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696A - 연료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696A
KR19990023696A KR1019980033587A KR19980033587A KR19990023696A KR 19990023696 A KR19990023696 A KR 19990023696A KR 1019980033587 A KR1019980033587 A KR 1019980033587A KR 19980033587 A KR19980033587 A KR 19980033587A KR 19990023696 A KR19990023696 A KR 19990023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jection
mixing pipe
nozz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롤프 피셔켈러
우베 리스코브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19990023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69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2Feeding by means of suction apparatus, e.g. by air flow through carburettors
    • F02M37/025Feeding by means of a liquid fuel-driven jet pu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98Pivoted valves
    • Y10T137/7903Weight bia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 Of The Air-Fuel Ratio Of Carburetors (AREA)

Abstract

내연 기관에 정류 용기(14)와, 정류 용기(14)로부터 이송시키는 연료 펌프(20)와, 연료 저장 탱크(11) 내에 배치된 분사 펌프(15)를 구비하고, 상기 분사 펌프가 연료를 복귀시키도록 안내하는 리턴 파이프(13)와 연결되어 있고, 연료를 펌프에 의해 연료 저장 탱크(11)로부터 정류 용기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연료 저장 탱크(11)로부터 내연 기관으로의 연료 이송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정류 용기의 일정한 충전을 보장하기 위해 반동식 덮개판이 배치되며, 상기 덮개는 기존 분사 펌프(15)가 작동할 경우에 분사 펌프(15)의 혼합 파이프(17) 출구를 밀폐시킬 수 있게 장착되고, 기존 분사 펌프(15)가 작동할 경우에 분사 펌프(15)로부터 정류 용기(14)로 이송시키는 혼합 파이프 출구(171)의 연료 충전선에 의해 전향하여 선회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 이송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의 연료 저장 탱크로부터 내연 기관으로의 연료 이송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공지된 연료 이송 장치(제DE 42 24 981 A1호)에서는 정류 용기로 귀환하는 이송 파이프의 연료가 반동식 밸브 바로 앞에서 연료의 진행 방향으로 분기되고 분사 펌프의 리턴 파이프를 거쳐 안내되는데, 이 때 분사 펌프는 용기 저면 가까이에 있는 정류 용기의 용기벽을 관통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공지된 연료 이송 장치(제DE 44 26 667 A1호)에서는 내연 기관의 리턴 파이프가 소모시키지 못한 연료를 연료 저장 탱크로 재유입시키고, 이런 장치 내에 분사 펌프의 분사 노즐을 공급한다. 분사 펌프의 혼합 파이프는 정류 용기의 용기벽과 일체로 배치되고 용기 저면 가까이로 오도록 제작되는데, 혼합 파이프의 출구는 용기벽의 내측과 나란히 정렬 배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동식 덮개판을 분사 펌프의 차단시에 정류 용기 내 연료로부터 발생하는 유체 압력하에 있는 혼합 파이프 출구 상에 장착하여 이 혼합 파이프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밀폐시키는 데 효과적인 연료 이송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연료 저장 탱크에 연결된 연료 이송 장치와 연료 저장 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하는 내연 기관의 도식적인 도면.
도2는 도1에서의 절결 부분 II의 확대도.
도3은 반동식 덮개판이 밀폐된 경우에 도2에서의 절결 부분 III의 확대도.
도4는 도3에서의 지시선 IV에 의한 단면도.
도5는 도2에서의 분사 펌프의 혼합 파이프용 충돌 부재의 측면도.
도6은 도5에서의 지시선 VI에 의한 단면도.
도7은 변경된 분사 펌프 및 밀폐된 반동식 덮개판을 갖추고 있는, 도2와 유사한 단면도.
도8은 도7에서의 분사 펌프의 절결 부분을 도시한 확대도.
도9는 각각의 경우가 도8에서와 동일한 단면도.
