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3170A - 버스의 쿨러덕트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쿨러덕트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3170A
KR19990043170A KR1019970064158A KR19970064158A KR19990043170A KR 19990043170 A KR19990043170 A KR 19990043170A KR 1019970064158 A KR1019970064158 A KR 1019970064158A KR 19970064158 A KR19970064158 A KR 19970064158A KR 19990043170 A KR19990043170 A KR 19990043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er duct
coupling
fixing
groove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동국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64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3170A/ko
Publication of KR1999004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170A/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쿨러덕트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사이드 필라(130)에는 일측 표면으로 고정돌기(142)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140)을 용접 고정하고, 상기 쿨러덕트(150)의 좌측 끝단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걸림부(162)와 제1 결합부(164)가 돌출 형성된 좌측 결합구(160)에는 제1 삽지홈부(166)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164)의 상부로는 결합판(172)이 하부에 연설된 간격 유지구(170)와 고정홈(182)이 형성된 고정편(180)을 차례로 얹어 볼트(190)로써 쿨러덕트(150)에 결합 고정시킴에 따라 회동 작동으로 착탈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쿨러덕트(150)의 우측 끝단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제2 삽지홈부(202)가 형성된 우측 결합구(200)에는 제1 괘지홈부(204)를 형성하고, 상기 루프필라(120)와 내측패널(112) 사이로 끼워져 리벳팅될 수 있도록 제2 결합부(212)가 형성된 고정구(210)에는 제2 괘지홈부(214)를 형성한 후 상기 제1,2 괘지홈부(204)(214)에는 힌지러버(220)의 양단을 끼워 회전중심을 이루도록함으로써, 쿨러덕트의 취부 및 탈거 작업시 쿨러덕트의 좌측 끝단은 볼트의 회전에 의해 고정편이 고정브라켓의 고정돌기에 끼워지고 빠지게 하면서, 우측 끝단은 볼트의 체결 및 탈거에 의해 힌지러버와 고정구가 분리 결합되게 함에 따라 쿨러덕트의 취부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버스의 쿨러덕트 취부구조
본 발명은 버스의 쿨러덕트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사이드 필라의 내측면과 루프의 내측패널에 양단을 각각 취부하게 된 버스의 쿨러덕트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필라에는 일측 표면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을 용접 고정하고, 상기 쿨러덕트의 좌측 끝단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걸림부와 제1 결합부가 돌출 형성된 좌측 결합구에는 제1 삽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상부로는 결합판이 하부에 연설된 간격 유지구와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편을 차례로 얹어 볼트로써 쿨러덕트에 결합 고정시킴에 따라 회동 작동으로 착탈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쿨러덕트의 우측 끝단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제2 삽지홈부가 형성된 우측 결합구에는 제1 괘지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루프필라와 내측패널 사이로 끼워져 리벳팅될 수 있도록 제2 결합부가 형성된 고정구에는 제2 괘지홈부를 형성한 후 상기 제1,2 괘지홈부에는 힌지러버의 양단을 끼워 회전중심을 이루도록 한 버스의 쿨러덕트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쿨러(Cooler)는 냉방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더운 여름철이나 실내가 더울 경우 작동되어 탑승자에게 찬바람을 제공하여 보다 쾌적한 차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장착되는 데, 그 찬 바람이 차실내 구석 구석까지 전체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쿨러덕트를 구비한 후 그 쿨러덕트를 통해 찬바람이 이동되다가 요소 요소에 설치된 그릴을 통해 승객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 상기 쿨러덕트의 설치구조는 첨부된 도면 도 1에서 자세하게 보여주고 있다.
도 1은 종래 버스의 쿨러덕트 설치구조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루프필라(20) 상·하면에는 루프(10)를 이루도록 외측패널(14)과 내측패널(12)이 결합되고, 상기 루프필라(20)의 이면에는 사이드 필라(30), 측면에는 고정 브라켓(40)을 각각 용접 고정하면서, 그 고정 브라켓(40)의 이면과 루프패널(20)의 이면으로 쿨러덕트(50)의 양단을 볼팅 고정하되, 상기 쿨러덕트(50)의 제1 결합부(52)는 커텐레일(60)과 함께 고정 브라켓(40)의 이면으로 볼팅 고정되고, 제2 결합부(54)는 스트립(72)이 끼워진 스크류(70)로 루프(10)의 내측패널(12)의 이면에 체결 고정하고, 상기와 같이 돌출된 스크류(70)의 머리가 덮어지도록 상기 스트립(72)에는 스트립 커버(74)를 끼워 착탈 가능하게 조립토록 한다. 이때 상기 쿨러덕트(50) 및 커텐레일(60), 고정 브라켓(40)은 버스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했었다.
