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583B1 -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583B1
KR100920583B1 KR1020020049499A KR20020049499A KR100920583B1 KR 100920583 B1 KR100920583 B1 KR 100920583B1 KR 1020020049499 A KR1020020049499 A KR 1020020049499A KR 20020049499 A KR20020049499 A KR 20020049499A KR 100920583 B1 KR100920583 B1 KR 100920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ignal
raw material
transport belt
dev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435A (ko
Inventor
하동호
이홍석
김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49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58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01L5/1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using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트 콘베이어의 기동시 수송밸트 장력을 검출해 이상징후가 검출되면 기동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송밸트 폭방향 양단의 장력을 검출하여 편하중이 감지되면 대차 및 수송밸트를 정지시킴으로서 설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대차 및 수송밸트를 포함하고 수송밸트의 양단에서 장력을 검출하며 제어신호에 따라 대차 및 수송밸트가 동작하는 원료 수송장치; 상기 원료 수송장치로부터 수송밸트의 양단에서 검출된 장력신호를 입력받아 두 장력의 합산된 신호를 힘의 중량치로 변환시키고, 상기 두 장력의 편차 및 합산된 중량에 따라 상기 원료 수송장치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며, 고장 여부 판단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원료 수송장치와 고장 여부 및 힘의 중량치를 화면표시하는 장치로 출력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따라 고장 여부 및 힘의 중량치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대차, 수송밸트, 장력신호, 시브, 중량지시계, 신호처리기

Description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ING AND DETECTING TENSION OF TRANSPORT UNIT OF ORE}
도1a, 도1b는 종래 원료 수송장치의 구성도 및 그 구성개략도이다.
도2는 종래 원료 수송장치 및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3은 도2의 장력검출기의 신호 결선도이다.
도4a, 도4b는 본 발명의 원료 수송장치의 구성도 및 그 구성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원료 수송장치 및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6은 도5의 장력검출기의 신호 결선도이다.
도7은 도5의 원료 수송장치 및 제어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장력검출기 9a,9b: 시브
100: 원료 수송장치 200: 제어장치
210: 신호분리기 230: 신호처리기
231: 제로/스판 보정부 232: 장력환산부
233: 중량비교부 234: 편차검출부
235: 편차비교부 300: 표시장치
본 발명은 밸트 콘베이어의 기동시 수송밸트 장력을 검출해 이상징후가 검출되면 기동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송밸트 폭 방향 양단의 장력을 검출하여 편하중이 감지되면 대차 및 수송밸트를 정지시킴으로써 설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료 수송장치는 야적장의 원료를 작업장으로 운반하는 장치로서, 이는 레일을 따라 전후로 움직이는 대차와, 드럼 모양으로 대차의 가로축과 평행하여 회전하는 와이어드럼에 와이어루프가 감기는 정도에 의해 장력이 조절되는 수송밸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수송밸트는 대차 위에 가로로 놓인 롤을 따라 회전한다.
도1a, 도1b는 종래 원료 수송장치(50)의 구성도 및 그 구성개략도로서, 도1a, 도1b를 참조하면, 대차(2) 및 와이어드럼(4)에는 각각 시브(9a,9b,9a-1,9a-2,9a-3,9b-1,9b-2,9b-3)가 부착되어 있으며, 와이어루프(5,6)는 시브(9a,9b,9a-1, 9a-2,9a-3,9b-1,9b-2,9b-3)의 홈에 걸려 대차(2)와 와이어드럼(4)을 연결하고, 회전하는 와이어드럼(4)에 감기는 정도에 따라 수송밸트(1)의 장력을 조절하며, 장력검출기(3)는 상기 와이어드럼(4)의 중앙에 위치해 상기 수송밸트(1)의 장력을 검출한다.
도2는 종래 원료 수송장치 및 그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대차(2) 및 수송밸트(1)를 포함하며 수송밸트(1)의 장력을 검출하며 제어에 따라 대차(2) 및 수송밸트가 동작하는 원료 수송장치(50)와, 상기 원료 수송장치(50)에서 검출된 장력을 신호변환하여 설정치와 비교한 값에 따라 상기 원료 수송장치(50)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수송밸트(1)의 장력을 화면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60)와, 상기 제어장치 (60)의 제어에 따라 장력을 중량으로 표시하는 중량지시계(71)를 갖는 표시장치 (70)를 포함한다.
