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3599A - 5포트 전자밸브 몸체를 이용한 3포트 전자밸브 - Google Patents

5포트 전자밸브 몸체를 이용한 3포트 전자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3599A
KR19990023599A KR1019980033004A KR19980033004A KR19990023599A KR 19990023599 A KR19990023599 A KR 19990023599A KR 1019980033004 A KR1019980033004 A KR 1019980033004A KR 19980033004 A KR19980033004 A KR 19980033004A KR 19990023599 A KR19990023599 A KR 19990023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uid passage
valve body
fluid
pi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240B1 (ko
Inventor
신지 미야조에
분야 하야시
마코토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다카다 요시유키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요시유키,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요시유키
Publication of KR19990023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07Manifolds
    • F15B13/0814Monoblock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15B13/0402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for linearly sliding valves, e.g. spo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21Attachment or sealing of modular units to each other
    • F15B13/0825Attachment or sealing of modular units to each other the modular elements being mounted on a common member, e.g. on a ra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46Electrical details
    • F15B13/0857Electrical connecting means, e.g. plugs, s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71Channels for fl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169Supply and exhaust
    • Y10T137/87193Pilot-actuated
    • Y10T137/87209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169Supply and exhaust
    • Y10T137/87217Motor
    • Y10T137/87225Fluid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5포트 전자변환밸브 등과 함께 다수로 연속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3포트 전자밸브를 저렴한 비용에 제공하고, 또한, 밸브체의 축 방향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가능하게 한다.
밸브구멍(20)의 중앙에 열려진 공급유체통로(21), 그 양측에 열려진 출력유체통로(22A),(22B) 및 그들의 양측에 열려진 배출유체통로(23A),(23B)를 보유하는 5포트 밸브용의 밸브몸체(15)를 이용하여, 그 밸브구멍에 3포트 밸브를 구성하는 2개의 밸브체(25A),(25B)를 삽입하고, 그들을 파일럿 밸브부(12)에 의해 구동한다. 상기한 밸브체는, 공급유체통로(21)의 유체압을 복귀력으로서 이용하여, 그들 밸브체에, 출력유체통로(22A),(22B)를 공급유체통로(21)와 배출유체통로(23A),(23B)로 변환 연이어 통하게 하는 봉합부재(28A),(28B),(29A),(29B)를 설치하고, 양 밸브체에는, 그 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5),(36)를 설치하는 동시에, 복수의 축 방향 가이드부(36) 사이에는 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체통로 홈(37)을 사이에 둔다.

Description

5포트 전자밸브 몸체를 이용한 3포트 전자밸브
본 발명은, 다수의 5포트 전자밸브 등을 연속 설치하여 다수 연결의 밸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이들과 혼용하기에 적합한 3포트 전자밸브에 관한 것이다.
각종 유체압 구동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5포트의 파일럿식 전자변환밸브 등을 레일이나 매니폴드 베이스 상에서 다수 연결로 연속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지만, 이들 밸브 중에 3포트 전자밸브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렇지만, 3포트 밸브는 5포트 밸브와는 형태를 달리 하고, 그들과 함께 다수 연결로 연속 설치하기에는 종종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5포트 전자밸브용의 밸브몸체를 그대로 이용하여 그것에 2개의 3포트 밸브를 조립한 전자밸브로 함으로써 해소되고, 또한, 부품의 공통화에 의해 제품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4위치 밸브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렇지만, 5포트 밸브의 밸브몸체에 있어서의 밸브구멍은, 본래, 단일한 밸브체가 그 양단에서 가이드되어 삽입되는 것이며, 그 밸브구멍에 2분할 한 3포트 밸브의 밸브체를 삽입하면, 밸브체의 공급유체통로 측이 가이드되지 않고, 각 밸브체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된다. 