또한 상기 쿨러덕트(50)는 인슐레이터(56)와 덕트커버(58)로 구성된 것으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80)는 상기 사이드 필라(30)의 이면에 볼팅 고정된 창문 고정용 프레임이다.
이러한 쿨러덕트(50)의 조립 과정을 볼 때, 상기 쿨러덕트(50)의 제1 결합부(52)는 고정 브라켓(40)의 이면으로 위치되게 하면서, 제2 결합부(54)는 루프(10)의 내측패널(12)의 이면으로 위치되게 하고, 상기 커텐레일(60)를 상기 고정 브라켓(40)의 하부에 위치시킨 이후 커텐레일(60)과 제1 결합부(52)를 스크류(70)로 체결 고정하는 동시에, 상기 쿨러덕트(50)의 제2 결합부(54)를 루프(10)의 내측패널(12) 이면에 스크류(70)로 체결 고정하게 되는 데, 그 스크류(70)에 끼워진 스트립(72)이 제2 결합부(54)에 접촉되게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기 스트립(72)에는 스트립 커버(74)를 덮어 씌워 스크류(70)의 머리가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었는 바, 이러한 종래의 쿨러덕트(50) 취부구조는 여러명의 작업자가 상기 쿨러덕트(50)를 들어 상기 루프(10)의 내측패널(12)의 설치 위치에 지지하고 있는 동시에, 다른 작업자는 상기 커텐레일(60)을 제1 결합부(52)의 이면으로 부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스크류(70) 체결 작업을 해야될 뿐더러, 상기 쿨러덕트(50)에 형성된 제2 결합부(54)를 내측패널(12)의 이면에 스크류(70) 체결 작업시 작업자가 위를 쳐다 보면서 작업을 해야 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쿨러덕트의 취부 및 탈거 작업시 쿨러덕트의 좌측 끝단은 볼트의 회전에 의해 고정편이 고정브라켓의 고정돌기에 끼워지고 빠지게 하면서, 우측 끝단은 볼트의 체결 및 탈거에 의해 힌지러버와 고정구가 분리 결합되게 함에 따라 쿨러덕트의 취부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 버스의 쿨러덕트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이드 필라의 내측면과 루프의 내측패널에 양단을 각각 취부하게 된 버스의 쿨러덕트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필라에는 일측 표면으로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을 용접 고정하고, 상기 쿨러덕트의 좌측 끝단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걸림부와 제1 결합부가 돌출 형성된 좌측 결합구에는 제1 삽지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상부로는 결합판이 하부에 연설된 간격 유지구와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편을 차례로 얹어 볼트로써 쿨러덕트에 결합 고정시킴에 따라 회동 작동으로 착탈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쿨러덕트의 우측 끝단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제2 삽지홈부가 형성된 우측 결합구에는 제1 괘지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루프필라와 내측패널 사이로 끼워져 리벳팅될 수 있도록 제2 결합부가 형성된 고정구에는 제2 괘지홈부를 형성한 후 상기 제1,2 괘지홈부에는 힌지러버의 양단을 끼워 회전중심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버스의 쿨러덕트 설치구조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버스의 쿨러덕트 설치구조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쿨러덕트의 좌측단부가 분리된 상태의 요부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쿨러덕트의 우측단부가 분리된 상태의 요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루프 120 : 루프필라
130 : 사이드 필라 140 : 고정 브라켓
150 : 쿨러덕트 160 : 좌측 결합구
170 : 간격 유지구 180 : 고정편
190 : 볼트 200 : 우측 결합구
210 : 고정구 220 : 힌지러버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 버스의 쿨러덕트 설치구조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쿨러덕트의 좌측단부가 분리된 상태의 요부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쿨러덕트의 우측단부가 분리된 상태의 요부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버스의 쿨러덕트(150)는 사이드 필라(130)의 내측면과 루프(110)의 내측패널(112)에 양단이 각각 취부된다.
상기 사이드 필라(130)에는 일측 표면으로 고정돌기(142)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140)을 용접 고정한다.
상기 쿨러덕트(150)의 좌측 끝단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걸림부(162)와 제1 결합부(164)가 돌출 형성된 좌측 결합구(160)에는 제1 삽지홈부(166)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부(164)의 상부로는 결합판(172)이 하부에 연설된 간격 유지구(170)와 고정홈(182)이 형성된 고정편(180)을 차례로 얹어 볼트(190)로써 쿨러덕트(150)에 결합 고정시킴에 따라 회동 작동으로 착탈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쿨러덕트(150)의 우측 끝단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제2 삽지홈부(202)가 형성된 우측 결합구(200)에는 제1 괘지홈부(204)를 형성한다.
