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111A - 인터랙티브한 재생 진행의 성능을 향상시킨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랙티브한 재생 진행의 성능을 향상시킨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111A
KR19990022111A KR1019970708590A KR19970708590A KR19990022111A KR 19990022111 A KR19990022111 A KR 19990022111A KR 1019970708590 A KR1019970708590 A KR 1019970708590A KR 19970708590 A KR19970708590 A KR 19970708590A KR 19990022111 A KR19990022111 A KR 19990022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data
sub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3772B1 (ko
Inventor
신이치 사에키
가즈히로 쓰가
가즈히코 야마우치
마사유키 고즈카
가오루 무라세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치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359618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2211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치,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22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22Control pan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광디스크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소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연속하는 소영역에 걸쳐서 하나의 오브젝트가 기록되며, 소영역의 각각은 제 1, 제 2 서브 영역을 포함한다. 제 1 서브 영역에는 소정시각 단위의 동화상 데이터와, 그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재생될 부영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부영상 데이터는 표시용 선택 가지를 나타내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메뉴 화상이다. 제 2 서브 영역에는 제어 정보가 기록되고, 제어 정보는 같은 소영역 내의 제 1 서브영역의 메뉴 화상이 재생되었을 때의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기 위한 버튼제어 데이터와,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대행하기 위한 보조제어 데이터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영역 단위의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레스폰스가 좋고 또한 고도의 인터랙티브성을 실현할 수가 있다. 덧붙여, 소영역마다 보조제어 데이터에 의해 사용자 조작을 대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재생 진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랙티브한 재생 진행의 성능을 향상시킨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종래, 음성 정보, 동화상 정보를 기록하여 재생하는 광학식 정보기록 매체 및 그 기록재생 장치로서는 레이저 디스크나 비디오 CD가 알려져 있다.
레이저 디스크는 지름 약 30cm의 광학식 디스크에 약 1시간의 아날로그 동화상 데이터의 기록을 실현한 것이며, 영화나 음악 비디오의 기록매체로서 활발하게 이용되어 왔다. 그런데, 레이저 디스크는 운반이나 수납을 생각하면 적절한 크기가 아니기 때문에 더욱 콤팩트한 기록매체가 요구되어 왔다.
비디오 CD는 데이터량이 큰 동작 화상을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방식이라고 불리는 고압축률인 디지털 데이터 압축방식으로 기록하는 것에 의해, 원래 음성기록용 디스크이던 지름 12cm의 CD(Compact Disc)에서의 동작 화상의 기록재생을 실현한 것이다. 비디오 CD는 콤팩트한 디스크 크기를 실현한 반면, 동화상의 해상도가 약 352×240화소밖에 없었다.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최근에는 영화 애플리케이션을 고화질로 기록할 수 있고, 덧붙여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라 불리우는 분야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록매체가 요구된다. 여기서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이란 복수의 재생경로를 갖고, 사용자와의 대화조작을 통해서 재생을 진행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으로서는 개개의 연습 동화상을 갖는 에어로빅의 자기연습용 교재나, 해외여행 가이드 등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영화에 대하여 인터랙티브 기능을 부가한 인터랙티브 영화라 불리우는 애플리케이션이 고안되어 있다. 인터랙티브 영화에서는, 병렬인 영화의 스토리가 복수 있고, 재생 진행 스토리의 분기를 사용자에 의해 결정함으로써, 사용자 참가에 의한 스토리 진행을 실현한다. 이에 따라 일체감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다. 예컨대, 드래곤과 무사에 관한 스토리라면 드래곤이 무사 앞에 돌연히 등장하는 영상이 재생되고, 아울러서 메뉴로서「선택 가지 1 : 도망간다」, 「선택 가지 2 : 싸운다」가 표시된다. 이것이 재생의 분기점이다. 이 때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가지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분기하여 재생 진행하게 된다.
(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
비디오 CD를 예로, 종래 기술에서의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도 1∼도 3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에서의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은 멀티스토리의 추리 드라마(멀티스토리란 이야기 전개가 몇가지 있다는 의미임)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추리 드라마를 구성하는 동화상 1∼동화상 5와, 그 재생순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예에서는 동화상 1은 탐정이 방에 들어오는 동화상이다. 동화상 2는 실내의 책상이 클로즈업되고, 펜과 안경이 표시되는 동화상이다. 동화상 3은 메뉴 영상이며, “「1」안경”,“「2」펜”의 라벨 정보를 갖는 메뉴 항목을 2개 포함하고 있다. 동화상 4는 메뉴 항목 “「1」안경”이 선택된 경우에 재생되는 동화상이고, 안경이 클로즈업된다. 동화상 5는 메뉴 항목 “「2」펜”이 선택된 경우에 재생되는 동화상이고, 「펜」이 클로즈업된다. 그 밖의 동화상은 생략되어 있다.
도 2는 비디오 CD에서의 상기 동화상 1∼동화상 5 각각을 나타내는 5개의 디지털 데이터의 저장예를 도시한다. 이 비디오 CD에는 5개의 디지털 데이터와 동시에, 동화상 1∼동화상 5의 재생순서를 제어하는 복수의 재생경로 데이터가 저장된다. 1개의 디지털 데이터는 디스크의 연속영역에 저장되지만, 모든 동화상의 디지털 데이터가 연속영역에 저장될 필요는 없고, 도 2와 같이 광디스크의 저장영역에 이산적으로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은 비디오 CD에 저장되는 복수의 재생경로 데이터군을 도시한다. 재생경로 데이터 1에는 복수개의 동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재생순서를 부여하는 타입과, 재생 진행의 분기장소를 바꾸는 타입이 있다.
전자의 타입은 플레이 리스트라 불리우고, 동화상의 재생순서를 지정하고 있다. 또한 플레이 리스트는 지정한 동화상의 재생종료후의 다음 재생경로를 지정하는 링크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후자의 타입은 선택 리스트라 불리우고, 복수의 분기장소 재생경로의 후보를 포함하고 있고, 메뉴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있다. 메뉴 어드레스란, 분기장소가 복수개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메뉴 영상의 기록 어드레스이다. 메뉴 영상은 상기 동화상 3과 같이 복수의 메뉴 항목을 포함하여, 그들 메뉴항목의 식별 번호에 분기장소 재생경로의 식별자를 대응시키고 있다.
도 3에서는 재생경로 데이터(1, 3, 4)는 플레이 리스트이고, 재생경로 데이터 2는 선택 리스트이다. 또, 각 메뉴 항목의 식별번호는 리모콘의 패널 상의 숫자키에 대응하고 있고, 사용자가 숫자 키를 누름으로써 대응하는 분기장소로 재생 진행된다.
다음에 도 2에 도시된 비디오 CD가 그 재생장치에 의해 재생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재생 개시가 지시되면 재생장치는, 선두의 재생경로 데이터 1을 광디스크로부터 판독하고, 내부의 메모리로 저장한다. 재생장치는 재생경로 데이터 1에 의해 표시되는 동화상의 재생순서에 따라 재생해야 할 동화상을 결정한다. 결정후, 그 동화상의 기록 어드레스로 픽업을 이동시켜, 동화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광디스크로부터 판독한다. 판독한 디지털 데이터에 소정의 신호처리를 실시하여 영상출력 신호와 음성출력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스피커측으로 출력한다.
