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001B1 - 주행차의 범퍼장치 - Google Patents

주행차의 범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001B1
KR100238001B1 KR1019950027537A KR19950027537A KR100238001B1 KR 100238001 B1 KR100238001 B1 KR 100238001B1 KR 1019950027537 A KR1019950027537 A KR 1019950027537A KR 19950027537 A KR19950027537 A KR 19950027537A KR 100238001 B1 KR100238001 B1 KR 100238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traveling vehicle
vehicle
steering wheel
tra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388A (ko
Inventor
미사오 야마하타
히로미츠 기미노
Original Assignee
후쿠나가 다카시
가부시키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나가 다카시, 가부시키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후쿠나가 다카시
Publication of KR96001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0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38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주행차의 주행방향에 따라서 범퍼의 돌출량을 변화시키는 범퍼장치를 제공한다.
범퍼장치는, 주행차(30)의 측면(36)에 설치되어서 탄성체(53)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힘이 가해진 범퍼(50)에, 주행차의 조타륜(33)의 방향을 바꾸는 동작에 연동하여서 범퍼를 탄성체의 탄력에 저항하여 측면으로 접근시키는 굴요부재(60)가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범퍼는, 통상 탄성체에 의하여 주행차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고, 장해물에 충돌하였을 때, 탄성체에 저항하여 또한 굴요부재를 휘게 하여서 주행차의 측면으로 접근하여 충격을 완화한다. 또 주행차의 주행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조타륜의 방향을 바꾸면, 범퍼는 조타륜에 연동하여 주행차의 측면으로 접근한다.
이 때문에, 범퍼가 범퍼의 역할을 하지 않는 방향과 직각의 방향으로 주행차가 주행할 때, 범퍼가 방해로 되는 일이 거의 없다.

Description

주행차의 범퍼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퍼장치가 짜넣어진 주행차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주행차를 앞쪽으로 본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범퍼장치의 확대평면도.
제4도는 제3도를 앞쪽으로 본 도면으로서, 일부분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1도의 주행차가 서로 직교하는 주행로를 주행할 때의 동작설명용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범퍼장치가 4개의 측면에 짜넣어진 주행차의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범퍼장치가 짜넣어진 포크 리프트타입의 주행차의 평면도.
제8도는 종래의 범퍼장치를 구비한 주행차가 서로 직교하는 주행로를 주행할 때의 동작설명용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30,130,230 : 주행차 21,50,150,250 : 범퍼
22 : 스프링 23,31,231 : 차체
32 : 자재차륜 33,233 : 조타륜
34 : 지지프레임 35 : 구동용 모우터
36,136,236 : 주행차의 측면 40 : 원판
41 : 회전축 회전안내링 42 : 고정축 회전안내링
43 : 강철구슬 44 : 체인
45 : 조타용 모우터 46,246 : 연결로드
51 : 가이드 52,152,252 : 지지로드
53,153,253 : 탄성체 60,160,260 : 굴요부재
R1,R2,R3 : 통로 W : 두루마리종이
A,B,C : 화살표방향 O : 선회중심점
본 발명은, 주행차의 주행방향에 따라서 범퍼의 동출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범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행차(20)(제8도 참조)에는, 범퍼(21),(21)가 설치 되어 있다.
범퍼(21)는, 스프링(22)에 의하여 밖으로 항시 힘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으며, 장해물에 충동하였을 때, 스프링(22)에 저항하여 주행차(20)의 차체(23)로 접근함으로써,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여서 주행차(20)와 장애물을 보호하고 있다.
그런데, 주행차(20)가, 적재하는 반송물(도시생략)의 하역작업의 관계상, 예컨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의 통로(R1)로 부터 직교하는 통로(R2)에, 차체(23)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주행방향을 바꿔서 진입할 때, 범퍼(21)는 범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경우, 범퍼(21)는, 차체(23)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정도만큼 방해가 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직교하는 통로(R2)의 폭이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범퍼(21)의 돌출정도만큼 좁을 경우에는, 주행차(20)가 직교하는 통로(R2)로 진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주행차의 측면에 설치되어 탄성체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함이 가해진 범퍼에, 상기 주행차의 조타륜의 각도변환동작에 연동하여서 이 범퍼를 상기 탄성체의 탄력에 저항하여 상기 측면으로 접근시키는 연동연결부재를 부착한 범퍼장치에 의하여,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였다.