그 때문에, 봉합부재가 안정적으로 봉합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또한, 봉합부재가 랜드로 상승할 때에, 그 봉합부재가 끼워붙이기 홈으로부터 이탈하던지, 랜드와 밸브체의 사이에 물려들어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5포트의 전자변환밸브 등과 함께 다수 연결로 연속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해, 5포트 전자밸브용의 밸브몸체를 그대로 이용하여, 그것에 2개의 3포트 밸브를 조립한 전자밸브에 있어서, 밸브체의 축 방향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가능하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밸브는, 밸브구멍이 개설되고, 그 밸브구멍의 중앙에 열려지는 공급통로, 그 양측에 열려지는 2개의 출력유체통로 및 그들의 양측에 열려지는 2개의 배출유체통로를 설치한 5포트 밸브용의 밸브몸체와, 상기한 밸브구멍 내에 미끄럼 동작 가능하게 배설된 밸브체와, 상기한 밸브구멍의 축 방향 양측에 배설된 제1, 제2피스톤을 보유하고, 그들 피스톤에 대한 파일럿 유체압의 작용에 의해 밸브체를 동작시키는 주밸브와; 제1, 제2솔레노이드 기구를 구비하며, 그 솔레노이드 기구의 작동에 의해 파일럿 유체압을 각각 상기한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에 개별적으로 작용시키는 제1 및 제2파일럿 밸브로 이루어지는 파일럿 밸브부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밸브몸체의 밸브구멍에 안으로 삽입하는 밸브체를, 공급유체통로의 양측에 있어서 그 공급유체통로의 유체압에 의한 작용력을 밸브체의 복귀력으로 하는 2개의 밸브체로 구성하고, 이들 밸브체에, 각각 출력유체통로를 공급유체통로와 배출유체통로로 변환하여 연이어 통하게 하기 위한 봉합부를 설치하며, 상기한 양 밸브체에 있어서의 피스톤이 접촉하는 단부에, 그 밸브체의 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공급유체통로의 양측에 위치하는 랜드 상의 봉합위치와 그 랜드로부터 이탈한 유통위치로 변환 이동하는 봉합부에 있어서, 밸브체의 주위에, 그 봉합부가 유통위치에 있는 때에도 상기한 랜드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축 방향 가이드부를, 그들 사이에 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체통로 홈을 사이에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전자밸브에 있어서는, 공급유체통로의 양측에 위치하는 랜드 상의 봉합위치와 그 랜드로부터 공급유체통로 측으로 이탈한 유통위치로 변환 이동되는 봉합부에 있어서, 상기한 랜드로의 상승 측에, 그 봉합부가 유통위치에 있는 때에도 상기한 랜드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축 방향 가이드부를, 그들 사이에 공급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체통로 홈을 사이에 두고 설치하며, 또는, 공급유체통로의 양측에 위치하는 랜드 상의 봉합위치와 그 랜드로부터 출력유체통로 측으로 이탈한 유통위치로 변환 이동되는 봉합부에 있어서, 상기한 랜드로의 상승 측에, 그 봉합부가 유통위치에 있는 때에도 상기한 랜드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축 방향 가이드부를, 그들 사이에 출력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체통로 홈을 사이에 두고 설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자밸브에서는, 5포트 전자밸브의 밸브몸체를 그대로 이용하여, 각종 부품을 5포트 전자밸브와 공통화 할 수 있으므로, 5포트 전자변환밸브 등과 함께 다수 연결로 연속 설치하여 혼용할 수 있는 3포트 전자밸브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밸브구멍에 삽입하는 밸브체를 2개로 분할하는 것만으로는 밸브체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지만, 상기한 가이드부를 설치함으로써, 필요한 유량을 확보하면서, 그 봉합부재의 랜드에 대한 상승을 적정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3포트 전자밸브의 실시예 1의 오프상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한 실시예 1의 전자밸브의 온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한 실시예 1에 있어서 이용하고 있는 밸브체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3포트 전자밸브의 실시예 2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3포트 전자밸브의 실시예 3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전자밸브의 실시예 1을 도시하고 있다. 이 전자밸브는, 5포트 전자밸브용의 밸브몸체를 그대로 이용하여, 그 내부의 밸브구멍에 이하에 설명하는 2개의 3포트 밸브용의 밸브체를 조립한 것으로, 도 1에서는 2개의 3포트 상시폐쇄 밸브의 오프 상태를, 도 2에서는 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전자밸브는, 상기한 밸브체를 조립한 주밸브(11)와, 2개의 파일럿 전자밸브(12A),(12B)를 가지는 파일럿 밸브부(12)를 구비하고, 주밸브(11)의 바닥덮개(13)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DIN레일 상에 다수의 5포트 전자밸브 등과 함께 연속 설치 가능하게 한 것이다.
