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332U - 이송대차구조 - Google Patents

이송대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332U
KR19990025332U KR2019970037839U KR19970037839U KR19990025332U KR 19990025332 U KR19990025332 U KR 19990025332U KR 2019970037839 U KR2019970037839 U KR 2019970037839U KR 19970037839 U KR19970037839 U KR 19970037839U KR 19990025332 U KR19990025332 U KR 199900253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art
transfer bogie
transfer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8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78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332U/ko
Publication of KR199900253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332U/ko

Links

Landscapes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송대차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될 때 불쾌한 마찰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송대차가 이동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대차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라인의 바닥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도록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50)과, 하단 양측에 상기 가이드레일(50)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는 로울러(54)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지지편(56)을 갖는 이송대차(52)와,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양측에 고정되고, 일측에 이송대차(52)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송대차(52)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우레탄바퀴(64)가 구동축(62)의 자유단에 고정된 구동모터(60)를 갖는 프레임(5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송대차구조 (STRUCTURE OF TRUCK FOR A CAR ASSEMBLY LINE)
본 고안은 이송대차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대차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될 때 불쾌한 마찰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송대차가 이동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대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범퍼가 구비되어 있으며, 범퍼는 자동차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전방범퍼와 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후방범퍼로 구분되어 있다. 범퍼는 자동차의 가장 바깥쪽을 감싸고 있어 작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체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충격에 의하여 탑승자가 부상당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범퍼는 대략 차종에 따라 5 mile/h 이하 또는 2.5 mile/h 정도의 속력 이내에서 완충효과를 갖도록 제작되어 있다.
속도는 국가에 따라 차량에 적용하는 법규에 의해 달라지게 되는 것으로 국내에서는 현재 2.5 mile/h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이는 즉, 2.5 mile/h 이하의 속력에서 차량 충돌시에 범퍼가 차체 및 전장품 예를 들면, 전조등 또는 엔진후드 등에 손상을 주지 않는 성능을 보유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범퍼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범퍼는 커버내측에 임팩트 빔이 설치되고, 임팩트 빔과 커버 사이에는 충격흡수재가 개재되어 있다. 그리고 임팩트 빔을 차체패널에 고정시키는 스테이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범퍼는 자동차에 조립시 별도의 이송대차에 의하여 조립라인에 공급되어 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송대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송대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조립라인의 바닥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도록 한쌍의 래크레일(2)이 고정되어지고, 이 래크레일(2)이 조립라인의 바닥면에 고정됨에 있어서는 통상의 고정수단을 이용한다. 재료나 물건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대차(4)가 구비되어지고, 이 이송대차(4)의 하단 양측에는 안내공(6)을 갖는 지지편(8)이 돌출구성되어있다. 지지편(8)과 지지편(8)의 사이에 양측으로 구동축(10)을 갖는 구동모터(12)가 설치되어지고, 이 구동모터(12)의 구동축(10)은 지지편(8)의 안내공(6)을 통하여 지지편(8)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진다. 구동모터(12)의 구동축(10) 자유단에는 래크레일(2)에 치합되는 피니언(14)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송대차가 래크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지지편(8)과 지지편(8)의 하단에 설치된 구동모터(12)가‘온’상태로 변환되면, 구동모터(12)의 구동축(10)에 고정된 피니언(14)이 회전하게된다. 피니언(14)이 구동모터(12)에 의하여 회전됨에 따라 이송대차(4)가 래크레일(2)을 따라 이동된다. 즉, 피니언(14)은 래크레일(2)에 치합되어 있음으로 피니언(14)이 회전하게되면, 이송대차(4)가 래크레일(2)을 따라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송대차를 이용하여 범퍼를 조립라인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경우 이송대차가 래크레일에서 이동될 때 불쾌한 마찰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피니언이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될 때 피니언의 일측이 래크레일에 접촉되는 충격에 의하여 마찰소음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피니언과 래크레일을 일정기간 사용할 경우 피니언과 래크레일의 마모로 인하여 이송대차가 이동되면서 좌우로 유동되며, 심한 경우에는 이송대차의 상단에서 범퍼가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송대차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될 때 불쾌한 마찰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송대차가 이동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송대차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송대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송대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대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대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 가이드레일 52 : 이송대차
54 : 로울러 56 : 지지편
58 : 프레임 60 : 구동모터
62 : 구동축 64 : 우레탄바퀴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어떠한 재료나 물건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대차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립라인의 바닥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도록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과, 하단 양측에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는 로울러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지지편을 갖는 이송대차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에 고정되고, 일측에 이송대차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송대차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우레탄바퀴가 구동축의 자유단에 고정된 구동모터를 갖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송대차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송대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대차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설명하면, 조립라인의 바닥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도록 한쌍의 가이드레일(50)이 고정되고, 이 가이드레일(50)이 조립라인의 바닥면에 고정됨에 있어서는 통상의 고정수단을 이용한다. 재료나 물건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대차(52)가 구비되고, 이 이송대차(52)의 하단 양측에는 가이드레일(50)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는 로울러(54)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지지편(56)이 고정된다. 가이드레일(50)의 양측에 프레임(58)이 고정되고, 이 프레임(58)의 일측에는 구동모터(60)가 설치된다. 이 구동모터(60)의 구동축(62)에는 이송대차(52)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송대차(52)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우레탄바퀴(64)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송대차가 작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이송대차(52)를 이용하여 범퍼를 조립라인으로 공급할 경우, 프레임(58)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60)를‘온’상태로 변환시킨다. 구동모터(60)가‘온’상태로 변환됨에 따라 구동모터(60)의 구동축(62)에 고정된 우레탄바퀴(64)가 회전하면서 이송대차(52)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즉, 이송대차(52)의 하단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로울러(54)가 가이드레일(50)에 안착되어 있음으로 구동모터(60)에 의하여 우레탄바퀴(64)가 회전하면 이송대차(52)는 우레탄바퀴(64)의 회전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구동모터(6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면, 이송대차(52)가 이동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우레탄바퀴(64)의 회전에 따라 이송대차(52)가 가이드레일(50)에서 슬라이딩됨으로 이송대차(52)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될 때 불쾌한 마찰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동시에 이송대차(52)가 이동될 때 좌우로 유동되지 않는 것이다.
종래에는 피니언이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될 때 피니언의 일측이 래크레일에 접촉되는 충격에 의하여 마찰소음이 발생되고, 피니언과 래크레일을 일정기간 사용할 경우 피니언과 래크레일의 마모로 인하여 이송대차가 이동되면서 좌우로 유동되며, 심한 경우에는 이송대차의 상단에서 범퍼가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고안은 조립라인의 바닥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도록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50)과, 하단 양측에 상기 가이드레일(50)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는 로울러(54)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지지편(56)을 갖는 이송대차(52)와,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양측에 고정되고, 일측에 이송대차(52)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송대차(52)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우레탄바퀴(64)가 구동축(62)의 자유단에 고정된 구동모터(60)를 갖는 프레임(58)을 구비하여 이송대차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될 때 불쾌한 마찰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송대차가 이동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송대차구조는 우레탄바퀴의 회전에 따라 이송대차가 가이드레일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송대차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될 때 불쾌한 마찰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송대차가 이동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어떠한 재료나 물건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대차를 구성함에 있어서,
    조립라인의 바닥면에 소정의 거리를 갖도록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50)과,
    하단 양측에 상기 가이드레일(50)에서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는 로울러(54)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지지편(56)을 갖는 이송대차(52)와,
    상기 가이드레일(50)의 양측에 고정되고, 일측에 이송대차(52)의 측면에 밀착되어 이송대차(52)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우레탄바퀴(64)가 구동축(62)의 자유단에 고정된 구동모터(60)를 갖는 프레임(5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대차구조.
KR2019970037839U 1997-12-16 1997-12-16 이송대차구조 KR199900253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839U KR19990025332U (ko) 1997-12-16 1997-12-16 이송대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839U KR19990025332U (ko) 1997-12-16 1997-12-16 이송대차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332U true KR19990025332U (ko) 1999-07-05