도10은 제2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연 기관 11 : 연료 저장 탱크
12 : 이송 파이프 13 : 리턴 파이프
14 : 정류 용기 15 : 분사 펌프
16 : 분사 노즐 17 : 혼합 파이프
22 : 반동식 덮개판 23 : 밀폐 부재
24 : 직각 레버 26 : 지지 웨브
30 : 지지 후크 31, 32 : 후크 레그
35, 36 : 편향체
이렇게 하여, 정류 용기는 내연 기관이 휴지하고 있는 동안에 연료가 충전된 상태로 있게 되고, 분사 펌프가 연료 귀환 현상이 미흡하여 연료를 이송시키기에 힘든 내연 기관 기동의 경우에 이송 펌프는 연료 저장 탱크의 충전 미달 상태에서도 흡입을 정류 용기 내에서 최적의 상태로 있게 하도록 한다. 분사 펌프가 재작동하면, 분사 노즐로부터 나오는 연료와 연료 저장 탱크로부터 분사 작용을 거쳐 분출되어 나오는 연료로 혼합되는, 혼합 파이프 출구 상에 있는 분사 펌프의 연료 충전 분사에 의해 반동식 덮개판이 선회되고, 선회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우선 내연 기관이 휴지되어 있을 때, 그리고 이와 연결되는 분사 펌프의 비작동에 의해서 반동식 덮개판이 다시 혼합 파이프 출구 상에 장착되어 정류 용기를 기밀 상태로 밀폐시킨다.
청구항 1에 제시한 연료 이송을 위한 장치의 또 다른 양호한 구성 및 개선은 다른 청구항에 기재된 해결책에 의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반동식 덮개판이 혼합 파이프 출구 위에 위치한 밀폐 부재와 밀폐 부재가 지지하는 직각 레버에 의해 매우 용이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는데, 이 직각 레버는 그 밀폐 부재를 멀리하는 정류 용기 내의 레버 단부 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밀폐 부재는 탄성재로 된 접시형이나 종 모양의 뚜껑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뚜껑은 탄성재의 뚜껑 테두리에 의해 혼합 파이프의 환형 단부면 상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형태에 따르면, 분사 펌프에 있어서는 분사 노즐로부터 고속으로 분출하는 연료 분사가 반동식 덮개판 상에 직접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 연료 저장 탱크에서 연료의 충전 상태가 낮을 경우, 분사 펌프의 흡입 개구부는 차량의 커브 주행 또는 경사 주행으로 인해 연료 저장 탱크의 연료가 출렁거리는 소리를 낼 때에 일시적으로 잠겨 버리는 경향이 있는데, 분사 노즐로부터 나오는 연료 분사(본 명세서에서는 자유 분사라함)는 그 에너지를 흡입 개구부의 영역상에서 혼합 파이프 앞의 연료로 방출시킬 수 없기 때문에 연료 저장 탱크의 연료를 더 이상 이송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에너지가 충분한 자유 분사는 반동식 덮개판에 부딪쳐서 이 덮개판을 개방하여 유지시키기 때문에 정류 용기로의 연료 이송을 중단할 경우에 정류 용기는 개방된 반동식 덮개판에 의해 혼합 파이프를 거쳐 연료가 전무한 상태로 됨으로써 내연 기관으로의 연료 이송을 중단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수단은 반동식 덮개판으로부터 자유 분사를 차단함으로써, (흡입 펌프가 연료를 주입하자 마자) 이 덮개판이 불충분한 연료 작용으로 인해 폐쇄되고 연료가 출렁거릴 때에는 정류 용기를 충전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형태를 따르면, 이렇게 제안된 수단은 혼합 파이프에서 중앙에 배치된 충돌 부재에 의해 특히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고, 그 충돌 부재의 직경은 자유 분사의 분사 횡단면보다 다소 크다. 이로써, 자유 분사는 반동식 덮개판에 대해 직접 충격을 주는 것을 차단하지만, 연료가 잠긴 연료 펌프에서 나타나는 연료 충전 분사 현상은 아니고, 그 분사 횡단면이 혼합 파이프의 내부 횡단면에 일치하고 이로써 충돌 부재 상을 지나 갈 뿐이다.