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787Y1 - 밸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밸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787Y1
KR200272787Y1 KR2020020003061U KR20020003061U KR200272787Y1 KR 200272787 Y1 KR200272787 Y1 KR 200272787Y1 KR 2020020003061 U KR2020020003061 U KR 2020020003061U KR 20020003061 U KR20020003061 U KR 20020003061U KR 200272787 Y1 KR200272787 Y1 KR 200272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ll sensor
resistor
output terminal
bel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택
Original Assignee
백승택
신석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택, 신석화 filed Critical 백승택
Priority to KR2020020003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7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787Y1/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Buck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의 착용여부에 따라, 자석의 자장변화에 의해 작동되는 홀센서를 사용하여 비접촉 감지 방법으로 안전밸트 착용여부를 감지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홀센서 보호를 위한 전류제한 및 노이즈 방지를 위한 홀센서 보호부와. 사용자에 의해 버클이 삽입되면, N극과 S극으로 극성이 변화하는 자석과, 자석의 극성변화에 온,오프되는 홀센서와, 홀센서의 온,오프 신호에따라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백 컨트롤 출력신호부와, 텐센 및 동작 신호출력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밸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Sensor for checking out status of seat belt}
본 고안은 안전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석의 자장변화에 따라 동작하는 홀 센서를 이용해서 비접촉 감지 특징을 갖는 벨트 착용여부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벨트 착용여부 감지는 마이크로 스위치에 의해 감지하는 방법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기 위해 텅(tongue)을 버클(buckle)에 삽입하면, 상기 버클 내부에 구비된 마이크로 스위치가 온(on)되고, 또한 탑승자가 안전벨트의 풀기위해, 텅(tongue)을 버클(buckle)에서 분리시키면,상기 버클 내부의 마이크로 수위치가 오프(off)되어서, 탑승자의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마이크로 스위치에 의해 안전벨트 착용여부 감지는 기계적 접점 및 접촉방식에 의해 접점의 손상 및 마모와 접촉저항 증가에 따른 내구성 및 신뢰성을 장기간 보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는 목적은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자석의 위치변화에 의해 형성되는 자장에 따라 동작하는 홀센서를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감지하는 안전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안전벨트 착용여부에 따라 홀센서가 온(on) 오프(off) 될 때, 에어백 컨트롤 신호출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안전벨트 착용여부에 따라홀센서가 온(on) 오프(off) 될 때, 텐션 및 동작신호 출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제1 실시 예에 따른 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제2 실시 예에 따른 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홀센서 101 : 자석
110 : 홀센서 보호부 120 : 에어백 컨트롤 신호출력부
121 : 홀 센서 출력 바이어스저항 130 : 텐선 및 동작 신호 출력부
141 : 전원VCC 142 : 에어백 컨트롤 신호출력단
143 : 텐선및동작 신호출력단 144 : 접지단자(GND)
본 고안이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는 벨트에 부착된 텅이 버클에 착탈 함에 따라 극성이 N극과 S극으로 선택적으로 변환되는 자석(101)과, 자석의 극성의 변함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어 온(ON) 오프(OFF)되는 홀센서(100)와, 홀센서를 전기적 충격 및 노이즈를 방지하기위한 홀센서 보호부(110)와 홀센서의 온(ON,)오프(OFF)에 따라, 스위칭 되어 벨트 착용여부에 따른 에어백 컨트롤 신호변화를 출력하는 에어백 컨트롤 신호출력부(120)와,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감지하여, 텐션 및 동작신호를 구성하여 출력해 주는 텐션 및동작신호 출력부(130)로 구성된 벨트 착용여부 감지 장치를 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따른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는 밧데리 전원 VCC(141)단에 전원이 인가되면, 홀센서(100)가 전기적 충격 및 노이즈충격을 완화하고, 안전하게 동작하도록전류제한 저항 R1 과, 노이즈 필터링 C1으로 구성된 홀센서 보호부(110)가 구성되고, 사용자에 의해 벨트의 텅이 버클에 삽입되면, N에서S극으로 극성이 변화되는 자석(101)과 이 자석의 극성에 변화에 따라, 홀센서(100)은 온(ON),오프(OFF)신호로 스위칭하여 홀센서의 출력단에 바이어스 출력전압을 구성할수 있는 풀업저항(R2)에의해 벨트 착용여부를 확실히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이 상술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홀센서(100)의 온(ON),오프(OFF)에 따라, 텅이 버클에 삽입되지 않은 즉, 사용자가 벨트를 착용하지 않을 때, 홀센서(100)가 오프(OFF) 되면, 에어백컨트롤 신호출력부(120)의 트랜지스터(TR2)은 (ON)되어, 에어백컨트롤 신호출력단(142)은 저항(R4),트랜지스터(TR2)을 거쳐서 접지단자와 연결되므로 에어백컨트롤 신호출력단(142)에는 상기 저항(R4)만의 값을 갖게 된다.
