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054A -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054A
KR19990024054A KR1019980045713A KR19980045713A KR19990024054A KR 19990024054 A KR19990024054 A KR 19990024054A KR 1019980045713 A KR1019980045713 A KR 1019980045713A KR 19980045713 A KR19980045713 A KR 19980045713A KR 19990024054 A KR19990024054 A KR 19990024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teering wheel
grooves
steering angl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영
Original Assignee
김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영 filed Critical 김우영
Priority to KR1019980045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054A/ko
Publication of KR1999002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054A/ko
Priority to JP11305644A priority patent/JP2000142423A/ja

Links

Abstract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안전운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크기를 갖고, 조향 핸들에 일체로 결합되기 위한 판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어느 일면에 일체로 제공되고, 운전자가 운전석에 않은 상태에서 이 조향 핸들의 회전 각도에 따라 직접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할 수 있는 조향각 인식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안전운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조향 핸들을 조작하여 조향륜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 조향 핸들의 회전 각도에 따라 조향륜의 조향각이 설정된다.
즉, 조향 핸들을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시켜 주면 조향륜이 우측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조향각으로 회전되며, 조향 핸들을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시켜 주면 조향륜이 좌측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조향각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가고자 하는 방향으로 조향륜을 회전하려면 조향 핸들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시켜 주게 되는데, 상기한 조향 핸들의 회전에 따라 조향륜의 조향각을 확인하려면 종래에는 운전자가 프론트 도어 글래스를 열어준 상태에서 밖으로 머리를 내밀어 주거나 자동차를 정차시킨 상태에서 하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조향 핸들의 회전에 따른 조향륜의 조향각을 확인하려면 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프론트 도어 글래스를 열어준 후 운전자의 머리를 도어 밖으로 내밀어 주거나 자동차를 정차시킨 상태에서 프론트 도어를 열고 하차하여야 하기 때문에 운전자에 많은 불편을 안겨 주게 됨은 물론 안전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초보 운전자의 경우에는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조향륜의 조향각을 정확하게 확인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조향각을 확인과 함께 조향 핸들 또는 다른 기기를 조작하기 곤란하여 안전 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를 경사진 곳에 주차하려면 조향 핸들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조향륜을 일방향으로 꺽어줄 때 상기한 조향륜의 조향각을 확인하기 곤란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정차 상태에서 자동차를 주차할 때 조향륜이 정확하게 정방향으로 향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곤란함은 물론 자동차를 출발할 때 조향륜의 상태를 확인하기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안전운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크기를 갖고, 조향 핸들에 일체로 결합되기 위한 판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어느 일면에 일체로 제공되고, 운전자가 운전석에 않은 상태에서 이 조향 핸들의 회전 각도에 따라 직접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할 수 있는 조향각 인식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조향 핸들을 어느 방향,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하게 되면, 조향륜이 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회전하게 됨과 아울러 몸체와 함께 조향각 인식수단도 조향 핸들과 일체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조향각 인식수단의 회전 각도를 보고 조향륜의 조향각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a는 조향 핸들이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했을 때 기포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향 핸들이 시계방향으로 2회 회전했을 때 기포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c는 조향 핸들이 반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했을 때 기포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d는 조향 핸들이 반시계방향으로 2회 회전했을 때 기포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는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크기와 유연성을 갖고 조향 핸들(100)에 일체로 결합되기 위한 판상의 몸체(1)와;
상기한 몸체(1)의 어느 일면에 일체로 제공되고, 운전자가 운전석에 않은 상태에서 이 조향 핸들(1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직접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할 수 있는 조향각 인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조향각 인식수단은 몸체(1)의 일정한 회전 반경 상의 어느 일정점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곡선상을 따라 어느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각각 요입 형성되고, 조향 핸들(100)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의 회전에 따라 대응하게 회전하면서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하기 위한 좌측 제1,제2 조향홈(3)(5)과 우측 제1,제2 조향홈(7)(9)과;
상기한 좌측 제1,제2조향홈(3)(5)과 우측 제1,제2조향홈(7)(9)에 담겨지는 액체(11)의 어느 일정점에 위치되고, 이 조향홈(3,5,7,9)들의 회전에 따라 대응하게 회전하는 기준점(13)과 이루는 각도를 보고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하기 위한 기포(15)와; 상기한 몸체(1)의 상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이 조향홈(3,5,7,9)들을 인식 가능하게 덮어줌과 아울러 조향홈들에 담겨진 액체(11)와 기포(15)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1커버부재(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좌측 제1,제2조향홈(3)(5)과 우측 제1,제2 조향홈(7)(9)은 조향 핸들(100)의 회전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대응 회전할 수 있도록 몸체(1)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좌측 제1,제2조향홈(3)(5)과 우측 제1,제2조향홈(7)(9)은 조향 핸들(100)의 회전에 따라 조향륜의 조향각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조향홈(3,5,7,9)들은 도 1에서는 몸체(1)에 형성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향 핸들(100)의 전면부에 일체로 요입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한 몸체(1)의 일면 중간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나침반, 시계, 온도계, 습도계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의 몸체(1)는 도 3과 같이 조향 핸들(100)의 전면부에 이와 동일한 중심을 갖게 하면서 일체로 결합한다.