상기한 주밸브(11)는, 상기한 바닥덮개(13) 및 상면덮개(14)를 부착한 밸브몸체(15)와, 그 밸브몸체(15)의 한 단면에 부착한 피스톤상자(16)와, 그 밸브몸체(15)의 다른 단면에 부착한 엔드플레이트(18)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밸브몸체(15)는, 5포트 전자밸브용의 것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복수의 밸브몸체(15)를 연속 설치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그들의 연속 설치에 의해 서로 연이어 통하는 압축공기의 공급통로구멍(P), 제1 및 제2배출통로구멍(EA),(EB)과 파일럿 공급통로구멍(ps)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의 피스톤상자(16) 및 엔드플레이트(18)를 부착한 양 단면 사이를 관통하는 밸브구멍(2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밸브구멍(20)에는, 상기한 공급통로구멍(P)에 연이어 통하는 중앙의 공급유체통로(21), 그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출력유체통로(22A),(22B) 및 그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의 제1 및 제2배출통로구멍(EA),(EB)과 연이어 통하는 2개의 배출유체통로(23A),(23B)가 열려져 있다.
또한, 상기한 주밸브(11)는, 바닥덮개(13)에 의해 DIN레일 상에 연속 설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공급통로구멍(P), 제1 및 제2배출통로구멍(EA),(EB)과 파일럿 공급통로구멍(ps) 등을 매니폴드 베이스 중에 설치하여, 밸브구멍(20)을 가지는 밸브몸체(15)를 그 매니폴드 베이스 상에 연속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밸브몸체(15)의 밸브구멍(20)에 미끄럼 동작 가능하게 안으로 삽입되는 밸브체는, 공급유체통로(21) 양측에 있어서 그 공급유체통로의 유체압에 의한 작용력을 복귀력으로 하는 2개의 밸브체(25A),(25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밸브구멍(20)의 축 방향 양측에는, 각각 밸브체(25A),(25B)와는 별개이지만 파일럿 유체압의 작용을 받아 밸브체(25A),(25B)를 누르는 밸브체보다도 큰 직경의 제1, 제2피스톤(26A),(26B)를 배설하고 있다.
상기한 밸브체(25A),(25B)는, 공급유체통로(21)와 출력유체통로(22A),(22B)의 사이를 개폐하는 봉합부재(28A),(28B)와, 출력유체통로(22A),(22B)와 배출유체통로(23A),(23B)의 사이를 개폐하는 봉합부재(29A),(29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봉합부재(28A),(28B)는, 밸브체의 동작에 따라, 공급유체통로(21) 상의 중간위치(도 2)와, 공급유체통로(21)와 출력유체통로(22A),(22B) 사이의 랜드(31A),(31B)로의 상승만큼 밀봉위치(도 1) 사이의 이동을 반복하는 한편, 봉합부재(29A),(29B)는, 배출유체통로(23A),(23B) 상의 중간위치(도 1)와, 배출유체통로(23A),(23B)와 출력유체통로(22A),(22B) 사이의 랜드(32A),(32B)로의 상승만큼 밀봉위치(도 2) 사이의 이동을 반복하는 것이다. 게다가, 1개 밸브체에 있어서의 한쪽 봉합부가 중간위치에 있을 때는 다른쪽 봉합부가 봉합위치에 있고, 역으로, 한쪽 봉합부가 밀봉위치에 있을 때에는 다른쪽 봉합부가 중간위치를 차지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밸브체(25A),(25B)는, 본래 5포트 밸브의 경우에 단일한 밸브체가 그 양단에서 가이드되어 삽입되는 밸브구멍(20)에 2분할 한 것으로서 삽입되므로, 밸브체의 공급유체통로(21) 측에서의 가이드를 고려하지 않으면, 밸브체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고, 밸브구멍(20)의 축심에 대해 밸브체(25A),(25B)의 축심이 경사지며, 상기한 봉합부재가 랜드 상승할 때, 그들 봉합부재가 끼워붙임 홈으로부터 이탈하거나 랜드와 밸브체 사이에 물려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밸브체(25A),(25B)에 있어서는, 그들의 피스톤측 단부의 봉합부재(O링)(34)에 분리 및 접촉하는 부분에 가이드부(35)를 설치하는 동시에, 공급유체통로(21)를 개폐하는 봉합부재(28A),(28B), 즉, 공급유체통로(21)의 한쪽 랜드(31A) 또는 (31B)로부터 떨어진 유통위치(도 2)와, 그 랜드로 상승하는 봉합위치(도 1)로 변환되는 봉합부재(28A),(28B)의 각 피스톤(26A),(26B)측에 있어서의 밸브체의 주위에, 봉합부재(28A),(28B)가 랜드(32A),(32B)로부터 떨어진 때에도 그 랜드 상에 있어서, 봉합부재의 랜드로의 상승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축 방향 가이드부(36)를, 도 3에 명확히 나타내듯이, 그들 사이에 상기한 공급유체통로(21)를 흐르는 유체의 유체통로 홈(37)을 사이에 두고 설치하고 있다.
