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810A -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810A
KR19990027810A KR1019970050340A KR19970050340A KR19990027810A KR 19990027810 A KR19990027810 A KR 19990027810A KR 1019970050340 A KR1019970050340 A KR 1019970050340A KR 19970050340 A KR19970050340 A KR 19970050340A KR 19990027810 A KR19990027810 A KR 19990027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groove
spring
stop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0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810A/ko
Publication of KR1999002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810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에 수납공간(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12)의 측벽에 걸림구멍(14)이 형성되어 있는 인스트루먼트패널(10)과;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10)의 수납공간(12)에 출입가능하며, 상기 걸림구멍(14)에 대응하는 위치에 작동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구멍(14)에 출입가능하며 스프링(26)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작동홈(22)에 탄입되어 있는 걸림로드(24)로 된 글러브박스(20)와; 글러브박스(20)의 정지홈(28)에 삽입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탈가능 한 정지핀(30)과, 일단은 상기 글러브박스(20)의 작동홈(22)의 주변에 고정되는 고정단(32a)이며 타단은 탄성력에 의해 항상 고정단(32a)을 향해 이동되는 자유단(32b)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자유단(32b)의 일측면이 걸림로드(24)의 선단부에 맞닿아 있어 걸림로드(24)가 작동홈(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정지핀(30)이 정지홈(28)으로 이탈되는 것에 의해 걸림로드(24)가 작동홈(22)으로부터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태엽스프링(32)과, 일단은 정지핀(30)에 연결되고 타단은 태엽스프링(32)의 자유단(32b)에 연결되는 와이어(34)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글러브박스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충돌시 글러브박스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충돌사고시 승객의 부상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사고시 글러브 박스가 개방되지 않도록하여 승객의 부상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충돌사고시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들이 여러곳에 마련되어 있다. 즉, 시트 벨트를 설치하여 충돌시 승객이 시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스티어링 휠과 조수석 전방의 인스트루먼트에 에어백 시스템을 설치하여 승객의 부상을 최대한으로 줄이도록 하였다. 그리고 자동차 도어의 내측에 임팩트바를 장착하여 측면충돌로부터의 충격을 최대한 흡수하여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수석 탑승객의 안전에 관련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조수석 탑승객을 위한 안전장치에는 시트 벨트가 제공된다. 시트 벨트는 자동차의 충돌에 의한 충격 즉, 주행 관성력으로 탑승객이 앞으로 쏠리는 현상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고속주행시의 충돌에는 상대적으로 충돌 관성력이 크기 때문에 탑승객이 시트 벨트를 착용 하더라도 관성력에 의해 인스트루먼트패널에 탑승객의 상체부가 부딪혀 상해를 입는 경우가 생기게 되었으며 특히, 조수석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글러브박스가 개방되어 조수석 탑승객이 글러브박스에 부딪혀 상해가 더욱 가중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글러브박스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충돌시 글러브박스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충돌사고시 승객의 부상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가 절결된 인스트루먼트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인스트루먼트패널 12: 수납공간
14: 걸림구멍 20: 글러브박스
22: 작동홈 24: 걸림로드
26: 스프링 28: 정지홈
30: 정지핀 32: 태엽스프링
32a: 고정단 32b: 자유단
34: 와이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의 측벽에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인스트루먼트패널과;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수납공간에 출입가능하며, 상기 걸림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작동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구멍에 출입가능하며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작동홈에 탄입되어 있는 걸림로드로 된 글러브박스와; 상기 걸림로드가 작동홈내로부터 이탈되도록 허용하여 걸림로드가 걸림구멍에 삽입되게 하거나, 이탈을 제한하는 이탈 및 이탈방지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탈 및 이탈방지수단은 글러브박스의 정지홈에 삽입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탈가능 한 정지핀과, 일단은 상기 글러브박스의 작동홈의 주변에 고정되는 고정단이며 타단은 탄성력에 의해 항상 고정단을 향해 이동되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자유단의 일측면이 걸림로드의 선단부에 맞닿아 있어 걸림로드가 작동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정지핀이 정지홈으로 이탈되는 것에 의해 걸림로드가 작동홈으로부터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하는 소정의 폭을 갖는 태엽스프링과, 일단은 정지핀에 연결되고 타단은 태엽스프링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가 절결된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정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자동차의 조수석 전면에 있는 인스트루먼트패널(10)에는 수납공간(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공간(12)의 측벽에는 걸림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공간(12)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글러브박스(20)가 인스트루먼트패널(10)에 출입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글러브박스(20)의 저면에는 정지홈(28)이 형성되어 있고, 수납공간(12)의 걸림구멍(14)에 대응하는 위치에 작동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홈(22)에는 걸림구멍(14)에 출입가능하며 스프링(26)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걸림로드(24)가 탄입되어 있다.
