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338Y1 - 자극 탐지기 - Google Patents

자극 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338Y1
KR200483338Y1 KR2020150008448U KR20150008448U KR200483338Y1 KR 200483338 Y1 KR200483338 Y1 KR 200483338Y1 KR 2020150008448 U KR2020150008448 U KR 2020150008448U KR 20150008448 U KR20150008448 U KR 20150008448U KR 200483338 Y1 KR200483338 Y1 KR 200483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terminal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이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훈 filed Critical 이정훈
Priority to KR2020150008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3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3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Hall-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light-emitting devices, e.g. LED, optocoupl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92Details related to signal analysis or treatment; presenting results, e.g. displays; measuring specific signal features other than field strength, e.g. polarisation, field modes, phase, envelope, maximum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05Geometrical arrangement of magnetic sensor elements; Apparatus combining different magnetic sensor ty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47Housings or packaging of magnetic sensors ; Hol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G01R33/072Constructional adaptation of the sensor to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극 탐지기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홀 센서를 이용하여 자석의 극성을 모르는 여러 자석들의 극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음극 단자와 양극 단자가 구비된 전지부; 상기 양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핀, 상기 음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핀, 상기 양극 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지부에 의해 전류가 흐르되 자석의 극성에 따라 상기 전류의 진행방향이 바뀌어 택일적으로 흐르는 제1 출력 핀과 제2 출력 핀이 구비된 홀 센서; 상기 제1 출력 핀과 상기 양극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1 색상으로 발광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2 출력 핀과 상기 양극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2 색상으로 발광하는 제2 발광 소자; 및 상기 음극 핀과 상기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된 누름 스위치를 포함하는 자극 탐지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자극 탐지기{DEVICE FOR DETECTING MAGNETIC POLARITY}
본 고안의 실시예는 자극 탐지기에 관한 것이다.
홀 효과(Hall effect)는, 자기장 속의 도체에서 자기장의 직각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과 전류 모두에 직각방향으로 전기장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1879년 미국의 물리학자인 에드윈 홀(Edwin Hall)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러한 홀 효과는 전류가 흐르는 도선 안이나 다른 고체 안에서 움직이는 전하와 관련이 있다. 전류가 흐르는 도선에 수직인 자기장은 도선 내에서 움직이는 전하들을 한쪽 면으로 휘어지게 만든다. 따라서 도선의 한쪽면에는 음전하가 쌓여 음으로 대전되고, 다른 한쪽면은 양으로 대전된다. 그러면 전기장이 도선을 가로질러 존재하게 되는데, 이를 홀 전기장(Hall field)이라고 하며, 홀 전기장은 도선을 가로지르는 전위차(홀 전압, Hall voltage)를 측정하여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전하의 표류 속도는 vD=E/B이므로, 홀효과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전하의 표류속도를 측정하고 부호를 결정할 수 있다. 전류가 같은 방향이라도 전하를 운반하는 입자의 전하 부호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장의 방향이 달라진다. 그리고 입자의 농도에 따라서도 전기장의 세기가 달라진다.  이를 이용해서 고체 속에서 전류를 운반하는 자유전자의 농도나 움직이기 쉬운 정도를 측정하고, 반도체에서는 자유전자와 함께 자유양공(自由陽孔)에 대한 식별 및 측정을 할 수 있다.
 (a)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막대 모양의 시료가 자기장(Bz)에 놓여 있고, 시료의 양 끝에 가해진 전기장(Ex)으로 인해 막대에 전류(jx)가 흐른다.
(b) 움직이는 전하는 자기장에 의해 y방향으로 휘어진다.
(c) 자기장에 의한 로렌츠 힘을 상쇄할 정도의 홀 전기장이 생길 때까지 막대의 한쪽 면에는 전자가 쌓이고 반대 면에는 여분의 양이온들이 형성된다.
전자기력(Electromagnetic force)은,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도선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자침이나 자석에 힘을 미친다. 이는 두 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자기력과 같은 성질을 띠고 있으므로 이를 전자기력이라고 한다. 이 힘의 방향은 플레밍의 왼손 법칙으로 알 수 있다. 도선이 받는 힘의 크기는 F=qvBsinθ이다. 여기서 θ는 자기장과 전류가 이루는 각도이다. 전동기와 전압계, 전류계는 모두 전자기력을 이용한 것이다. 자기장 속에서 움직이는 전하도 전자기력을 받는다. 이때 전하 q가 받는 힘의 크기는 F=qvBsinθ이다.
