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572U -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572U
KR19990027572U KR2019970040166U KR19970040166U KR19990027572U KR 19990027572 U KR19990027572 U KR 19990027572U KR 2019970040166 U KR2019970040166 U KR 2019970040166U KR 19970040166 U KR19970040166 U KR 19970040166U KR 19990027572 U KR19990027572 U KR 199900275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ooler duct
coupling
duct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동국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0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572U/ko
Publication of KR199900275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572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외측패널(114)과 내측패널(112)로 이루어진 루프(110)와, 측면 골격을 이루도록 상부로 루프필라(120)가 용접 고정된 사이드 필라(130)에 양단의 좌·우측 결합부(142,144)를 취부하게 된 버스용 쿨러덕트(140)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필라(130)의 일측면으로 볼팅 고정되면서, 상부에는 쿨러덕트(140)의 좌측 결합부(142)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삽지홈부(152)를 형성한 커텐레일(150)과; 상기 내측패널(112)의 이면으로 용접 고정되어 요입부(162)가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160)과; 그 결합 브라켓(160)의 요입부(162)로 끼워 고정되며 일측으로 우측 결합부(144)의 고정홈부(172d)가 형성된 몸체(172)와, 그 몸체(172)의 상부와 하부에 일체로 구부려 형성된 고정 날개부(172c)와 접면부(172b)를 절곡 형성한 고정구(170)로 구성함으로써, 쿨러덕트의 취부 작업시 그 쿨러덕트의 좌측 결합부는 사이드 필라에 볼팅 고정된 커텐레일의 삽지홈부로 끼워 고정하는 동시에, 쿨러덕트의 우측 결합부는 고정구의 몸체에 형성된 고정홈부로 끼운 다음, 몸체를 결합 브라켓과 루프 사이로 형성된 요입부에 끼워 고정함에 따라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없이도 쿨러덕트의 취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
본 고안은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측패널과 내측패널로 이루어진 루프와, 측면 골격을 이루도록 상부로 루프필라가 용접 고정된 사이드 필라에 양단의 좌·우측 결합부를 취부하게 된 버스용 쿨러덕트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필라의 일측면으로 볼팅 고정되면서, 상부에는 쿨러덕트의 좌측 결합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삽지홈부를 형성한 커텐레일과; 상기 내측패널의 이면으로 용접 고정되어 요입부가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과; 그 결합 브라켓의 요입부로 끼워 고정되며 일측으로 우측 결합부의 고정홈부가 형성된 몸체와, 그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일체로 구부려 형성된 고정 날개부와 접면부를 절곡 형성한 고정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쿨러(Cooler)는 냉방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더운 여름철이나 실내가 더울 경우 작동되어 탑승자에게 찬바람을 제공하여 보다 쾌적한 차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장착되는 데, 그 찬 바람이 차실내 구석 구석까지 전체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쿨러덕트를 구비한 후 그 쿨러덕트를 통해 찬바람이 이동되다가 요소 요소에 설치된 그릴을 통해 승객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 상기 쿨러덕트의 설치구조는 첨부된 도면 도 1에서 자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쿨러덕트의 취부구조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루프필라(20) 상·하면에는 루프(10)를 이루도록 외측패널(14)과 내측패널(12)이 결합되고, 상기 루프필라(20)의 이면에는 사이드 필라(30), 측면에는 고정 브라켓(40)을 각각 용접 고정하면서, 그 고정 브라켓(40)의 이면과 루프패널(20)의 이면으로 쿨러덕트(50)의 양단을 볼팅 고정하되, 상기 쿨러덕트(50)의 제1 결합부(52)는 커텐레일(60)과 함께 고정 브라켓(40)의 이면으로 볼팅 고정되고, 제2 결합부(54)는 스트립(72)이 끼워진 스크류(70)로 루프(10)의 내측패널(12)의 이면에 체결 고정하고, 상기와 같이 돌출된 스크류(70)의 머리가 덮어지도록 상기 스트립(72)에는 스트립 커버(74)를 끼워 착탈 가능하게 조립토록 한다. 이때 상기 쿨러덕트(50) 및 커텐레일(60), 고정 브라켓(40)은 버스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했었다.