한편, 홀센서(100)가 오프(OFF)되면, 텐션및동작 신호출력부(130)의 트랜지스터(TR3)은 온(ON)되어 텐션 및 동작 신호 출력단은 접지단자GND(144)와 연결되어, 안전벨트 탈거 되었음을 감지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벨트를 착용할 때인 텅이 버클에 삽입 되었을 시, 홀센서(100)가 온(ON)되어,트랜지스터(TR2)는 오프(OFF)되어 에어백컨트롤 신호출력부(120)에 있어, 에어백 컨트롤 신호출력단(142)은 저항(R4),저항(R3),전원에 연결된 베이스에 의해 항상 온(ON)상태인 트랜지스터(TR1)를 거쳐서 접지단자 GND (144)와 연결되므로 에어백 컨트롤 신호출력단(142)에는 상기 저항(R4)와 저항(R3)의 합한 값을 갖게 된다.
한편, 홀센서(100)가 온(ON)되면, 텐션 및 동작신호 출력부(130)에 있어 트랜지스터(TR3)은 오프(OFF)되어 텐션 및 동작신호 출력단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되어 벨트 착용 되었음을 감지하게 된다.
도 2는 본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도시 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는 제 1실시예의 홀센서 보호부(110), 자석(101), 홀센서(100), 전원이 인가된 홀센서가 자석의 자장변화에 따른 온,오프 동작에 의해 벨트 착용여부에 따른 에어백 컨트롤 신호 변화를 출력하는 에어백 컨트롤 신호부(120)와, 텐션 및 동작신호출력부(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텐션 및 동작 신호 출력부(130)는, 전원 VCC(141)이 에미터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3)와 그 콜렉터가 텐션 및 동작신호출력단(143)에, 동일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는 홀센서(100)의 출력단과, 그 출력단에 의해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을 걸어 줄 수 있는, 저항(R2)과 연결 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 된 본 고안의 도 2 제 2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홀센서 보호부(110), 자석(101), 홀센서(100) 및 전원이 인가 된 홀센서가 자석의 자장변화에 따른 온,오프 동작으로 벨트 착용여부에 따른 에어백 컨트롤 신호 변화를 출력하는 에어백 컨트롤 신호부(120)의 동작 및 기능은 앞서 상세히 기술한 도 1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다.
