.
이러한 흔들림은 로프(3)를 감거나 푸는 과정에서 불안한 요인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지속적인 흔들림에 의해 추(7)가 탈락하는 경우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문제점은 상기 문제점의 요인인 흔들림에 의해 리미트스위치(9)와 유기적인 연결을 갖는 회로상의 고장이 발생하며, 이에 과권상이 발생하여 주행부재(1)와 하물이 매달린 블록(5)간에 충돌이 발생하여 또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물의 상승 정도를 하물이 매달린 블록의 지지에 의한 직접적인 판단에 의해 안정적인 접점 및 단락을 이루는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행부재에 구비된 드럼에 감기거나 플리는 로프의 하단에 후크를 구비한 블록을 설치하여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후크가 로프를 하물을 들어올린 상태로 주행부재의 주행 및 횡해에 의해 하물을 목적하는 적재 위치로 이동하는 천정기중기의 승강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재에 도어를 포함하여 내측에 상하 연통된 안내레일을 구비함과 동시에 후크를 구비한 블록의 상면에 대향하도록 장착한 상하 연통된 케이스; 케이스의 도어 배면에 외부회로와 연결하도록 설치하여 하물의 상승 정도에 따라 접점되어 외부에서 인지하기 위한 경보음 및 하물의 승강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리미트스위치; 리미트스위치에 하물의 승강정도에 따라 전기적인 접점을 이루도록 케이스의 안내레일에 진입하여 블록의 지지력에 의해 상하측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연결대로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승강하는 가동단자; 가동단자에 승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블록의 상면에 접촉한 지지구를 핀결합한 하축을 가동단자와 슬라이드부재를 연결한 연결대를 지지하는 상축의 하단에 도피홈을 형성하여 부싱 결합한 지지수단; 지지수단의 지지구와 접촉하는 블록의 상승력에 의한 충돌 하중을 완충하기 위하여 하축의 외경에 끼워진 조절너트 및 상축의 하단에 지지되어 하축의 상단을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하축의 도피홈에 출몰시키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해제되는 블록과 지지구의 이격시 하강된 가동단자를 포함한 슬라이드부재가 케이스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연결대 상부에 걸림판를 구비하고 케이스이 하측에는 걸림판이 걸리는 스톱돌기를 형성한 가동부재 이탈방지수단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도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2에 적용한 과권상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4(a)는 도3의 과권상 방지장치에 적용한 스위치구조 및 안내구조를 구비한 외장케이스의 전개 사시도,
도4(b)는 도3의 고권상 방지장치에 적용한 가동단자 및 안내구조를 구비한 가동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과권상 방지장치를 천정기중기에 장착한 상태의 도면,
도7과 도8은 본 고안의 과권상 방지장치를 천정기중기에 다른 방식에 의해 장착한 상태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주행부재 2 : 드럼 3 : 로프
4 : 후크 5 : 블록 10 : 케이스
12 : 안내레일 13 : 도어 20,21,22 : 리미트스위치
30 : 슬라이드부재 40 ; 연결대 50 : 가동단자
60 ; 지지구 70 : 하축 72 : 상축
90 : 탄성부재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도2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에서 본 고안은 주행부재(1)에 구비된 드럼(2)에 감기거나 플리는 로프(3)의 하단에 후크(4)를 구비한 블록(5)을 설치하여 구동수단(6)의 작동에 의해 후크(4)가 로프(3)를 하물을 들어올린 상태로 주행부재(1)의 주행 및 횡해에 의해 하물을 목적하는 적재 위치로 이동하는 방식의 통상의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구성을 갖는다.
