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439B1 -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439B1
KR100452439B1 KR10-2002-0043957A KR20020043957A KR100452439B1 KR 100452439 B1 KR100452439 B1 KR 100452439B1 KR 20020043957 A KR20020043957 A KR 20020043957A KR 100452439 B1 KR100452439 B1 KR 100452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river
resistance value
passenger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920A (ko
Inventor
신광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3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439B1/ko
Publication of KR20040010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4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 B60R21/01546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seat belt parameters, e.g. length, tension or height-adjustment using belt buckl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석측/조수석측 시트벨트 버클 스위치의 사양을 각각의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여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트벨트 착용여부를 유니트의 1세트 단자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니트측의 입력단자를 줄일 수 있는 등 부품수 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버클 스위치를 제공하는 한편, 사양이 다른 각 시트벨트 버클 스위치의 입력신호를 조합하여 운전석측 또는 조수석측 시트벨트의 착용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유니트 내부의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사양이나 기능추가 등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양 추가에 따른 기능 추가시 새롭게 컨넥터를 제작하거나 PCB를 제작하는 등의 원가상승요인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 및 장치{Device and method for sensing tie use seat belt buckle}
본 발명은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석측/조수석측 시트벨트 버클 스위치의 사양을 달리하여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트벨트 착용여부를 유니트의 1세트 단자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니트측의 입력단자를 줄일 수 있는 등 부품수 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사양이 다른 각 시트벨트 버클 스위치의 입력신호를 조합하여 착용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유니트 내부의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사양이나 기능추가 등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양 추가에 따른 기능 추가시 새롭게 컨넥터를 제작하거나 PCB를 제작하는 등의 원가상승요인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트벨트의 착용이 의무화되면서 대부분의 차량에는 운전자나 탑승자의 시트벨트 착용여부를 확인해주는 기능이 갖추어져 있다.
시트벨트 착용여부는 시트벨트 버클에 있는 스위치 수단의 신호를 ECU 등과 같은 유니트에서 제어하여 이를 램프 등을 통해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트벨트 착용여부를 인식하는 수단으로는 벨트/언벨트 타입과 홀센서 타입이 있다.
상기 벨트/언벨트 타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10)와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11)의 각 출력단자를 유니트(12)측의 입력단자에 연결하여 각 버클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등가 저항값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참고로 시트벨트 착용시의 등가 저항값은 4㏀±10%이고, 시트벨트 미착용시의 등가 저항값은 1㏀±10%이다.
상기 홀센서 타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사양의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20)와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21)의 각 출력단자를 유니트(22)측의 입력단자에 연결하여 각 버클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2개의 단자 사이의 저항값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위의 벨트/언벨트 타입과 홀센서 타입의 경우에는 시트벨트의 착용여부, 즉 버클 체결여부 신호를 받아야 하는 유니트에서 운전석측과 조수석측 2개의 신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유니트측에 입력단자가 2세트(4개)가 필요하므로, 부품수 측면에서 불리하다.
현재 사양관리나 개발이점 등을 고려하여 운전석측과 조수석측 모두 동일한 사양의 버클 스위치를 운용하고 있다.
시트벨트 착용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입력되는 2개의 단자 사이의 저항값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트벨트 착용여부와 단선, 단락을 확인할 수 있다.