상기 원료 수송장치(50)의 장력검출기(3)에서 검출된 수송밸트(1)의 장력은 상기 제어장치(60)의 신호변환기(61)로 입력되어 전압신호로 변환되는데, 이를 장력검출기(3)와 신호변환기(61)와의 신호결선도를 나타낸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장력검출기(3)에 정전압(3-2)이 가해지면, 장력검출기(3)에서 검출된 수송밸트의 장력은 장력신호(3-1)로서 제어장치(60)의 신호변환기(61)에 입력된다. 상기 신호변환기(61)는 입력된 장력신호(3-1)를 힘의 중량치로 환산하여 신호처리기(62)로 출력한다. 상기 신호처리기(62)는 힘의 중량치를 운전자가 알아볼 수 있도록 표시장치(70)로 출력하며, 상기 힘의 중량치는 중량지시계(71)에 중량(%)치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기(62)에서 장력신호(3-1)는 설정된 중량설정치 최저치(17), 중간치(18) 및 최고치(19)와 각각 비교되어 원료 수송장치(50)의 동작신호로서 PLC(63)로 전송되고, 상기 장력신호(3-1)가 최저치(17) 또는 최고치(19)인 경우, 대차(2) 및 수송밸트(1)는 정지되고, 반면에 상기 장력신호(3-1)가 중간치(18)인 경우, 대차(2) 및 수송밸트(1)는 정상 운전된다. 따라서, 상기 장력신호(3-1)와 중량설정치에 따른 원료 수송장치(50)의 동작신 호는 PLC(63)로 전송되며, 이때, 상기 PLC(63)는 상기 동작신호에 의해 원료 수송장치(50)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러나 종래 적용되고 있는 원료 수송장치(50)에서, 시브(9a,9b)가 대차(2)의 중심에 집중되어 있어 대차의 편심력이 발생되어 대차의 주행이 불안정하게 된다. 여기서 대차(2) 중심에 위치한 시브(9a,9b)의 간격은 수학식1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30L : 24L = 1 : 3.35
1 ÷3.35 = 0.29
또한, 대차(2)의 중심부에 장력검출기(3)가 하나 설치되어 있어, 와이어루프 (5,6)가 소손이 될 경우 장력검출기(3)는 정확한 장력을 검출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상기 와이어루프(5,6) 꼬임시에도 장력검출기(3)의 장력 검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실제 장력보다 낮게 검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과부하에 의한 대차(2)의 이탈, 풀리 베어링의 파손 및 수송밸트(1)의 손상과 같은 대형 설비사고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수송밸트 양단의 장력을 검출한 장력신호에 따라 설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이 고장 여부에 따라 대차 및 수송밸트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대형 설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대차 및 수송밸트를 포함하고 수송밸트의 양단에서 장력을 검출하며 제어신호에 따라 대차 및 수송밸트가 동작하는 원료 수송장치; 상기 원료 수송장치로부터 수송밸트의 양단에서 검출된 장력신호를 입력받아 두 장력의 합산된 신호를 힘의 중량치로 변환시키며, 두 장력의 편차 및 합산된 중량에 따라 상기 원료 수송장치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따른 결과 정보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의 결과 정보에 따라 상기 원료 수송장치의 고장 여부 및 힘의 중량치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원료 수송장치 및 그 제어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대차(2) 및 수송밸트(1)를 포함하고 수송밸트(1)의 양단에서 장력을 검출하며 제어신호에 따라 대차(2) 및 수송밸트(1)가 동작하는 원료 수송장치(100)와, 상기 원료 수송장치(100)로부터 수송밸트(1)의 양단에서 검출된 장력신호를 입력받아 두 장력의 합산된 신호를 힘의 중량치로 변환시키며, 상기 두 장력의 편차 및 합산된 중량에 따라 상기 원료 수송장치(1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원료 수송장치(10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고장 여부 및 힘의 중량치의 화면표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00)와, 상기 제어장치(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고장 여부 및 힘의 중량치를 표시하는 표시장치(300)로 이루어진다.