가이드부(35),(36)는, 밸브체(25A),(25B)의 자세를 안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한 것이지만, 이후 기재하는 실시예를 포함하여, 배출유체통로(23A),(23B)와 출력유체통로(22A),(22B) 사이의 랜드(32A),(32B)로 원활히 상승되는 것을 목적으로서, 그들 봉합부재(29A),(29B)가 랜드(32A),(32B)로부터 떨어진 때에도 그 랜드(32A),(32B) 상에 있어서, 봉합부재의 랜드로의 상승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축 방향 가이드부를, 상기한 가이드부(36)와 마찬가지의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밸브체(25A),(25B)는, 형상이 복잡해지므로, 윤활성에 있어서 우수한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제조하는 것이 특히 유효하다.
밸브몸체(15)에 부착한 엔드플레이트(18)의 외측면에는, 제1 및 제2출력포트(A),(B)를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개설하고, 밸브구멍(20)에 열려진 제1, 제2출력유체통로(22A),(22B)를, 밸브몸체(15) 내에 형성한 유체통로에 의해 그들 출력포트(A),(B)에 연이어 통하게 한다. 도면 중의 도면부호 38은 출력포트(A),(B)에 장착한 원터치 이음매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제1출력유체통로(22A)와 출력포트(A)가 연이어 통하는 것은, 우선, 제1출력유체통로(22A)를 밸브몸체(15) 상면의 오목부에 상면덮개(14)를 부착하는 것으로 형성되는 유체통로(41b)에 대해, 도출유체통로(41a)에 의해 열리게 되고, 유체통로(41b)를 밸브몸체(15)에 개설한 통로구멍(41c)을 통해 제1출력포트(A)에 열리게 되는 것으로 시행된다. 한편, 반대측의 상기한 제2출력유체통로(22B)는, 밸브몸체(15)의 하면에 대해 도출유체통로(42a)에 의해 열리게 되는 동시에, 그 도출유체통로(42a)를 밸브몸체(15)에 개설한 통로구멍(42c)을 경유하여 제2출력포트(b)로 연이어 통하게 된다.
상기한 피스톤상자(16)에 형성된 제1피스톤실(45A)에는 상기한 제1피스톤(26A)이, 또한, 엔드플레이트(18)에 형성된 제2피스톤실(45B)에는 제2피스톤(26B)이, 각각 기밀하게 미끄럼 동작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고, 제1파일럿 출력통로(48A)로부터 제1피스톤실(45A)로 파일럿유체를 공급하면, 밸브체(25A)보다도 큰 직경의 제1피스톤(26A)에 작용하는 파일럿 유체압에 의한 작용력이, 밸브체(25A)의 반대측 단면에 작용하는 공급통로구멍(P)에서의 압력유체에 의한 작용력보다 크므로, 밸브체(25A)가 도 1의 변환위치로부터 도 2에 도시한 변환위치까지 우측으로 이동하고, 그것에 의해 봉합부재(28A)가 공급유체통로(21)와 제1배출유체통로(23A)의 사이를 봉합하므로, 제1출력포트(A)로부터 압력유체가 출력된다. 제1피스톤실(45A)의 파일럿유체가 배출되면, 상기한 공급통로구멍(P)에서의 압력유체에 의한 작용력으로 밸브체(25A)는 복귀한다.
또한, 제2파일럿 출력통로(48B)로부터 제2피스톤실(45B)에 파일럿유체를 공급한 때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제2피스톤(26B)과 밸브체(25B)가 도 1에 도시한 변환위치로부터 도 2에 도시한 변환위치까지 좌측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봉합부재(28B)가 공급유체통로(21)와 제2출력유체통로(22B)를 연이어 통하게 되는 동시에, 봉합부재(29B)가 제2출력유체통로(22b)와 제2배출유체통로(23B)의 사이를 봉합하므로, 제2출력포트(B)로부터 압력유체가 배출된다.
