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858A -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858A
KR19990025858A KR1019970047687A KR19970047687A KR19990025858A KR 19990025858 A KR19990025858 A KR 19990025858A KR 1019970047687 A KR1019970047687 A KR 1019970047687A KR 19970047687 A KR19970047687 A KR 19970047687A KR 19990025858 A KR19990025858 A KR 19990025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icrocomputer
transmitter
collision
e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석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70047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858A/ko
Publication of KR19990025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858A/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임펙트 센서(11) 및 가속도 센서(12)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충돌이 감지되면 에어백 장치(14)를 작동하는 ECU(10); ECU(10)로부터 보내오는 임펙트 센서(11), 가속도 센서(12) 등의 데이터를 메모리(26)에 저장하는 마이콤(21); 상기 마이콤(21)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특정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발생부(22); 상기 신호 발생부(22)의 신호가 증폭되면 안테나(13)를 통하여 발신되도록 하는 송신부(24); 그리고 외부의 전원이 차단되어도 마이콤(21)에 일정 시간동안 독립적인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보조 전원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 주행중 충돌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구조가 신속히 이루어지고 사후 원인 규명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 주행중 충돌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구조가 신속히 이루어지고 사후 원인 규명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하는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이용하면,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14)는 탑승자 보호 수단으로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자동차의 종합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ECU(10)는 기계적으로 충돌을 검출하는 임펙트 센서(11)와 전기적으로 충돌을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12)의 신호에 근거하여 에어백 장치(14)의 인플레이터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어 에어백 내부에 완충을 위한 가스가 고속으로 충전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에어백 장치(14)가 설치되어 있는 자동차라도 충돌 사고시 탑승자에 대한 응급 조치가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자동차 통행이 드문 도로나 시간대에 사고가 발생하면 적절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할 뿐아니라 또 다른 사고의 원인이 되는 등 생명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
또 사고 현장이 그대로 보존되지 않거나 사고의 원인을 판단할 자료가 충분치 않은 경우 사후 처리에 많은 시간을 요하는 것은 물론 처리의 정확성도 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 주행중 충돌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구조가 신속히 이루어지고 사후 원인 규명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하는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자동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어보듈에 대한 주요 회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ECU 11: 임펙트 센서
12: 가속도 센서 13: 안테나
14: 에어백 장치 15: 알터네이터
20: 제어모듈 21: 마이콤
22: 신호 발생부 23: 증폭부
24: 송신부 25: 보조 전원부
26: 메모리 27: 인터페이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임펙트 센서(11) 및 가속도 센서(12)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충돌이 감지되면 에어백 장치(14)를 작동하는 ECU(10); ECU(10)로부터 보내오는 임펙트 센서(11), 가속도 센서(12) 등의 데이터를 메모리(26)에 저장하는 마이콤(21); 상기 마이콤(21)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특정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발생부(22); 상기 신호 발생부(22)의 신호가 증폭되면 안테나(13)를 통하여 발신되도록 하는 송신부(24); 그리고 외부의 전원이 차단되어도 마이콤(21)에 일정 시간동안 독립적인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보조 전원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임펙트 센서(11) 및 가속도 센서(12)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충돌을 감지하는 ECU(10)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백 장치(14)를 지니는 자동차에 적용한다. 그러나 에어백 장치(14)를 지니지 않는 자동차의 경우에도 임펙트 센서(11) 및 가속도 센서(12)를 추가로 설치하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 2의 마이콤(21), 신호 발생부(22), 송신부(24), 보조 전원부(25) 등을 하나의 제어모듈(20)로 구성하여 도 1처럼 자동차 하부의 프레임 중앙에 설치한다. 자동차 충돌 또는 추돌 사고시 프레임의 중앙 부분은 손상을 작게 받기 때문에 가장 적절한 설치 장소인데 두께 5㎜ 이상의 철판으로 케이스를 형성한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20)을 내장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ECU(10)로부터 보내오는 임펙트 센서(11), 가속도 센서(12) 등의 데이터를 마이콤(21) 상의 메모리(26)에 저장한다. 임펙트 센서(11)는 충격에 따른 관성력으로 금속 접점이 이동하여 회로를 단락시키는 형식으로서 자동차 전방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가속도 센서(12)는 자동차의 급제동시 감속량에 비례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직선성 및 정밀성이 좋은 서보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CU(10)는 도 1의 에어백 장치(14)를 작동시키는 임펙트 센서(11)가 작동하기 직전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27)를 거쳐 제어모듈(20)로 보낸다.