그리고 조향륜이 정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조향각 인식수단의 기포(15)가 기준점(13) 즉, 좌측 제1조향홈(3)(5)과 우측 제1조향홈(7)(9)의 경계선 상에 위치하게 한다.
이때,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조향 핸들(100)을 어느 방향,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예컨대, 180도 회전하게 되면, 조향륜이 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예컨대, 10∼20도 회전하게 됨과 아울러 좌측 제1,제2조향홈(3)(5)과 우측 제1,제2조향홈(7)(9) 도 6a와 같이 기포(15)를 기준으로 몸체(1)와 일체로 시계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예컨대, 180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우측 제1,제2조향홈(7)(9)이 기포(15)를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됨에 따라 기포(15)는 우측 제1조향홈(7) 상에 있게 되므로 기준점(13)이 기포(15)를 따라 조향 핸들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여 회전하면서 일정한 각도 예컨대,180도를 이루게 된다.
이때, 기포(15)가 우측 제1조향홈(7) 상에 위치하게 됨과 아울러 기포를 기준으로 기준점(13)의 회전각이 180도 이루는 것을 보고, 조향 핸들(100)의 회전이 시계 방향으로 1회전 이내로 인식함과 아울러 조향륜의 조향각이 시계 방향으로 예컨대, 10∼20도 이루는 것으로 인식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조향 핸들(100)이 시계 방향으로 2회전하게 되면, 우측 제2조향홈(9)이 도 6b와 같이 기포(15)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2회전하게 되는데, 상기한 기준점(13)이 기포(15)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2회전하여 우측 제2조향홈(9)의 끝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보고 조향 핸들(100)이 시계 방향으로 2회전한 것으로 인식함과 아울러 조향륜의 조향각을 시계 방향으로 예컨대, 30∼40도 이루는 것으로 인식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조향 핸들(100)이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하게 되면, 상기한 기준점(13)이 도 6c와 같이 기포(15)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좌측 제1조향홈(3) 상에 기포(15)와 180도 각도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 조향 핸들(100)이 반시계 방향으로 1회전 이내로 인식함과 아울러 조향륜의 조향각이 반시계 방향으로 예컨대, 10∼20도 이루는 것으로 인식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조향 핸들(100)이 반시계 방향으로 2회전하게 되면, 좌측 제2조향홈(5)이 도 6d와 같이 기포(15)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2회전하게 되는데, 상기한 기준점(13)이 기포(15)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2회전하여 좌측 제2조향홈(5)의 끝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보고 조향 핸들(100)이 반시계 방향으로 2회전한 것으로 인식함과 아울러 조향륜의 조향각을 반시계 방향으로 예컨대, 30∼40도 이루는 것으로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5 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하기의 사항 이외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한 조향각 인식수단은 몸체(1)의 일정한 회전 반경 상의 어느 일정점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곡선상을 따라 어느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각각 요입 형성되고, 조향 핸들(100)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에 따라 대응하게 회전하면서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하기 위한 좌측 제1,제2조향홈(19)(21)과 우측 제1,제2조향홈(23)(25)과;
상기한 조향홈(19,21,23,25)의 최하점에 자체의 질량에 의하여 위치하면서, 이 조향홈의 회전에 따라 대응하게 회전하면서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하기 위한 질량체(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몸체(1)의 상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이 조향홈(19,21,23,25))들을 인식 가능하게 덮어줌과 아울러 조향홈에 위치한 질량체(27)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커버부재(29)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용이하게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안전운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를 경사진 곳에 주차할 때 또는 자동차를 출발할 때 조향륜의 조향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크기를 갖고, 조향 핸들에 일체로 결합되기 위한 판상의 몸체와; 상기한 몸체의 어느 일면에 일체로 제공되고, 운전자가 운전석에 않은 상태에서 이 조향 핸들의 회전 각도에 따라 직접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할 수 있는 조향각 