이상의 처리를 거쳐서 동화상 1이 재생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정이 책상이 있는 방에 들어오는 장면의 동화상이 수초간 재생된다. 동화상 1의 재생이 완료되면 동화상 2의 재생이 행해지고, 화면에서는 책상이 클로즈업된다. 이 클로즈업에 의해 화면상에는 펜과 안경이 수초간 나타난다. 재생경로 데이터에 기억된 동화상이 모두 재생되면, 저장하고 있는 재생경로 데이터 1의 링크정보를 참조하여 광픽업을 통해 다음 재생경로 데이터를 판독한다. 판독한 후, 재생경로 데이터 1을 폐기하고, 광학적인 판독을 통해 다음 재생경로 데이터를 내부의 메모리로 판독한다. 본 예라면 재생경로 데이터 1 대신에 재생경로 데이터 2가 메모리에 저장된다. 본 예의 경우, 새로 저장한 재생경로 데이터 2가 선택 리스트이기 때문에 복수의 분기장소를 제시하는 메뉴 영상이 표시된다. 본 예에서는 동화상(3)이 메뉴로서 표시되고, “「1」 안경”,“「2」펜”의 메뉴 항목이 사용자에게 표시된다.
사용자가 메뉴 영상을 보고, 리모콘 상의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버튼을 누르면 재생장치는 그 버튼에 대응하는 분기진행장소의 재생경로 데이터를 결정한다. 계속해서 내부에 저장하는 선택 리스트인 재생경로 데이터 2를 파기하고, 결정한 분기장소의 재생경로 데이터의 기록 어드레스로 픽업을 이동시켜, 이 분기장소의 재생경로 데이터를 내부의 메모리로 판독한다. 본 예라면 사용자가“「1」안경”을 선택하면, 재생경로 데이터 3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2」펜”을 선택하면 재생경로 데이터 4가 메모리에 저장된다. 새로운 재생경로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면, 마찬가지로 이에 따른 재생 진행 제어를 계속한다. 본 예라면 재생경로 데이터 3이 메모리에 저장되면, 이에 따라, 동화상 4가 재생되어 화면에는 안경이 클로즈업된다.
재생경로 데이터 4가 메모리에 저장되면, 동화상 5가 재생되고, 화면에는 펜이 클로즈업된다. 상술한 광디스크에 대하여 재생장치가 상기의 동작을 반복하면, 메뉴 항목의 선택에 의해 분기장소의 영상으로 차례로 재생을 진행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인터랙티브 소프트웨어의 스토리 전개가 여러가지로 변화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기가 영상 내에 등장하는 탐정이 된 기분으로 멀티스토리를 즐길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디오 CD 등에 의한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재생 진행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구체적인 예를 게시하여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의 애플리케이션의 메뉴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l) 인터랙티브의 응답성의 문제점
비디오 CD에서 1개의 재생분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재생장치의 광픽업이 동화상 2→재생경로 데이터 2→동화상 3→재생경로 데이터 3 또는 4→동화상 4 또는 5와 같은 식으로 동화상과 재생경로 데이터를 차례로 판독해야한다. 이와 같이 재생경로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판독하는 것은 재생장치 내부의 메모리 용량이 작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 반면, 동화상 판독과 재생경로 데이터의 판독의 전환은 광픽업의 탐색 동작을 발생시킨다. 이 탐색 동작에 의해 재생 진행이 일시적으로 중단된다는 결함이 있다. 특히, 재생분기 개소가 많으면 많을수록 재생 진행의 일시적인 중단은 인터랙티브한 재생 진행의 응답성이 크게 저하된다. 응답성의 저하는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매력적인 것으로 하려면 커다란 장해가 된다. 이와 같이,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진행을 빠른 응답으로 원활히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2) 인터랙티브 영화용 메뉴 실현을 위한 문제점
또, 인터랙티브 영화 등에서 이용되는 메뉴(재생 진행의 분기점)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 지정이 접수되지 않은 경우, 재생 진행이 정지한다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앞에서의 드래곤과 무사의 예에서는 드래곤이 지평선의 저쪽편에서 등장하는 동시에, 「도망간다」, 「싸운다」의 메뉴가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가 이 판단을 하기 어려운 경우, 재생 진행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인터랙티브 영화는 스토리 참가에 흥미가 없는 사용자, 또는 분기점에서 선택할 수 없는 사용자에 게 있어서는 통상의 영화와 같이 감상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기록된 광디스크,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으로서, 특히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재생기능의 향상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추리 드라마를 구성하는 동화상 1∼동화상 5와 그 재생 순서를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종래 기술에서의 비디오 CD의 상기 동화상 1∼동화상 5 각각을 나타내는 5개의 디지털 데이터의 저장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서의 비디오 CD에 저장되는 복수의 재생 경로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서의 DVD의 외관, 단면, 확대 단면 및 피트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DVD에 기록되는 전체의 데이터 구조도
도 6은 도 5 중의 각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VOB의 더욱 상세한 데이터 구성을 설명한 도면
도 8은 비디오 팩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오디오 팩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부영상 데이터 팩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관리 팩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 화상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관리 팩의 더욱 상세한 데이터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관리 팩 중의 버튼색 정보 및 버튼 정보의 더욱 상세한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버튼마다 설정되는 버튼 명령으로서 이용되는 명령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5 중의 각 비디오 타이틀 세트중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 정보의 데이터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은 PGC의 설명도
도 18은 본 실시예에서의 재생 시스템의 외관도
도 19는 리모콘의 키 배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재생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1은 시스템 디코더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2는 시스템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3은 버튼 상태 천이표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부영상 디코더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5는 시스템 제어부에 의한 재생 제어의 개략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26은 도 25 중의 프로그램 체인군의 재생 처리의 상세한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도 26 중의 VOB 재생 제어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28은 도 27 중의 하이라이트 처리의 개략을 도시한 흐름도
도 29는 도 28 중의 버튼 초기 상태 결정 처리를 도시한 더욱 상세한 흐름도
도 30은 도 28 중의 하이라이트 표시 처리의 더욱 상세한 흐름도
도 31은 도 28 중의 하이라이트 종료 처리를 도시한 더욱 상세한 흐름도
도 32는 도 31 중의 버튼 확정 처리를 도시한 더욱 상세한 흐름도
도 33은 도 28 중의 버튼 상태 천이 처리를 도시한 더욱 상세한 흐름도
도 34는 시스템 메뉴의 호출 및 복귀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
도 35는 인터랙티브 타이틀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6은 인터랙티브 타이틀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37은 프로그램 체인의 설명도
도 38은 광디스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의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레스폰스(반응성)가 좋고 또한 고도의 인터랙티브성을 실현하는 동시에, 메뉴 조작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의 재생 진행 성능을 향상시킨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및 그 재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개개의 재생 분기점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내용에 따라 적절하고 또 간단한 사용자 조작으로 원활한 재생 진행을 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및 그 재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인터랙티브한 재생 진행에 있어서, 개개의 분기점에서의 스토리 내용이나 장면에 따라 최적의 사용자 조작을 실현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그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광디스크는 부영상 데이터와 동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로서,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소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연속하는 소영역에 걸쳐서 하나의 오브젝트가 기록되고, 소영역은 각각 제 1, 제 2 서브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서브 영역에는 소정 시간 단위의 동화상 데이터와, 그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재생될 부영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부영상 데이터는 표시용의 선택 가지를 나타내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메뉴 화상이고,