범퍼는, 통상, 탄성체에 의하여 주행차로 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주행차가 범퍼의 긴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행하여 장해물에 충돌하였을 때, 범퍼는 주행차의 측면으로 접근하여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한다.
주행차의 주행방향을 바꾸기 위하여, 조타룬의 방향을 바꾸면, 범퍼는 연동연결부재를 통하여 조타륜에 견인(牽引)되어서, 주행차의 측면으로 접근한다.
이 경우에, 조타륜의 방향을 범퍼의 긴쪽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깝게 할 수록, 범퍼의 돌출량이 적어진다. 즉 조타륜의 방향을 약 90도 변화시키면, 범퍼는 주행차의 측면으로 가장 접근하여 돌출량이 최초로 된다.
이 때문에, 범퍼가 범퍼의 역할을 하지 않는 방향으로 주행차가 주행하더라도, 범퍼가 방해로 되는 것과 같은 일이 거의 없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7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주행차(30)(제1도 참조)는, 예컨대 신문지용의 두루마리종이(W)를 적재하고 반송하는 자주대차이다.
주행차(30)의 차체(31)의 네 귀퉁이에는, 방향이 자유롭게 변화하는 자재차륜(自在車輪)(3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행차(30)에는, 주행차(30)의 주행방향을 바꾸는 한쌍의 조타륜(33),(33)이 설치되고 있다.
조타륜(33)은, 지지프레임(34)(제4도 참조)에 부착된 구동용 모우터(35)(제3도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타륜(33)은 주행차(30)의 주행방향을 바꾸는 이외에, 주행차(30)를 주행시키는 구동륜의 역할도 하고 있다.
지지프레임(34)의 상부에는 원판(40)이 부착되어 있다.
원판(40)의 가장자리의 아래면에는, 링형상의 회전축 회전안내링(41)이 아래로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 회전안내링(41)은, 차체(31)에 부착된 링형상의 고정측 회전안내링(42)의 바깥쪽에 복수의 강철구슬(43)을 개재하여 360도 수평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지지프레임(34)의 원판(40)(제3도 참조)은, 체인(44)에 의하여 조타용 모우터(45)에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조타용 모우터(45)가 구동하면, 체인(44)에 의하여 원판(40)과 지지프레임(34)이 수평회전하고, 조타륜(33)의 방향이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원판(40)의 아래면에는, 고정측 회전안내링(42)을 관통하여 아래로 향한 연결로드(46)가 설치되어 있다.
범퍼(50)는, 차체(31)의 측면(36))에 설치된 통형상의 가이드(51)를 미끄럼운동이 자유롭게 관통하고 있는 한쌍의 지지로드(52),(52)에 설치되어 있다.
범퍼(50)와 측면(36)과의 사이에서 또한 지지로드(52)위에는, 코일스프링인 탄성체(53)가 압축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범퍼(50)의 내부에는, 접촉스위치(도시생략)가 수납되어 있다. 접촉스위치는, 범퍼(50)가 장해물에 접촉하였을 때 작동하여, 구동용 모우터(35)를 즉시 정지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범퍼(50)는, 연동결합부재(60)에 의하여 연결로드(46)에 연결되어 있다.
연동결합부재에는, 와이어, 로프, 체인, 사슬, 혹은, 서로 굴곡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링크로 이루어진 연결사슬 등과 같이 잡아 당겨지더라도 거의 늘어나지 않고 또한 휘어진 상태로 되기 쉬운 굴요부재(屈橈部材)와, 링크, 축 등의 휘지 않는 강체부재(剛部材)가 있다.
실시예에서는 연동연결부재로서 굴요부재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하,「연동연결부재」를 「굴요부재」라고 칭한다.