파일럿 밸브부(12)에 병설되어 밸브체(25A),(25B)를 구동하는 제1, 제2파일럿 전자밸브(12A),(12B)는, 파일럿 입구통로(47), 상기한 파일럿 출력통로(48A), (48B) 및 파일럿 배기통로(49)를 구비하고, 솔레노이드(50A),(50B)의 여자와 그 해제에 의해, 파일럿 출력통로(48A),(48B)를 파일럿 입구통로(47)와 파일럿 배기통로(49)로 변환하여 연이어 통하게 되는 공지의 상시폐쇄형(常閉形) 3포트 전자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파일럿 전자밸브(12A),(12B)의 파일럿 입구통로(47)는, 파일럿 밸브본체(51), 피스톤상자(16) 및 밸브몸체(15)에 형성한 통로에 의해 파일럿 공급통로(ps)에 연이어 통하고, 전자밸브(12A)의 파일럿 출력통로(48A)는 제1피스톤실(45A)에 연이어 통하며, 전자밸브(12B)의 파일럿 출력통로(48B)는 제2피스톤실(45B)에 연이어 통하고, 전자밸브(12A),(12B)의 파일럿 배기통로(49)는 파일럿 배출통로(pe)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상기한 파일럿 전자밸브(12A),(12B)는, 파일럿 밸브본체(51)의 양측에 위치하여 서로 연이어 동작하는 입구밸브체(52A),(52B)와 배기밸브체(53A),(53B)를 구비하고, 솔레노이드(50A) 또는 (50B)를 여자하면, 입구밸브체(52A) 또는 (52B)가 개방되어, 파일럿 입구통로(47)와 제1 또는 제2파일럿 출력통로(48A),(48B)를 개별적으로 연이어 통하게 하는 동시에, 배기밸브체(53A),(53B)가 폐쇄되어, 파일럿 출력통로(48A) 또는 (48B)로부터 파일럿 배기통로(49)에 이르는 통로가 차단된다. 그 결과, 피스톤실(45A) 또는(45B)에 파일럿유체가 공급된다. 또한, 솔레노이드(50A) 또는 (50B)의 여자를 해제하면, 입구밸브체(52A),(52B)가 폐쇄되는 동시에, 배기밸브체(53A),(53B)가 개방되어, 파일럿 출력통로(48A) 또는 (48B)로부터 파일럿 배기통로(49)에 이르는 통로가 개방되고, 피스톤실(45A) 또는 (45B)에 반입되었던 압력유체가 개별적으로 배출되며, 그 결과, 공급통로구멍(P)으로부터 공급유체통로(21)를 경유하여 밸브구멍(20)에 유입되어 있는 유체압력에 의한 작용력이 밸브체(25A),(25B)의 복귀력으로 되어, 밸브체가 복귀 동작한다.
파일럿 밸브체(51) 및 피스톤상자(16)에 설치한 제1, 제2수동조작자(54A), (54B)는, 상시에는 스프링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힘을 더하게 되어 누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정전 등의 사고에 의해 솔레노이드(50A),(50B)에 의한 밸브체(25A),(25B)의 구동이 불가능하게 된 때에, 이들을 누름으로써, 파일럿 공급통로(ps)를 파일럿 출력통로(48A),(48B)에 연이어 통하여 하여, 밸브체(25A),(25B)를 구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 1은, 밸브몸체(15) 내에 2개의 상시폐쇄형 3포트 밸브를 구성하는 밸브체(25A),(25B)를 수용한 것이지만, 도 4에 도시하는 실시예 2와 같이, 밸브체의 구조를 약간 변경함으로써, 2개의 상시개방형 3포트 밸브를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실시예 2의 밸브구멍(20)내에 미끄럼 동작 가능하게 배설된 2개의 밸브체(55A),(55B)는, 상기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공급유체통로(21)의 양측에 있어서 그 공급유체통로(21)의 유체압에 의한 작용력을 밸브체(55A),(55B)의 복귀력으로 하는 것으로, 이들 밸브체(55A),(55B)에, 공급유체통로(21)와 출력유체통로(22A), (22B)의 사이를 개폐하는 봉합부재(58A),(58B)와, 출력유체통로(22A),(22B)와 배출유체통로(23A),(23B) 사이를 개폐하는 봉합부재(59A),(59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실시예 1의 봉합부재(28A),(28B)는, 밸브체의 동작에 따라, 공급유체통로(21) 상의 중간위치와, 공급유체통로(21)와 출력유체통로(22A),(22B) 사이의 랜드(31A),(31B)로 상승하는 만큼 봉합위치 사이의 이동을 반복하는 한편, 봉합부재(29A),(29B)는, 배출유체통로(23A),(23B) 상의 중간위치와, 배출유체통로(23A), (23B)와 출력유체통로(22A),(22B) 사이의 랜드(32A),(32B)로 상승하는 만큼 봉합위치 사이의 이동을 반복하는 것이지만, 이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봉합부재(58A), (58B)가, 밸브체의 동작에 따라, 출력유체통로(22A) 또는 (22B) 상의 중간위치와, 공급유체통로(21)와 출력유체통로(22A),(22B) 사이의 랜드(31A),(31B)로 상승하는 만큼 봉합위치 사이를 이동시키고, 봉합부재(59A),(59B)가, 출력유체통로(22A) 또는 (22B) 상의 중간위치와, 배출유체통로(23A),(23B)와 출력유체통로(22A),(22B) 사이의 랜드(32A),(32B)로 상승하는 만큼 봉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2개 밸브체(55A),(55B)는 각각 상시개방형인 3포트 밸브를 구성하는 것으로 된다.