사양의 추가에 따른 기능 추가시에는 필요에 따라 단자를 추가해야 하므로 컨넥터를 새로 제작해야 하거나, PCB 등을 새롭게 제작해야 하는 등 하드웨어 개념의 변경이 불가피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운전석측/조수석측 시트벨트 버클 스위치의 사양을 각각의 다른 저항값을 출력하는 방식으로변경하여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트벨트 착용여부를 유니트의 1세트 단자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니트측의 입력단자를 줄일 수 있는 등 부품수 절감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버클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양이 다른 각 시트벨트 버클 스위치의 입력신호를 조합하여 운전석측 또는 조수석측 시트벨트의 착용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유니트 내부의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사양이나 기능추가 등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양 추가에 따른 기능 추가시 새롭게 컨넥터를 제작하거나 PCB를 제작하는 등의 원가상승요인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한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은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저항값과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저항값을 이용하여 유니트를 통해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버클 스위치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저항값을 각기 다른 4개의 저항(R1,R2,R3,R4)을 조합한 저항값으로 구성하고, 이것을 유니트측에서는 4단계의 저항값으로 확인하여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를 4단계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4단계의 저항값을 통해 시트벨트 버클 착용여부를 인식하는 4단계는 운전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1이고 조수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3이면 R1+R3으로 인식하여 운전석측과 조수석측 모두 미착용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운전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1이고 조수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3+R4이면 R1+R3+R4으로 인식하여 운전석측은 미착용 조수석측은 착용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운전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1+R2이고 조수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3이면 R1+R2+R3으로 인식하여 운전석측은 착용 조수석은 미착용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운전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1+R2이고 조수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3+R4이면 R1+R2+R3+R4로 인식하여 운전석측과 조수석측 모두 착용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장치는 각각의 저항과 출력단자를 갖는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 및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와, 입력단자를 갖고 있으며 버클 스위치측에서 입력되는 저항값을 확인하는 유니트를 포함하는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와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의 저항은 각각의 다른 저항값을 갖는 4개의 저항(R1,R2,R3,R4)으로 이루어지되,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의 1개의 저항(R1)에서 인가되는 저항값을 출력하는 단자와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의 1개의 저항(R4)에서 인가되는 저항값을 출력하는 단자는 유니트가 갖는 2개의 입력단자와 연결되고,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의 다른 1개의 저항(R2)에서 인가되는 저항값을 출력하는 단자와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의 다른 1개의 저항(R3)에서 인가되는 저항값을 출력하는 단자는 서로 연결되는 회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버클 스위치는 각기 다른 4개의 저항(R1,R2,R3,R4)을 조합한 저항값을 출력하고, 상기 유니트는 버클 스위치측에서 입력되는 4단계의 저항값으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를 4단계로 인식할 수 있도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를 인식하는 장치에 대한 일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2는 종래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를 인식하는 장치에 대한 다른 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를 인식하는 장치를 보여주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30 :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 11,21,31 :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
12,22,32 : 유니트 33 : 연결회로
34 : 전원라인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센서 타입의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30) 및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31)는 전원라인(34)이 연결되는 입력측 단자를 통해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동시에 출력측 단자를 통해 유니트(32)측과 연결되는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30) 및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31)의 내부에는 각 2개의 출력측 단자에 일대일 배속되는 저항(R1,R2,R3,R4)이 구비되며, 이때의 각 저항은 서로 다른 저항값을 갖게 된다.
상기 각각의 저항으로부터 인가되는 저항값을 출력하는 단자는 유니트(32)측의 입력단자와 소정의 회로구성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저항 R1과 R4의 출력단자는 유니트(32)의 2개의 입력단자에 각각 연결되고, 저항 R2와 R3은 연결회로(33)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30)와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31)로부터 제공되는 저항값을 4개가 아닌 2개의 입력단자만으로 소화하기 위해서는 버클 스위치로부터 제공되는 저항값의 조합과 유니트에서 확인하는 저항값 간의 소정의 제어로직이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각각의 버클 스위치측으로부터 각기 다른 4개의저항(R1,R2,R3,R4)을 조합한 저항값이 제공되고, 이것을 유니트측에서는 4단계의 저항값으로 확인하여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를 아래와 같은 4단계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1) 1단계
운전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1이고 조수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3이면 R1+R3으로 인식하여 운전석측과 조수석측 모두 미착용으로 판단한다.
2) 2단계
운전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1이고 조수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3+R4이면 R1+R3+R4으로 인식하여 운전석측은 미착용 조수석측은 착용으로 판단한다.