상기 통상의 구성을 갖는 승강기에 있어서 본 고안은 주행부재(1)에 도어(13)를 포함하여 측면(11) 내측에 상하 연통된 안내레일(12)을 구비함과 동시에 후크(4)를 구비한 블록(5)의 상면에 대향하도록 장착한 상하 연통된 케이스(10); 케이스(10)의 도어(13) 배면에 외부회로와 연결하도록 설치하여 하물의 상승 정도에 따라 접점되어 외부에서 인지하기 위한 경보음 및 하물의 승강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리미트스위치(20)(21)(22); 리미트스위치(20)(21)(22)들에 하물의 승강정도에 따라 전기적인 접점을 이루도록 케이스(10)의 안내레일(12)에 진입하여 블록(5)의 지지력에 의해 상하측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부재(30)와 연결대(40)로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승강하는 가동단자(50); 가동단자(50)에 승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블록(5)의 상면에 접촉하는 지지구(60) 및 이에 핀(62)결합한 하축(70)을 가동단자(50)와 슬라이드부재(30)를 연결한 연결대(40)를 지지하는 상축(72)의 하단에 도피홈(74)을 형성하여 부싱(76) 결합한 지지수단; 지지수단의 지지구(60)와 접촉하는 블록(5)의 상승력에 의한 충돌 하중을 완충하기 위하여 하축(70)의 외경에 끼워진 조절너트(80) 및 상축(72)의 하단에 지지되어 하축(70)의 상단을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하축(70)의 도피홈(74)에 출몰시키는 탄성부재(90)와, 탄성부재(90)의 탄성력이 해제되는 블록(5)과 지지구(60)의 이격시 하강된 가동단자(50)를 포함한 슬라이드부재(30)가 케이스(10)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연결대(40) 상부에 걸림판(45)를 부착하고 케이스(10)이 하측에는 걸림판(45)이 걸리는 멈춤돌기(18)를 형성한 가동부재 이탈방지수단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케이스(10)의 상단은 주행부재(1)에 결합하기 위하여 볼트공(17)을 형성한 부착면(16)을 일체로 형성한다. 아울러 케이스(10)에 구비한 도어(13)는 리미트스위치(20)(21)(22)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하여 회전지점(15)을 중심으로 개문 또는 페문 자유롭도록 하며, 리미트스위치(20)(21)(22)와 인접한 내측면(11)에는 가동단자(50)를 리미트스위치(20)(21)(22)에 밀착하여 접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단자지지판(14)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리미트스위치(20)(21)(22)들은 전원차단과 일정시간후 복원되어 작업자가 하물을 선택적으로 상승할 수 있는 리미트스위치(20)와, 부저음을 발생하여 작업자에 경부효과를 갖게하는 리미트스위치(21)와, 최종 상태에서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여 승강기의 작동을 멈추(7)는 비상용 리미트스위치(22)를 종방향으로 3개소에 구비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리미트스위치의 작용과 그 수는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6내지 도8은 본 고안의 과권상 방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6은 설치면에 주변기기의 방해물이 없는 경우 블록(5)의 상단에 대향하도록 설치한 것으로서, 케이스(10)의 상단에 구비한 부착면(16)에 볼트(130) 체결되고 설치면에 볼트(130)체결되는 브라켓(100)을 매개로 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도7과 도8에서는 설치면에 주변기기의 방해물이 있는 경우 블록(5)의 상단과 편심되어 설치한 것으로서, 이때 지지구(60)와 블록(5)의 상단과의 접촉을 위하여 편심된 거리만큼 연장축(120)을 구비하여, 상기 연장축(120)이 하축(70)과 상축(72)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지지구(60)가 후크(4)를 구비한 블록(5)의 상단과 미접촉된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서 후크(4)에 하물을 건후 로프(3)를 감게되며, 블록(5)은 상승하여 도5에서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지지구(60)의 하단에 밀착한다. 이때 밀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돌은 하축(70)의 상단이 탄성부재(90)의 지지력에 저항하면서 상축(72)의 하단에 구비한 도피홈(74)으로 소정범위 진입하는 단계에서 완충된다.
이후 계속해서 블록(5)이 상승하면 상축(72)을 통해 지지되는 슬라이드부재(30)가 케이스(10) 내측에 구비된 안내레일(12)의 안내에 따라 상승함과 동시에 가동단자(50)가 동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블록(5)의 상승정도에 따라 리미트스위치(20)(21)(22)들과 순차적으로 접점을 이루어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최종 로프(3)를 감아 올리는 승강기의 동력을 차단한다.
