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880U -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880U
KR19990023880U KR2019970036293U KR19970036293U KR19990023880U KR 19990023880 U KR19990023880 U KR 19990023880U KR 2019970036293 U KR2019970036293 U KR 2019970036293U KR 19970036293 U KR19970036293 U KR 19970036293U KR 19990023880 U KR19990023880 U KR 199900238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upport
pulley
meander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2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62975Y1 (ko
Inventor
김항구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362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975Y1/ko
Publication of KR199900238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8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9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지지대(11)의 내측벽에는 회동핀(111)을 매개로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롤러스탠드(113)가 설치되며, 이 제2지지대(12)의 내측벽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된 조정판(116)이 설치된 텐션풀리지지장치와; 제1,2지지대(11,12)의 내측벽에는 각각 장착된 사행감지장치; 상부수직부재(20)의 내측벽에는 고정플레이트(131)를 매개로하여 회동가능하게 도르레(132)가 설치되고, 이 제2지지대(12)의 내측벽에는 구동모우터(133)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권취드럼(134)이 설치되며, 이 권취드럼(134)에는 텐션풀리(30)를 상하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관통홈(116a)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르레(132)의 외주면과 제2관통홈(116b)을 통과한 와이어(135)가 감겨진 사행조정장치 및; 구동모우터(133)에는 터치바(121)와 스토퍼(124)의 접촉신호를 입력받아 권취드럼(134)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사행발생으로 인한 설비의 파손이 미연에 예방되므로 사행현상을 해제시키기 위한 부대비용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사행해제작업 도중에 발생되는 인력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 (A device for regulating a belt meander of a tension weight in conveyor belt)
본 고안은 벨트컨베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조정시켜 주는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텐션부에 감겨진 컨베이어벨트면이 미끄러지는 경우에 자동으로 원상복귀시킬 수 있도록 된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belt conveyor) 장치는 자동화공정의 일환으로 중량물을 또다른 작업라인으로 이송시킬 때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한 중량물을 안정되게 올려 놓고서 이송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벨트와, 이 벨트를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하는 모우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철소 등에서 광석이나 원료탄 등을 수송하는 데에 이용되는 벨트컨베이어는 노천에 설치된 상태에서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예컨대 벨트면의 진행방향이 바꾸어진 상태에서 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 텐션부(tension weight)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텐션부에는 각종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함유되면서 벨트면이 걸리게 되거나 미끄러지게 되는 사행현상(蛇行,지그재그식 이동, 비틀림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사행현상으로 인하여 이송중인 각종 원료가 낙광되거나 벨트면이 주위장치에 끼게 되어 측면이 손상되거나 또는 주위에 구비된 구조물과 벨트면이 맞물리게 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벨트컨베이어의 텐션부에서 발생되는 사행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정하기 위하여 가이드레일을 타고 상하향되는 풀리를 따라 벨트면을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텐션부의 사행방지장치는 도 1의 사시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수직부재(10)의 양측을 이루는 제1,2지지대(11,12)의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된 상부수직부재(20)가 설치되고, 이 하부수직부재(10)의 내측에는 폭방향을 따라 각각의 지지브래킷(31,31)을 매개로하여 회동가능하게 텐션풀리(30)가 설치되며, 이 텐션풀리(30)의 하측에는 하부수직부재(10)의 몸체를 하측방향으로 압착시킬 수 있도록 일정무게를 갖는 웨이트박스(4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수직부재(10)의 상측에는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제1,2회전롤러(50,60)가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광석이나 원료탄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된 컨베이어벨트(70)는 제1회전롤러(50)를 통해 텐션풀리(30)에 감겨진 상태에서 제2회전롤러(60)를 통해 장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은 웨이트박스(40)의 하중에 의하여 하부방향으로 밀리게 되는 하부수직부재(10)에 의해 조정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벨트의 텐션장치는 벨트면이 기온변화나 열화에 의하여 밀리게 되어 사행이 발생되는 경우에 정확하게 벨트면의 중심을 잡아줄 만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행현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송작업을 