제 2 서브 영역에는 제어 정보가 기록되고, 제어 정보는 같은 소영역 내의 제 1 서브 영역의 메뉴 화상이 재생되었을 때의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기 위한 버튼 제어 데이터와,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대행하기 위한 보조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비디오 오브젝트는 소영역마다 복수 버튼을 포함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부영상 데이터와, 버튼 제어 데이터와, 보조 제어 데이터를 갖기 때문에 소영역마다 레스폰스가 좋고 또 고도의 인터랙티브성을 실현할 수 있다. 덧붙여, 소영역마다 보조 제어 데이터에 의해 사용자 조작을 대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재생 진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튼 제어 데이터는 선택 상태의 버튼을 착색하기 위한 선택색과, 확정 상태의 버튼을 착색하기 위한 확정색과, 버튼이 확정 상태가 되었을 때 실행해야 할 버튼마다의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허가로 하는 기간의 종료 시각과,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에 강제적으로 확정 상태로 이행시키는 버튼을 나타내는 강제 확정 버튼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재생시에 재생 진행의 분기점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버튼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라도 강제 확정 버튼 정보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제작자의 의도대로 재생 진행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랙티브한 애플리케이션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자동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재생을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재생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인터랙티브 영화로서도 통상의 영화로서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강제 확정 버튼 정보는 종료 시각에서 선택 상태에 있는 버튼 또는 특정한 버튼 번호를 갖는 버튼을 강제 확정 버튼으로서 지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 버튼 제어 데이터는 버튼이 선택 상태일 때의 표시색인 선택색과, 버튼이 확정 상태일 때의 표시색인 확정색과, 버튼이 확정 상태가 되었을 때에 실행해야 할 버튼마다의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버튼을 선택 상태로 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확정 상태로 이행시켜야 되는 버튼을 지정하는 자동 확정 버튼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동확정 버튼을 설정함으로써 선택 조작과 확정 조작으로 이루어지는 2단계의 사용자 조작을 1단계의 조작으로 실현할 수 있다. 즉시성을 요구받는 장면에서 이용되는 메뉴에는 특히 효과적이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사용자의 숫자 키 입력에 의한 선택이 금지되는 버튼을 나타내는 금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금지 정보는 임계값이고,
임계값보다 큰 버튼 번호를 갖는 버튼은 사용자의 숫자 키 입력에 의한 선택이 금지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숫자 선택 가능한 버튼과 불가능한 버튼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오조작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숫자 키와 화살표 키를 재생 분기점마다 이야기나 장면에 따라 구별지어 쓸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의 소정 구간 내의 복수의 제 1 서브 영역의 부영상 데이터는 동화상 데이터와 다중 표시되는 1개의 정지화상을 구성하며,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다른 오브젝트로의 분기재생후의 복귀용으로서, 상기 소정 구간 내의 최초의 소영역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컨대 소정 구간의 선두의 부영상 데이터에 의해 메뉴 화상 등의 정지화상이 저장되고, 또한 그보다 후속하는 소영역에서 당해 정지화상을 계속하여 재생중이라도 다른 비디오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호출한 후, 원래의 부영상 데이터로부터 재개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재생장치는,
상기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제 1 서브 영역의 동화상 데이터 및 부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용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재생 수단과,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에 대한 사용자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판독 수단에 의해 제 2 서브 영역에서 판독된 버튼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접수된 사용자 지시에 대하여 응답하는 제어를 하는 제 1 제어 수단과,
판독 수단에 의해 제 2 서브 영역에서 판독된 보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지시를 대행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 2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비디오 오브젝트는 소영역마다 복수 버튼을 포함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부영상 데이터와, 버튼 제어 데이터와, 보조 제어 데이터를 갖기 때문에 제 1 제어 수단은 소영역마다 고도의 인터랙션을 실현할 수 있다. 덧붙여, 제 2 제어 수단은 소영역마다 보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조작을 대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재생 진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판독 수단에 의해 제 2 서브 영역이 판독될 때마다 상기 제어 정보를 해석하고, 버튼수, 선택색, 확정색, 버튼마다의 명령, 종료 시각, 강제 버튼 번호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버튼의 상태 변화를 제어하는 버튼 제어 수단과,
재생 수단에 대하여 메뉴 화상 상의 버튼의 선택색 및 확정색을 지시하는 버튼 표시 제어 수단과,
확정 상태가 된 버튼의 명령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종료 시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시계 수단과,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 강제 확정 버튼 정보에 표시되는 버튼을 확정 상태로 변경하는 강제 확정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재생시에 재생 진행 분기점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버튼이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도 시계 수단 및 강제 확정 수단은 강제 확정 버튼 정보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제작자의 의도대로 재생 진행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랙티브한 애플리케이션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자동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재생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판독 수단에 의해 제 2 서브 영역이 판독될 때마다 상기 제어 정보를 해석하여 버튼수, 선택색, 확정색, 버튼마다의 명령, 종료 시각, 강제 버튼 번호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버튼의 상태 변화를 제어하는 버튼 제어 수단과,
재생 수단에 대하여 메뉴 화상 상의 버튼의 선택색 및 확정색을 지시하는 버튼 표시 제어 수단과,
확정 상태가 된 버튼의 명령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버튼 제어 수단에 의해 비선택 상태로부터 선택 상태로 변화한 버튼을 확정상태로 변경하는 선택즉시 확정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선택즉시 확정수단은 자동확정 버튼에 따라 선택 조작과 확정 조작으로 이루어지는 2단계의 사용자 조작을 1단계의 조작으로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또한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이 숫자 키인 경우에, 당해 숫자 키가 금지 정보에 의해 금지되면 버튼 제어 수단에 의한 선택 상태로의 변경을 금지하는 금지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금지 수단은 숫자 선택 가능한 버튼과 불가능한 버튼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숫자 키와 화살표 키를 재생 분기점마다 이야기나 장면에 따라 구별하여 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판독 수단에 의해 제 2 서브 영역이 판독될 때마다, 상기 제어 정보를 해석하여 버튼수, 선택색, 확정색, 버튼마다의 명령, 종료 시각, 강제 버튼 번호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버튼의 상태 변화를 제어하는 버튼 제어 수단과,
재생 수단에 대하여 메뉴 화상 상의 버튼의 선택색 및 확정색을 지시하는 버튼 표시 제어 수단과,
확정 상태가 된 버튼의 명령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이 다른 오브젝트의 일시적인 재생 지시인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재생 지시가 검출되었을 때,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저장하여 당해 다른 오브젝트의 재생을 재생 수단에 지시하는 호출 수단과,
당해 다른 오브젝트 재생의 종료후, 보존된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오브젝트의 재생을 재개하는 재개 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컨대 소정 구간의 선두의 부영상 데이터에 의해 메뉴 화상 등의 정지화상이 저장되고, 또한 그것보다도 후속하는 소영역에서 당해 정지화상을 계속하여 재생중이라도 호출 수단에 의해 다른 오브젝트를 일시적으로 호출한 후, 재개 수단에 의해 원래의 부영상 데이터로부터 재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재생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 취득부를 통해 입력하는 입력 단계와,
입력된 제 1 서브데이터의 동화상 데이터 및 부영상 데이터를 복호기에 재생시켜 표시용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재생 단계와,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에 대한 사용자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단계와, 입력된 제 2 서브데이터 내의 버튼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접수된 사용자 지시에 대하여 응답하는 제어를 데이터 취득부 및 복호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 1 제어 단계와,
입력된 제 2 서브데이터 내의 보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 지시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을 대행하는 제어를 데이터 취득부 및 복호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 2 제어 단계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비디오 오브젝트는 소영역마다 복수 버튼을 포함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부영상 데이터와, 버튼 제어 데이터와, 보조 제어 데이터를 갖기 때문에 제 1 제어 수단은 소영역마다 고도의 인터랙션을 실현할 수 있다. 덧붙여, 제 2 제어 수단은 소영역마다 보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조작을 대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 재생 진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의 물리적인 구조
우선 최초로, 본 실시예에서의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이하 DVD : Digital Video Disk)의 물리적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의 DVD의 외관, 단면, 확대 단면 및 피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외관도에서 DVD의 지름은 CD와 마찬가지로 약 12cm이다.
도 4의 단면도에서 DVD(l07)는 도면의 아래쪽으로부터 두께 0.6mm의 제 1 투명 기판(108), 그 위에 금속박막 등의 반사막을 부착한 정보층(109), 제 2 투명 기판(111), 정보층(109)과 제 2 투명 기판(111) 사이에 설정되어 양자를 접착하는 접착층(110)으로 구성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제 2 투명 기판(111) 위에 라벨을 인쇄 하는 인쇄층(112)이 설정된다.
