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7116U - 건축물의 기둥축조용 거푸집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기둥축조용 거푸집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116U
KR19990027116U KR2019970039699U KR19970039699U KR19990027116U KR 19990027116 U KR19990027116 U KR 19990027116U KR 2019970039699 U KR2019970039699 U KR 2019970039699U KR 19970039699 U KR19970039699 U KR 19970039699U KR 19990027116 U KR19990027116 U KR 199900271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bolt
wedge
tightening memb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87194Y1 (ko
Inventor
유회경
Original Assignee
유회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회경 filed Critical 유회경
Priority to KR2019970039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194Y1/ko
Publication of KR199900271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1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1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기둥축조용 거푸집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푸집 외부로 돌출된 횡간볼트에 조임부재를 비스듬히 끼운상태에서 조임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조임부재 중앙 양측단에 형성된 암나사가 횡간볼트의 수나사와 치합되어 조임부재가 고정되고 조임부재 일측에 쐐기볼트를 체결한 것으로, 건축물의 기둥을 축조할때 설치되는 거푸집의 원형을 안전하게 유지하고 또한 간편하게 해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기둥축조용 거푸집 고정구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기둥을 시멘트 몰탈로 콘크리트하기 위하여 그에 상응하는 거푸집을 만들면서 그 기둥의 형태가 4각형이든, 원형이든 간에 굵은 철사로 결착해서 시멘트 몰탈을 그 거푸집내에 강제적으로 충진하도록 되어있고, 근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00)의 중앙부를 횡간볼트(101)에 의하여 관통하도록 하되 그 횡간볼트의 양측단에는 구형의 지지판(102)(102')을 끼워서 나비너트(103)(103')로 나사결합 하여 거푸집의 원형을 유지하면서 소정의 시멘트몰탈을 충전해서 건축물의 기둥을 축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지지판은 횡간볼트에 단순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거푸집을 원형 그대로 유지하기 위한 지탱이 약한 결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양측의 거푸집을 관통하는 횡간볼트 끝단에 중앙이 경사공으로 형성된 조임부재를 비스듬히 끼운 상태에서 조임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횡간볼트의 수나사와 조임부재 중앙 양단부에 형성된 암나사와 치합되고 조임부재에 체결된 쐐기볼트로 횡간볼트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육각형의 조임부재를 별도의 공구(파이프랜치)로 조이게되면 조임부재가 거푸집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거푸짚 양단을 고정시키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조임부재에 대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3 (가)(나)는 본 고안의 조임부재의 작용상태 단면도로서,
(가)의 경우에는 거푸집에 고정된 횡간볼트에 조임부재가 비스듬히 끼워진 상태이고,
(나)의 경우에는 조임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횡간볼트의 수나사와 조임부재의 암나사와 치합된 상태에서 쐐기볼트가 체결된 상태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쐐기볼트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축물 양측의 거푸집을 관통하는 횡간볼트 장방형의 지지판이 끼워진 것에 있어서, 상기 횡간볼트 끝단에는 경사공을 갖는 조임부재를 끼우고 상기 조임부재의 선단에는 수직의 쐐기공에 쐐기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횡간볼트를 고정시킨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분해사시도이고, 도 3 (가)는 거푸집에 고정된 횡간볼트에 조임부재가 비스듬히 끼워진 상태이고의 단면도이며, 도 3의 (나)는 조임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횡간볼트의 수나사와 조임부재의 나사선과 치합된 상태에서 쐐기볼트가 체결된 상태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된 쐐기볼트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상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축물의 기둥을 축조할 때 설치되는 거푸집(10)에 횡간볼트(11)가 돌출되고 거푸집을 지지하는 장방형의 지지판(15)이 끼워진 것에 있어서, 상기 횡간볼트에 경사공(12a)을 갖는 육각형의 조임부재(12)를 비스듬히 끼우되 상기 경사공의 양단부에는 반원형의 암나사(12c)(12c')가 비대칭으로 형성하여 경사지 조임부재를 수평 상태로 이동하면 상기 횡간볼트의 수나사(11')와 암나사가 치합되도록 하고 상기 조임부재 선단에 수직으로 천공된 쐐기공(12d)(12d')에 체결된 쐐기볼트(13)와 너트(14)로 횡간볼트를 고정시키게 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통상의 방법과 같이 건축물의 기둥을 축조할 때 설치되는 거푸집(10)에 횡간볼트(11)가 돌출된 상태에서 일차 지지판(15)을 끼우고 조임부재(12)의 선단에 수직으로 천공된 일측의 쐐기공(12d)에 쐐기볼트(13)를 끼워 타측의 쐐기공(12d')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쐐기볼트의 끝단이 경사공(12a)에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하고 상기 횡간볼트에 조임부재(12)를 비스듬히 끼운상태에서 조임부재를 수평상태로 이동시키면 조임부재 양단부에 형성된 암나사(12c)(12c')와 횡간볼트(11)의 수나사(11')가 치합되고 상기 쐐기볼트와 체결된 너트(14)를 회전시키면 쐐기볼트의 끝단이 횡간볼트의 임의의 수나사 부분을 고정시킨다. 이어서 육각형상의 조임부재를 타공구(예를들면 파이프랜치나, 몽키스패너 등)로 거푸집(10)측으로 회전시켜 조임부재 선단이 완전히 닿게되면 상기 느슨하게 체결된 쐐기볼트(13)를 너트(14)가 다시한번 조이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임부재를 횡간볼트에 신속하게 끼운 다음 거푸집 측으로 조임부재 자체를 나사식으로 이동시켜 쐐기볼트로 고정시킴으로서, 거푸집을 장시간 동안 고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건축물의 기둥을 축조할때 설치되는 거푸집을 원형 그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고정하는 횡간볼트의 조임부재를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거푸집의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2)