로렌츠의 힘(Lorentz's force)은, 일반적으로 전하량 q로 대전된 입자가 자기장 B에 수직인 방향으로 v의 속도로 입사하면 F=qvB의 힘을 받는데, 이 힘을 로렌츠의 힘이라고 한다. 만약 대전 입자가 자기장에 수직으로 입사하지 않고 θ의 각을 이루면서 입사하였다면 이 입자가 받는 힘의 크기는 F=q(vsinθ)B=qvBsinθ의 수식과 같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홀 효과, 전자기력 및 로렌츠의 힘을 원리를 기반으로 자석의 극성을 모르는 여러 자석들의 극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홀 센서를 이용한 자극 탐지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탐지기는, 음극 단자와 양극 단자가 구비된 전지부; 상기 양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핀, 상기 음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핀, 상기 양극 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지부에 의해 전류가 흐르되 자석의 극성에 따라 상기 전류의 진행방향이 바뀌어 택일적으로 흐르는 제1 출력 핀과 제2 출력 핀이 구비된 홀 센서; 상기 제1 출력 핀과 상기 양극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1 색상으로 발광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2 출력 핀과 상기 양극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2 색상으로 발광하는 제2 발광 소자; 및 상기 음극 핀과 상기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된 누름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캐소드 단자는 상기 제1 출력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발광 소자의 캐소드 단자는 상기 제2 출력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애노드 단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의 애노드 단자는 상기 양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애노드 단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의 애노드 단자 각각과, 상기 양극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센서가 설치된 제1 커넥터; 상기 제1 발광 소자가 설치된 제2 커넥터; 상기 제2 발광 소자와 상기 저항이 설치된 제3 커넥터; 상기 누름 스위치가 설치된 제4 커넥터; 및 상기 전지부,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 상기 제3 커넥터 및 상기 제4 커넥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부, 상기 홀 센서,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2 발광 소자 및 상기 누름 스위치를 수용하고, 상기 홀 센서, 상기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2 발광 소자, 상기 누름 스위치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홀을 포함하는 절연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케이스의 내면 중 상기 다수의 홀과 인접한 부분에는 양면 테이프가 각각 부착되어,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 상기 제3 커넥터 및 상기 제4 커넥터가 상기 절연 케이스의 내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과학 실험용 교보재로서 자석의 극성을 모르는 여러 자석들의 극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홀 센서를 이용한 자극 탐지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탐지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탐지기의 내부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 케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탐지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탐지기의 회로 구성도와 N극 탐지 시 동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탐지기의 회로 구성도와 자석이 없는 경우와 S극 탐지 시 동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탐지기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탐지기의 내부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 케이스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탐지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탐지기의 회로 구성도와 N극 탐지 시 동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탐지기의 회로 구성도와 자석이 없는 경우와 S극 탐지 시 동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탐지기(100)는 전지부(110), 홀 센서(120), 제1 발광 소자(130), 제2 발광 소자(140) 및 누름 스위치(150)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자극 탐지기(100)는 저항(160), 절연 케이스(170), 제1 커넥터(181), 제2 커넥터(182), 제3 커넥터(183), 제4 커넥터(184) 및 다수의 도선(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부(110)는 전지(111)와 상기 전지(111)를 수용하며 상기 전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단자(113)와 음극 단자(1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서는 상기 전지 홀더(112)가 조립된 상태이므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며, 도면 부호 113과 114는 그 위치를 지시한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기 전지(111)는 동전 전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동전 전지 2개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극 탐지기(100)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지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120)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자석(10)의 