인쇄층(112)은 DVD(l07)에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필요가 없으면 이것을 붙이지 않고 제 2 투명 기판(111)을 노출시켜도 된다.
도 4에서 재생용 광 빔(113)이 입사되어 정보를 재생하는 아래쪽의 면을 표면(A), 인쇄층(112)이 형성되는 위쪽의 면을 이면(B)으로 한다.
제 1 투명 기판(108)의 정보층(109)과 접하는 면은 성형 기술에 의해 요철의 피트가 형성되어, 이 피트와 길이와 간격을 바꿔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요컨대 정보층(109)에는 제 2 투명 기판(108)의 요철의 피트가 전사된다. 도 4의 피트형상과 같이, 각 피트의 길이가 0.4μm∼2.13μm이고, 반경방향으로 0.74μm의 간격을 두고 나선상으로 나열되어 하나의 나선 트랙을 형성한다. 이 피트의 길이는 종래예인 CD의 경우에 비해 짧아지고 피트열에서 형성하는 정보 트랙의 피치인 트랙 피치도 좁게 구성되어, 면기록 밀도가 향상되어 있다.
또한, 제 1 투명 기판(108)의 피트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표면(A)측은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다. 제 2 투명 기판은 보강을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 제 1 투명 기판(108)과 같은 재질로, 두께도 같은 0.6mm의 양면이 평탄한 투명 기판이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는 광헤드로부터의 광 빔(113)은 아래쪽에 도시하는 표면 (A)로부터 조사되어 정보층(109) 위에서 집속되고, 광 스포트(114)로서 정보층(109) 위에 결상(結像)하여 피트가 있는 부분에서는 반사광의 위상이 주위와 다르기 때문에 광학적 간섭이 생겨 반사율이 저하되며, 피트가 없는 부분에서는 간섭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반사율이 높아져서 그 결과 반사율 변화로서 정보의 재생이 행해진다. 또한, DVD(l07)의 광 스포트(114)는 NA가 크고 λ가 작기 때문에 상기 CD에서의 광 스포트에 비해 지름이 약 1/1.6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CD의 약 8배인 약4.7GB의 기록 용량을 갖는다.
DVD 전체의 데이터 구성
다음에, DVD에 기억되는 전체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DVD 전체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DVD는 하나의 나선상의 트랙 상에서 디스크 중심에서 외주에 걸쳐서, 크게 나눠 리드 인 영역, 볼륨 영역, 리드 아웃 영역을 갖는다.
「리드 인 영역」은 디스크 재생장치의 판독 개시시의 동작안정용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리드 아웃 영역」은 디스크 재생장치에 기록 정보의 종단을 나타내기 위한 영역이다.
「볼륨 영역」은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여러가지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고, 물리적으로는 나선 트랙 상에 일차원 배열로서 극히 다수의 논리 블록(섹터라고도 함)으로 구성된다. 각 논리 블록은 2kbyte이고 블록 넘버(sector address)로 구별된다. 이 논리 블록 크기는 재생장치에 의한 최소 판독 단위이다.
이 볼륨 영역은 또한 볼륨 관리 영역과 파일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볼륨 관리 영역」은 선두 블록으로부터 디스크 전체의 관리에 필요한 블록수만큼 확보되어, 예컨대 ISO(International Standards 0rganization) 13346 등의 규격에 따라 복수의 파일의 각각의 파일명과, 각 파일이 차지하고 있는 논리 블록군의 어드레스와의 대응을 도시하는 정보가 기록된다.
「파일 영역」에는 적어도 1개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와 비디오 매니저가 기록된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도 비디오 매니저도,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 1개의 파일로서 취급하지만, 실제로는 트랙 상에 연속하는 복수 파일로 분할되어 기록된다. 예컨대 영화를 저장하는 경우 등 파일 용량이 너무 방대하게 되기 때문에 재생장치에서의 관리를 쉽게 하기 위해서는 연속하는 복수 파일로 분할하여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각「비디오 타이틀 세트」는 개개의 타이틀 세트 기록용이고, 구체적으로는 인터랙티브 영화 등의 애플리케이션의 부분적인 동화상, 음성 및 정지화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비디오 오브젝트(이하 VOB라 함)와, 그들의 재생 제어용 정보가 기록된다. 여기에서, 타이틀 세트는, 예컨대 같은 영화로서 노 커트판, 극장 공개판, 텔레비전 방영판 등 3버전이 있는 경우, 버전별 3타이틀의 총칭이다. 이 경우, 다른 버전의 타이틀간에서 공유할 수 있는 VOB와, 공유할 수 없는 개별의 VOB가 존재한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에는 공유 부분의 VOB와 버전 개별의 VOB가 기록된다.
또한, 영화에 한정되지 않고 인터랙티브 영화 등 복수의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할 수 있도록 복수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가 기록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은 DVD의 약 4.7Gbyte라는 방대한 기록 용량에 의해 처음으로 실현되는 것이다.
「비디오 매니저」는 디스크 전체의 타이틀 세트의 관리용이고,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VOB와, 그들의 재생 제어용 정보가 기록된다. 비디오 매니저의 데이터구성은 비디오 타이틀 세트와 마찬가지지만 특별한 용도로 사용되는 점이 다르다. 요컨대, 비디오 매니저는 디스크 전체의 타이틀 세트를 관리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 때문에 비디오 매니저에는 재생 개시시에 사용자가 원하는 타이틀 세트를 선택하거나, 볼륨 전체의 타이틀 세트의 재생 제어의 설정/변경을 하기 위한 시스템 메뉴용 VOB(군)가 기록되어 있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데이터구성 (1)
도 6은 도 5 중의 각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타이틀 세트는 복수의 VOB로 이루어지는 VOB 세트와, 그들의 재생 경로를 제어하기 위해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 정보로 이루어진다.
「VOB 세트」는 타이틀 세트의 요소가 되는 모든 VOB, 즉 복수 타이틀에서 공유되는 VOB와, 타이틀의 개별 부분이 되는 VOB로 이루어진다.
각각의「VOB」는 GOP(Group Of Picture)로 불리는 소정 시간 단위의 동화상 데이터(비디오)와, 그 동화상과 동시에 재생될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와, 그 동화상과 동시에 재생될 복수의 부영상 데이터와, 이들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팩이 인터리브된다. 도 6과 같이 1개의 관리 팩과, GOP에 상당하는 동화상 데이터와 복수의 음성 데이터와 복수의 부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부분을 VOB 유니트(VOB Unit)라 부른다.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복수의 부영상 데이터는 각각 재생장치에 의해 택일적으로 재생된다.
도 6의 「오디오 A」,「오디오 B」,「오디오 C」와 같이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는, 예컨대 일본어, 영어 등 복수의 다른 언어의 음성을 기록하거나, 남성의 음성과 여성의 음성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의「SP A」「SP B」와 같이 복수의 부영상 데이터는 동화상으로 다중 표시되는 정지 화상이고, 예컨대 복수의 다른 언어의 자막을 기록할 수 있다. 자막 외에 부영상 데이터의 더 중요한 용도로서 메뉴가 있다. 즉, 1개 혹은 몇개의 부영상 데이터는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메뉴 화상을 기록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관리 팩은 2Kbyte의 크기이고, VOBU마다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정보가 저장된다. 이 중에는 부영상 데이터의 메뉴 화상에서의 버튼 표시 및 메뉴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하이라이트 정보가 포함된다. 이 하이라이트 정보는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 화상과 더불어 VOBU 단위에서의 인터랙티브성을 실현하고 있다.