1개의 밸브체에 있어서의 한쪽 봉합부가 중간위치에 있을 때에는 다른쪽 봉합부가 봉합위치에 있고, 반대로, 한쪽 봉합부가 봉합위치에 있을 때에는 다른쪽 봉합부가 중간위치에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밸브체(55A),(55B)의 자세를 안정화하는 동시에, 봉합부재(58A),(58B)의 랜드로의 상승을 원활하게 하므로, 밸브체(55A),(55B)의 피스톤측 단부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인 가이드부(35)를 설치함과 아울러, 봉합부재(58A),(58B)의 상기한 공급유체통로(21) 측에 있어서의 밸브체 주위에, 봉합부재(58A),(58B)가 랜드(31A),(31B)로부터 떨어진 때에도 그 랜드 상에 있어서 봉합부재의 랜드로의 상승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축 방향 가이드부(62)를, 그들 사이에 상기한 공급유체통로(21)를 흐르는 유체의 유체통로 홈(63)을 두어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1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으므로, 도면 중의 주요한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시하고 있다. 이 전자밸브는, 상기한 실시예 1과 동일한 5포트 밸브용의 밸브몸체(15)를 이용하여, 밸브구멍(20)에 삽입한 한쪽 밸브체(65A)도 실시예 1과 동일한 상시폐쇄형 밸브로서 구성하고 있지만, 다른쪽 밸브체(65B)는, 상기한 실시예 2의 경우와 동일한 상시개방형 밸브로서 구성하고 있다. 공급유체통로(21)의 양측에 있어서 그 공급유체통로의 유체압에 의한 작용력을 밸브체(65A),(65B)의 복귀력으로 하는 점에서도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밸브체(65A),(65B)의 자세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밸브체의 양단에 가까운 위치에 가이드부(35) 및 축 방향 가이드부(36),(62)를 설치하고 있는 점에서도, 상기의 양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밸브체(65A)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밸브체(65B)에 대해서는 실시예 2와 실질적으로 다르지 않으므로, 도면 중의 주요한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3포트 전자밸브에 의하면, 5포트 전자밸브용의 밸브몸체를 이용하여 그것에 2개의 3포트 전자밸브를 조립하고, 다수의 5포트 밸브 등을 연속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그들과 함께 혼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저렴한 비용인 3포트 밸브를 얻을 수 있고, 또한, 그 5포트 전자밸브용 밸브몸체를 이용한 전자밸브에 있어서, 밸브체의 축 방향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의 구조를 약간 변경하는 것만으로, 상기폐쇄형 또는 상시개방형 밸브로 할 수 있다.