극성을 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전지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류가 흐르되 자석(10)의 극성에 따라 상기 홀 센서(120)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진행방향이 바뀌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센서(120)는 양극 핀(121), 음극 핀(122), 제1 출력 핀(123) 및 제2 출력 핀(12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핀(121)은 상기 전지부(110)의 양극 단자(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음극 핀(122)은 상기 전지부(110)의 음극 단자(1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출력 핀(123)은 상기 제1 발광 소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출력 핀(124)은 상기 제2 발광 소자(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출력 핀(123)과 제2 출력 핀(124)은 상기 홀 센서(120)와 인접한 자석(10)의 극성에 따라 택일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부분으로, 예를 들어, 상기 홀 센서(120)에 의해 S극이 탐지될 경우 상기 제1 출력 핀(123)을 통해 전류가 출력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 출력 핀(124)에는 전류가 출력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홀 센서(120)에 N극이 탐지될 경우 상기 제2 출력 핀(124)을 통해 전류가 출력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출력 핀(123)에는 전류가 출력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핀(123, 124)를 통해 출력되는 전류의 진행방향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 연결에 의해 상기 홀 센서(120)를 향해 들어가는 방향이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에 따른 홀 센서(120)는 상기 제1 출력 핀(123)을 통해 전류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홀 센서(120)에서 S극의 자기장을 받고 있으며, 상기 제2 출력 핀(124)을 통해 전류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홀 센서(120)에서 N극의 자기장을 받고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자극 탐지기(100)는 상기 홀 센서(120)에 아무런 극성에 대한 영향이 없더라도 상기 제1 출력 핀(123)을 통해 전류가 출력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제1 발광 소자(130)는 상기 제1 출력 핀(123)과 상기 양극 단자 (113)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1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전류 도통 시 푸른 빛을 내며 발광하는 LED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소자(130)는 캐소드 단자(131)와 애노드 단자(132)가 구비되며, 상기 캐소드 단자(131)는 상기 제1 출력 핀(12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소자(140)는 상기 제2 출력 핀(124)과 상기 양극 단자(113)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2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전류 도통 시 붉은 빛을 내며 발광하는 LED 소자일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소자(140)는 캐소드 단자(141)와 애노드 단자(142)가 구비되며, 상기 캐소드 단자(14)는 상기 제2 출력 핀(124)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누름 스위치(150)는 상기 홀 센서(120)의 음극 핀(122)과 상기 전지부(110)의 음극 단자(114)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누름 스위치(150)가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경우(스위치 온) 상기 자극 탐지기(100)의 전체 회로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전류(I)가 흐르게 되며, 상기 홀 센서(120)에 인접한 자석(10)의 극성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발광 소자(130, 140)가 도통되면서 발광하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 스위치(150)가 눌려지지 않을 경우(스위치 오프) 상기 자극 탐지기(100)의 전체 회로에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홀 센서(120)에 자석(10)을 가져다 대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130, 140)는 반응하지 않는다.
상기 저항(160)은 제1 단자(151)와 제2 단자(1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자(151)는 상기 제1 발광 소자(130)의 애노드 단자(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단자(152)는 상기 제2 발광 소자(140)의 애노드 단자(1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항(160)의 제2 단자(152)는 상기 전지부(110)의 양극 단자(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절연 케이스(170)는, 두꺼운 도화지와 같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접는 선(171)이 표시되고 상기 접는 선(171)을 따라 접으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로 조립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지부(110), 상기 홀 센서(120), 상기 제1 발광 소자(130), 상기 제2 발광 소자(140) 및 상기 누름 스위치(15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케이스(170)는, 홀 센서 노출 홀(172), 제1 발광 소자 노출 홀(173), 제2 발광 소자 노출 홀(174) 및 스위치 노출 홀(17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 노출 홀(172)은 상기 절연 케이스(17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홀 