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439U -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439U
KR19990027439U KR2019970040030U KR19970040030U KR19990027439U KR 19990027439 U KR19990027439 U KR 19990027439U KR 2019970040030 U KR2019970040030 U KR 2019970040030U KR 19970040030 U KR19970040030 U KR 19970040030U KR 19990027439 U KR19990027439 U KR 199900274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eat belt
coil
resistor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만영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70040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439U/ko
Publication of KR19990027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439U/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백 제어장치에 사용되고 자기 진단이 가능한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 점화장치(20)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SW2)와, 상기 제2 스위치(SW2)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3)과, 상기 제2 스위치(SW2) 및 저항(R)에 병렬로 연결된 제2 코일(L2)과, 상기 제2 코일(L2)과 전원(B)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SW1) 및 제1 코일(L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센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 (SENSOR FOR WEARING OF SAFETY BELT)
본 고안은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 제어장치에 사용되고 자기 진단이 가능한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안전벨트 스위치(30)는 단순한 스위치(SW)와 저항(R2)으로 구성되어,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스위치(SW)가 닫히고,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스위치(SW)가 열리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안전벨트 스위치(30)에 있어서 에어백 점화장치(20)와 연결되는 연결선(W)이 단락되는 경우, Vs 는 스위치(SW)가 닫힌 경우와 마찬가지로 Vs 가 0 볼트로 되어 마이컴(10)은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것으로 오판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제어장치는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별하여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시간을 달리하고 있는데, 이처럼 탑승자의 귀중한 생명을 좌우하는 에어백 제어장치에 종래의 안전벨트 스위치(30)를 사용하는 것은 그 중요도에 비추어 기능상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견선의 단락여부를 자체적으로 자가 진단할 수 있는 지능형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의 일예로서, 본 고안은
에어백 점화장치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와, 상기 제2 스위치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과, 상기 제2 스위치 및 저항에 병렬로 연결된 제2 코일과, 상기 제2 코일과 전원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제1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센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벨트 스위치가 구비된 안전벨트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가 구비된 안전벨트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컴 20 : 에어백 점화장치
30 : 안전벨트 스위치 50 :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
TR : 트랜지스터 R : 저항
SW : 스위치 L : 코일
W : 연결선 B+ : 전원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50)는, 마이컴(10)의 제어에 따라 에어백을 점화시키는 에어백 점화장치(20)와 연결선()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50)는 에어백 점화장치(20)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SW2)와, 상기 제2 스위치(SW2)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3)과, 상기 제2 스위치(SW2) 및 저항(R)에 병렬로 연결된 제2 코일(L2)과, 상기 제2 코일(L2)과 전원(B)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SW1) 및 제1 코일(L1)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R3)의 저항값이 제2 코일(L2)의 저항값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경우, 제1 스위치(SW1)가 닫히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코일(L1)에 전류가 흘러 자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제2 스위치(SW2)가 닫히면, Vs 에는 전압이 걸려 마이컴(10)은 안전벨트가 착용되었음을 파악하게 된다.
한편, 마이컴(10)은 연결선(W)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트랜지스터(TR)를 온 시키고 전류를 제2 코일(L2)쪽으로 흘려보낸다. 연결선(W)이 단락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2 코일(L2)에 자기장이 형성되어 제2 스위치(SW2)를 오프시킨다. 이 때 연결선(W)에 단락이 존재하면 Vs 는 0 볼트가 되고, 그렇지 않으면 Vs = Vcc × RL2÷(R1 + RL2) 가 되어 마이컴(10)은 연결선(W)의 단락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는 자체 진단이 가능하므로, 에어백의 점화를 제어하는 마이컴은 센서의 작동 상태와 연결선의 단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센서와 에어백 제어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에어백 점화장치(20)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SW2)와, 상기 제2 스위치(SW2)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3)과, 상기 제2 스위치(SW2) 및 저항(R)에 병렬로 연결된 제2 코일(L2)과, 상기 제2 코일(L2)과 전원(B)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SW1) 및 제1 코일(L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R3)의 저항값이 제2 코일(L2)의 저항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
KR2019970040030U 1997-12-23 1997-12-23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 KR199900274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030U KR19990027439U (ko) 1997-12-23 1997-12-23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030U KR19990027439U (ko) 1997-12-23 1997-12-23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439U true KR19990027439U (ko) 1999-07-15

Family

ID=69698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030U KR19990027439U (ko) 1997-12-23 1997-12-23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43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659B1 (ko) * 2009-04-27 2011-01-13 주식회사 트루윈 차량용 인덕티브형 비접촉식 안전벨트 착용감지장치
KR20220117380A (ko) 2021-02-15 2022-08-24 거제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벨트 착용여부 알림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659B1 (ko) * 2009-04-27 2011-01-13 주식회사 트루윈 차량용 인덕티브형 비접촉식 안전벨트 착용감지장치
KR20220117380A (ko) 2021-02-15 2022-08-24 거제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벨트 착용여부 알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1318B1 (en) Headlight warning system
US4148372A (en) Resistor coded theft deterrent system
US5079667A (en) Relay driving circuit for a latch-in relay
US5805061A (en) Electronic flasher unit for vehicle lighting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the operation thereof
JPH07236234A (ja) 過電圧保護装置
US6028512A (en) Electronic blinker
KR19990027439U (ko)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
JPH09228937A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US5475297A (en) Power supply circuit for an electric discharge machine
KR19980032120A (ko) 차량용 발전기의 제어장치
KR0154084B1 (ko) 자동차의 자동 변속 제어 유닛
KR200272787Y1 (ko) 밸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JPS6464523A (en) Vehicle mounted controller
KR200278118Y1 (ko) 밸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JPH02100415A (ja) ハイサイドスイッチの負荷開放検出回路
JPH04318284A (ja) エンジンの点火装置
KR200222139Y1 (ko) 전자접촉기의 과전류 보호회로
JP2002067792A (ja) ヘッドランプHi制御における負荷ラインショート検出装置
JPH10127062A (ja) 電気車用インバータの保護回路
KR100369166B1 (ko) 전자 제어 엔진의 드웰 타임 제어방법
JPH027721Y2 (ko)
JPH0752372B2 (ja) ソレノイド駆動回路
JPS592955A (ja) 自動車の電装負荷の異状警報装置
KR950005203Y1 (ko) 자동차용 발전기의 과충전 보호회로
KR200178094Y1 (ko) 서지 진압으로부터의 파워 트랜지스터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