VOB의 데이터 구성
VOB의 더욱 상세한 데이터 구성의 설명도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은 인터리브에 의해 다중화되기 전의 소재와, 다중화된 후의 VOB를 병기하고, 각 소재가 어떻게 인터리브 다중화되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의 엘리먼트리 스트림(1)∼(6)은 각각 VOB를 구성하기 위한 다중화되기 전의 소재예이다. ·
엘리먼트리 스트림(1)은 MPEG2 규격에 준거하여 압축된 동화상 데이터이고, GOP 단위로 VOBU에 인터리브 다중된다. 여기에서 GOP는 적어도 1개의 I 픽처를 포함하는 약 0.5초분의 압축 동화상 데이터이다. 1개의 GOP는 1개의 VOBU에 기록된다.
엘리먼트리 스트림(2)∼(4)는 각각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음성 A∼C 채널)이다. 각 음성 채널은 동화상 데이터의 GOP에 시간적으로 거의 대응하는 부분이 동화상 데이터와 같은 VOBU에 기록된다.
엘리먼트리 스트림(5),(6)은 각각 상기 동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영상 데이터(부영상 A, B 채널)이다. 각 부영상 데이터는 동화상 데이터의 GOP에 시간적으로 대응하는 부분이 동화상 데이터와 같은 VOBU에 기록된다.
또한, 다중화 후의 VOB에서 도 7의 「비디오 1」, 「오디오 A-1」, 「오디오B-1」··「SP A-1」「SP B-1」와 같이 도시된 부분은, 실제로는 각각의 부분이 2Kbyte 크기의 복수 팩의 모임이라는 형식으로 기록된다. 예컨대「비디오 1」의 부분은 1개의 GOP에 상당하는 복수 팩의 집합으로서 기록된다. 이와 같이 팩화하는 이유는 DVD에서의 2Kbyte 크기의 논리 블록(섹터)과 같은 크기이고, 재생장치에 의한 최소의 판독 단위이기 때문이다.
각 팩의 데이터 포맷
상기 VOBU 중의 동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팩 및 관리 팩의 더욱 상세한 데이터 포맷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도 11에 도시된 각 팩은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이라 불리우는 l 패킷을 포함하고, 팩 헤더, 패킷 헤더,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지며, 2Kbyte길이의 크기를 갖는다. 「팩 헤더」, 「패킷 헤더」에 대하여 MPEG2에 준거하는 점은 설명을 생략하고, 여기서는 각 팩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성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 및 심리 팩을 식별하기 위해서 MPEG2에서의 프라이비트 패킷 1, 2라 불리는 특별한 패킷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프라이비트 패킷이란 그 내용을 자유롭게 정의하기 좋은 패킷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프라이비트 패킷 1을 오디오 데이터 및 부영상 데이터라고 정의하여, 프라이비트 패킷 2를 관리 팩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도 8은 도 7의「비디오 1」등의 구성요소가 되는 팩(이하, 비디오 팩이라 함)의 데이터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비디오 팩은 팩 헤더, 패킷 헤더, GOP의 일부분을 실은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진다. 이 중 패킷 헤더 중의 스트림 ID (예컨대 1110 0000)는 비디오 팩인 것을 의미한다.
도 9는 도 7의 「오디오 A-1」 등의 구성요소로 되는 팩 (이하, 오디오 팩이라 함)의 데이터 포맷이다. 오디오 팩은 팩 헤더, 패킷 헤더, 음성 데이터를 실은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진다. 이 중 패킷 헤더 중의 스트림 ID (1011 1101)는 프라이비트 패킷 1인 것을 의미한다. 또, 데이터 필드 중 서브스트림 ID(도 9의 1O1OOXXX나 1OOOXXX)의 상위 5비트는 음성 데이터인 것과 그 부호화 방식을 의미하며, 하위 3비트는 어느 채널인지를 의미한다.
도 10은 도 7의「SP A-1」등의 구성요소가 되는 팩(이하, 부영상 팩이라 함)의 데이터 포맷이다. 부영상 팩은 팩 헤더, 패킷 헤더, 이미지 데이터를 실은 데이터 필드로 이루어진다. 이 중 패킷 헤더 중의 스트림 ID (1011 1101)는 프라이비트 패킷 1인 것을 의미한다. 또, 데이터 필드 중 서브스트림 ID(도 10의 OO1X XXXX)의 상위 3비트는 부영상 데이터인 것을 의미하며, 하위 5비트는 어느 채널인지를 의미한다.
도 11은 도 7의 관리 팩의 데이터 포맷이다. 관리 팩은 팩 헤더, PCI 패킷 (Presentation Contro1 Information Packet), DSI 패킷(Data Search Information Packet)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패킷 헤더 중의 스트림 ID(l011 1111)는 프라이비트 패킷 2인 것을 의미한다. 또, 데이터 필드 중의 서브스트림 ID(0000 0000)는 PCI 패킷인 것을, 서브스트림 ID (0000 0001)는 DSI 패킷인 것을 의미한다.
DSI 패킷에는 동화상 정보와 음성 정보의 동기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나, 빨리감기나 되감기 재생 등의 특수 재생을 실현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된다. 이들 정보에는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 화상이 복수의 VOBU에 걸쳐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당해 부영상 데이터의 선두를 포함하는 VOBU의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복귀장소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다. 이 부영상으로의 복귀장소 어드레스는 애플리케이션 재생 중에 사용자 조작에 의해 리모콘 중의「메뉴」키가 눌려진 경우에, 비디오 매니저에 의한 시스템 메뉴로 점프하여 음성이나 부영상의 스트림 전환을 행한 후, 다시 애플리케이션의 재생을 재개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PCI 패킷에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실현하기 위한 하이라이트 정보가 기록된다. 하이라이트 정보는, 같은 VOBU 내의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 화상이 재생되었을 때의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기 위한 제어 정보와,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대행하기 위한 보조적인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조작은 재생장치의 리모콘에서의 커서키, 숫자키, 엔터키 등에 의한 입력 조작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메뉴 화상예를 이용하여 하이라이트 정보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 메뉴 화상에서는 5개의 메뉴 항목(1 골프, 2 스키, 3 테니스, 4 카누, 다음 메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메뉴 화상에 대한 하이라이트 정보는 버튼이 5개 있는 것, 각 버튼의 선택색 및 확정색, 각 버튼이 확정되었을 때 실행해야 할 명령 등을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이것에 덧붙여 하이라이트 정보는 상기 보조 적인 제어 정보로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강제적으로 확정할 버튼이나, 선택과 동시에 확정해야 할 버튼이나, 숫자키에 의한 선택이 금지되는 버튼 등을 도시하는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관리 팩의 데이터 구성
도 13은 관리 팩의 더욱 상세한 데이터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팩은 PCI와 DSI를 포함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PCI는 하이라이트 정보를 포함한다.
하이라이트 정보의 개략 데이터 구성
도 13에서 PCI 중의 하이라이트 정보는, 하이라이트 표시 전반에 관한 하이라이트 일반정보, 메뉴 중의 버튼의 표시색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색 정보, 버튼 개별의 내용을 정의하기 위한 버튼 정보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이라이트 표시란 메뉴 화상 중의 각 버튼에 대하여 선택 상태, 확정 상태에 있는 버튼을 다른 버튼과 구별하여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상황에 따른 메뉴 표시가 실현된다.
하이라이트 일반정보의 상세한 데이터 구성
도 13에서 하이라이트 일반정보는, 하이라이트 상태, 하이라이트 개시시각, 하이라이트 종료시각, 버튼선택 종료시각, 전체 버튼수, 숫자선택가능 버튼수, 강제선택 버튼번호, 강제확정 버튼번호로 구성된다.
「하이라이트 상태」란, 당해 PCI 패킷이 대상으로 하는 약 0.5초의 비디오표시 구간(VOBU)에 있어서 버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나, 존재한 경우에 앞서의 PCI 패킷의 하이라이트 정보와 동일한 내용인지의 여부 등의 하이라이트 상태를 말한다.