또한 상기 쿨러덕트(50)는 인슐레이터(56)와 덕트커버(58)로 구성된 것으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80)는 상기 사이드 필라(30)의 이면에 볼팅 고정된 창문 고정용 프레임이다.
이러한 쿨러덕트(50)의 조립 과정을 볼 때, 상기 쿨러덕트(50)의 제1 결합부(52)는 고정 브라켓(40)의 이면으로 위치되게 하면서, 제2 결합부(54)는 루프(10)의 내측패널(12)의 이면으로 위치되게 하고, 상기 커텐레일(60)를 상기 고정 브라켓(40)의 하부에 위치시킨 이후 커텐레일(60)과 제1 결합부(52)를 스크류(70)로 체결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쿨러덕트(50)의 제2 결합부(54)를 루프(10)의 내측패널(12) 이면에 스크류(70)로 체결 고정하게 되는 데, 그 스크류(70)에 끼워진 스트립(72)이 제2 결합부(54)에 접촉되게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스트립(72)에는 스트립 커버(74)를 덮어 씌워 스크류(70)의 머리가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었는 바, 이러한 종래의 쿨러덕트(50) 취부구조는 여러명의 작업자가 상기 쿨러덕트(50)를 들어 상기 루프(10)의 내측패널(12)의 설치 위치에 지지하고 있는 동시에, 다른 작업자는 상기 커텐레일(60)을 제1 결합부(52)의 이면으로 부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스크류(70) 체결 작업을 해야될 뿐더러, 상기 쿨러덕트(50)에 형성된 제2 결합부(54)를 내측패널(12)의 이면에 스크류(70) 체결 작업시 작업자가 위를 쳐다 보면서 작업을 해야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쿨러덕트의 취부 작업시 그 쿨러덕트의 좌측 결합부는 사이드 필라에 볼팅 고정된 커텐레일의 삽지홈부로 끼워 고정하는 동시에, 쿨러덕트의 우측 결합부는 고정구의 몸체에 형성된 고정홈부로 끼운 다음, 몸체를 결합 브라켓과 루프 사이로 형성된 요입부에 끼워 고정함에 따라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없이도 쿨러덕트의 취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외측패널과 내측패널로 이루어진 루프와, 측면 골격을 이루도록 상부로 루프필라가 용접 고정된 사이드 필라에 양단의 좌·우측 결합부를 취부하게 된 버스용 쿨러덕트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필라의 일측면으로 볼팅 고정되면서, 상부에는 쿨러덕트의 좌측 결합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삽지홈부를 형성한 커텐레일과; 상기 내측패널의 이면으로 용접 고정되어 요입부가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과; 그 결합 브라켓의 요입부로 끼워 고정되며 일측으로 우측 결합부의 고정홈부가 형성된 몸체와, 그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일체로 구부려 형성된 고정 날개부와 접면부를 절곡 형성한 고정구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구의 몸체에는 다수개의 걸림턱부를 우측으로 향하도록 연속해서 절곡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쿨러덕트의 취부구조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쿨러덕트의 취부구조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좌측 결합부와 커텐레일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우측 결합부와 고정구 및 결합 브라켓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루프 120 : 루프필라
130 : 사이드 필라 140 : 쿨러덕트
150 : 커텐레일 160 : 결합 브라켓
170 : 고정구 180 : 고정 프레임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고안 쿨러덕트의 취부구조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좌측 결합부와 커텐레일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우측 결합부와 고정구 및 결합 브라켓의 분리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 버스용 쿨러덕트(140)는 외측패널(114)과 내측패널(112)로 이루어진 루프(110)와, 측면 골격을 이루도록 상부로 루프필라(120)가 용접 고정된 사이드 필라(130)에 양단의 좌·우측 결합부(142,144)를 취부하게 된다.
이러한 쿨러덕트(140)의 좌측 결합부(142) 및 우측 결합부(144)는 커텐레일(150)과 결합 브라켓(160) 그리고 고정구(170)를 이용하여 취부된다.