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연료 충전 분사에 의해 반동식 덮개판은 혼합 파이프로부터 제거되고, 연료 펌프 작용은 분사 펌프에 의해 연료 저장 탱크로부터 정류 용기로 어떤 장애도 없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형태를 따르면, 충돌 부재는 혼합 파이프가 직경으로 관통하는 지지 웨브에 고착시키고, 이 웨브는 혼합 파이프와 일체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혼합 파이프 내로 분리 삽입되게 한 U자형 지지 후크의 요크(yoke)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의 형태를 따르면, 충돌 부재는 분사 노즐로 제공하는 볼록한 표면이 있는 반구 또는 반쪽 접시로서, 분사 노즐에 제공하는 원추끝이 있는 원추로서, 또는 디스크나 판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의 형태를 따르면, 자유 분사를 반동식 덮개판으로부터 제거시키는 수단은 분사 노즐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편향체를 제공하고, 이 편향체는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나오는 노즐축의 자유 분사를 노즐축이 혼합 파이프의 내벽에 접하도록 편향시킨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의 형태를 따르면, 편향체는 분사 노즐의 중앙에 위치한 노즐 구멍에 삽입되어 원추 외부면 형태로 전개되는 자유 분사가 발생하거나, 또는 복수 편향체가 분사 노즐의 중앙에 위치한 노즐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자유 분사는 복수의 부분 분사부로 갈라지게 되고, 이 부분 분사부는 노즐 구멍으로부터 분출되어 나오는 원추 외부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마지막 실시예로, 편향체는 분사 노즐의 노즐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고, 구멍으로부터 노즐 부재 단부면 상에 있는 노즐 부재에 형성하며, 이와 같은 구멍은 노즐축에 대해 매우 예리한 각으로 연장하여 중앙 위치한 노즐 구멍에 이른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형태를 따르면, 혼합 파이프 출구 근처의 혼합 파이프에는 내부로 돌출하는 반경 방향의 환형 파이프 레지(ledge)가 마련되고, 혼합 파이프 및 분사 노즐의 배치는 자유 분사나 자유 분사의 각각의 부분 분사부가 파이프 레지 상에 부딪치도록 한다. 자유 분사의 에너지는 이로써 파이프 레지 상에서 소멸되고 또한 편향하여 혼합 파이프 내벽의 축소된 범위에서 반동식 덮개판에 대해 작용을 일으키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도면상 나타난 실시예를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게 될 것이다.
도1은 차량의 내연 기관(10)을 기본적으로 단순화시켜 도시한 것으로 연료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물(12)에 의해 연료 저장 탱크(11)로부터 연료가 공급된다.
연료 공급은 연료 저장 탱크(11)로부터 내연 기관(10)으로 안내하는 이송 파이프(12)에 의해 행해진다. 내연 기관에서 사용되지 않은 연료가 리턴 파이프(13)에 의해 다시 연료 저장 탱크(11)로 흘러 들어 간다. 연료 저장 탱크(11)에는 정류 용기(14)가 배치되고, 이 용기 내에 위치한 연료 이송 펌프(20)는 연료를 유입시켜 이송 파이프(12)로 이송시킨다. 또한, 연료 저장 탱크(11) 내에는 리턴 파이프(13)에 연결된 분사 펌프(15)가 배치되어 있고, 이 펌프는 내연 기관(10)의 작동 중에 연료를 연료 저장 탱크(11)로부터 정류 용기(14)로 이송시킴으로써 이곳에 연료가 충분히 충전되는데, 특히 연료 저장 탱크(10)의 연료가 최소치로 하강되면 연료는 이곳에서 완전 충전된다. 공지된 방법에 따르면, 분사 펌프(14)는 리턴 파이프(13)를 거쳐 귀환하는 연료에 의해 작동된다.