예컨대 하이라이트 상태는 다음과 같은 2비트로 나타낸다.
하이라이트 상태 “00”: 이 VOBU에 의한 비디오 표시구간에서는 메뉴 상의 버튼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이라이트 상태 “01”: 신규 버튼이 존재한다.
하이라이트 상태 10 :직전의 VOBU와 같은 버튼이다.
하이라이트 상태 “11”: 하이라이트 명령 이외, 직전의 VOBU와 같은 버튼이다.
「하이라이트 개시시각」, 「하이라이트 종료시각」, 「버튼선택 종료시각」은 각각 하이라이트 표시의 개시, 종료, 버튼의 선택 가능한 최종의 시각을 나타낸다. 이들 시각은 당해 VOB의 재생개시시를 기산점으로 한다. 재생장치에서는 재생동작 전반의 기준 클록으로서, 당해 VOB의 재생개시시를 기산점으로 하는 시스템 시각이 계시된다. 이들 시각에 의해, 재생장치는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 화상의 표시와 메뉴 화상에 대한 하이라이트 표시를 동기시킬 수 있다.
「전체 버튼수」는 최대 36의 버튼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버튼수를 가리킨다. 각 버튼에는 1로부터 전체 버튼수까지의 버튼 번호가 붙여져 있다.
「숫자선택가능 버튼수」는, 예컨대 j가 설정되어 있다고 하면, 버튼 1로부터 버튼 j까지의 숫자 키가 입력된 경우에 선택이 허가되다. 즉, j+1 이상의 번호를 갖는 버튼에서는 숫자 키에 의한 선택이 금지된다.
「강제선택 버튼번호」는 하이라이트 표시가 시작된 시점에서의 초기선택버튼을 가리킨다. 강제선택 버튼번호가 0인 경우는 초기강제버튼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그 경우는 재생장치 내부에 보존된 선택버튼번호를 사용한다.
「강제확정 버튼번호」는 버튼선택 가능구간이 종료되어도 어떤 버튼도 확정되지 않은 경우에 자동적으로 확정해야 할 버튼번호를 가리킨다. 한편, 63과 0은 버튼번호가 아닌 매직번호이다. 즉, 0은 강제선택 버튼번호와 같이 미지정(무효)을 의미하고, 또한 63은 특정한 버튼 번호를 지정하지 않고 버튼선택 종료시각의 시점에서 선택 상태에 있는 버튼을 강제 확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인터랙티브 영화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는 메뉴로, 사용자에 의한 확정이 없더라도 재생을 중단하지 않고, 재생을 진행시킬 수 있다.
버튼색 정보의 상세한 데이터 구성
도 14는 버튼색 정보 및 버튼 정보의 더욱 상세한 데이터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버튼색 정보는 버튼색 1 정보, 버튼색 2 정보, 버튼색 3 정보로 구성되어, 메뉴상의 버튼용으로 3종류의 버튼색군을 준비하고 있다. 개별의 버튼에는 3종류중 1개가 지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 가능한 버튼수는 최대 36이지만, 모든 버튼에 다른 색변화를 할당하는 것은 불필요하므로 각 버튼은 3종류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도록 되어 있다.
버튼색 l∼3 정보는 각각 선택색 정보와 확정색 정보로 구성된다.
「선택색 정보」는 버튼이 화살표 키 등에 의해 선택된 경우(선택 상태에 있는 경우)에 발색시키는 색을 나타내는 정보이고, 강조 1 색코드, 강조 2 색코드, 패턴색 코드, 배경색 코드로 이루어진다. 이들의 4색을 구별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도 12에 도시된 메뉴 화상예에 입각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지금, 「4 카누」버튼이 선택 상태에 있다고 하면, 예컨대 숫자「4」를 둘러싸는 표시테두리가 강조 1 색, 「4 카누」를 둘러싸는 표시테두리가 강조 2 색, 「4 카누」의 문자가 패턴색, 그 문자의 배경이 배경색으로 된다.
「확정색 정보」는 선택 상태에 있는 버튼이 확정되었을 때에 발색시키는 색을 도시하는 정보이고, 선택색 정보와 같이 강조색 1 코드, 강조색 2 코드, 패턴 1 색코드, 배경색 코드로 이루어진다.
이들의 각 색코드와 메뉴 화상 중의 버튼의 대응 관계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 화상은 1픽셀 2비트의 이미지 데이터이다. 각 픽셀의 2비트 코드는 강조색 1, 강조색 2, 패턴색, 배경색의 어느 것인지를 지정한다. 예컨대, 다음과 같은 비트 할당이 된다.
2 비트 코드 “00”은 배경색(배경 부분의 픽셀).
2 비트 코드 “01”은 패턴색(문자를 구성하는 픽셀).
2 비트 코드 “10”은 강조색 1(버튼의 틀이나 이중틀의 한쪽 등).
2 비트 코드 “11”은 강조색 2(버튼의 이중틀의 다른쪽 등).
버튼색 정보 중 강조색 1 코드, 강조색 2 코드, 패턴색 코드, 배경색 코드는 부영상 데이터의 각 픽셀마다 지정된 2비트의 코드에 대하여 실제의 24비트로 지정되는 색 데이터로의 변환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강조색 1 코드, 강조색 2 코드, 패턴색 코드, 배경색 코드는 각각 4비트의 코드(이하 4비트색 코드라 함)이고 16색 중의 1색을 지정한다. 요컨대 강제 1 색코드, 강제 2 색코드, 패턴색 코드, 배경색 코드는 각각 픽셀마다 지정된 2 비트 코드(4종류의 색분류 가능)를 16색의 1색으로 변환하기 위한 4비트 코드이다. 이들 4비트 코드는 또한 재생시에 재생 장치 내의 색 변환표에 의해 24비트의 색코드로 변환된다.
버튼 정보의 상세한 데이터 구성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정보는 버튼 1∼36 정보의 최대 36의 버튼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다. 이하, 버튼 1∼36 정보의 각각을 대표하여 버튼 n 정보라 기재한다.
버튼 n 정보는 버튼 위치 정보, 인접 버튼 정보, 버튼 명령으로 구성된다.
「버튼 위치 정보」는 또한 버튼색 번호, 개시 XY 좌표, 종료 XY 좌표, 선택즉시 확정 플래그로 이루어진다.
「버튼색 번호」는 상기 버튼색 정보 중의 버튼색 l∼3 정보의 어느 것을 사용할 것인지를 지정한다.
「개시 XY 좌표」, 「종료 XY 좌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버튼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지정하기 위해 직사각형의 좌상좌표, 우하좌표를 각각 나타내고, 선택색 정보, 확정색 정보에 따라 착색되는 버튼의 범위를 나타낸다.
「선택즉시 확정 플래그」는 당해 버튼이 선택된 경우에 즉시 확정 상태로 이행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이것은 사용자에 의한 확정키 누름조작을 대행하여 사용자의 키입력 회수를 삭감하기 위한 플래그이다. 예를 들면, 당해 버튼이 화살표키로 선택된 경우에 확정키를 누르는 사용자 조작 없이 확정상태로 이행하게 된다.
「인접 버튼 정보」는 메뉴 화상에서 당해 버튼의 상하좌우에 존재하는 다른 버튼번호를 도시하는 정보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화살표 키조작에 의한 버튼선택의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버튼 명령」은 당해 버튼이 확정 상태가 되었을 때에 실행해야 할 명령이 기록된다. 명령은 재생장치에 대한 재생 제어용의 명령이고, 예컨대 분기를 지시하는 명령이나 재생 장치 내부의 레지스터에 대한 조작을 지시하는 명령 등이 있다.