이하, 본 고안의 도 2 제 2실시예의 텐션 및 동작신호 출력부(13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텅이 버클에 삽입되지 않은 즉, 사용자가 벨트를 착용하지 않을 때, 홀센서(100)가 오프(OFF)되면, 트랜지스터(TR3)은 오프(OFF)되어 텐션 및 동작 신호 출력단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되어 벨트 탈거 안되었음을 을 감지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벨트를 착용할 때인 텅이 버클에 삽입 되었을 시, 홀센서(100)가 온(ON)되면, 트랜지스터(TR3)은 온(ON)되어 콜렉터에 연결된, 텐션 및 동작신호 출력단(143)은 접지단자GND(144)와 사이에 VCC 전원이 걸려 , 안전벨트 착용 되었음을 감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는 차량의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비접촉 방식의 홀센서를 응용하여 감지함으로써, 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키고, 에어백 컨트롤 신호변화 출력 및 텐션,동작신호 출력 동작을 단독, 혹은 동시에 구성 및 동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소형화 집적화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홀 센서를 전기적 충격 및 노이즈충격을 완화하고, 안전하게 보호하는 홀 센서 보호부와;
    사용자에 의해 텅이 버클에 삽입되면 N극에서 S극 또는 S극에서 N극으로 극성을 변화시키는 자석과;
    밧데리 전원을 공급 받고 , 상기 자석의 극성 변화에 따라, 온,오프로 스위칭 제어하는 홀센서와 ;
    홀 센서의 온,오프 스위칭 제어에 바이어스 출력신호를 구성하는 풀업 저항에 연결된, 상기 홀센서의 온,오프 스위칭 신호에 따라 벨트 착탈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벨트 착용여부 감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자석의 극성 변화에 따라 홀,센서가 온,오프 스위칭 하는 홀 센서의 출력 단에 바이어스 출력전압을 구성해 주는 풀업 저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에어백컨트롤 신호출력단이 제1저항을 거치고 직렬로 제2저항 거쳐 콜렉터에 연결되고, 전원이 베이스에 공급되며,에미터가 접지에 연결된, 바이어스저항 내장한 제 1트랜지스터와;
    제1저항과 제2저항 연결된 부분에 콜렉터가 연결되고, 에미터에 접지가 연결되며, 바이어스 출력전압을 구성해 주는 풀업 저항 제3저항을 구비한 홀센서의 출력단에 베이스가 연결된, 바이어스저항 내장한 제2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텐션 및 동작신호 출력단이 콜렉터에 연결되고, 에미터가 접지에 연결되며, 바이어스 출력전압을 구성해 주는 풀업 저항 제 3저항을 구비한 홀 센서의 출력단에 베이스가 연결된, 바이어스저항 내장한 제3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전원단이 에미터에 연결되고, 콜렉터가 텐션 및 동작신호 출력단에 연결되며, 바이어스 출력전압을 구성해 주는 풀업 저항 제 3저항을 구비한 홀센서의 출력단에 베이스 연결된 제3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KR2020020003061U 2002-01-31 2002-01-31 밸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KR200272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061U KR200272787Y1 (ko) 2002-01-31 2002-01-31 밸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061U KR200272787Y1 (ko) 2002-01-31 2002-01-31 밸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787Y1 true KR200272787Y1 (ko) 2002-04-19

Family

ID=7311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061U KR200272787Y1 (ko) 2002-01-31 2002-01-31 밸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7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439B1 (ko) * 2002-07-25 2004-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 및 장치
KR200483338Y1 (ko) * 2015-12-23 2017-04-28 이정훈 자극 탐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439B1 (ko) * 2002-07-25 2004-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 및 장치
KR200483338Y1 (ko) * 2015-12-23 2017-04-28 이정훈 자극 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118B1 (ko) 배터리 보호 회로
US6729427B1 (en) Locking state detecting apparatus of vehicle&#39;s buckle
US20090312656A1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For Wrist-Worn Device
WO2006014377A3 (en) Electrical arcing protection circuit
JP2005137877A (ja) 遊技機の不正磁気検知センサー
KR200272787Y1 (ko) 밸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EP1118918A3 (en) Programmable controller
KR200278118Y1 (ko) 밸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EP3208158A1 (en) Vehicle switch state detection device
US5170087A (en) Electronic circuit for piezoelectric switch assembly
US7496206B2 (en) Hearing aid with a magnetic field-controlled switch,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JP4214799B2 (ja) 回転検出装置
JP5008036B2 (ja) 遊技機
JP2003308123A (ja) 電源保護回路
KR200222493Y1 (ko) 안전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KR200358261Y1 (ko) 안전벨트 착용 감지 장치
JP2001260817A (ja) シートベルト装着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
KR20210017116A (ko) 차량용 안전벨트 비접촉식 스위치
EP1528399A3 (en) Two-wire type current output sensor and IC therefor
KR200269491Y1 (ko) 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WO2023162554A1 (ja) 電流遮断装置
KR200396844Y1 (ko) 안전벨트 착용 감지 장치
KR19990027439U (ko) 안전벨트 착용 감지센서
US20040207268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sensor
WO2022188138A1 (en) Wireless earbud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021

Effective date: 20050830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