일시중단시킨 상태에서 복구작업을 해야만하므로 작업이 번거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사행현상을 복구하기 위한 작업시간 경과에 따른 부대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직접 고소에 구비된 작업라인에 올라간 상태에서 수리작업을 시행해야 하므로 협착사고나 낙하사고 등과 같은 치명적인 인명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텐션부의 중심이 밀리게 되어 사행이 발생된 경우에 감지센서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원상복귀시킬 수 있도록 된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방지 안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1지지대의 내측벽에는 회동핀을 매개로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가이드브래킷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브래킷의 하부면에는 텐션풀리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된 제1끼움부재가 구비된 롤러스탠드가 설치되며, 이 제2지지대의 내측벽에 상하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딩홈에는 작동하는 방향을 따라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며, 이 가이드롤러의 회전축에는 지지바를 매개로하여 제1,2관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텐션풀리의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된 제2끼움부재가 구비된 조정판가 설치된 텐션풀리지지장치와; 제1,2지지대의 내측벽에는 각각 컨베이어벨트의 방향으로 터치바가 일체로 구비된 감지브래킷이 설치되고, 이 감지브래킷의 장착돌기에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압착됨과 동시에 터치바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된 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된 감지스탠드가 설치되며, 이 감지스탠드의 채널부에는 컨베이어벨트의 이탈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된 감지롤러가 보울팅결합된 사행감지장치; 상부수직부재의 내측벽에는 고정플레이트를 매개로하여 회동가능하게 도르레가 설치되고, 이 제2지지대의 내측벽에는 구동모우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권취드럼이 설치되며, 이 권취드럼에는 텐션풀리를 상하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관통홈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르레의 외주면과 제2관통홈을 통과한 와이어가 감겨진 사행조정장치 및; 터치바와 스토퍼의 접촉신호를 받아 구동모우터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제어장치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텐션풀리에 감겨진 컨베이어벨트가 미끄러지면서 제1,2지지대에 구비된 사행감지장치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 구동모우터가 정역회전하면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가면서 자동으로 사행현상을 해제시키게 되므로, 사행발생으로 인한 설비의 파손이 미연에 예방되며, 사행현상을 해제시키기 위한 부대비용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사행해제작업 도중에 발생되는 인력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의 종동측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의 사행감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부수직부재 11,12 : 제1,2지지대
20 : 상부수직부재 30 : 텐션풀리
31,32 : 지지브래킷 40 : 웨이트박스
50,60 : 제1,2회전롤러 70 : 컨베이어벨트
111 : 회동핀 112 : 가이드브래킷
113 : 롤러스탠드 113a : 제1끼움부재
114 : 슬라이딩홈 115 : 가이드롤러
116 : 조정판 116a,116b : 제1,2관통공
121 : 터치바 122 : 감지브래킷
123 : 탄성스프링 124 : 스토퍼
125 : 감지스탠드 126 : 감지롤러
131 : 고정플레이트 132 : 도르레
133 : 구동모우터 134 : 권취드럼
135 : 와이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의 종동측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의 사행감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수직부재(10)의 양측을 이루는 제1,2지지대(11,12)의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된 상부수직부재(20)가 설치되고, 이 하부수직부재(10)의 내측에는 폭방향을 따라 각각의 지지브래킷(31,32)을 매개로하여 회동가능하게 텐션풀리(30)가 설치되며, 이 텐션풀리(30)의 하측에는 하부수직부재(10)의 몸체를 하측방향으로 압착시킬 수 있도록 일정무게를 갖는 웨이트박스(40)가 설치되고, 이 상부수직부재(10)의 상측에는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제1,2회전롤러(50,60)가 장착되며, 이 텐션풀리(30)의 외주면에는 제1회전롤러(50)를 통해 감겨진 상태에서 제2회전롤러(60)로 전달되는 컨베이어벨트(70)가 감겨진 구조로 이루어진 벨트컨베이어의 텐션부에 있어서, 제1지지대(11)의 내측벽에는 회동핀(111)을 매개로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가이드브래킷(112)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브래킷(112)의 하부면에는 텐션풀리(30)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된 제1끼움부재(113a)가 구비된 롤러스탠드(113)가 설치되며, 이 제2지지대(12)의 내측벽에 상하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딩홈(114)에는 작동하는 방향을 따라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롤러(115)가 설치되며, 이 가이드롤러(115)의 회전축에는 지지바(115a)를 매개로하여 제1,2관통공(116a,116b)이 형성됨과 동시에 텐션풀리(30)의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된 제2끼움부재(116c)가 구비된 조정판(116)가 설치된 텐션풀리지지장치와; 제1,2지지대(11,12)의 내측벽에는 각각 컨베이어벨트의 방향으로 터치바(121)가 일체로 구비된 감지브래킷(122)이 설치되고, 이 감지브래킷(122)의 장착돌기에는 탄성스프링(123)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압착됨과 동시에 