도4a, 도4b는 본 발명의 원료 수송장치의 구성도 및 그 구성개략도로서, 상기 원료 수송장치(100)는 야적된 원료를 따라 놓여진 레일 위를 원료를 불출하는 위치별로 움직이는 대차(2)와, 상기 대차(2) 위에서 가로로 놓여진 회전축에 감겨 구동되는 벨트 위에 불출된 원료가 올려져 원료를 작업장으로 이송시키는 수송밸트(1)와, 상기 대차(2) 및 와이어드럼(4)에 각각 부착되어 와이어루프(5,6)가 홈에 걸려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시브(9a,9b,9a-1,9a-2,9b-1,9b-2)와, 상기 시브(9a,9b,9a-1, 9a-2,9b-1,9b-2)에 걸려 상기 와이어드럼(4)이 회전시 감기는 정도에 따라 상기 대차(2) 및 수송밸트(1)의 장력을 제어하는 와이어루프(5,6)와, 드럼 모양의 통이 상기 대차(2)의 가로축과 평행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루프(5,6)를 풀었다 감았다 하며, 상기 와이어루프(5,6)가 감기는 정도에 따라 상기 대차(2) 및 수송밸트(1)의 장력을 조절하는 와이어드럼(4)과, 상기 와이어드럼(4)의 양단에 각각 부착되어 상기 수송밸트(1)의 양단 장력을 각각 검출하여 전압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양단 장력검출기(3,1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양단 장력검출기(3,10) 각각에 의해 검출된 장력신호와, 상기 장력검출기의 양단 장력신호를 합산한 장력합산신호를 제공하는 신호분리기(210)와, 상기 신호분리기(210)의 장력합산신호의 단위를 변환시키는, 즉, 장력합산신호가 미리볼트라면 볼트로 변환시키는 신호변환기(220)와, 상기 신호변환기(220)의 장력합산신호 및 양단 장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원료 수송장치(1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결과에 다른 제어신호 및 판단결과정보를 제공하는 신호처리기(230)와, 상기 신호처리기(230)와 표시장치(300)를 연결하며 상기 신호처리기(23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대차 및 수송밸트(1)의 동작을 제어하는 PLC(240)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처리기(230)는 상기 양단의 장력신호 및 장력합산신호가 입력되어 장력검출기(3,10)의 이상검출 및 편하중을 사전에 검출하는 제로/스판 보정부(231)와, 상기 제로/스판 보정부(231)를 거친 상기 장력합산신호를 힘의 중량치로 환산하는 장력환산부(232)와, 상기 장력환산부(232)의 중량치를 중량설정치 최저치 (41), 중간치(42), 최고치(43)와 각각 비교하여, 상기 힘의 중량치가 최저치(42)이거나 최고치(43)이면 대차(2) 및 수송밸트(1)를 정지시키는 고장신호를, 상기 힘의 중량치가 중간치(42)이면 대차 및 수송밸트를 정상운행시키는 신호를 상기 PLC(240) 및 표시장치(300)로 제공하는 중량비교부(233)와, 상기 제로/스판 보정부 (231)를 거친 양단 장력신호의 편차를 검출하는 편차검출부(234)와, 상기 편차검출부(234)에 의해 검출된 편차를 편차설정치와 비교해, 상기 편차설정치 이상이면 대차(2) 및 수송밸트(1)를 정지시키는 고장신호를 상기 PLC(240) 및 표시장치(300)로 제공하는 편차비교부(235)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장치(300)는 상기 제어장치(200)의 출력신호를 받아 운전자가 상기 수송밸트(1)의 장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현장에도 설치가능한 중량지시계(310)와, 상기 제어장치(20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원료 수송장치(100)의 고장 여부를 표시하는 고장신호기(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원료 수송장치(100)는, 종래 대차(2)의 중심에 집중되어 있던 시브(9a,9b)의 간격으로 인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브(9a,9b)의 간격을 넓혔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와이어드럼(4)의 양단에 위치한 시브(9a,9b)의 간격은 수학식2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210L : 24L = 1 : 1.29
1 ÷1.29 = 0,77
상기 비례수치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시브(9a,9b) 간격은 종래 시브(9a,9b)간격에 비해 대략 2.7배(0.77/0.29)로 벌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장력검출기(3,10)를 상기 와이어드럼(4)의 양단으로 분리 설치하여 양단 장력검출기(3,10)에서 각각 상기 수송밸트(1)의 장력을 검출한다. 상기 검출된 장력은 장력검출기(3,10)에서 전압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신호분리기(210)로 입력된다.