Claims (3)

  1. 밸브구멍이 개설되고, 그 밸브구멍의 중앙에 열려진 공급유체통로, 그 양측에 열려진 2개의 출력유체통로 및 그들의 양측에 열려진 2개의 배출유체통로를 설치한 5포트 밸브용의 밸브몸체와, 상기한 밸브구멍 내에 미끄럼 동작 가능하게 배설된 밸브체와, 상기한 밸브구멍의 축 방향 양측에 배설된 제1, 제2피스톤을 보유하고, 그들 피스톤에 대한 파일럿 유체압의 작용에 의해 밸브체를 작동시키는 주밸브; 그리고,
    제1 및 제2솔레노이드 기구를 구비하여, 그들 솔레노이드 기구의 작동에 의해 파일럿 유체압을 각각 상기의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에 개별적으로 작용시키는 제1 및 제2파일럿 밸브로 이루어지는 파일럿 밸브부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밸브몸체의 밸브구멍에 안으로 삽입하는 밸브체를, 공급유체통로의 양측에 있어서 그 공급유체통로의 유체압에 의한 작용력을 밸브체의 복귀력으로 하는 2개의 밸브체로 구성하고, 그들 밸브체에, 각각 출력유체통로를 공급유체통로와 배출유체통로로 변환 연이어 통하게 하기 위한 봉합부를 설치하며,
    상기한 밸브체에 있어서의 피스톤이 접촉하는 단부에, 그 밸브체의 축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공급유체통로의 양측에 위치하는 랜드 상의 봉합위치와 그 랜드로부터 이탈한 유통위치로 변환 이동하는 봉합부에 있어서, 밸브체의 주위에, 그 봉합부가 유통위치에 있는 때에도 상기의 랜드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축 방향 가이드부를, 그들 사이에 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체통로 홈을 사이에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포트 전자밸브 몸체를 이용한 3포트 전자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공급유체통로의 양측에 위치하는 랜드 상의 봉합위치와 그 랜드로부터 공급유체통로 측으로 이탈한 유통위치로 변환 이동시키는 봉합부에 있어서, 상기한 랜드로의 상승 측으로, 그 봉합부가 유통위치에 있는 때에도 상기한 랜드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축 방향 가이드부를, 그들 사이에 공급유체통로를 흐르는 유체의 유체통로 홈을 사이에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포트 전자밸브 몸체를 이용한 3포트 전자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공급유체통로의 양측에 위치하는 랜드 상의 봉합위치와 그 랜드로부터 출력유체통로 측으로 이탈한 유통위치로 변환 이동시키는 봉합부에 있어서, 상기한 랜드로의 상승 측으로, 그 봉합부가 유통위치에 있는 때에도 상기한 랜드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축 방향 가이드부를, 그들 사이에 출력유체통로를 흐르는 밸브체의 유체통로 홈을 사이에 두고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5포트 전자밸브 몸체를 이용한 3포트 전자밸브.
KR1019980033004A 1997-08-21 1998-08-14 5포트 전자밸브 몸체를 이용한 3포트 전자밸브 KR100283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40597A JP4072738B2 (ja) 1997-08-21 1997-08-21 5ポート電磁弁ボディを利用した3ポート電磁弁
JP97-240405 1997-08-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599A true KR19990023599A (ko) 1999-03-25
KR100283240B1 KR100283240B1 (ko) 2002-05-09

Family

ID=17058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004A KR100283240B1 (ko) 1997-08-21 1998-08-14 5포트 전자밸브 몸체를 이용한 3포트 전자밸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26856A (ko)
EP (1) EP0898103B1 (ko)
JP (1) JP4072738B2 (ko)
KR (1) KR100283240B1 (ko)
CN (1) CN1098434C (ko)
DE (1) DE69814539T2 (ko)
TW (1) TW36698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0877C1 (de) * 2000-02-29 2001-03-22 Mannesmann Ag Mehrwegeventil mit einem entfernbaren Wandelement
JP4247579B2 (ja) * 2004-10-15 2009-04-02 Smc株式会社 外部ポート付きマニホールド形電磁弁
JP4284687B2 (ja) * 2005-04-26 2009-06-24 Smc株式会社 真空及び真空破壊用複合弁
DE102008006879A1 (de) * 2008-01-31 2009-08-06 Hydac Filtertechnik Gmbh Hydraulische Ventilvorrichtung
JP4756119B2 (ja) * 2009-01-21 2011-08-24 Smc株式会社 ベース部材に対する弁取付機構
JP5547578B2 (ja) * 2010-08-02 2014-07-16 Ckd株式会社 電磁弁
CN101982687B (zh) * 2010-11-19 2013-04-17 中国铁道科学研究院机车车辆研究所 一种用于轨道交通车辆制动系统的电磁阀
JP5991288B2 (ja) * 2013-08-28 2016-09-14 Smc株式会社 残圧排出弁付き5ポート切換弁
JP6327418B2 (ja) * 2014-09-04 2018-05-23 Smc株式会社 デュアル4ポート電磁弁
JP6467711B2 (ja) * 2015-06-24 2019-02-13 Smc株式会社 多連一体型マニホールドバルブ
JP6544640B2 (ja) * 2015-10-05 2019-07-17 Smc株式会社 スプール弁
US9903396B2 (en) * 2016-03-08 2018-02-27 Caterpillar Inc. Valve assembly
US10612673B2 (en) 2016-10-04 2020-04-07 Ulvac, Inc. Gate valve
JP2018076941A (ja) * 2016-11-11 2018-05-17 アズビルTaco株式会社 電磁弁
IT201700072532A1 (it) * 2017-06-28 2018-12-28 Metal Work Spa Elettrovalvola sezionatrice di circuito per un sistema di elettrovalvole e sistema di elettrovalvole comprendente tale elettrovalvola sezionatrice.