상기 커텐레일(150)은 사이드 필라(130)의 일측면으로 볼팅 고정되면서, 상부에는 쿨러덕트(140)의 좌측 결합부(142)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삽지홈부(152)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 브라켓(160)은 내측패널(112)의 이면으로 용접 고정되어 요입부(16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구(170)는 결합 브라켓(160)의 요입부(162)로 끼워 고정되며 우측 결합부(144)의 고정홈부(172d)가 형성된 몸체(172)와 그 몸체(172)의 상부에 고정 일체로 구부려 형성된 고정 날개부(172c), 하부에 접면부(172b)를 절곡 형성한 고정구(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170)의 몸체(172)에는 다수개의 걸림턱부(172a)를 우측으로 향하도록 연속해서 절곡 형성하여 된 것으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180)는 상기 루프필라(120) 및 사이드 필라(130)의 일측면으로 고정 설치된 고정 프레임이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고안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에 대한 작용은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즉, 버스의 루프(110)는 내측패널(112)와 외측패널(114)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루프(110)의 양측 끝단에는 루프필라(120)와 사이드 필라(130)가 상하로 용접 고정된다. 아울러, 그 사이드 필라(130)의 일측으로는 하부로 도면에 미도시된 창문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 프레임(180)이 고정됨과 아울러, 사이드 필라(130)의 일측면으로는 차실내의 승객들의 편의를 돕도록 커텐레일(150)이 장착 고정된다. 이어, 상기 내측패널(112)의 하부와 사이드 필라(130)의 한 쪽 측면으로 쿨러덕트(140)를 취부하게 된다.
이러한 쿨러덕트(140)를 취부하기 위한 구성으로 커텐레일(150), 결합 브라켓(160) 및 고정구(170)를 구비하게 된다. 우선적으로 커텐레일(150)은 사이드 필라(130)의 일측면으로 직접 볼팅 고정하게 되는 데, 그 상부로는 삽지홈부(152)가 우측 방향으로 개구된 채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삽지홈부(152)로는 상기 쿨러덕트(140)에 절곡 형성된 좌측 결합부(142)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쿨러덕트(140)의 좌측 결합부(142)는 별도의 체결 수단이 필요없이 커텐레일(150)에 형성된 삽지홈부(152)로 끼우는 것만으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좌측 결합부(142)의 반대측으로 절곡 형성된 쿨러덕트(140)의 우측 결합부(144)를 취부하기 위한 구조로, 상기 루프(110)의 이면에는 결합 브라켓(160)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게 된다. 그 결합 브라켓(160)은 "ㄱ" 및 "ㄴ"자형이 조합된 형태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 브라켓(160)을 루프(110)의 이면으로 고정 설치하게 되면, 상기 루프(110)와의 사이로는 요입부(162)가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된 요입부(162)로 끼워지고 쿨러덕트(140)의 우측 결합부(144)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구(170)를 구비한다. 그 고정구(170)는 상기 요입부(162)로 끼워져 고정되는 몸체(172)를 형성한 다음, 그 몸체(172)에는 쿨러덕트(140)의 우측 결합부(144)가 끼워지도록 고정홈부(172d)를 우측 방향이 개구되게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몸체(172)의 우측 하단에는 우측 결합부(144)의 접면부(172b)를 하향으로 절곡 형성하고, 우측 상단에는 상기 루프(110)의 이면으로 접촉되어 탄성에 의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고정 날개부(172c)를 구부려 형성한다.
다음으로, 쿨러덕트(140)의 취부 작업을 재차 상세히 설명해 볼 때 그 쿨러덕트(140)의 좌측 결합부(142)는 사이드 필라(130)에 볼팅 고정된 삽지홈부(152)로 고정하는 동시에, 우측 결합부(144)에는 고정구(170)에 형성된 고정홈부(172d)로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170)의 몸체(172)를 결합 브라켓(160)과 루프(110) 사이로 형성된 요입부(162)로 끼워 고정한다. 이처럼 쿨러덕트(140)의 좌측 결합부(142)와 우측 결합부(144)의 취부 과정시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이용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172)의 상하 이면으로는 걸림턱부(172a)를 연속해서 다수개 형성하는 바, 상기 고정구(170)의 몸체(172)가 결합 브라켓(160)과 루프(110) 사이로 형성된 요입부(162)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는 상기 몸체(172)의 걸림턱부(172a)가 걸리기 때문이다.