도2는 분사 펌프(15)를 종방향으로 절결하여 확대시킨 도면이다. 이는 분사 노즐(16), 이와 나란히 정렬된 혼합 파이프(17), 그리고 분사 노즐(16)과 혼합 파이프(17) 사이에 위치한 흡입 개구부(18)를 제공하고 있다. 분사 노즐(16)은 리턴 파이프(13)의 단부상 입구측에 연결되고, 혼합 파이프(17)는 정류 용기 내 상면(142)에 인접하여 안으로 관통함으로써, 혼합 파이프(17)는 연료 저장 탱크(11)의 내부와 정류 용기(14)의 내부를 연결한다. 도2의 실시예에서, 혼합 파이프(17)는 층상을 이루는 상면(142)과 일체로 형성되고, 이 때 혼합 파이프(17)의 출구(171)는 상면층의 내면과 나란히 결합되게 형성된다. 그러나, 이 혼합 파이프(17)는 분리된 부품으로서도 상부벽(141)의 개구부에 삽입시킬 수 있고, 이 안에 고정된다. 혼합 파이프(17)의 길이 내에서 이 혼합 파이프와 정렬 배치된 분사 노즐(16)은 상면(142)의 하부측에 고정된다. 분사 펌프(15)의 흡입 개구부(18)는 분사 노즐(16)과 혼합 파이프(17) 사이에 남겨진 이격 공간을 통해 상면(142)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내연 기관(10)의 작동 중에는 리턴 파이프(13)를 거쳐 귀환하여 흐르는 연료가 분사 노즐(16)로부터 고속으로 분사되어 분출된다. 도2에서 참조 번호 19로 나타낸 연료 분사(이하 자유 분사(19)라함)를 도시한 분사 노즐은 흡입 개구부(18)의 영역에서 그 에너지를 연료 저장 탱크(11) 내의 연료로 보내고 혼합 파이프에서 차단함으로써 연료를 연료 저장 탱크(11)로부터 혼합 파이프(17)를 거쳐 정류 용기(14)로 이송시킨다. 분사 노즐(16)로부터 분사되어 나오는 연료와 함께 정류 용기(14)에 이르는, 연료 저장 탱크(11)로부터 나온 연료는 도2에서 21로 지시되어 있다. 내연 기관이 작동하는 동안 일정하게 작용하는 분사 펌프(15)는 이로써 연료 저장 탱크(11) 내의 연료의 수위와는 무관하게 정류 용기(14)가 항상 일정한 연료로 충전되게 하여 내연 기관(10)의 연료 공급이 최저 충전 상태에 이를 때까지 어떤 장애도 없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정류 용기(14)에는 반동식 덮개판(22)이 배치되는데, 이 덮개판은 혼합 파이프(17)의 출구(171) 위로 걸쳐 있는 밀폐 부재(23)와 이 밀폐 부재(23)를 지지하는 직각 레버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는 정류 용기(14)의 상면(142)에 있는 밀폐 부재와 떨어진 레버 단부 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밀폐 부재(23)는 탄성재로 된 접시형이나 종 모양의 뚜껑으로서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뚜껑은 뚜껑 테두리로 혼합 파이프(17)의 환형 단부측 상에 장착되어 출구(171)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한다. 반동식 덮개판(22)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분사 펌프(15)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정류 용기(14) 내부를 지배하고 있는 유체 압력에 의해 그 밀폐 부재로 혼합 파이프(17)의 출구측 상을 가압시키고, 기존의 분사 펌프(15)가 작동하는 경우에 밀폐 부재(23)에 대해 부딪치는 연료 분사가 직각 레버(24)를 전향시켜 선회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밀폐 부재(23)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 파이프(17)의 출구(171)를 개방시킨다. 분사 펌프(15)가 작동중에 있을 때, 분사 펌프(15)의 충전 분사에 의해 반동식 덮개판(22)에 대해 가해진 압력은 정류 용기(14) 내의 유체 압력에 대한 반동식 덮개판(22)을 이러한 전향 위치에서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연료 저장 탱크(11)에 연료 충전 상태가 부족하고, 또한 동시에 차량의 커브 주행과 경사 주행으로 말미암아 연료가 출렁일 때에는 분사 펌프(15)가 연료에 의해 잠겨 버릴 수가 있다. 분사 노즐(16)로부터 발생하는 자유 분사는 현재 그 에너지를 연료에 더 이상 보낼 수 없게 됨에 따라 연료를 연료 펌프에 의해 연료 저장 탱크(11)에서 정류 용기(14)로 더 이상 이송시킬 수 없다. 그러나, 에너지가 충분한 자유 분사(19)는 반동식 덮개판(22)의 중앙에 부딪치는 힘에 의해 이 덮개판을 개방시켜 연료를 정류 용기(14)로부터 연료 저장 탱크(11)로 다시 이송시키고 잠시 후 내연 기관에 연료를 더 이상 충분히 공급하지 않게 한다. 정류 용기(14)의 이러한 가상 공전을 차단하기 위하여 분사 펌프(15)는 분사 노즐(16)에서 발생하는 자유 분사(19)의, 반동식 덮개판(22)에 대한 직접 충격을 방지해 주는 수단을 제공하고, 이로써 분사 노즐(16)로부터 고속으로 발생하는 자유 분사(19)의 분사 펌프(15) 흡입 영역에서 연료가 부족할 경우에 반동식 덮개판(22)이 열리지 않거나 열린 상태로 되지 않음은 자명한 일이다.