본 고안은 하물의 상승 정도를 하물이 매달린 블록의 지지에 의한 직접적인 판단에 의하며, 상하 방식의 구동에 의해 전원스위치의 접점 및 단락을 안정적으로 이루게 됨으로서, 안전사고가 방지됨은 물론 작업자의 심리적인 안정성에 의해 작업 능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주행부재에 구비된 드럼에 감기거나 플리는 로프의 하단에 후크를 구비한 블록을 설치하여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후크가 로프를 하물을 들어올린 상태로 주행부재의 주행 및 횡해에 의해 하물을 목적하는 적재 위치로 이동하는 천정기중기의 승강기에 있어서,
    주행부재(1)에 도어(13)를 포함하여 측면(11) 내측에 상하 연통된 안내레일(12)을 구비함과 동시에 후크(4)를 구비한 블록(5)의 상면에 대향하도록 장착한 상하 연통된 케이스(10); 케이스(10)의 도어(13) 배면에 외부회로와 연결하도록 설치하여 하물의 상승 정도에 따라 접점되어 외부에서 인지하기 위한 경보음 및 하물의 승강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리미트스위치(20)(21)(22); 리미트스위치(20)(21)(22)들에 하물의 승강정도에 따라 전기적인 접점을 이루도록 케이스(10)의 안내레일(12)에 진입하여 블록(5)의 지지력에 의해 상하측으로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부재(30)와 연결대(40)로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승강하는 가동단자(50); 가동단자(50)에 승강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블록(5)의 상면에 접촉하는 지지구(60) 및 이에 핀(62)결합한 하축(70)을 가동단자(50)와 슬라이드부재(30)를 연결한 연결대(40)를 지지하는 상축(72)의 하단에 도피홈(74)을 형성하여 부싱(76) 결합한 지지수단; 지지수단의 지지구(60)와 접촉하는 블록(5)의 상승력에 의한 충돌 하중을 완충하기 위하여 하축(70)의 외경에 끼워진 조절너트(80) 및 상축(72)의 하단에 지지되어 하축(70)의 상단을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하축(70)의 도피홈(74)에 출몰시키는 탄성부재(90)와, 탄성부재(90)의 탄성력이 해제되는 블록(5)과 지지구(60)의 이격시 하강된 가동단자(50)를 포함한 슬라이드부재(30)가 케이스(10)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연결대(40) 상부에 걸림판(45)를 부착하고 케이스(10)이 하측에는 걸림판(45)이 걸리는 멈춤돌기(18)를 형성한 가동부재 이탈방지수단을 구성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
KR2019970040676U 1997-12-24 1997-12-24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 KR199900280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676U KR19990028066U (ko) 1997-12-24 1997-12-24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676U KR19990028066U (ko) 1997-12-24 1997-12-24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066U true KR19990028066U (ko) 1999-07-15

Family

ID=6967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676U KR19990028066U (ko) 1997-12-24 1997-12-24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06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518B1 (ko) * 2012-11-06 2014-08-13 (주)성우에스람 무대설비용 승강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518B1 (ko) * 2012-11-06 2014-08-13 (주)성우에스람 무대설비용 승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5676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051185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10094686A (ko)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설치방법
JP2013010604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06013Y1 (ko) 수직이동장치
KR19990028066U (ko) 천정기중기용 승강기의 과권상 방지장치
JP457507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574434B1 (ko) 하중 검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10096838A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 방법
JP2707942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張力平衡装置
JP2002154758A (ja) エレベーター及び巻上機の取付方法
KR920001609B1 (ko) 승강장치 및 그 제어회로
JPH0769559A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389642Y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설치구조
US5454474A (en) Dual weight assembly for a crane
KR200237779Y1 (ko) 입체주차장치
JPH08169683A (ja) ホイスト式クレーン
KR200199478Y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KR100486192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진동저감장치
JP2536801B2 (ja) エレベ―タの保守点検装置
KR200218105Y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장치
KR200146442Y1 (ko) 승강기의 레일구조
SU1594106A2 (ru) Подъемник
KR100329050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설치구조
KR970006569Y1 (ko) 천정기중의 과권 비상용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