센서(1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홀 센서 노출 홀(172)은 다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홀 센서(120)에 구비된 각각의 핀들이 상기 절연 케이스(17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절연 케이스(170)의 상단에 상기 홀 센서(120)의 회로 모듈이 눕혀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 소자 노출 홀(173)은, 상기 절연 케이스(170)의 전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 케이스(170) 내에 수용된 상기 제1 발광 소자(13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 소자 노출 홀(174)은, 상기 절연 케이스(170)의 전면부에 상기 제1 발광 소자 노출 홀(173)과 나란히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연 케이스(170) 내에 수용된 상기 제2 발광 소자(14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 노출 홀(173, 174)은 상기 홀 센서(120)를 통한 자석(10)의 극성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발광 소자(130, 140)가 발광되어 표시되는 빛의 색상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위치 노출 홀(175)은 상기 절연 케이스(170)의 일 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누름 스위치(150)가 상기 절연 케이스(17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181)에는 상기 홀 센서(120)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커넥터(182)에는 상기 제1 발광 소자(130)가 설치되고, 상기 제3 커넥터(183)에는 상기 제2 발광 소자(140)가 설치되며, 상기 제4 커넥터(184)에는 상기 누름 스위치(150)가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와 소자 간 전기적/물리적 연결은 각 소자의 핀(또는 단자)가 커넥터의 연결 홈에 각각 삽입/고정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도선(19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지부(110), 상기 제1 커넥터(181), 상기 제2 커넥터(182), 상기 제3 커넥터(183) 및 상기 제4 커넥터(184)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자극 탐지기(100)의 회로 연결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절연 케이스(170)의 내면 중 상기 다수의 홀(172, 173, 174, 175)과 인접한 부분에는 양면 테이프가 각각 부착되어 상기 제1 커넥터(181), 상기 제2 커넥터(182), 상기 제3 커넥터(183) 및 상기 제4 커넥터(184)가 상기 절연 케이스(170)의 내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탐지기(100)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5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탐지기의 회로 구성도와 N극 탐지 시 동작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회로가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홀 센서(120)에 자석(10)의 임의의 부분(현재는 극성을 알 수 없음)을 가까이 위치시킨 후 상기 누름 스위치(150)를 누르면, 상기 홀 센서(120)는 인접한 자석(10)의 극성에 의해 상기 제2 출력 핀(124)을 통해 전류가 출력됨으로써 상기 제2 발광 소자(140)에 전류가 도통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발광 소자(140)는 상기의 예시와 같이 붉은 색으로 발광됨으로써, 현재 상기 홀 센서(120)에 가까이 위치시킨 자석(10) 부분이 N극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자석(10)의 반대 부분은 S극임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다음, 도 6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극 탐지기의 회로 구성도와 자석이 없는 경우와 S극 탐지 시 동작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도 5의 실험을 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상기 홀 센서(120)에 자석(10)의 임의의 부분(현재는 극성을 알 수 없음)을 가까이 위치시킨 후 상기 누름 스위치(150)를 누르면, 상기 홀 센서(120)는 인접한 자석(10)의 극성에 의해 상기 제1 출력 핀(123)을 통해 전류가 출력됨으로써 상기 제1 발광 소자(130)에 전류가 도통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발광 소자(130)는 상기의 예시와 같이 푸른 색으로 발광됨으로써, 현재 상기 홀 센서(120)에 가까이 위치시킨 자석(10) 부분이 S극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자석(10)의 반대 부분은 N극임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은 홀 센서(120)의 기본 설계에 따라, 상기 홀 센서(120)에 아무런 극성에 대한 영향이 없더라도 상기 제1 출력 핀(123)을 통해 전류가 출력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상기 누름 스위치(150)만 누를 경우 상기 제1 발광 소자(130)가 발광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의한 자극 탐지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자극 탐지기 110: 전지부
111: 전지 112: 전지 홀더
113: 양극 단자 114: 음극 단자
120: 홀 센서 121: 양극 핀
122: 음극 핀 123: 제1 출력 핀
124: 제2 출력 핀 130: 제1 발광 소자
131: 캐소드 단자 132: 애노드 단자
140: 제2 발광 소자 141: 캐소드 단자
142: 애노드 단자 150: 누름 스위치
151: 제1 단자 152: 제2 단자
160: 저항 161: 제1 단자
162: 제2 단자 170: 절연 케이스
171: 접는 선 172: 홀 센서 노출 홀
173: 제1 발광 소자 노출 홀 174: 제2 발광 소자 노출 홀
175: 누름 스위치 노출 홀 181: 제1 커넥터
182: 제2 커넥터 183: 제3 커넥터
184: 제4 커넥터 190: 도선

Claims (5)

  1. 자석의 극성을 탐지하기 위한 장치로,
    음극 단자와 양극 단자가 구비된 전지부;
    상기 양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핀, 상기 음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핀, 상기 양극 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지부에 의해 전류가 흐르되 자석의 극성에 따라 상기 전류의 진행방향이 바뀌어 택일적으로 흐르는 제1 출력 핀과 제2 출력 핀이 구비된 홀 센서;