3) 3단계
운전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1+R2이고 조수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3이면 R1+R2+R3으로 인식하여 운전석측은 착용 조수석은 미착용으로 판단한다.
4) 4단계
운전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1+R2이고 조수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3+R4이면 R1+R2+R3+R4로 인식하여 운전석측과 조수석측 모두 착용으로 판단한다.
위와 같은 버클 스위치와 유니트 간의 제어로직을 이용하여 버클 스위치의 착용여부, 즉 시트벨트의 착용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양의 변화에 따른 기능의 추가가 요구되는 상황에서도 유니트측의 단자를 추가하지 않고 유니트 내부의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이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시트벨트의 착용여부를 인식하는 단계를 알기쉽게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사양과 달리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버클 스위치의 사양을 다르게 적용하고,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트벨트 착용여부를 유니트의 하나의 단자 세트(2개의 단자)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유니트가 갖는 단자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유니트 내부의 소프트웨어 변경으로 사양변화에 따른 기능추가에 적극 대처할 수 있으므로, PCB를 새롭게 추가하거나 단자를 추가하거나 하는 등의 하드웨어적 변경이 불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른 사양의 운전석측과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를 채용하여 유니트의 1세트 단자만으로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의 시트벨트 착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니트측의 입력단자를 줄일 수 있는 등 부품수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사양이 다른 각각의 버클 스위치의 입력신호를 조합하여 착용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사양 추가에 따른 기능 추가시 새롭게 컨넥터를 제작하거나 PCB를 제작하는 등의 원가상승요인을 배제할 수 있는 등 유니트 내부의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사양이나 기능추가 등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저항값과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로부터 입력되는 저항값을 이용하여 유니트를 통해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버클 스위치측으로부터 제공되는 저항값을 각기 다른 4개의 저항(R1,R2,R3,R4)을 조합한 저항값으로 구성하고, 이것을 유니트측에서는 4단계의 저항값으로 확인하여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를 4단계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의 저항값을 통해 시트벨트 버클 착용여부를 인식하는 4단계는 운전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1이고 조수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3이면 R1+R3으로 인식하여 운전석측과 조수석측 모두 미착용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운전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1이고 조수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3+R4이면 R1+R3+R4으로 인식하여 운전석측은 미착용 조수석측은 착용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운전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1+R2이고 조수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3이면 R1+R2+R3으로 인식하여 운전석측은 착용 조수석은 미착용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운전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1+R2이고 조수석측에서 제공되는 저항값이 R3+R4이면 R1+R2+R3+R4로 인식하여 운전석측과 조수석측 모두 착용으로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
  3. 각각의 저항과 출력단자를 갖는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 및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와, 입력단자를 갖고 있으며 버클 스위치측에서 입력되는 저항값을 확인하는 유니트를 포함하는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와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의 저항은 각각의 다른 저항값을 갖는 4개의 저항(R1,R2,R3,R4)으로 이루어지되,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의 1개의 저항(R1)에서 인가되는 저항값을 출력하는 단자와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의 1개의 저항(R4)에서 인가되는 저항값을 출력하는 단자는 유니트가 갖는 2개의 입력단자와 연결되고, 운전석측 버클 스위치의 다른 1개의 저항(R2)에서 인가되는 저항값을 출력하는 단자와 조수석측 버클 스위치의 다른 1개의 저항(R3)에서 인가되는 저항값을 출력하는 단자는 서로 연결되는 회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버클 스위치는 각기 다른 4개의 저항(R1,R2,R3,R4)을 조합한 저항값을 출력하고, 상기 유니트는 버클 스위치측에서 입력되는 4단계의 저항값으로 확인하는 방식으로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를 4단계로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장치.