예컨대 가속도 센서(12)의 값이 소정치 이상이면 ECU(10)는 충돌에 이르는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그 시간 경과에 따른 데이터, 즉 임펙트 센서(11)가 작동한 시간, 자동차의 급제동에 따른 감속도 변화량 등을 마이콤(21)의 메모리(26)에 저장한다. 메모리(26)는 전기적으로 기록의 변경이 가능한 EPRO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전술한 상황이 충돌 사고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후에 다시 반복적으로 다른 데이터로 오버 라이트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발생부(22)는 상기 마이콤(21)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특정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발생부(22)가 일종의 발진회로로 구성되도록 하는데, 메모리(26) 상의 데이터를 인터페이스(27)에서 특정의 아날로그 신호로 처리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러한 신호는 자동차 전화 등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사용되는 좁은 아날로그 주파수 변조(FM) 방식의 것에 관련된다. 예컨대 구조를 요청하기 위한 음성신호나 무선전화의 다이얼링 신호가 800∼900㎒ 대역의 주파수를 지니는 전파 신호의 형태로 주기적으로 발생되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신호 발생부(22)의 신호가 증폭된 후 송신부(24)에서 안테나(13)를 통하여 발신되도록 한다. 송신부(24)는 증폭부(23)로부터 신호를 받아 불필요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안테나(13)로 송출되는 전파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오디오용 안테나(13)를 사용하는 경우 마이콤(21) 또는 ECU(10)는 충돌직후 안테나(13)의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안테나(13)를 펼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전원이 차단되어도 마이콤(21)에 일정 시간동안 독립적인 전원을 공급하도록 보조 전원부(25)가 설치된다. 제어모듈(20)은 평상시 알터네이터(1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하나 자동차 충돌 사고시 알터네이터(15)가 정지하거나 배터리가 파손되어도 보조 전원부(25)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작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보조 전원부(25)는 충전 가능한 형식의 것을 택한다.
이와 같은 장치가 그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119와 같은 구조체계와 연계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전국의 도로상에 수신설비를 균일한 분포로 배치하는 것이 필요한데, 경우에 따라서는 위성을 이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만일 자동차 주행중에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탑승자가 정신을 잃더라도 현재의 위치를 전파로 계속하여 송출하므로 조속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ECU(10)는 자동차의 종합제어 수단으로서 자동차 속도, 기관 회전수 등에 관한 데이터도 처리하므로 제어모듈(20)에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모듈(20)의 마이콤(21)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면 언제 어느 임펙트 센서(11)에서 가장 먼저 충돌이 발생하였는지, 몇차레에 걸쳐 충돌이 진행되었는지, 충돌직전 자동차의 속도는 얼마이며 어느 정도의 급제동이 작용하였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의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는 자동차 주행중 충돌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구조가 신속히 이루어지고 사후 원인 규명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임펙트 센서(11) 및 가속도 센서(12)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충돌이 감지되면 에어백 장치(14)를 작동하는 ECU(10);
    ECU(10)로부터 보내오는 임펙트 센서(11), 가속도 센서(12) 등의 데이터를 메모리(26)에 저장하는 마이콤(21);
    상기 마이콤(21)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특정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발생부(22);
    상기 신호 발생부(22)의 신호가 증폭되면 안테나(13)를 통하여 발신되도록 하는 송신부(24); 그리고
    외부의 전원이 차단되어도 마이콤(21)에 일정 시간동안 독립적인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보조 전원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21), 신호 발생부(22), 송신부(24), 보조 전원부(25) 등은 하나의 제어모듈(20)로 구성되어 자동차 하부의 프레임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
KR1019970047687A 1997-09-19 1997-09-19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 KR19990025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687A KR19990025858A (ko) 1997-09-19 1997-09-19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687A KR19990025858A (ko) 1997-09-19 1997-09-19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858A true KR19990025858A (ko) 1999-04-06

Family

ID=6604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687A KR19990025858A (ko) 1997-09-19 1997-09-19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8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164B1 (ko) * 2006-06-20 2007-01-16 (주)지오매틱코리아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자동주행을 위한 통합차량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323952B1 (ko) * 2005-07-01 2013-10-31 가부시키가이샤 호리바 세이샤쿠쇼 드라이빙 리코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952B1 (ko) * 2005-07-01 2013-10-31 가부시키가이샤 호리바 세이샤쿠쇼 드라이빙 리코더
KR100670164B1 (ko) * 2006-06-20 2007-01-16 (주)지오매틱코리아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자동주행을 위한 통합차량거동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9852B2 (en) Remote vehicle immobilization
EP0851699B1 (en) A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 security function and a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with security
US7856203B2 (en) System for inhibiting texting and similar distractions while driving moving vehicles
EP0739491B1 (de) System zum herbeiholen von hilfe für personen oder insassen von fahrzeugen, die ein mobiltelefon mit sich führen
JP2001519283A (ja) 緊急呼出し装置および方法
WO2004019646A1 (en) System for preventing telephone call
EP2127964B1 (en) Device installable in a vehicle for generating a rescue request and automatic sending of information on the geographical position of the vehicle
US20090209225A1 (en) Emergency Call System
KR100394091B1 (ko) 차량 정보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
KR19990025858A (ko) 자동차 충돌 기록 및 송신장치
US201702975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lerts relative to airbag deployment
KR100261436B1 (ko) 차량 사고 통보 장치 및 그 방법
JPH11108675A (ja) 緊急通報装置
JP3341723B2 (ja) 車輌エマジェンシーシステム
JPH11353571A (ja) 車両用緊急通報システム
US11601542B1 (en) Crash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 microphone, first and second batteries, and first and second antennas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2145156A1 (ja) 車両用認証システム
CN111161518A (zh) 一种交通事故报警系统及其自动报警方法
JPH07277132A (ja) 電気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
JP2003267191A (ja) 乗物用盗難防止装置
KR0134878Y1 (ko) 차량 충돌시 알림 장치
GB2326560A (en) Vehicle steering wheel mounts or incorporates telephone handset
JPH06107068A (ja) 自動車事故自動通報システム
JP2006069232A (ja) 車両情報記録システム
JP2001130353A (ja) 自動車用緊急時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