인식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향각 인식수단은 몸체의 일정한 회전 반경 상의 어느 일정점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곡선상을 따라 어느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각각 요입 형성되고, 조향 핸들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의 회전에 따라 대응하게 회전하면서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하기 위한 좌측 제1,제2 조향홈과 우측 제1,제2 조향홈과; 상기한 좌측 제1,제2조향홈과 우측 제1,제2조향홈에 담겨지는 액체의 어느 일정점에 위치되고, 이 조향홈들의 회전에 따라 대응하게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하기 위한 기포와; 상기한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이 조향홈들을 덮어줌과 아울러 조향홈들에 담겨진 액체와 기포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1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향각 인식수단은 몸체의 일정한 회전 반경 상의 어느 일정점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곡선상을 따라 어느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각각 요입 형성되고, 조향 핸들의 일방향 또는 타방향 회전에 따라 대응하게 회전하면서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하기 위한 좌측 제1,제2 조향홈과 우측 제1,제2 조향홈과; 상기한 조향홈의 최하점에 자체의 질량에 의하여 위치하면서, 이 조향홈의 회전에 따라 대응하게 회전하면서 조향륜의 조향각을 인식하기 위한 질량체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이 조향홈들을 덮어줌과 아울러 조향홈에 위치한 질량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2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측 제1,제2조향홈과 우측 제1,제2 조향홈은 조향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대응 회전할 수 있도록 몸체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나선상으로 형성하는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좌측 제1,제2 조향홈과 우측 제1,제2 조향홈은 조향 핸들의 회전에 따라 조향륜의 조향각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상으로 형성하는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KR1019980045713A 1998-10-29 1998-10-29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KR19990024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713A KR19990024054A (ko) 1998-10-29 1998-10-29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JP11305644A JP2000142423A (ja) 1998-10-29 1999-10-27 自動車のホイ―ル操向角認識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713A KR19990024054A (ko) 1998-10-29 1998-10-29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054A true KR19990024054A (ko) 1999-03-25

Family

ID=6589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713A KR19990024054A (ko) 1998-10-29 1998-10-29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0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4054A (ko) 자동차의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JP4784911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0142423A (ja) 自動車のホイ―ル操向角認識装置
KR980008986A (ko) 자동차 핸들의 위치 감지당치
KR0119554Y1 (ko) 룸미러의 볼록거울장치
KR200322009Y1 (ko) 자동 회전식 차량용 사이드 미러
KR100312742B1 (ko) 자동차용 조향륜 조향각 인식장치
KR910009164Y1 (ko) 자동차의 전면측부 확인장치
JP2008238892A (ja) 車両用後側方視認装置
KR200164288Y1 (ko) 자동차용 엠블렘 겸용 측면밀러
KR920007212Y1 (ko) 자동차 전륜의 방향 표시장치
JPS63291747A (ja) 自動車
KR0157264B1 (ko) 접이식 핸들구조
KR200277876Y1 (ko) 자동차 후사경 장치
KR100528041B1 (ko) 차량용 보조 인사이드미러
KR0171803B1 (ko) 후면경을 구비한 승용차 스포일러
JPH0342224Y2 (ko)
KR200377079Y1 (ko) 시선유도 램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뒷좌석 탑승자용 백미러
KR100212186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조립체
KR19980013632U (ko) 자동차용 컵홀더
JPH01226452A (ja) 両サイドミラ
JPH05330382A (ja) 自動車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19980066491A (ko) 자동차용 백미러
KR19980018202U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JP2005067517A (ja) 自動車用ルーム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