버튼 명령의 상세
도 15는 버튼 정보 중에 버튼마다 설정되는 버튼 명령으로서 이용되는 명령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각 명령은, 오퍼레이션 코드와 오퍼랜드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오퍼랜드를 필요로 하는 명령도 있다.
도 15에서 Link 명령은 오퍼랜드로 지정된 프로그램 체인(이하 PGC라 함)으로의 분기 재생을 지시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체인(PGC)이란 미리 정해진 일련의 재생되는 VOB의 열 또는 재생 경로를 말한다. PGC의 상세한 것은 후술하기로 한다.
CmpRegLink 명령은 오퍼랜드로서 레지스터 번호와 정수값과 분기 조건과 분기 장소 PGC 번호가 지정되고, 당해 레지스터의 값이 정수값에 대하여 분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당해 PGC로 분기하는 것을 지시한다. 분기 조건은 =(일치), (크다), (작다)등이다.
SetRegLink 명령은 오퍼랜드로서 레지스터 번호와 정수값과 연산내용과 분기장소 PGC 번호가 지정되고, 당해 레지스터의 값과 정수값을 연산한 값을 당해 레지스터에 저장하고 나서 당해 PGC로 분기하는 것을 지시한다. 여기서 연산 내용을 나타내는 오퍼랜드는, =(대입), +(가산), -(감산), * (승산), /(제산), MOD(나머지), AND(논리곱), OR(논리합), X OR(배타적 논리합) 등이다.
SetReg 명령은 오퍼랜드로서, 레지스터 번호와 정수값과 연산 내용이 지정되고, 당해 레지스터의 값과 정수값을 연산한 값을 당해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것을 지시한다. 여기서 연산 내용을 나타내는 오퍼랜드는 상기 SetRegLink 명령과 마찬가지이다.
Random 명령은 오퍼랜드로서 레지스터 번호와 정수값이 지정되고, 정수 1로부터 당해 정수값까지 사이의 정수 난수를 발생하여 당해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것을 지시한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데이터 구성(2)
계속해서, 개개의 비디오 타이틀 세트 중, VOB의 재생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 정보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도 5 중의 각 비디오 타이틀 세트 중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 정보의 데이터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6의 계층을 좌로부터 차례로 제 1 계층∼제 5 계층이라 한다.
도 16의 제 1 계층은 이미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6의 제 2 계층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 정보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표와 타이틀 서치 포인터표와 PGC 정보표로 구성된다.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표」는 이 비디오 타이틀 세트의 헤더 정보이고, PGC 정보 관리표나 타이틀 서치 포인터표의 저장 위치를 도시하는 포인터가 기록된다.
「타이틀 서치 포인터표」는 PGC 정보 관리표에 저장되는 복수의 PGC의 인덱스이고, 타이틀마다 최초로 실행될 PGC 정보의 저장 위치로의 포인터가 기록된다. 예컨대 인터랙티브 영화의 선두 PGC를 나타내는 PGC 정보의 저장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가 기록된다.
「PGC 정보 관리표」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 내에 기록된 복수의 VOB로부터 임의의 VOB를 조합시켜 임의의 순서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이고, 복수의 VOB를 임의의 순서로 조합한 PGC라는 단위로 관리하고 있다. 이 PGC의 설명도를 도 17에 도시한다. 도 17의 PGC#1은 비디오 타이틀 세트 내의 VOB#1→VOB#2라는 재생 경로를 나타낸다. PGC#7은, VOB#15→VOB#13→VOB#14라는 재생 경로를 나타낸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도 16의 제 3 계층에 도시된 바와 같이, PGC 정보관리표는 복수의 PGC 정보#l∼#m으로 이루어진다. 각 PGC 정보는 1개의 PGC 구성과 다음에 재생할 PGC을 지정한다.
도 16의 제 4 계층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PGC 정보는 색 변환표, PGC 연결정보, 전처리 명령군, 후처리 명령군, 경로 정보로 구성된다.
「경로 정보」는 제 5 계층과 같이, 복수의 VOB의 위치 정보로 이루어지고, 재생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예컨대, 도 17의 PGC#1의 경로 정보는 VOB#1, #2의 2개의 위치 정보로 이루어진다. 이 위치 정보는 VOB의 선두 섹터의 논리 어드레스 및 당해 VOB가 점유하는 전체 섹터수를 포함한다.
「후처리 명령군」은 당해 PGC 재생 후에 실행될 명령을 나타낸다. 이 명령은 도 16에 도시된 명령, 요컨대 하이라이트 정보 중의 버튼 명령으로서 사용되는 명령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7의 PGC#l이 PGC#2나 PGC#3의 어느 하나에 분기 재생하고 있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PGC#1의 후처리 명령군에 CmpRegLink 명령을 설정해 두면 된다.
「전처리 명령군」은 당해 PGC 재생 개시전에 실행해야 할 명령을 나타낸다. 이 명령도 도 16에 도시된 명령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SetReg 명령 등에 의해 레지스터에 초기값을 설정하는 것에 이용할 수 있다.
「PGC 연결정보」는 다음에 재생해야 할 1개의 PGC의 번호를 나타낸다. 단 후처리 명령군 중의 분기명령(CmpRegLink 등)에 의해 분기하는 경우에는 무시된다.
「색 변환표」는 부영상 데이터의 전술한 4비트색 코드를 다시 24비트로 지정되는 실제의 색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표이다. 이 색 변환표는 도 16 제 5 계층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비트색 코드(색 1로부터 색 16)의 각 색에 대응하는, 휘도 데이터와 색차 데이터 1, 2로 이루어지는 24비트색 코드가 기록된다. 색의 지정방법은 예컨대 ITU-R-Rec. 601-1 등을 참조.
이상으로 광디스크의 데이터 구조의 설명을 마치고, 계속해서 그 재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재생 시스템의 외관
도 18은 본 실시예에서의 재생장치와 모니터와 리모콘으로 이루어지는 재생시스템의 외관도이다.
도 18에서 재생장치(l)는 리모콘(91)로부터의 조작 지시에 따라, 상기의 광디스크(DVD)를 재생하여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리모콘(91)으로부터의 조작 지시는 재생장치(1)의 리모콘 수신부(92)에 의해 수신된다.
표시용 모니터(2)는 재생장치로부터의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표시 및 음성 출력한다. 이 표시용 모니터는 일반적인 텔레비전도 된다.
리모콘의 외관
도 19는 상기 리모콘(91)의 키배열의 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키를 설명한다. 「메뉴」키는 인터랙티브 영화 등 어떤 타이틀 재생시에 비디오 매니저에 의한 시스템 메뉴 호출용이다. 「숫자」키 및「방향(화살표)」키는 메뉴 항목의 선택용이다. 「엔터」키는 선택한 메뉴 항목의 확정용이다. 그 밖의 키는 다른 AV 기기와 마찬가지다.
재생장치의 전체 구성
도 20은 도 18의 재생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재생장치(1)는, 모터(81), 광픽업(82), 기구제어부(83), 신호처리부(84), AV 디코더부(85), 리모콘 수신부(92), 시스템 제어부(93)로 구성된다. 또, AV 디코더부(85)는 시스템 디코더(86), 비디오 디코더(87), 부영상 디코더(88), 오디오 디코더(89), 영상합성부(90)로 구성된다.
기구제어부(83)는 디스크를 구동하는 모터(81) 및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판독하는 광픽업(82)을 포함하는 기구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구제어부(83)는 시스템 제어부(93)로부터 지시된 트랙 위치에 따라 모터 속도를 조정하면서 동시에 광픽업(82)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픽업 위치를 이동하여, 서보 제어에 의해 정확한 트랙을 검출하면, 원하는 물리 섹터가 기록된 곳까지 회전 대기를 행하여 원하는 위치로부터 연속하여 신호를 판독한다.