터치바(121)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된 스토퍼(124)가 일체로 구비된 감지스탠드(125)가 설치되며, 이 감지스탠드(125)의 채널부에는 컨베이어벨트의 이탈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된 감지롤러(126)가 보울팅결합된 사행감지장치; 상부수직부재(20)의 내측벽에는 고정플레이트(131)를 매개로하여 회동가능하게 도르레(132)가 설치되고, 이 제2지지대(12)의 내측벽에는 구동모우터(133)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권취드럼(134)이 설치되며, 이 권취드럼(134)에는 텐션풀리(30)를 상하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관통홈(116a)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르레(132)의 외주면과 제2관통홈(116b)을 통과한 와이어(135)가 감겨진 사행조정장치 및; 구동모우터(133)에는 터치바(121)와 스토퍼(124)의 접촉신호를 입력받아 권취드럼(134)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명령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수직부재(10)는 하부측에 가로방향을 따라 일정두께의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고, 이 받침대의 양단부에는 상방향을 향하도록 된 제1,2지지대(11,12)가 일체로 부착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1,2지지대(11,12)의 선단부에는 일정크기의 홈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지지대(11,12)의 상부측에 형성된 일정크기의 홈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상부수직부재(20)의 몸체가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수직부재(20)의 몸체를 따라 하부수직부재(10)가 상하향하면서 텐션롤러(30)의 장력을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2지지대(12)의 몸체에는 내측벽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홈(114)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술하게 되면, 상기 하부수직부재(10)의 몸체를 구성하는 제1지지대(11)의 내측벽에는 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매개로하여 고정브래킷이 장착되며, 이 고정브래킷의 채널부에 회동핀(111)을 매개로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회동하게 가이드브래킷(112)이 장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브래킷(112)의 하부면에는 플레이트형상의 롤러스탠드(113)가 설치되며, 이 롤러스탠드(113)의 하부면에는 일정크기의 끼움홈이 형성된 제1끼움부재(113a)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수직부재(10)의 몸체를 구성하는 제2지지대(120)의 내측벽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된 원통형상의 가이드롤러(115)가 구비되고, 이 가이드롤러(115)의 중심축에는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된 지지바(115a)가 장착되며, 이 지지바(115a)의 장착돌기에는 플레이트형상의 조정판(116)가 나란하게 부착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조정판(116)의 몸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일정크기의 제1,2관통공(116a,116b)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정판(116)의 하부면에는 일정크기의 끼움홈이 형성된 제2끼움부재(116c)가 부착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스탠드(113)의 하부면을 따라 구비된 일정크기의 끼움홈이 형성된 제1끼움부재(113a)와 상기 조정판(116)의 하부면을 따라 구비된 일정크기의 끼움홈이 형성된 제2끼움부재(116c)의 사이에 텐션풀리(30)가 장착되어 상하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2지지대(11,12)의 내측벽에는 각각 컨베이어벨트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된 감지브래킷(122)이 고정설치되며, 이 감지브래킷(122)의 몸체에는 내측방향으로 향하도록 된 터치바(121)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지브래킷(122)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돌기에는 터치바(121)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된 스토퍼(124)가 일체로 구비된 감지스탠드(125)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스탠드(125)와 감지스탠드(122)의 장착돌기 사이에는 탄성스프링(123)이 개재되어 있으며, 이 감지스탠드(125)의 채널부에는 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매개로하여 감지롤러(126)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탄성스프링(123)은 감지롤러(126)의 몸체를 컨베이어벨트의 방향으로 압착함과 동시에 리턴시키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2지지대(12)의 상부측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플레이트형상의 고정판(131)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고정판(131)의 하부면에는 회동수단을 매개로하여 회동가능하게 도르레(132)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수직부재(10)의 제1,2지지대(11,12)의 사이 즉, 텐션풀리지지장치의 하부측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고정바(136)가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바(136)의 상면에는 구동모우터(133)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할 수 있도록 된 권취드럼(134)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135)의 일측단부는 권취드럼(134)에 고정되어 있고, 이 와이어(135)의 몸체는 지지바(116)에 형성된 제1관통공(116a)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르레(132)의 외표면에 감겨져 있으며, 타측단부는 제2관통공(116b)을 통과한 상태에서 권취드럼(134)에 감겨진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하부수직부재(10,20)에는 터치바(121)와 스토퍼(124)의 접촉신호를 받아 구동모우터(134)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제어장치(미도시)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컨베이어벨트(70)의 몸체는 제1,2회전롤러(50,60)의 하부에 구비되어 축회전하는 텐션풀리(30)에 감겨져 장력이 조절되는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상기 컨베이어벨트(70)의 몸체가 열변형이나 이물질의 유입 등으로 인하여 텐션풀리(30)의 몸체를 따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미끄러지다가 제1지지대(11)의 내측면에 구비된 감지롤러(126)에 접촉하게 된다. 