  1. 건축물 양측의 거푸집을 관통하는 횡간볼트에 지지판이 끼워진 것에 있어서, 상기 횡간볼트 끝단에는 경사공을 갖는 조임부재를 끼우고 상기 조임부재의 선단에는 수직의 쐐기공에 쐐기볼트와 너트를 체결하여 횡간볼트를 고정시킨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둥축조용 거푸집 고정구.
  2. 상기 쐐기공에 체결되는 쐐기볼트의 상부에는 너트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볼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기둥축조용 거푸집 고정구.
KR2019970039699U 1997-12-23 1997-12-23 건축물의 기둥축조용 거푸집 고정구 KR200187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699U KR200187194Y1 (ko) 1997-12-23 1997-12-23 건축물의 기둥축조용 거푸집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699U KR200187194Y1 (ko) 1997-12-23 1997-12-23 건축물의 기둥축조용 거푸집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116U true KR19990027116U (ko) 1999-07-15
KR200187194Y1 KR200187194Y1 (ko) 2000-07-01

Family

ID=1951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699U KR200187194Y1 (ko) 1997-12-23 1997-12-23 건축물의 기둥축조용 거푸집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1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296B1 (ko) * 1999-11-22 2002-11-08 송승희 슬라이딩폼 고정볼트
CN109184203A (zh) * 2018-10-15 2019-01-11 中建四局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穿过钢筋骨架的快速安装对拉螺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296B1 (ko) * 1999-11-22 2002-11-08 송승희 슬라이딩폼 고정볼트
CN109184203A (zh) * 2018-10-15 2019-01-11 中建四局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穿过钢筋骨架的快速安装对拉螺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194Y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76919B (zh) 由型材和连接件组成的用于形成承载结构的系统
KR200187194Y1 (ko) 건축물의 기둥축조용 거푸집 고정구
JP2559813Y2 (ja) スプリンクラ−の取付具
KR200406105Y1 (ko) 셋트 앙카 볼트
KR100373628B1 (ko) 고정바를 이용한 천정판넬의 시공구조
JP3229662U (ja) 断熱材固定具および断熱材固定構造
KR200284085Y1 (ko) 석공사 건식시공용 앵글
JPS59410Y2 (ja) 構築用ブレ−ス
KR102667337B1 (ko) 앵커장치
KR200319693Y1 (ko) 기둥 및 보의 결합구
KR200354094Y1 (ko) 거푸집 해체시 헛돌지않는 거푸집 간격유지구
JPH11311022A (ja) 型枠係止具及び型枠の組立方法
KR100511101B1 (ko) 기둥 및 보의 결합구
JPH0718194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用具
JP2532097Y2 (ja) 壁つなぎ固定アンカー
KR960008848Y1 (ko) 비계(footing)용 강관 고정구
JP2001182170A (ja) 締結金物及びボルト部材の締結構造
JPS6334005Y2 (ko)
JP2579482B2 (ja) 保護管固定具の固定構造及び保護管固定具
JPH082296Y2 (ja) 石引きアンカー
JPH11107385A (ja) 建築用固定具
JP2002047736A (ja) ほぞ棒部材
JPH0430049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用具
JP2542360Y2 (ja) ロツクボルト装置
JPH022933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