범퍼(50)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53)에 의하여 차체(31)의 측면(36)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시 힘이 가해지고, 굴요부재(60)를 당긴 상태로 하여 차체(31)로 부터의 탈락이 방지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주행차(30)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의 통로(R1)를 조타륜(33)의 구동용 모우터(35)(제3도 참조)의 구동에 의하여 주행하여 온다. 이 때, 범퍼(50)는 탄성체(53)에 의하여 주행차(30)로 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주행차(30)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주행차(30)가, 만일 장해물(도시생략)에 충돌하였을 때, 범퍼(50)는 탄성체(53)에 저항하며 또한 굴요부재(60)를 휘게하여서 주행차(30)의 측면(36)으로 접근하여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킨다. 범퍼(50)는 굴요부재(60)를 휘게 하여서 측면(36)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조타륜(33)에 외력을 가하여 조타륜(33)에 손상을 주거나, 조타륜(33)의 방향을 무리하게 바꾸거나 하는 일이 없다.
좌우방향의 통로(R1)(제5도 참조)로 부터 직각방향이 통로(R3)로 주행차(30)를 진입시키려면, 조타용 모우터(45)를 구동시켜 조타륜(33)의 방향을 바꾼다. 그러면 주행차(30)는 차체(31)의 방향은 바뀌지 않으나, 주행방향이 바뀌고, 4개의 자재차륜(32)의 방향도 바뀐다.
또, 동시에 범퍼(50)는 조타륜(33)과 함께 방향이 바뀌는 연결로드(46)와 굴요부재(60)에 의하여 견인되어, 주행차(30)의 측면(36)으로 접근한다.
이 경우, 조타륜(33)의 방향을 범퍼(50)의 긴쪽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가까이 할수록, 범퍼(50)의 돌출량이 적어진다. 즉 조타륜(33)의 방향을 약 90도 바꾸면[조타륜(33)의 각도변환동작에 연동하여] 범퍼(50)는 주행차(30)의 측면(36)으로 가장 접근하여 돌출량이 최소로 된다.
이 때문에, 범퍼(50)가 범퍼의 역할을 하지 않는 방향으로 주행차(30)가 주행하더라도, 범퍼(50)가 방해로 되는 일이 거의 없다.
또, 범퍼(50)의 돌출량이 적어짐으로써, 종래보다도 직각방향의 통로(R3)의 폭이 좁은 통로라도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주행차(30)는, 차체(31)의 방향을 바꾸지 않고 직각방향으로 주행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36)과 직교하는 다른 측면(136)에 범퍼(150)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범퍼(150)도, 차체(31)의 측면(136)에 지지로드(152),(152)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체(153),(153)에 의하여 측면(136)으로 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며, 조타륜(33)과 함께 방향이 바뀌는 연결로드(46)에 굴요부재(16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한 주행차(130)의 경우는, 제5도에 있어서, 좌우방향의 통로(R1)를 주행할 때, 부호(50)인 범퍼가 돌출하고, 부호(150)인 범퍼가 들어가 있으며, 직교하는 통로(R3)를 주행할 때, 부호(50)인 범퍼가 들어가고, 부호(150)인 범퍼가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반송차(130)가 어떤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더라도, 양쪽의 범퍼(50),(150)의 어느 한쪽이 반송차(130)를 보호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범퍼장치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크 리프트인 주행차(230)에도 짜넣을 수 있다.
이 경우, 범퍼(250)는, 차체(231)의 측면(236)에 지지로드(252),(252)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체(253),(253)에 의하여 측면(236)으로 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조타륜(233)과 함께 방향이 바뀌는 연결로드(246)에 굴요부재(2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범퍼(250)는, 주행차(230)가 화살표 A방향으로 주행할 때에, 탄성체(253)에 힘이 가해져서 차체(231)의 측면(236)으로 부터 떨어져 있다.
조타륜(233)의 방향이 직각으로 바뀌어, 주행차(230)가 선회중심점(0)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선회할 때에는, 범퍼(250)는 굴요부재(260)에 견인되어서 돌출량이 적어진다. 화살표 C방향으로 주행차(230)가 선회할 때에도, 범퍼(250)의 돌출량이 적어진다.