즉, 이 감지롤러(126)의 후방에 구비된 스토퍼(124)와 감지브래킷(122)에 구비된 터치바(121)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124)와 터치바(121)의 접촉신호가 제어장치로 입력되면서, 이 제어장치에서는 구동모우터(133)에 작동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이 구동모우터(13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우터(133)가 회전하면서 권취드럼(134)을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게 되며, 이 권취드럼(134)에 감겨진 와이어(135)가 약간 풀어지면서 조정판(116)의 몸체를 하향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2지지대(12)의 내측벽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14)을 따라 가이드롤러(115)가 하향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115)와 동일축상에 구비된 조정판(116)이 하향되면서, 텐션풀리(30)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므로, 컨베이어벨트(70)의 위치가 전체적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서서히 사행현상이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벨트(70)의 몸체가 텐션풀리(30)의 몸체를 따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경우, 이 컨베이어벨트(70)의 우측면이 제2지지대(12)의 내측면에 구비된 감지롤러(126)의 외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물론, 상기 감지롤러(126)의 후방에 구비된 스토퍼(124)와 감지브래킷(122)에 구비된 터치바(121)가 상호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124)와 터치바(121)의 접촉신호가 제어장치로 입력되면서, 이 제어장치에서는 구동모우터(133)에 작동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이 구동모우터(13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우터(133)가 회전하면서 권취드럼(134)을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게 되며, 이 권취드럼(134)에 감겨진 와이어(135)를 약간 감게 되므로 조정판(116)의 몸체가 전체적으로 상향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지지대(12)의 내측벽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14)을 따라 가이드롤러(115)가 상향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115)와 동일축상에 구비된 조정판(116)이 상향되면서, 텐션풀리(30)의 몸체를 전체적으로 좌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므로, 컨베이어벨트(70)의 위치가 전체적으로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서서히 사행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에 의하면, 텐션풀리에 감겨진 컨베이어벨트가 미끄러지면서 제1,2지지대에 구비된 사행감지장치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 구동모우터가 정역회전하면서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가면서 자동으로 사행현상을 해제시키게 되므로, 사행발생으로 인한 설비의 파손이 미연에 예방될 뿐만 아니라 사행현상을 해제시키기 위한 부대비용이 저감되며, 사행해제작업 도중에 발생되는 인력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하부수직부재(10)의 양측을 이루는 제1,2지지대(11,12)의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된 상부수직부재(20)가 설치되고, 이 하부수직부재(10)의 내측에는 폭방향을 따라 각각의 지지브래킷(31,32)을 매개로하여 회동가능하게 텐션풀리(30)가 설치되며, 이 텐션풀리(30)의 하측에는 하부수직부재(10)의 몸체를 하측방향으로 압착시킬 수 있도록 일정무게를 갖는 웨이트박스(40)가 설치되고, 이 상부수직부재(10)의 상측에는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제1,2회전롤러(50,60)가 장착되며, 이 텐션풀리(30)의 외주면에는 제1회전롤러(50)를 통해 감겨진 상태에서 제2회전롤러(60)로 전달되는 컨베이어벨트(70)가 감겨진 구조로 이루어진 벨트컨베이어의 텐션부에 있어서,
    제1지지대(11)의 내측벽에는 회동핀(111)을 매개로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가이드브래킷(112)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브래킷(112)의 하부면에는 텐션풀리(30)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된 제1끼움부재(113a)가 구비된 롤러스탠드(113)가 설치되며, 이 제2지지대(12)의 내측벽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딩홈(114)에는 작동하는 방향을 따라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롤러(115)가 설치되며, 이 가이드롤러(115)의 회전축에는 지지바(115a)를 매개로하여 제1,2관통공(116a,116b)이 형성된 조정판(116)이 설치되고, 이 조정판(116)의 하부면에는 텐션풀리(30)의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된 제2끼움부재(116c)가 설치된 텐션풀리지지장치와;
    제1,2지지대(11,12)의 내측벽에는 각각 컨베이어벨트(70)의 방향으로 터치바(121)가 구비된 감지브래킷(122)이 설치되고, 이 감지브래킷(122)의 장착돌기에는 탄성스프링(123)의 탄성력에 의해 컨베이어벨트(70)의 방향으로 압착됨과 동시에 측면에는 터치바(121)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된 스토퍼(124)가 일체로 구비된 감지스탠드(125)가 각각 설치되며, 이 감지스탠드(125)의 채널부에는 컨베이어벨트의 이탈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된 감지롤러(126)가 각각 보울팅결합된 사행감지장치;