도2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수단은 혼합 파이프(17)에서 중앙에 배치한 충돌 부재(25)를 제공하고, 그 부재의 직경이 자유 분사(19)의 분사 횡단면 보다 다소 크다. 충돌 부재(25)는 혼합 파이프(17)의 직경 끝으로 관통되고 혼합 파이프 내벽에 고정된 지지 웨브에 고착된다. 도2 및 도3의 양 실시예에서, 지지 웨브(26)는 혼합 파이프(17)와 일체로 형성되고, 충돌 부재(25)는 지지 웨브(26) 중앙에 일체로 성형된다. 이 때, 충돌 부재(25)는 도2에서 디스크(27)나 판으로, 도3 및 도4에서 반구로서 구현되고, 그 표면은 분사 노즐(16)에 대해 볼록한 형태의 표면으로 되어 있다.
도5 및 도6의 실시예에서, 지지 웨브(26)는 U자형 지지 후크(30)의 요크로 형성되고, 지지 웨브(26)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2개의 후크 레그(31, 32)를 혼합 파이프(17)의 내벽(172)에 맞닿게 한다. 각각의 후크 레그(31, 32)는 레그의 자유 단부 상에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돌출부(33, 34)를 구비하고, 이 돌출부는 혼합 파이프(17)로 이 지지 후크(30)를 삽입함으로써 분사 노즐(16)을 향하는 혼합 파이프(17)의 단부측을 반경 방향으로 파급하도록 한다. 충돌 부재(25)는 이 때 지지 후크(30)와 일체로 구현된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이는 분사 노즐(16)에 제공하는 원추끝을 구비한 지지 웨브(26)의 중앙에 배치된다.
도7 및 도8에 따른 분사 펌프(15)의 실시예와 도9 및 도10에 따른 분사 펌프(15)의 실시예에서, 반동식 덮개판(22)으로의 자유 분사(19)의 직접 충격은, 분사 노즐(16)의 중앙에 위치한 노즐 구멍(161)에 편향체가 형성되고, 이 편향체는 분사 노즐(16)로부터 분출되어 나오는, 노즐축 상의 자유 분사(19)를 편향시켜 이 자유 분사가 혼합 파이프(17)의 내벽(172)에 나타나고 이 때 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도7 및 도8의 실시예에서, 편향체(35)는 자유 분사가 도8에서 도식적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분사 노즐(16)로부터 나와 원추형 외부면의 형태로 전개되도록 형성된다.