따라서, 범퍼(250)는, 주행차(230)가 화살표 A로 주생할 때에, 범퍼(250)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고, 화살포 B,C방향으로 선회할 때에는, 주행차(230)의 선회동작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돌출량이 적어진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연동결합부재로서 굴요부재를 사용하였으나, 1개의 강체부재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범퍼가 장해물에 간섭하였을 때의 범퍼가 들어가는 동작이 잘못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강체부재와 범퍼(50),(150),(250)와의 연결부분 또는 강체부재와 연결로드(46)와의 연결부분을 핀과 긴구멍(도시생략)으로 구성하여, 강체부재가 범퍼에 대하여, 혹은 연결로드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청구항 1의 범퍼는, 범퍼로서 기능하지 않을 때, 즉 주행차가 범퍼의 긴쪽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주행할 때, 조타륜과 연동하여 주행차의 측면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주행차의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음과 동시에, 종래보다도 좁은 주행로에서의 주행차의 진입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의 범퍼는, 조타륜의 방향을 바꾸는 동작(각도변환동작)에 연동하여서 돌출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조타륜이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더라도, 작업원은 상기 돌출량에 의하여 조타륜의 방향을 판단할 수 있어 주행차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의 범퍼는, 통상 탄성체에 의하여 주행차의 측면으로 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연동연결부재를 잡아당기고 있기 때문에, 주행차의 주행중에 거의 진동하는 일이 없어 주행차의 소음원이 되는 일이 없다.
청구항 2의 범퍼장치와 같이 연동연결부재를 굴요성부재로 하면, 범퍼가 장해물에 간섭하고, 탄성체의 탄턱에 저항하여 주행차의 측면으로 접근하였을 때, 굴요부재를 느슨하게 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타륜에 외력을 가하여 손상을 주거나 조타륜의 방향을 무리하게 바꾸거나 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주행차(30,130,230)의 측면(36,136,236)에 설치되어서 탄성체(53,153,253)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힘이 가해진 범퍼(50,150,250)에, 상기 주행차(30,130,230)의 조타륜(33,233)의 각도변환동작에 연동하여서 이 범퍼(50,150,250)를 상기 탄성체(53,153,253)의 탄력에 저항하여 상기 측면(36,136,236)으로 접근시키는 연동연결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차의 범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연동연결부재는 굴요부재(60,160,260)인 주행차의 범퍼장치.
KR1019950027537A 1994-09-21 1995-08-30 주행차의 범퍼장치 KR100238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51549A JP2933154B2 (ja) 1994-09-21 1994-09-21 走行車のバンパー装置
JP94-251549 1994-09-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388A KR960010388A (ko) 1996-04-20
KR100238001B1 true KR100238001B1 (ko) 2000-03-02

Family

ID=1722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7537A KR100238001B1 (ko) 1994-09-21 1995-08-30 주행차의 범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33154B2 (ko)
KR (1) KR1002380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2970B2 (ja) * 1995-06-30 1997-11-2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搬送台車のバンパ装置
JPWO2023037498A1 (ko) * 2021-09-10 2023-03-16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153U (ko) * 1976-07-14 1978-02-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33154B2 (ja) 1999-08-09
JPH0891155A (ja) 1996-04-09
KR960010388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1208B2 (ja) 自律走行車
KR101325392B1 (ko) 궤도계 차량용 대차
KR100238001B1 (ko) 주행차의 범퍼장치
US4776283A (en) Truck for railway vehicle
US20010017094A1 (en) Truck transport apparatus
EP1611047A1 (en) Load hoist arrangement
CA1310388C (en) Guide device for automated guided vehicle
JP4779712B2 (ja) 可動ガードレール
JP2891420B2 (ja) 無人搬送車の障害物衝撃吸収装置
US5738199A (en) Diverter roller assembly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in a vehicle
EP0581234B1 (en) Handling apparatus for automatic warehousing arrangement
WO2024014481A1 (ja) 車両の後部構造
CN220615997U (zh) 自主移动机器人
CN218876869U (zh) 一种agv底盘及agv小车
CN219077157U (zh) 一种agv车可调防撞机构
JP2538005Y2 (ja) 農作業車のクローラ走行装置
JP2682970B2 (ja) 搬送台車のバンパ装置
KR100440006B1 (ko) 대형차량용 도어 가이드암 보호장치
JP2942134B2 (ja) 牽引走行体のガイド機構
JPH0419250A (ja) 搬送車用バンパ
JPH0542689Y2 (ko)
KR19990025332U (ko) 이송대차구조
JPH0560122B2 (ko)
JPH0626446Y2 (ja) 車両灯火装置の取付装置
JP2620132B2 (ja) 移動体用の衝撃吸収式の障害物検出バンパ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