상기 루프필라(120)와 내측패널(112) 사이로 끼워져 리벳팅될 수 있도록 제2 결합부(212)가 형성된 고정구(210)에는 제2 괘지홈부(214)를 형성한 후 상기 제1,2 괘지홈부(204)(214)에는 힌지러버(220)의 양단을 끼워 회전중심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114)는 루프(110)을 이루는 외측패널이고, (152)와 (154)는 쿨러덕트(150)를 이루는 인슐레이터와 덕트커버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쿨러덕트의 취부구조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를 보면서 자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쿨러덕트(150)를 취부하기 위한 좌·우측 결합구(200), 고정구(210), 간격유지구(170) 및 힌지러버(220)의 형성 및 조립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쿨러덕트(150)의 좌측 끝단에는 좌측 결합구(160)의 제1 삽지홈부(166)에 끼워 조립하는 동시에, 우측 끝단에는 우측 결합구(200)의 제2 삽지홈부(202)에 끼워 조립하게 된다. 상기 좌측 결합구(160)의 제1 결합부(164)의 상부로는 간격 유지구(170)의 결합판(172)을 상치한 다음, 상기 간격 유지구(170)의 상부로는 고정편(180)을 얹고나서, 그 고정편(180)에 볼트(190)의 선단을 결합 고정한 후 그 볼트(190)는 간격 유지구(170)를 지나 쿨러덕트(150)에 볼팅 고정하게 되고, 이러한 볼트(190)의 머리는 쿨러덕트(150)의 이면으로 보이도록 조립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볼트(190)의 회동에 따라 상기 고정편(180)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사이드 필라(130)의 상면과 우측면으로 용접 고정된 고정 브라켓(140)의 우측단 상면에는 고정돌기(142)를 돌출 형성한다.
한편, 상기 쿨러덕트(150)의 우측 끝단에는 우측 결합구(200)의 제2 삽지홈부(202)가 끼워져 결합되게 하고, 이러한 우측 결합구(200)의 제1 괘지홈부(204)에 일단이 끼워진 힌지러버(220)의 타단은 고정구(210)의 제2 괘지홈부(214)에 끼워져 볼팅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구(210)에 연설된 제2 결합부(212)는 상기 루프필라(120)의 이면과 내측패널(112)의 상면 사이에 끼워져 리벳팅 하는 방법으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힌지러버(220)의 중앙 부위는 회전시 회전 중심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쿨러덕트(150)의 취부구조를 상세히 살펴 보게 되면, 상기 쿨러덕트(150)의 우측단은 앞서 설명한 바처럼 우측 결합구(200), 힌지러버(220) 및 고정구(21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쿨러덕트(150)의 좌측단의 취부 구조는 쿨러덕트(150)를 하부로부터 위로 밀게 되면 좌측 결합구(160)의 걸림부(162)는 사이드 필라(130)의 하단에 걸려 더 이상 위로 올라가지 않게 되는 데, 이때 작업자는 쿨러덕트(150)의 이면으로 노출된 볼트(190)의 머리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그 볼트(190)의 선단으로 연설된 고정편(180)은 간격 유지구(170)의 상단에 얹혀진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편(180)의 고정홈(182)으로는 상기 고정 브라켓(140)의 상면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142)가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쿨러덕트(150)의 취부 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쿨러덕트(150)의 탈거 작업을 살펴 볼 때 상기 쿨러덕트(150)의 이면으로 노출된 볼트(190)의 머리에 드라이버를 끼워 회전시키게 되면, 그 볼트(190)에 연설된 고정편(180)이 회전됨에 따라 그 고정편(180)의 고정홈(182)으로부터 고정돌기(142)가 이탈되는 것이다. 즉, 그 고정돌기(142)로부터 고정편(180)이 이탈되는 상태로 된다. 바로 이 순간 상기 쿨러덕트(150)의 좌측단은 그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내려와 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그 반대편의 힌지러버(220)는 아래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쿨러덕트(150)의 좌측단이 하방으로 내려와 쿨러덕트(150) 자체는 수직으로 내려온 상태로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쿨러덕트(150)의 우측 결합구(200)를 고정하고 있던 다수개의 볼트(190)를 각각 탈거하게 될 때 상기 쿨러덕트(150)의 탈거 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후, 필요에 따라 상기 쿨러덕트(150)의 양단으로 조립되어 있던 좌·우측 결합구(160)(200)를 탈거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버스의 쿨러덕트 취부구조에 따르면, 사이드 필라에는 우측 상면으로 고정돌기를 형성한 고정 브라켓을 용접 결합하고, 루프필라와 내측패널 사이에는 고정구의 제2 결합부를 끼워 리벳팅 방법으로 고정한 이후, 상기 쿨러덕트의 양측 끝단에는 좌측 결합구 및 우측 결합구를 끼워 고정하면서, 그 우측 결합구와 고정구 사이에는 굴곡질 수 있도록 힌지러버를 끼워 고정토록 함으로써, 쿨러덕트의 취부 작업시에는 상기 힌지러버를 중심으로 쿨러덕트를 상방향 회전시켜 그 대향된 쿨러덕트의 좌측 끝단에 설치된 