도9 및 도10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편향체(36)는 자유 분사(19)가 복수의 부분 분사부(191, 192)로 갈라지고, 이 때 이러한 부분 분사부는 도9 및 도10에 도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구멍(161)으로부터 나오는 원추형 외부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각각의 부분 분사부(191, 192)는 혼합 파이프(17)의 출구(171) 앞에서 혼합 파이프(17)의 내벽(172) 상에 부딪치고 그 때 에너지를 방출시켜 이 에너지로는 반동식 덮개판(22)에 대해 어떤 힘도 가압할 수 없게 한다. 제작 기술상, 이러한 부분 분사부(191, 192)는 매우 용이한 방식으로 실현되는데, 편향체(36)가 분사 노즐의 노즐 부재와 일체로 구현되고 분사 노즐(16)의 단부측에 구멍(361)이 형성되며, 이 때 이 구멍은 노즐축에 대해 예각으로 연장하고 노즐 구멍(161) 중앙에 이르게 하도록 한다. 이 구멍(361)은 부분 원주상에 서로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0의 실시예에서, 혼합 파이프(17)에는 부가적으로 혼합 파이프 출구(171) 가까이에 내부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환형 파이프 레지(173)가 혼합 파이프(17)와 일체로 형성된다. 혼합 파이프(17) 및 분사 노즐(16)의 배치는, 분사 노즐(16)로부터 나오는 원추형 외부면 상에 위치하는 부분 분사부(191, 192)가 파이프 레지(173)의 환형 단부측 상에 부딪치게 한다. 또한, 이러한 파이프 레지(173)는 도7 및 도8의 실시예의 경우, 원추형으로 전개하는 자유 분사(19)가 파이프 레지(173)의 단부측 상에 부딪쳐서 에너지가 소멸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정류 용기가 내연 기관이 휴지하고 있는 동안에 연료가 충전된 상태로 있게 되고, 연료 귀환 현상이 미흡하여 분사 펌프가 연료를 이송시키기에 힘든 내연 기관 기동의 경우에, 이송 펌프가 연료 저장 탱크의 충전 미달 상태에서도 흡입을 정류 용기 내에서 최적의 상태로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6)

  1. 연료 저장 탱크(11)에 배치된 정류 용기(14)와,
    정류 용기(14)로부터 연료를 흡입하여 내연 기관(10)으로 안내하는 이송 파이프(12)로 이송하도록 가압하는 연료 이송 펌프(20)와,
    연료를 연료 저장 탱크(11)로 귀환시키는 리턴 파이프(13)와, 그리고
    연료 저장 탱크(11) 내에 배치되고 리턴 파이프(13)에 연결된 분사 노즐(16)과 이 분사 노즐(16)에 정렬 배치하여 정류 용기(14) 내에 이르는 혼합 파이프(17)와 이 분사 노즐(16)과 혼합 파이프(17) 사이에 위치하는 흡입 개구부(18)로 구성되는 분사 펌프(15)를 구비하는, 차량의 연료 저장 탱크(11)로부터 내연 기관(10)으로의 연료 이송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정류 용기(14) 내에는 혼합 파이프 출구(171)를 밀폐시키는 반동식 덮개판(22)이 배치되고,
    상기 덮개판이 연료 저장 탱크(11)로부터 정류 용기(14)로 연료를 이송시키는 분사 펌프(15)의 충전 분사에 의해서 저장 용기(14) 내의 혼합 파이프 출구(171)의 연료 압력으로 선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반동식 덮개판(22)이 혼합 파이프 출구(171) 위에 걸쳐 있는 밀폐 부재(23)와 이 밀폐 부재(23)를 지지하고 있는 직각 레버(24)로 구성되고, 상기 레버는 그 밀폐 부재로부터 떨어져 있는, 정류 용기(14) 내의 레버 단부 상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밀폐 부재(23)에는 탄성재로 된 접시형이나 종 모양의 뚜껑이 구비되고, 상기 뚜껑이 그 접시형 테두리나 뚜껑 테두리에 의해서 혼합 파이프(17)의 환형 단부쪽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사 펌프(15)에는 분사 노즐(16)로부터 분사되어 나오는 연료 자유 분사(19)의 반동식 덮개판(22)에 대한 직접 충격을 방지하는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혼합 파이프(17) 중앙에 배치된 충돌 부재(25)를 제공하고, 그 충돌 부재의 직경이 분사 노즐(16)의 중앙 노즐 구멍(161)으로부터 분사되어 나오는 연료 자유 분사(19)의 분사 횡단면 보다 다소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충돌 부재(25)가 혼합 파이프(17)의 직경 양끝에 삽입되는 지지 웨브(26) 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지지 웨브(26)가 혼합 파이프(17)와 일체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지지 웨브(26)가 U자형 지지 후크(30)의 요크로부터 형성되고, 이 양쪽은 결합되는 후크 레그(31, 32)의 요크에 의해서 혼합 파이프(17)의 내벽(172)에 맞닿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후크 레그(31, 32)는 반경 방향으로 외부 돌출하는 돌출부(33, 34)를 레그의 자유 단부 상에 구비하고, 이 돌출부는 반경 방향으로 분사 노즐(16)을 향한 혼합 파이프(17)의 단부쪽에 이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돌 부재(25)는 반쪽 접시 또는 반구(28)로 형성하고 그 표면이 분사 노즐(16)로 향하여 볼록하게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돌 부재(25)는 원추(29)로 형성하고 또한 분사 노즐(16)로 향하는 원추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돌 부재(25)는 디스크(27) 또는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수단은 분사 노즐(16)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편향체(35, 36)를 