그리고, 글러브박스(20)에는 소정의 폭을 갖는 태엽스프링(32)이 설치되어 있다. 태엽스프링(32)의 일단은 작동홈(22) 주변에 고정되는 고정단(32a)이며, 타단은 자유단(32b)으로서, 자유단(32b)은 고정단(32a)을 향해 항상 이동하려한다. 또한, 자유단(32b)에는 와이어(34)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와이어(34)의 타단은 정지핀(30)이 고정되어 있다. 정지핀(30)은 글러브박스(2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정지홈(28)에 삽입된다. 한편, 정지핀(30)을 정지홈(28)에 삽입할 때에는 권취되어 있는 태엽스프링(32)이 일정량 풀리게 되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와이어(34)와 정지핀(30)에는 탄성력이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정지핀(30)은 일정충격 이상이 되면 정지홈(28)에서 이탈되도록 설계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자유단(32b)의 일측면은 걸림로드(24)의 선단부에 맞닿게 되어 걸림로드(24)가 작동홈(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도 2를 참고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따르면,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정지홈(28)에 삽입되어 있던 정지핀(30)이 이탈되고, 정지핀(30)과 와이어(34)로 연결되는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던 태엽스프링(32)의 자유단(32b)은 정지핀(30)이 정지홈(28)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에 의해 고정단(32a)으로 이동되며, 이와 동시에 자유단(32b)에 의해 차단되어 있던 걸림로드(24)는 작동홈(22)에서 이탈되어 걸림구멍(14)에 삽입되며 글러브박스(10)는 인스트루먼트패널(10)에 고정되어 개방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를 글러브박스(10)의 한쪽에만 설치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글러브박스의 양쪽에 설치해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는 글러브박스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충돌시 글러브박스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충돌사고시 승객의 부상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일측에 수납공간(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12)의 측벽에 걸림구멍(14)이 형성되어 있는 인스트루먼트패널(10)과;
    상기 인스트루먼트패널(10)의 수납공간(12)에 출입가능하며, 상기 걸림구멍(14)에 대응하는 위치에 작동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구멍(14)에 출입가능하며 스프링(26)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상기 작동홈(22)에 탄입되어 있는 걸림로드(24)로 된 글러브박스(20)와;
    상기 걸림로드(24)가 작동홈(22)내로부터 이탈되도록 허용하여 걸림로드(24)가 걸림구멍(14)에 삽입되게 하거나, 이탈을 제한하는 이탈/이탈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이탈방지수단은 글러브박스(20)의 정지홈(28)에 삽입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탈가능 한 정지핀(30)과, 일단은 상기 글러브박스(20)의 작동홈(22)의 주변에 고정되는 고정단(32a)이며 타단은 탄성력에 의해 항상 고정단(32a)을 향해 이동되는 자유단(32b)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자유단(32b)의 일측면이 걸림로드(24)의 선단부에 맞닿아 있어 걸림로드(24)가 작동홈(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정지핀(30)이 정지홈(28)으로 이탈되는 것에 의해 걸림로드(24)가 작동홈(22)으로부터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하는 소정의 폭을 갖는 태엽스프링(32)과, 일단은 정지핀(30)에 연결되고 타단은 태엽스프링(32)의 자유단(32b)에 연결되는 와이어(34)로 된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
KR1019970050340A 1997-09-30 1997-09-30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 KR19990027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340A KR19990027810A (ko) 1997-09-30 1997-09-30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0340A KR19990027810A (ko) 1997-09-30 1997-09-30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810A true KR19990027810A (ko) 1999-04-15

Family

ID=6604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0340A KR19990027810A (ko) 1997-09-30 1997-09-30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8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7810A (ko) 자동차의 글러브박스 개방 방지장치
US5318146A (en) Electric circuit for activating an occupant safety device in an automotive vehicle
KR0177255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313321B1 (ko) 차량의탑승자보호장치
KR0150904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39696Y1 (ko) 차량용 글러브 박스의 개방 제지장치
KR19980037807A (ko) 자동차용 글러브 박스의 열림 방지장치
KR01490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9990006416U (ko) 자동차용 글러브박스의 충격흡수구조
KR200177713Y1 (ko)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KR0139023Y1 (ko) 자동차의 도어 침입 방지구조
KR200156300Y1 (ko) 자동차 충돌시 후방유리 파편 보호장치
KR930012100B1 (ko) 원심력에 의한 충격완화 시이트 장치
KR0181186B1 (ko) 차량 충돌시의 무릎 보호장치
KR015089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73607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930002010Y1 (ko) 자동차용 인명 보호장치
KR0133498Y1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의 비산 방지 차단막
KR0149096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930000772B1 (ko) 차량용 운전자 보호장치
KR0166176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리트렉터의 프리텐셔너
KR940008671Y1 (ko) 차량 탑승자보호용 안전커버장치
KR100242195B1 (ko) 자동차용 안전장치
KR19980030255A (ko) 완충부재를 구비한 글러브박스
KR200171655Y1 (ko) 자동차용 시트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