    상기 제1 출력 핀과 상기 양극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1 색상으로 발광하는 제1 발광 소자;
    상기 제2 출력 핀과 상기 양극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류가 흐르는 경우 제2 색상으로 발광하는 제2 발광 소자; 및
    상기 음극 핀과 상기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된 누름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의 캐소드 단자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출력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발광 소자의 애노드 단자는 상기 양극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홀 센서, 제1 및 제2 발광소자는,
    각각 복수의 노출 홀이 형성되는 사각의 절연 케이스가 접혀짐에 따라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로 조립되어 내부로 수용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절연 케이스의 상단의 노출 홀을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발광소자는 상기 절연 케이스의 전면부에 나란히 떨어진 두 노출 홀을 통해 각각 노출되며,
    상기 절연 케이스의 상단의 노출 홀에 자석이 인접하면, 상기 절연 케이스의 전면부로 상기 제1 및 제2 색상 중, 어느 하나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탐지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소자의 애노드 단자 및 상기 제2 발광 소자의 애노드 단자 각각과, 상기 양극 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극 탐지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가 설치된 제1 커넥터;
    상기 제1 발광 소자가 설치된 제2 커넥터;
    상기 제2 발광 소자와 상기 저항이 설치된 제3 커넥터;
    상기 누름 스위치가 설치된 제4 커넥터; 및
    상기 전지부,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 상기 제3 커넥터 및 상기 제4 커넥터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도선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자극 탐지기.
  5. 삭제
KR2020150008448U 2015-12-23 2015-12-23 자극 탐지기 KR200483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48U KR200483338Y1 (ko) 2015-12-23 2015-12-23 자극 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448U KR200483338Y1 (ko) 2015-12-23 2015-12-23 자극 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338Y1 true KR200483338Y1 (ko) 2017-04-28

Family

ID=5866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448U KR200483338Y1 (ko) 2015-12-23 2015-12-23 자극 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33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2549A (ja) * 1999-04-08 2000-10-20 Mirai Ind Co Ltd 磁石探知器
KR200272787Y1 (ko) * 2002-01-31 2002-04-19 백승택 밸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KR20140030752A (ko) * 2012-09-03 2014-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적응형 헤드램프의 초기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2549A (ja) * 1999-04-08 2000-10-20 Mirai Ind Co Ltd 磁石探知器
KR200272787Y1 (ko) * 2002-01-31 2002-04-19 백승택 밸트 착용여부 감지장치
KR20140030752A (ko) * 2012-09-03 2014-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적응형 헤드램프의 초기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6499B2 (en) Hybrid current sensor assembly
RU2730412C2 (ru) Узел датчика ток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шины
EP2618166B1 (en) Electrical sensor for a two-wire power cable
US20170261536A1 (en) Hybrid Current Sensor Assembly
WO2015080332A1 (ko) 전류측정소자 및 전류측정소자 어셈블리
US10126330B2 (en) Clamp-type ammeter
US10295575B2 (en) Current sensor and battery current monitoring system
JP2015132534A (ja) 電流検出装置
JP2005283451A (ja) 電流測定装置および電流測定方法
KR20080025522A (ko) 배터리 극성 자동탐지 장치
US20110101958A1 (en) Current sensor
KR200483338Y1 (ko) 자극 탐지기
JP6625588B2 (ja) 透磁部材および電流検出装置
ATE434191T1 (de) Strommessvorrichtung für eine batterie
JP6689989B2 (ja) 二次電池の充電及び放電時の電流を測定するための電子回路
JP2008190949A (ja) 荷電状態検出表示機能付きテストプラグ
US9188604B2 (en) Measuring instrument for testing voltage
JP2012007947A (ja) コンセント用計測装置
CN110235333A (zh) 供电控制装置
WO2017160254A1 (en) Electric meter and/or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 without connection terminals comprising cable passage
KR20160095224A (ko) 자계와 전계의 상태변화정보를 활용한 전류방향 측정교구
ES2790839T3 (es) Dispositivo de medición de cantidad eléctrica
CN202486209U (zh) 测试移动通信终端能耗的工艺装备
JP2004325273A (ja) 電流センサー
JP2015061443A (ja) 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