제공하고, 상기 편향체는 분사 노즐(16)로부터 분사되어 나오는 노즐축의 연료 자유 분사(19)를 편향시켜 이를 혼합 파이프(17)의 내벽(172)에 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편향체(35)가 분사 노즐(16)의 중앙 노즐 구멍(161)에 삽입되어 원추 외부면의 형태로 연장 전개되는 연료 자유 분사(19)가 일어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복수의 편향체(36)가 분사 노즐(16)의 중앙 노즐 구멍(161)에 삽입되어 연료 자유 분사(19)가 노즐 구멍(161)으로부터 분사되어 나오는 원추 외부면 상에 위치한 복수의 연료 부분 분사(191, 192)로 갈라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혼합 파이프(17)는 혼합 파이프 출구(171) 근처에 반경 방향으로 내부 돌출하는 환형 파이프 레지(173)를 제공하고, 혼합 파이프(17)와 분사 노즐(16)이 분사 노즐(16)로부터 분사되어 나오는 연료 자유 분사(19)가 파이프 레지(173)의 단부쪽에 부딪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033587A 1997-08-20 1998-08-19 연료 이송 장치 KR199900236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6088A DE19736088A1 (de) 1997-08-20 1997-08-20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DE19736088.2 1997-08-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696A true KR19990023696A (ko) 1999-03-25

Family

ID=783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587A KR19990023696A (ko) 1997-08-20 1998-08-19 연료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69800B1 (ko)
KR (1) KR19990023696A (ko)
DE (1) DE19736088A1 (ko)
FR (1) FR2767562B1 (ko)
IT (1) IT13019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7863A1 (de) * 1998-12-15 2000-06-21 Mannesmann Vdo Ag Zur Montage in einem Kraftstoffbehälter eines Kraftfahrzeuges vorgesehener Schwalltopf
GB2375086B (en) * 2001-05-05 2004-10-20 Visteon Global Tech Inc In-tank fuel supply unit
JP4370610B2 (ja) * 2001-06-29 2009-11-25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JP2003139007A (ja) * 2001-10-30 2003-05-14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US6705298B2 (en) 2002-05-20 2004-03-16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Fuel pump module
DE10224696A1 (de) * 2002-06-04 2003-12-1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behälter zu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DE10227281A1 (de) * 2002-06-19 2004-01-08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behälter zu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KR100569999B1 (ko) * 2003-10-22 2006-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시스템의 소음 저감용 리턴밸브 노즐
US6951208B2 (en) * 2003-10-22 2005-10-04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Fuel delivery system with flow re-director for improved re-priming sequence
JP2005240653A (ja) * 2004-02-26 2005-09-08 Denso Corp 燃料供給装置
US20060096582A1 (en) * 2004-11-08 2006-05-11 Patrick Powell Counter-balanced inlet door for fuel pump module check valve
US9765797B2 (en) * 2005-06-02 2017-09-19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Jet-venturi back flow prevention structure for a fuel delivery module
US8157925B1 (en) 2006-11-16 2012-04-17 Templin Mark D Siphon adapted for cleaning vessels
SE530888C2 (sv) * 2007-02-26 2008-10-07 Scania Cv Abp Ventilarrangemang för ett bränsletankarrangemang samt bränsletankarrangemang
WO2008156731A1 (en) * 2007-06-18 2008-12-24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Venturi jet structure for fuel delivery module of a fuel tank
KR100898217B1 (ko) 2007-10-25 2009-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펌프의 이물질 제거구조
US11008987B2 (en) * 2013-02-26 2021-05-18 Walbro Llc Venturi fluid pump with outlet flow controller