본 고안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에 따르면, 차체의 측면을 이룬 사이드 필라의 일측면에는 상부로 삽지홈부가 형성된 커텐레일을 볼팅 고정하고, 상기 루프의 이면에는 요입부가 형성되도록 결합 브라켓을 용접 고정하며, 이러한 요입부에 끼워지고 좌측 결합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쿨러덕트의 취부 작업시 그 쿨러덕트의 좌측 결합부는 사이드 필라에 볼팅 고정된 커텐레일의 삽지홈부로 끼워 고정하는 동시에, 쿨러덕트의 우측 결합부는 고정구의 몸체에 형성된 고정홈부로 끼운 다음, 몸체를 결합 브라켓과 루프 사이로 형성된 요입부에 끼워 고정함에 따라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없이도 쿨러덕트의 취부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외측패널(114)과 내측패널(112)로 이루어진 루프(110)와, 측면 골격을 이루도록 상부로 루프필라(120)가 용접 고정된 사이드 필라(130)에 양단의 좌·우측 결합부(142,144)를 취부하게 된 버스용 쿨러덕트(140)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필라(130)의 일측면으로 볼팅 고정되면서, 상부에는 쿨러덕트(140)의 좌측 결합부(142)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삽지홈부(152)를 형성한 커텐레일(150)과; 상기 내측패널(112)의 이면으로 용접 고정되어 요입부(162)가 형성되는 결합 브라켓(160)과; 그 결합 브라켓(160)의 요입부(162)로 끼워 고정되며 일측으로 우측 결합부(144)의 고정홈부(172d)가 형성된 몸체(172)와, 그 몸체(172)의 상부와 하부에 일체로 구부려 형성된 고정 날개부(172c)와 접면부(172b)를 절곡 형성한 고정구(1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70)의 몸체(172)에는 다수개의 걸림턱부(172a)를 우측으로 향하도록 연속해서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
KR2019970040166U 1997-12-24 1997-12-24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 KR199900275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166U KR19990027572U (ko) 1997-12-24 1997-12-24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166U KR19990027572U (ko) 1997-12-24 1997-12-24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572U true KR19990027572U (ko) 1999-07-15

Family

ID=6967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166U KR19990027572U (ko) 1997-12-24 1997-12-24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57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39151A1 (en) Paneling element for the roof of a vehicle interior
KR19990027572U (ko)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
KR19990043281A (ko) 버스의 쿨러덕트 설치구조
KR0128385B1 (ko) 자동차의 헤드 라이닝의 결합구조
JPH0242700B2 (ko)
JPH0136704Y2 (ko)
KR19990043170A (ko) 버스의 쿨러덕트 취부구조
JPH08282536A (ja) ピラー結合部の車体構造
KR19990043171A (ko) 버스의 쿨러덕트 장착구조
JP2001146806A (ja) パネル支持装置
JP3598723B2 (ja) 車両用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KR19990043169A (ko) 버스의 쿨러덕트 설치구조
JP2002129850A (ja) 建築物の連窓シャッター装置
KR200147445Y1 (ko) 버스의 에어덕트
JPH057844Y2 (ko)
KR0124954Y1 (ko) 엘리베이터 승장도어 및 케이지도어의 방범창 구조
JP2001260651A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のサポートフック
KR100693511B1 (ko) 차량의 글라스 사이드 몰딩 고정 클립
JP3059455U (ja) リヤアンダーミラーの取付構造
KR960001110Y1 (ko) 자동차 범퍼 임팩트 비임의 취부구조
JPH11268666A (ja) 自動車天井部のサイドレール衝撃吸収体
JPH0623482Y2 (ja) リヤゲ−トの配線装置
JP3281050B2 (ja)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KR0123869Y1 (ko) 센터필러의 내장부재 고정용 클립장치
KR100402858B1 (ko) 자동차의 루프 몰딩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