TWI665400B (zh) * 2018-12-14 2019-07-11 左天喬 多出口平衡輸出液體的控制閥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84231B (de) * 1965-01-15 1969-02-20 Herion Erich Steuereinrichtung mit zwei Steuerventilen
US3701599A (en) * 1970-11-25 1972-10-31 Seco Dyn Inc Fast acting valve
CH545422A (de) * 1973-02-14 1973-12-15 Technomatic Ag Einrichtung zur Steuerung druckmittelbetriebener Vorrichtungen
JPS5936151B2 (ja) * 1978-12-13 1984-09-01 株式会社昭空 切換弁
JPS5797891A (en) * 1980-12-08 1982-06-17 Mitsubishi Metal Corp Cu-ag alloy brazing material
DE3331582A1 (de) * 1983-09-01 1985-03-21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4/3-wegeventil
US4815021A (en) * 1986-01-30 1989-03-21 Star Technologies, Inc. Multifunction arithmetic logic unit circuit
US4924902A (en) * 1986-04-07 1990-05-15 Snap-Tire, Inc. Hydraulic control valves
DE3817120A1 (de) * 1988-05-19 1989-11-30 Herion Werke Kg Sicherheitsventil
EP0655575B2 (en) * 1993-11-30 2007-03-28 Smc Corporation Electromagnetic pilot type selector valve
DE4400760C2 (de) * 1994-01-13 1997-03-27 Festo Kg Mehrwegevent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72738B2 (ja) 2008-04-09
DE69814539D1 (de) 2003-06-18
EP0898103A2 (en) 1999-02-24
CN1098434C (zh) 2003-01-08
JPH1163257A (ja) 1999-03-05
EP0898103B1 (en) 2003-05-14
DE69814539T2 (de) 2004-03-18
KR100283240B1 (ko) 2002-05-09
EP0898103A3 (en) 1999-07-07
US6026856A (en) 2000-02-22
TW366981U (en) 1999-08-11
CN1209517A (zh) 1999-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240B1 (ko) 5포트 전자밸브 몸체를 이용한 3포트 전자밸브
JP4919002B2 (ja) マニホールド形電磁弁集合体
KR100275912B1 (ko) 파일럿식 3포트 전환밸브
US5699834A (en) Manifold-type solenoid valves
KR100283239B1 (ko) 5포트 전자밸브 몸체를 이용한 2포트 전자밸브
KR100275913B1 (ko) 파일럿식 5포트 밸브
KR100670634B1 (ko) 외부포트를 가진 매니폴드형 전자밸브
KR101369216B1 (ko) 파일럿식 3위치 스위칭 밸브
JP3323344B2 (ja) ダブルソレノイド形電磁弁
US5868157A (en) Pilot transfer valve
JP4756119B2 (ja) ベース部材に対する弁取付機構
KR100244538B1 (ko) 역류방지수단이 부착된 전환밸브
EP0756090B1 (en) Pilot operated change-over valve
JPH1047509A (ja) パイロット式切換弁
KR100294363B1 (ko) 베이스부착형변환밸브에부착하기위한압력조절밸브
US6062260A (en) Dual piston pilot valve
JPS62261703A (ja) 安全弁装置
JP2605521Y2 (ja) ダイヤフラムポンプ
JPH06193769A (ja) 複合電磁切換弁
JPH0738831U (ja) 弁組立体
JPH06193768A (ja) 複合電磁切換弁
JPH07238903A (ja) 弁装置
JPH0368268B2 (ko)
JPS63186085A (ja) 自己保持機構を内蔵したポペット形3ポ−ト方向制御弁
JP2007078131A (ja) 油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