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470U - 사출금형 - Google Patents

사출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470U
KR19990024470U KR2019970036940U KR19970036940U KR19990024470U KR 19990024470 U KR19990024470 U KR 19990024470U KR 2019970036940 U KR2019970036940 U KR 2019970036940U KR 19970036940 U KR19970036940 U KR 19970036940U KR 19990024470 U KR19990024470 U KR 199900244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jection
seal
injection mol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2928Y1 (ko
Inventor
정희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6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928Y1/ko
Publication of KR199900244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4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9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2045/4063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preventing damage to articles caused by the ej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출금형에 관하여 개시한다. 이 금형은, 상원판과, 이 상원판에 대하여 착탈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원판에 밀착되어 그 내부에 제품이 형성되는 공동부를 형성하는 하원판과, 상기 하원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젝트시에 소정의 이젝트수단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밀판과, 이젝트시에 성형된 제품을 취출시키도록, 상기 상원판과 하원판의 경계부에 의하여 정해지는 파팅라인에 접촉설치된 취출부재와, 상기 밀판에 의하여 연동되어 이젝트시에 상기 취출블록을 상부로 밀어주는 밀봉과, 상기 밀봉을 상부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수단을 구비한다.이와 같은 사출금형은 이젝트시 취출부재가 항상 제품에 접촉되어서 여러 취출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힘의 불균형으로 인한 제품의 파손 및 백화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출 금형
본 고안은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출 성형되어 금형내에서 응고된 제품과 이 제품을 밀어서 취출하는 취출 블록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사출 금형은 한쌍의 금형이 상호 밀착되어 소정 형상의 공동부를 형성하고, 사출 성형기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용융수지를 상기 공동부에 충진시킨 후 냉각시켜, 공동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의 사출금형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사출금형은 상호 밀착되어 공동부를 형성하는 한 쌍이 금형 즉 상원판(12)과 하원판(2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상원판(12)과 하원판(22) 사이에는 특정한 제품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코아(24)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공동부에는 소정의 주입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용융 플라스틱이 주입 및 고화되어서 제품(100)이 성형된다.
상기 상원판(12)은 사출기의 상고정판(10)에 부착 지지된다. 또한 하원판(22)의 아래쪽에는 하고정판(20)이 설치되어서, 하원판(22)을 지지하며, 이 하고정판(28)에는 이젝트시 사용되는 푸시부재(28)가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푸시부재(28)의 상부에는 성형된 제품(100)을 추출하기 위한 밀판(26)과 핀지지판(27)이 설치되어서, 상기 푸시부재(28)에 의하여 이동된다.
상기 밀판(26)의 이동을 이용하여 제품(100)을 취출할 수 있도록 변위 매개수단인 밀봉(30) 및 취출부재(32)가 마련된다. 상기 취출부재(32)는 상원판(12)과 하원판(22)의 경계부인 파팅라인(X)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밀봉(30)의 상단은 상기 취출부재(32)에 접촉되고, 하단은 상기 밀판(26)에 고정 지지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밀봉 및 취출부재와는 별도의 취출수단인 밀핀이 핀지지판(27)에 고정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에 플라스틱이 주입 및 응고되어 제품이 완성되면, 먼저 상원판(12)과 하원판(22)을 상호 분리함으로써, 제품의 상부가 열리게 된다. 그 다음에 사출기의 이젝터(미도시)가 작용하여 상기 푸시부재(28)를 상부로 밀어서, 밀판(26) 및 핀지지판(27)이 상부로 이동됨으로써, 밀봉(30)에 연결된 취출부재(32)가 제품(100)을 상부로 가압하여 취출시킨다. 이와 같이 이젝터가 작용하는 경우에, 밀봉 이외의 다른 취출수단 예를 들면 밀핀이나 경사코아등도 밀봉과 동시에 제품(100)에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확대부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성형이 완료된 제품(100)은 성형수축에 의하여 줄어들어서, 파팅 라인상에 접촉된 취출부재(32)의 상단면(32a)과 제품(100)의 하단면(100a) 사이가 벌어진다. 따라서 제품 취출을 위한 이젝터의 작동과 동시에 취출부재가 작용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사출금형에서는 밀봉(30)과 취출부재(32)에 의한 취출수단이 밀핀 또는 경사코아 등과 같은 다른 취출수단과 균형이 맞지 아니하므로, 이젝트시에 제품이 파괴되거나. 힘의 편중으로 인하여 제품의 외관에 백화등의 유해요소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취출부재와 제품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이젝트시에 제품의 원활한 취출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사출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출금형의 일 예에 대한 개략적 입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 입면도로서, 금형이 이젝트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사출금형에 있어서 금형이 이젝트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입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상고정판 12...상원판
20...하공정판 22...하원판
24...코아 26...밀판 27...핀지지판 28...푸시부재 30...밀봉 30a...가이드턱
32...취출부재 35...접시 스프링
37...고정용 핀 100...제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사출금형은, 상원판과, 이 상원판에 대하여 착탈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원판에 밀착되어 그 내부에 제품이 형성되는 공동부를 형성하는 하원판과, 상기 하원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젝트시에 소정의 이젝트수단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밀판과, 이젝트시에 성형된 제품을 취출시키도록, 상기 상원판과 하원판의 경계부에 의하여 정해지는 파팅라인에 접촉설치된 취출부재와, 상기 밀판에 의하여 연동되어 이젝트시에 상기 취출블록을 상부로 밀어주는 밀봉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을 상부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수단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밀판에 설치되어서 상기 밀봉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밀봉이 수직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될 수 있도록, 밀봉의 가이드턱의 수직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복수개의 접시스프링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접시 스프링이 상호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각 접시스프링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지지되는 고정용 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밀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핀지지판에 밀봉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의 하부에 상기 밀봉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턱이 걸리는 단차부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사출금형에 대한 입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사출금형은 상부에 형성된 상원판(12)과, 상기 상원판(12)에 대하여 착탈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원판(12)에 밀착되어 제품(100)이 형성되는 공동부를 만드는 하원판(22)을 구비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원판(12_과 하원판(22) 사이에 성형할 제품의 형상에 대응하여 코아(24)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상원판(12)과 하원판(22)이 밀착된 경우에, 그 경계부를 금형의 파딩라인(X)이라 한다.