상기 신호분리기(210)의 동작은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장력검출기(3,10)에 일정한 정전압이 가해지면 수송밸트(1)의 양단 장력신호가 상기 신호분리기(210)로 제공된다. 상기 신호분리기(210)에서 상기 양단 장력신호는 각각 제1증폭기(IC1) 및 제2증폭기(IC2)로 입력된다. 상기 장력신호는 상기 제1,2증폭기 (IC1,IC2)를 통해 증폭 후단에서 병렬로 인출되어 서로간의 신호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며, 상기 제1,2증폭기(IC1,IC2)의 저항값(R1,R2,R3,R4)은 증폭율이 1이 되는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며, 병렬로 인출된 장력신호는 제3,4증폭기(IC3,IC4) 및 제5 증폭기(IC5)로 출력된다. 상기 제1,2증폭기(IC3,IC4)의 양단 장력신호는 상기 제3,4증폭기(IC3,IC4)를 통해 편차를 검출할 수 있는 표준신호로 증폭되며, 이때 저항값(R7,R11)은 증폭가능한 저항값을 가지며, 상기 제3,4증폭기(IC3,IC4)의 증폭된 장력신호는 신호처리기(230)로 입력된다. 또한, 제1,2증폭기(IC1,IC2)의 양단 장력신호는 제5증폭기(IC5)를 통해 합산되어 장력합산신호로 출력되는데, 이때 저항값은 비례식 R14 = R15 = 2 * R13 을 만족해야 하며, 상기 제5증폭기(IC5)의 장력합산신호는 신호변환기(220)로 입력된다.
상기 제3,4증폭기(IC3,IC4)의 장력신호는 상기 신호처리기(230)로 입력되며, 상기 제5증폭기(IC5)의 장력합산신호는 신호변환기(220)에서 단위가 변환되어 상기 신호처리기(230)로 입력된다. 상기 양단 장력신호와 장력합산신호는 상기 신호처리기(230)의 제로/스판 보정부(231)로 입력되어 장력검출기의 이상검출 및 편하중을 사전에 검출하는 제로/스판 보정을 거친다. 상기 제로/스판보정을 거친 장력합산신호는 장력환산부(232)로 입력되어 힘의 중량치로 환산되어 중량비교부 (233)로 전송된다. 상기 중량비교부(233)에서 힘의 중량치는 원료 수송장치(100)의 고장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미리 설정해 둔 중량설정치 최저치(41), 중간치(42) 및 최고치(43)와 각각 비교된다. 상기 힘의 중량치가 최저치(41)이거나 최고치(43)이면, 대차(2) 및 수송밸트(1)가 정지되는 신호를, 상기 힘의 중량치가 중간치(42)이면, 대차(2) 및 수송밸트(1)가 정상운행되는 신호를 상기 PLC(240) 및 표시장치 (3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로/스판 보정부(231)를 거친 양단 장력신호는 편차검출부 (234)로 입력되어 두 신호 사이의 편차가 검출된다. 상기 검출된 편차는 편차비교부(235)로 입력되어 편차설정치와 비교되는데, 이는 상기 원료 수송장치(100)의 고장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편차가 편차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수송밸트(1)는 한쪽으로 중량이 치우치는 과다한 편하중이 발생된 것이거나, 양단 장력검출기가 오동작된 것이다. 이런 경우 대차의 이탈 및 대차 바퀴의 이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차(2) 및 수송밸트(1)가 정지되는 고장신호를 상기 PLC(240)로 제공한다.