KR10-2002-0043957A 2002-07-25 2002-07-25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 및 장치 KR100452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957A KR100452439B1 (ko) 2002-07-25 2002-07-25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957A KR100452439B1 (ko) 2002-07-25 2002-07-25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920A KR20040010920A (ko) 2004-02-05
KR100452439B1 true KR100452439B1 (ko) 2004-10-12

Family

ID=3731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957A KR100452439B1 (ko) 2002-07-25 2002-07-25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4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980A (ko) * 1995-07-29 1997-02-19 전성원 차량에서의 안전 벨트 착용 경보 시스템
KR970039946A (ko) * 1995-12-21 1997-07-24 전성원 안전벨트 미착용 경보장치
KR19990017426U (ko) * 1998-12-16 1999-05-25 최찬우 안전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US5966784A (en) * 1997-07-25 1999-10-19 Tr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of a seat belt buckle
JP2000233714A (ja) * 1998-12-17 2000-08-29 Honda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用ロック検出装置
JP2001071865A (ja) * 1999-08-23 2001-03-21 Delphi Automotive Systems Sunwoo Corp 車輌用バックルのロッキング状態検出装置
KR200272787Y1 (ko) * 2002-01-31 2002-04-19 백승택 밸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980A (ko) * 1995-07-29 1997-02-19 전성원 차량에서의 안전 벨트 착용 경보 시스템
KR970039946A (ko) * 1995-12-21 1997-07-24 전성원 안전벨트 미착용 경보장치
US5966784A (en) * 1997-07-25 1999-10-19 Tr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of a seat belt buckle
KR19990017426U (ko) * 1998-12-16 1999-05-25 최찬우 안전벨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JP2000233714A (ja) * 1998-12-17 2000-08-29 Honda Motor Co Ltd シートベルト用ロック検出装置
JP2001071865A (ja) * 1999-08-23 2001-03-21 Delphi Automotive Systems Sunwoo Corp 車輌用バックルのロッキング状態検出装置
KR200272787Y1 (ko) * 2002-01-31 2002-04-19 백승택 밸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920A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8910A (en) Brake turn signal adaptor for trailers
DE10344841A1 (de) Ansteuerschaltung für ein Zündelement eines Insassenschutzsystems
WO2002083474A3 (de) Elektronisches steuersystem, insbesondere für eine fahrzeugbremsanlage
US20080169629A1 (en) Integrated Circuit
KR100452439B1 (ko) 시트벨트 버클의 착용여부 인식방법 및 장치
EP1343086B1 (en)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of Comparator
US7052031B2 (en) Adjustable electrical tell tale modular unit and external monitor
US20160094261A1 (en) Radio communication module
EP0740396A3 (en) Voltage regulator of vehicle alternator
KR20140106902A (ko) 전자식 브레이크 스위치
CN211308387U (zh) 车灯控制系统
JP4055917B2 (ja) トレーラ連結の検出装置
JP4131357B2 (ja) 電源電圧検出装置
KR100365234B1 (ko) 경고등 구동 시스템
KR102584585B1 (ko) 체결 상태 탐지 기능을 갖는 배터리 관리 장치
US20220388444A1 (en) Headlamp for a vehicle
US20030018933A1 (en) Power failure sensing device and a card reader having a power failure sensing device
KR100305872B1 (ko) 상대상태정보를이용한이중화장치
KR101390674B1 (ko) 차량 발전기용 전압조정기의 시동 스위치 닫힘 인식 장치 및 방법
KR960009051Y1 (ko) 입력단 인터페이스회로
KR100391921B1 (ko) 차량용 셀룰러 모뎀의 풀-하이 인터럽트 발생회로
CN116068296A (zh) 摩托车电子设备的信号采集电路以及方法
KR20220113034A (ko) 단자 재질 변경 가능한 모듈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제어 장치
JP2002055114A (ja) 乗員保護装置
JP2001204127A (ja) 多重通信用電気接続箱並びにそれを用いた車両の多重通信システムの構築方法および車両の多重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