상기 상원판(12)은 상고정판(10)에 지지되고, 하원판(22)은 하고정판(22)에 지지된다. 상기 하원판(22)과 하고정판(20) 사이에는 밀판(26)이 설치되는데, 이 밀판(26)은 금형의 이젝트시에 소정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한다. 상기 밀판(26)의 상면에는 밀핀(미도시)등의 취출수단이 지지되는 핀지지판(27)이 부착되어 있다. 밀판(26) 및 핀지지판(27)을 구동시키는 상기의 구동수단은 상기 밀판(26)의 하부에서 하고정판(20)에 수직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푸시부재(28)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형의 파팅라인에는 취출부재(32)가 설치되어서, 이젝트시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취출수단(예를 들면 밀핀, 경사코아등)과 함께 이 취출부재(32)가 공동부에 성형된 제품(100)을 상부로 밀어서 취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취출부재(32)의 상면(32a)이 금형의 파팅라인 즉 상기 공동부의 하부면에 접촉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젝트시에 상기 취출부재(32)를 구동하기 위하여, 취출부재(32)와 밀판(26)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밀봉(30)이 마련된다. 이 밀봉(30)의 상단부는 하원판(22)을 관통하여 상기 취출부재(32)에 접촉되고, 밀봉(30)의 하단부는 밀판(26)에 지지된다. 따라서 이젝트시에 밀판(26)의 수직이동에 의하여 밀봉(30)이 취출부재(32)를 상부로 가압한다.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밀봉(30)의 하단에는 가이드턱(30a)이 형성된다. 핀지지판(27)에는 상기 밀봉(30)의 본체가 삽입이동되도록 작은 지름의 홀(27b)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밀봉이 가이드턱(30a)이 수용되도록 큰 지름의 홀(27c)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2 구명(27b,27c)의 경계부에 상기 가이드턱(30a)이 걸리는 단차(27a)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에 대응되는 밀판(26)에는 지지홈(26a)이 형성되고, 이 홈(26a)에 스프링(35)이 설치되어서 상기 가이드턱(30a)을 상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스프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접시 스프링(35)을 적층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바람직하다. 상기 접시스프링(35)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에는 고정용 핀(38)이 관통 설치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접시 스프링(35)이 상호 어긋나지 않고, 스프링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핀지지판(27)에 형성된 단차부(27a)는 밀봉(30)의 이젝트시 수직 이동 범위를 제한하여, 밀봉(30)이 장치로부터 완전히 탈락되지 않도록 일종의 스토퍼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스토퍼에 의하여 밀봉(30)은 도 3의 "Y" 만큼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원판(12)과 하원판(22)에 의하여 형성지는 공동부에 용융 플라스틱이 주입되고, 소정시간 경과후 고화되면, 상기 공동부와 동일한 형상의 제품이 형성된다. 그러나 도 2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의 용융 플라스틱의 온도가 하강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축현상에 의하여, 파팅라인(X)에 위치되는 취출부재(32)의 상면(32a)와 제품(100)의 하부면(100a) 사이가 틈새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접시스프링(35)에 의하여 상부쪽으로 탄성바이어스된 밀봉(30)은 취출부재(32)를 상원판(12)의 하면에 지지시키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성형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원판(22)과 상원판(12)이 서로 분리되고, 소정의 이젝터에 의하여 성형된 제품(100)을 이젝트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먼저 상원판(12)이 하원판(22)으로부터 분리되면, 성형 제품(100)이 하원판(22)및 코아(24)에 부착된 상태로 그 상부가 개구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원판(12)이 제거됨과 동시에 접시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하여 밀봉(30)의 걸림턱(30a)이 상부쪽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한다. 또한 도 4의 확대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원판(12)에 지지되어 있던 취출부재(32)가 상기 밀봉(30)에 의하여 상기 거리만큼 상부로 이동하여, 취출부재(32)가 제품(100)에 직접 접촉된다.