Family

ID=69679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839U KR19990025332U (ko) 1997-12-16 1997-12-16 이송대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33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502B1 (ko) * 2001-02-14 2004-09-30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대차식 반송장치
CN107826658A (zh) * 2017-12-12 2018-03-23 湖南精正设备制造有限公司 客车空调外壳成型模架行走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502B1 (ko) * 2001-02-14 2004-09-30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대차식 반송장치
CN107826658A (zh) * 2017-12-12 2018-03-23 湖南精正设备制造有限公司 客车空调外壳成型模架行走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891B2 (en) Boarding and/or access aid for passenger vehicles
JP2657645B2 (ja) 小型雪上車の無限軌道帯およびその駆動ユニットの支持構造
JPH0440240B2 (ko)
KR20030024985A (ko) 자동차의 아웃 사이드 미러
EE200100392A (et) Puksiirveok isikute jaoks, kes liiguvad rullidel või liugvahenditel
KR970074604A (ko) 물품반송차와 그 안내설비
FR2819471B1 (fr) Unite ferroviaire a structure porteuse pivotante pour le transport combine rail/route soit d'une semi-remorque soit de deux vehicules a moteur
KR19990025332U (ko) 이송대차구조
KR890002860Y1 (ko) 철도차량의 장물체 운반용 받침장치
KR930000333A (ko) 자석식 수송장치
CA2291168C (en) Drive belt suspension for snowmobile
JPS604460A (ja) 鉄道車両用台車
NL1008415C2 (nl) Vervoersysteem.
KR100238001B1 (ko) 주행차의 범퍼장치
HK1064072A1 (en) Vehicles transit apparatus
CN210760785U (zh) 轨道车及其导向装置、轨道交通系统
JPH0716497Y2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スライド装置
JPH0347032Y2 (ko)
JP3997718B2 (ja) 搬送設備
JPH0126544Y2 (ko)
JPH0419250A (ja) 搬送車用バンパ
SU1054175A1 (ru) Ходова часть гусенич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9980016625U (ko) 이송프레임의 정위치 고정장치
KR19980016628U (ko) 범퍼 이송프레임
JPS59164260A (ja) 懸垂型走行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