    상부수직부재(20)의 내측벽에는 고정플레이트(131)를 매개로하여 회동가능하게 도르레(132)가 설치되고, 이 제2지지대(12)의 내측벽에는 구동모우터(133)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권취드럼(134)이 설치되며, 이 권취드럼(134)에는 텐션풀리(30)를 상하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관통홈(116a)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르레(132)의 외주면과 제2관통홈(116b)을 통과한 와이어(135)가 감겨진 사행조정장치 및;
    구동모우터(133)에는 터치바(121)와 스토퍼(124)의 접촉신호를 입력받아 권취드럼(134)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가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
KR2019970036293U 1997-12-09 1997-12-09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 KR200262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293U KR200262975Y1 (ko) 1997-12-09 1997-12-09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293U KR200262975Y1 (ko) 1997-12-09 1997-12-09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880U true KR19990023880U (ko) 1999-07-05
KR200262975Y1 KR200262975Y1 (ko) 2002-03-09

Family

ID=5389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293U KR200262975Y1 (ko) 1997-12-09 1997-12-09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97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003B1 (ko) * 2001-11-26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편중이 방지된 리크레이머의 붐 벨트 컨베이어 웨이트장치
KR100902820B1 (ko) * 2002-08-30 2009-06-1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에서의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100920583B1 (ko) * 2002-08-21 2009-10-14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
KR101411850B1 (ko) * 2012-10-29 2014-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위치 조정용 텐션장치
KR101424433B1 (ko) * 2012-11-28 2014-08-14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CN114535816A (zh) * 2022-04-18 2022-05-27 刘琴琴 一种太阳能电池片处理装置
CN114633919A (zh) * 2022-04-11 2022-06-17 尤雨生 方便快速调整物体包装角度的自动化包装机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003B1 (ko) * 2001-11-26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편중이 방지된 리크레이머의 붐 벨트 컨베이어 웨이트장치
KR100920583B1 (ko) * 2002-08-21 2009-10-14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
KR100902820B1 (ko) * 2002-08-30 2009-06-1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에서의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101411850B1 (ko) * 2012-10-29 2014-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위치 조정용 텐션장치
KR101424433B1 (ko) * 2012-11-28 2014-08-14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원료 이송장치
CN114633919A (zh) * 2022-04-11 2022-06-17 尤雨生 方便快速调整物体包装角度的自动化包装机
CN114633919B (zh) * 2022-04-11 2024-05-03 济南泉华包装制品有限公司 方便快速调整物体包装角度的自动化包装机
CN114535816A (zh) * 2022-04-18 2022-05-27 刘琴琴 一种太阳能电池片处理装置
CN114535816B (zh) * 2022-04-18 2023-12-12 国电投新能源科技(龙港)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片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975Y1 (ko) 200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5021B1 (en) Continuous web supply apparatus
KR200262975Y1 (ko)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
US8186504B2 (en) Curved belt conveyor
NZ531595A (en) Crinkling device
KR20030054514A (ko) 벨트콘베어 장력 및 사행 자동 조정장치
KR100323060B1 (ko) 컨베어 벨트의 사행방지 안내장치
JP4857990B2 (ja) 仕分け設備
KR100503027B1 (ko) 컨베이어 벨트의 텐션조정 감지장치
US5405100A (en) Belt let-off assembly
JP4761889B2 (ja) ワーク搬送装置
KR200302666Y1 (ko) 벨트컨베이어 텐션웨이트의 사행조정장치
KR100748121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수송물 떨어짐 검출장치
KR19990013570U (ko)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
KR20120059155A (ko) 벨트콘베이어의 벨트 밀림 방지장치
KR19990013555U (ko) 슈트하부 벨트 절손 감지장치
KR101118295B1 (ko) 양방향 밸트컨베이어의 밸트 사행 조정장치
KR200352834Y1 (ko)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장치
JP3649012B2 (ja) ベルト式動く歩道の蛇行検出装置
JPH08216363A (ja) 自動紙通し装置のウェブ送り装置
KR101605230B1 (ko) 텐션 웨이트 균형조절 장치
JP2676129B2 (ja) 延反機に於ける解反装置
KR0123910Y1 (ko)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위치 제어장치
KR200218393Y1 (ko) 벨트콘베이어의 벨트파손 감지장치
JP3408055B2 (ja) 定着装置
JP5023044B2 (ja) 乗客コンベアのチェーンたるみ量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