그 다음에 사출기의 에젝터(미도시)가 작동하여 푸시부재(28)를 상부로 구동시킨다. 그러면 이 푸시부재(28)에 의하여 밀판(26) 및 핀지지판(27)이 상부로 이동하여, 이에 지지된 밀봉(30) 및 도시되지 않은 다른 취출수단(밀핀등)이 동시에 작동하여 제품(100)이 상부로 취출된다. 따라서 성형품의 취출시에 제품(100)에 작용되는 힘이 균형있게 배분될 수 있다.
제품(100)이 완전히 취출되면, 밀봉(30)의 가이드턱(30a)이 핀지지판(27)에 형성된 단차부(27a)에 걸려서 더 이상 상부로 이동되지 못하고, 그 부위에 지지된다.
제품을 다시 사출성형을 하기 위해서는, 상원판(12)을 하원판(22)에 밀착 결합시킨다. 이 때 상원판(12)이 취출부재(32)를 가압하여 밀봉(30)이 접시스프링(35)을 압축하면서 스프링 탄성력을 이기고 아래쪽으로 후퇴됨으로써, 사출금형이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은 이젝트시 취출부재가 항상 제품에 접촉되어서 여러 취출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힘의 불균형으로 인한 제품의 파손 및 백화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상원판과,
    이 상원판에 대하여 착탈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원판에 밀착되어 그 내부에 제품이 형성되는 공동부를 형성하는 하원판과,
    상기 하원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젝트시에 소정의 이젝트수단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밀판과,
    이젝트시에 성형된 제품을 취출시키도록, 상기 상원판과 하원판의 경계부에 의하여 정해지는 파팅라인에 접촉설치된 취출부재와,
    상기 밀판에 의하여 연동되어 이젝트시에 상기 취출블록을 상부로 밀어주는 밀봉을 구비하여 된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밀봉을 상부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수단이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밀판에 설치되어서 상기 밀봉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밀봉이 수직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될 수 있도록, 밀봉의 가이드턱의 수직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복수개의 접시스프링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접시 스프링이 상호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각 접시스프링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지지되는 고정용 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밀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핀지지판에 밀봉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의 하부에 상기 밀봉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턱이 걸리는 단차부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KR2019970036940U 1997-12-12 1997-12-12 사출금형 KR200172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940U KR200172928Y1 (ko) 1997-12-12 1997-12-12 사출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940U KR200172928Y1 (ko) 1997-12-12 1997-12-12 사출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470U true KR19990024470U (ko) 1999-07-05
KR200172928Y1 KR200172928Y1 (ko) 2000-03-02

Family

ID=1951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940U KR200172928Y1 (ko) 1997-12-12 1997-12-12 사출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92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08B1 (ko) * 2006-10-09 2008-07-14 주식회사 우리정공 이중사출금형의 1차 성형품 성형취출장치
KR101271747B1 (ko) * 2012-04-10 2013-06-05 (주)정우몰드 금형 장치
WO2014189158A1 (ko) * 2013-05-21 2014-11-27 (주)정우몰드 금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108B1 (ko) * 2006-10-09 2008-07-14 주식회사 우리정공 이중사출금형의 1차 성형품 성형취출장치
KR101271747B1 (ko) * 2012-04-10 2013-06-05 (주)정우몰드 금형 장치
WO2014189158A1 (ko) * 2013-05-21 2014-11-27 (주)정우몰드 금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928Y1 (ko) 200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2214B2 (en) Gas extraction method from mold cavity
US20080175947A1 (en) Cut structure for mold
JPH05200806A (ja) 金型装置
KR200172928Y1 (ko) 사출금형
JP3055724B2 (ja) 金型装置
JP3205974B2 (ja) 成形用金型
CN213108009U (zh) 一种注塑模具的稳定脱料结构
KR100232820B1 (ko) 슬라이드코아를 이용한 사출 성형 금형 및 사출방법
KR200155571Y1 (ko) 사출금형의 사이드게이트 절단장치
CN105984091B (zh) 自动断浇口结构
JP3419228B2 (ja) 二段離型方式射出成形金型
JPH09323342A (ja) 射出成形用金型
JP3589264B2 (ja) モールド金型構造におけるゲート切断装置
CN212979056U (zh) 一种具有裁断结构的镜片注塑模具
KR200154400Y1 (ko) 사출금형의 제품취출장치
KR200418299Y1 (ko) 분리형 스프루 부시를 갖는 사출금형
CN216658766U (zh) 一种具有倒扣自动脱离的注塑模具
JP2003112339A (ja) 射出成形用金型
KR940007325Y1 (ko) 사출성형기의 언더커트형상이 성형된 제품의 추출장치
KR19990026883U (ko) 사출성형금형의 성형품 파손방지 장치
KR930002757Y1 (ko) 내측 언더컷 사출물의 취출장치
KR0119923Y1 (ko) 사출금형
JP2692348B2 (ja) 射出成形金型
JPH06262652A (ja) 射出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用金型
KR200194538Y1 (ko) 사출금형의 콜드 슬러그 밀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