US10495039B2 (en) * 2017-03-30 2019-12-03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Fuel system having a jet pump
EP3505772B1 (en) * 2017-12-29 2021-04-07 TI Automotive Technology Center GmbH Sucking jet pump arrangement
US10662911B1 (en) 2019-02-15 2020-05-26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Fuel transfer system including a fuel jet pump device and utilized in a partitioned fuel tank
US11434931B2 (en) 2020-09-23 2022-09-06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Fuel system having a valve upstream of a jet pump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70550A (fr) * 1957-04-02 1959-01-15 éjecteur permettant l'aspiration de tous fluides
US4340023A (en) * 1980-06-23 1982-07-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with bypass valve and water pumpout
US4397333A (en) * 1981-09-04 1983-08-09 Chrysler Corporation Fuel collector assembly
US4503885A (en) * 1983-12-16 1985-03-12 Chrysler Corporation Engine fuel supply system
US4750522A (en) * 1987-11-18 1988-06-14 Chrysler Motors Corporation Fuel collector with aspirator device
DE4224981C2 (de) 1992-07-29 2003-06-26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tank zu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US5341840A (en) * 1993-11-12 1994-08-30 Tom Wheatley Valve Company Bonnetless swing check valve
DE4426667A1 (de) 1994-07-28 1996-02-01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behälter zu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US5622205A (en) * 1995-09-14 1997-04-22 Petersen; Robert E. Check valve having reserved mechanical closure
US5667366A (en) * 1995-12-01 1997-09-16 Vernay Laboratories, Inc. Jet pump including flexible venturi
DE19549192A1 (de) * 1995-12-30 1997-07-03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m Fördern von Kraftstoff aus einem Vorratstopf zu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es
DE19628580A1 (de) * 1996-07-16 1998-01-22 Mannesmann Vdo Ag Strömungsvent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69800B1 (en) 2001-08-07
FR2767562A1 (fr) 1999-02-26
DE19736088A1 (de) 1999-02-25
IT1301950B1 (it) 2000-07-20
ITMI981746A1 (it) 2000-01-28
FR2767562B1 (fr) 2000-08-11
ITMI981746A0 (it) 199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3696A (ko) 연료 이송 장치
US6123511A (en) Fuel supplying apparatus for drawing off fuel for a motor vehicle tank having a jet pump deflector for priming
EP0342741B1 (en) Spray head for an aerosol container
EP0757004A4 (en) SPRAYER PUMP FOR LIQUIDS
CZ283752B6 (cs) Zařízení pro směšování plynu a tekutiny
US20120018019A1 (en) Device for delivering fuel
JPH02173353A (ja) 燃料タンクの燃料吸込装置
KR19980080987A (ko) 직립/역전 분사기
KR100328011B1 (ko) 매체방출용방출헤드
US20170341787A1 (en) Filling head for filling a tank with a liquid
JP3760852B2 (ja) 燃料タンク内の燃料供給装置
JP3642887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の吐出弁
JP3947616B2 (ja) 吹付ノズル
JP3827408B2 (ja) 噴出器
JPH10252596A (ja) 車両用燃料タンク
JP2000097122A (ja) ジェットポンプ
JP4165178B2 (ja) 燃料噴き返し防止装置
KR200492090Y1 (ko) 석션크리링 스팀분사노즐
JP2008309028A (ja) ジェット流による負圧形成方法及び負圧形成装置
US20230264209A1 (en) Injection nozzle and injection device including injection nozzle
KR102624077B1 (ko) 분사공 막힘 방지형 미스트 분무기
JPH07304341A (ja) 燃料タンクの旋回槽構造
JP3707514B2 (ja) 自動車用フューエルチャンバー
JPH05202826A (ja) 燃料噴射ノズル
JPS6274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