좌측 결합구의 걸림부가 사이드 필라에 접촉되는 동시에, 볼트의 회전으로 고정편을 상기 사이드 필라에 용접 고정된 고정 브라켓의 고정돌기에 끼워 고정되게 하여 취부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쿨러덕트의 탈거 작업은 상기 쿨러덕트에 체결된 볼트를 탈거한 후 쿨러덕트의 자중에 의해 좌측단부가 힌지러버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고, 고정구에 체결된 볼트를 풀어 쿨러덕트의 우측 끝단의 결합 상태를 해제함에 따라 쿨러덕트의 취부 및 해제 작업시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갖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사이드 필라(130)의 내측면과 루프(110)의 내측패널(112)에 양단을 각각 취부하게 된 버스의 쿨러덕트(150)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필라(130)에는 일측 표면으로 고정돌기(142)가 형성된 고정 브라켓(140)을 용접 고정하고, 상기 쿨러덕트(150)의 좌측 끝단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걸림부(162)와 제1 결합부(164)가 돌출 형성된 좌측 결합구(160)에는 제1 삽지홈부(166)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164)의 상부로는 결합판(172)이 하부에 연설된 간격 유지구(170)와 고정홈(182)이 형성된 고정편(180)을 차례로 얹어 볼트(190)로써 쿨러덕트(150)에 결합 고정시킴에 따라 회동 작동으로 착탈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쿨러덕트(150)의 우측 끝단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제2 삽지홈부(202)가 형성된 우측 결합구(200)에는 제1 괘지홈부(204)를 형성하고, 상기 루프필라(120)와 내측패널(112) 사이로 끼워져 리벳팅될 수 있도록 제2 결합부(212)가 형성된 고정구(210)에는 제2 괘지홈부(214)를 형성한 후 상기 제1,2 괘지홈부(204)(214)에는 힌지러버(220)의 양단을 끼워 회전중심을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쿨러덕트 취부구조.
KR1019970064158A 1997-11-29 1997-11-29 버스의 쿨러덕트 취부구조 KR19990043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158A KR19990043170A (ko) 1997-11-29 1997-11-29 버스의 쿨러덕트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158A KR19990043170A (ko) 1997-11-29 1997-11-29 버스의 쿨러덕트 취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170A true KR19990043170A (ko) 1999-06-15

Family

ID=66095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158A KR19990043170A (ko) 1997-11-29 1997-11-29 버스의 쿨러덕트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31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5126A (zh) * 2017-11-21 2018-10-30 镇江康飞汽车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冷藏车用输风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5126A (zh) * 2017-11-21 2018-10-30 镇江康飞汽车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冷藏车用输风系统
CN108715126B (zh) * 2017-11-21 2023-07-28 镇江康飞汽车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冷藏车用输风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6302B1 (en) Snap-in window assembly and method
EP1842705B1 (en) Supporting module for vehicle doors and mounting procedure for said module
KR19990043170A (ko) 버스의 쿨러덕트 취부구조
US6585287B1 (en) Roof rail air bag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9990043171A (ko) 버스의 쿨러덕트 장착구조
KR19990043169A (ko) 버스의 쿨러덕트 설치구조
CN212287452U (zh) 弹片卡夹锁止装置、专用拆卸工具及一体屏
JPH0136704Y2 (ko)
KR19990027572U (ko) 버스용 쿨러덕트의 취부구조
JPS5834217Y2 (ja) サツシ
KR19990043281A (ko) 버스의 쿨러덕트 설치구조
CN216861741U (zh) 一种客船公共区域电视装饰框
CN220644996U (zh) 一种安装扣合组件
KR200147445Y1 (ko) 버스의 에어덕트
KR200329105Y1 (ko) 건축물의 천정패널 고정바
JPH068423Y2 (ja) 窓用換気扇取付装置
CN106892073B (zh) 用于无人潜航器的便于局部拆装的组件安装结构
JP2004233457A (ja) 壁面取付照明看板装置
JPH0132780Y2 (ko)
JP3722186B2 (ja) 窓庇
JPH0616121Y2 (ja) 建築用窓の網戸取付構造
JP2829209B2 (ja) 建築用パネルの張付け装置
JP3657182B2 (ja) 出窓
KR0128000Y1 (ko) 호차에 있어서의 지지프레임
JP2561019Y2 (ja) 軒天井材の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