상기 PLC(240)는 상기 신호처리기(2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대차(2) 및 수송밸트(1)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중량비교부(233) 및 편차비교부(235) 어느 한 곳에서 고장신호가 입력되면 대차(2) 및 수송밸트(1)를 정지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 수송장치 및 제어장치의 동작 과정을 도7을 참조하여 다시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드럼(4) 양단에 장착된 장력검출기 (3,10)에서 각각 장력신호를 검출하여(S101) 상기 신호분리기(210)로 입력한다. 상기 신호분리기(210)는 각각 장력신호를 입력받아 양단 장력신호 및 상기 양단 장력신호를 합산한 장력합산신호로 제공한다(S102). 상기 장력합산신호는 상기 신호변환기(220)에서 단위가 변환되어(S103), 상기 신호처리기(230)의 제로/스판 보정부(231)로 입력된 후 제로/스판 보정 거친 후(S104), 상기 장력환산부(232)로 제공된다. 상기 장력환산부(232)에서 상기 장력합산신호는 힘의 중량(%)치로 환산되는데(S105), 상기 힘의 중량치는 상기 중량비교부(233)로 입력되어 설정된 중량설정치 최저치(41), 중간치(42), 최고치(43)와 각각 비교된다(S106). 상기 힘의 중 량치가 중간치(42)인 경우(S107), 장치는 정상운행되며, 상기 힘의 중량치가 최저치(41)나 최고치(43)인 경우(S108), 상기 대차(2) 및 수송밸트(1)는 정지되며 (S109), 상기 표시장치(300)의 고장신호기(320)의 램프는 온된다(S110). 이로 인해 운전자는 설비의 고장을 감지한다.
상기 신호분리기(210)의 양단 장력신호는 상기 신호처리기(230)의 제로/스판 보정부(231)에 입력되어 각각 제로/스판 보정을 거친 후(S201), 편차검출부(234)에서 두 장력신호 사이의 편차가 검출된다(S202). 상기 편차는 상기 편차비교부(235)에 설정된 편차설정치와 비교되는데(S203), 편차가 편차설정치 이상이면(S204), 상기 대차(2) 및 수송밸트(1)는 정지되고(S205), 상기 표시장치(300)의 고장신호기 (320)의 램프는 온된다(S206). 이로 인해 운전자는 설비의 고장을 감지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는, 수송밸트 양단에서 수송밸트의 장력을 검출하여, 장력을 검출하는 기기 자체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뿐만 아니라, 수송밸트의 장력에 따른 장치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원료 수송장치, 즉 대차 및 수송밸트를 제어함으로써, 장력검출기의 고장, 수송밸트의 과부하 및 와이어루프의 소손으로 인하여 발생되던 대형 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드럼 모양으로 대차의 가로축과 평행하여 회전하는 와이어드럼에 와이어루프가 감기는 정도에 의해 대차 및 수송밸트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야적장의 원료를 작업장으로 운반하는 장치에 있어서,
    대차 및 수송밸트를 포함하고 수송밸트의 양단에서 장력을 검출하며 제어신호에 따라 대차 및 수송밸트가 동작하는 원료 수송장치;
    상기 원료 수송장치로부터 수송밸트의 양단에서 검출된 장력신호를 입력받아 두 장력의 합산된 신호를 힘의 중량치로 변환시키며, 두 장력의 편차 및 합산된 중량에 따라 상기 원료 수송장치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며, 이 판단 결과에 따른 결과 정보 및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의 결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
    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양단의 장력검출기에서 검출된 장력신호를 양단 장력신호와 장력합산신호로 분리하는 신호분리기;
    상기 신호분리기에 의한 장력합산신호의 단위를 변환시키는 신호변환기;
    상기 신호변환기로부터 양단 장력신호 및 장력합산신호를 입력받아 제로/스판 보정을 거쳐, 양단 장력신호의 편차를 검출해 편차설정치와 비교한 값과, 상기 장력합산신호를 힘의 중량치로 환산해 중량설정치와 비교한 값에 따라 상기 원료 수송장치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원료 수송장치의 고장 여부가 결정된 제어신호를 PLC 및 표시장치로 제공하는 신호처리기;
    상기 신호처리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대차 및 수송밸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PL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수송장치는,
    수송밸트의 장력을 검출하고 상기 와이어드럼의 양단에 설치된 장력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분리기는,
    상기 양단 장력검출기 중 하나의 장력검출기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는 제1증폭기;
    상기 양단 장력검출기 중 나머지 장력검출기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는 제2증폭기;
    상기 제1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입력단과 상기 신호처리기와 연결되는 출력단을 갖는 제3증폭기;
    상기 제2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된 입력단과 상기 신호처리기와 연결되는 출력단을 갖는 제4증폭기;
    상기 제1증폭기의 출력단과 제2증폭기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입력단과, 상기 신호변환기에 연결되는 출력단을 갖는 제5증폭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기는,
    상기 양단 장력신호 및 장력합산신호를 입력받고,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장력검출기의 이상검출 및 편하중을 사전에 검출하는 제로/스판 보정부;
    상기 제로/스판 보정부를 거친 상기 장력합산신호를 힘의 중량치로 환산하는 장력환산부;
    상기 장력환산부의 중량치를 중량설정치(최저치, 중간치, 최고치)와 각각 비교하여, 상기 힘의 중량치가 최저치이거나 최고치이면 대차 및 수송밸트를 정지시키는 고장신호를, 상기 힘의 중량치가 중간치이면 대차 및 수송밸트를 정상운행시키는 신호를 상기 PLC 및 표시부로 제공하는 중량비교부;
    상기 제로/스판 보정부를 거친 양단 장력신호의 편차를 검출하는 편차검출부;
    상기 편차검출부의 편차를 편차설정치와 비교해, 상기 편차설정치 이상이면 대차 및 수송밸트를 정지시키는 고장신호를 상기 PLC 및 표시부로 제공하는 편차비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
KR1020020049499A 2002-08-21 2002-08-21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 KR100920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499A KR100920583B1 (ko) 2002-08-21 2002-08-21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499A KR100920583B1 (ko) 2002-08-21 2002-08-21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435A KR20040017435A (ko) 2004-02-27
KR100920583B1 true KR100920583B1 (ko) 2009-10-14

Family

ID=3732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499A KR100920583B1 (ko) 2002-08-21 2002-08-21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052B1 (ko) * 2015-06-30 2017-04-12 주식회사 포스코 케이블 와인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송대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838A (ko) * 1991-08-22 1993-03-23 윤상진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물체의 장력 제어 방법
KR19990023880U (ko) * 1997-12-09 1999-07-05 이구택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
KR200176908Y1 (ko) * 1999-11-01 2000-04-15 김중권 장력 계량 메타
KR200268215Y1 (ko) * 2001-12-26 2002-03-15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 자동 사행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838A (ko) * 1991-08-22 1993-03-23 윤상진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물체의 장력 제어 방법
KR19990023880U (ko) * 1997-12-09 1999-07-05 이구택 벨트컨베이어 텐션부의 사행조정장치
KR200176908Y1 (ko) * 1999-11-01 2000-04-15 김중권 장력 계량 메타
KR200268215Y1 (ko) * 2001-12-26 2002-03-15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 자동 사행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435A (ko) 200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7384B2 (en) Method and an arrangement in condition monitoring of an elevator rope
EP1931583B1 (en) Conveyor belt monitoring
EP2749521A2 (en) A method and an arrangement in rope condition monitoring of an elevator
JP5270404B2 (ja) ワイヤロープ寿命管理装置および方法
US10974935B2 (en) Drum-type conveying installation with cable-monitoring device
US6536615B2 (en) Load moment indicator of crane
FI74685B (fi) Anordning foer indikering av slack pao rep.
DE202015001024U1 (de) Kran mit Überwachungsvorrichtung zum Überwachen der Überlastsicherung
CN102431896A (zh) 起重机载荷检测的方法、装置和系统以及起重机
JP2005533734A (ja) クレーン設備、特にコンテナクレーン
KR100920583B1 (ko) 원료 수송장치의 장력 검출 및 제어장치
KR101117109B1 (ko) 건축용 리프트 및 그 제어방법.
KR100856301B1 (ko) 벨트컨베어 설비의 운반물 비정상 수송 감시장치
JP4828215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20220166916A (ko) 침사 및 협잡물 스킵 호이스트
JP7346354B2 (ja) ワイヤロープ監視装置およびクレーンシステム
CN114096474A (zh) 具有称重传感器的升降机
KR200243959Y1 (ko) 텐션카보호장치
CN106660765A (zh) 检测链条中的磨损链节的方法及升降装置
CN110155904B (zh) 升降机和升降机钢丝绳张力消减控制方法
JPS58220085A (ja) クレ−ンの荷重検出装置
WO2022096978A1 (en) Towing wire rupture detection device using magnetic induction and remote control
JPH08337393A (ja) 動索ワイヤロープの寿命判定方法および装置
JP4113278B2 (ja) 作業機のモーメント演算装置
CN114083695A (zh) 提升装置、搅拌站及提升装置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