신호 처리부(84)는 광픽업(82)으로부터 판독된 신호를 증폭, 파형 정형, 2치화(二値化), 원상 회복, 에러 정정 등의 처리를 거쳐서, 시스템 제어부(93) 내의 버퍼 메모리(도시 생략)에 저장한다. 버퍼 메모리의 데이터 중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 정보는 시스템 제어부(93)에 유지되고, VOB는 시스템 제어부(93)의 제어에 의해 버퍼 메모리로부터 다시 시스템 디코더(86)로 전송된다.
AV 디코더부(85)는 신호 처리된 VOB를 원래의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시스템 디코더(86)는 버퍼 메모리로부터 전송된 VOB에 포함되는 논리 블록 단위(팩단위)로 스트림 ID, 서브스트림 ID를 판별하여,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87)에,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디코더(89)에, 부영상 데이터를 부영상 디코더(88)로 출력하고, 관리 팩을 시스템 제어부(93)로 출력한다. 그 때, 시스템 디코더(86)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와 복수의 부영상 데이터 중 시스템 제어부(93)로부터 지시된 번호(채널)의 오디오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를 오디오 디코더(89), 부영상 디코더(88)로 각각 출력하고, 그 번호 이외의 데이터를 파기한다.
비디오 디코더(87)는 시스템 디코더(86)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해독, 신장하여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서 영상 합성부(90)로 출력한다.
부영상 디코더(88)는 시스템 디코더(86)로부터 입력되는 부영상 데이터가 실행 길이(run length)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인 경우에는 그것을 해독, 신장하여 비디오 신호와 동일한 형식으로 영상합성부(90)로 출력한다.
오디오 디코더(89)는 시스템 디코더(86)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해독, 신장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서 출력한다.
영상합성부(90)는 비디오 디코더(87)의 출력과 부영상 디코더(88)의 출력을 시스템 제어부(93)에 지시된 비율로 혼합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다.
시스템 디코더의 구성
도 21은 도 20에서의 시스템 디코더(86)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1과 같이 시스템 디코더(86)는 MPEG 시스템 디코더(120), 부영상/오디오 분리부(121), 부영상 선택부(122), 오디오 선택부(123)로 구성된다.
MPEG 시스템 디코더(120)는 버퍼 메모리로부터 전송된 VOB에 포함되는 각 데이터 팩에 대하여 팩 중의 스트림 ID를 참조하여 팩의 종류를 판별하고, 비디오 패킷이라면 비디오 디코더(87)로, 프라이비트 패킷 1이면 부영상/오디오 분리부(121)로, 프라이비트 패킷 2라면 시스템 제어부(93)로, MPEG 오디오 패킷이라면 오디오 선택부(123)로, 그 패킷 데이터를 출력한다.
부영상/오디오 분리부(121)는 MPEG 시스템 디코더(120)로부터 입력되는 프라이비트 패킷 1에 대하여 팩 중의 서브스트림 ID를 참조하여 패킷의 종류를 판별하고, 부영상 데이터라면 부영상 선택부(122)로, 오디오 데이터라면 오디오 선택부(123)로, 그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 결과, 모든 번호의 부영상 데이터, 모든 오디오 데이터가 부영상 선택부(122)에, 오디오 선택부(123)로 출력될 수 있다.
부영상 선택부(122)는 부영상/오디오 분리부(121)로부터의 부영상 데이터 중, 시스템 제어부(93)에 지시된 번호의 부영상 데이터만을 부영상 디코더(88)에 출력한다. 지시된 번호 이외의 부영상 데이터는 파기된다.
오디오 선택부(123)는 MPEG 시스템 디코더(120)로부터의 MPEG 오디오 및 부영상/오디오 분리부(121)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 중, 시스템 제어부(93)에 지시된 번호의 오디오 데이터만을 오디오 디코더(89)로 출력한다. 지시된 번호 이외의 오디오 데이터는 파기된다.
시스템 제어부의 구성
도 22는 도 20 중의 시스템 제어부(93)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시스템 제어부(93)는 버튼 제어부(930), 시스템 상태 관리부(935), 명령 해석 실행부(936), 재생 제어부(937), 버튼 상태 제어부(933), 키입력 수신부(938)로 구성된다. 또, 버튼 제어부(930)는 PCI 디코더(931), 하이라이트 정보해석부(932), 하이라이트 표시제어부(934)로 구성되고, 관리 팩 중의 하이라이트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메뉴 조작에 대한 응답을 제어한다.
PCI 디코더(931)는 MPEG 디코더(120)로부터 송신되는 관리 팩 중 PCI 패킷을 분리하여, 그 중의 하이라이트 정보를 하이라이트 정보해석부(932)로 전송한다. 관리 팩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BU 마다 인터리브되어 있으므로 약 0.5초마다 새로운 관리 팩이 전송된다.
하이라이트 정보해석부(932)는 PCI 디코더(931)에서 입력되는 하이라이트 정보를 해석하여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 화상 상의 전체 버튼에 대하여 버튼의 선택 상태가 어떻게 천이하는지를 나타내는 버튼상태 천이표를 생성한다.
버튼상태 제어부(933)는 하이라이트 정보해석부(932)에 의해 생성된 버튼상태 천이표를 유지하고, 또 선택 상태에 있는 버튼 번호(현재의 상태)로 확정 상태에 있는 버튼 번호를 유지하고, 또 그 상태의 변화를 제어한다.
버튼상태 천이표의 구체예를 도 23에 도시한다. 이 버튼상태 천이표는 도 12에 도시된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 화상을 전제로 하고 있다.
도 23에서 「현재의 상태」란 선택 상태로 되어 있는 전체 버튼을 나타낸다. 요컨대 도 23의 S1∼S5는 메뉴 화상 상의 버튼번호 1∼5의 버튼이 선택 상태에 있는 것을 각각 나타낸다. 「현재의 상태」의 수는, 하이라이트 정보해석부(932)에 의해 도 13에 도시된 전체 버튼수에 따라 생성된다.
「화살표키 천이정보」란은 리모콘의 화살표 키의 입력이 있는 경우에, 현재의 상태로부터 어떤 상태로 천이하는지를 나타낸다. 화살표키 천이 정보는 하이라이트 정보해석부(932)에 의해 하이라이트 정보 중의 인접 버튼 정보에 따라 생성된다. 「하이라이트 표시정보」란은 각 버튼의 하이라이트를 나타낸다. 하이라이트 표시정보는 하이라이트 정보해석부(932)에 의해 도 14 중의 개시 XY 좌표, 종료 XY 좌표로 이루어지는 하이라이트 영역에 따라 설정된다.
「숫자키 허가」란은 각 상태마다 숫자키에 의한 선택을 허가할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이 정보는 하이라이트 정보해석부(932)에 의해 도 13에 도시된 숫자선택가능 버튼수에 따라 설정된다. 도 23의 예에서는, 버튼 1∼4까지는 버튼 선택이 허가되어 있고, 버튼 5는 허가되어 있지 않다.
「선택즉시 확정」란은 버튼마다 선택 상태가 되는 동시에 확정 상태로 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이 정보는 하이라이트 정보해석부(932)에 의해 도 14에 도시된 선택즉시 확정 플래그에 따라 설정된다. 도 23의 예에서는 버튼 5만이 선택즉시 확정한다고 설정되어 있다.
「버튼색 번호」란은 버튼마다의 버튼색 번호이고, 하이라이트 정보해석부(932)에 의해 도 14에 도시된 버튼색 번호에 따라 설정된다.
「버튼 명령」란은 각 버튼이 확정 상태가 되었을 때에 실행해야 할 명령을 나타내며, 하이라이트 정보해석부(932)에 의해 도 14에 도시된 버튼 명령에 따라 설정된다.
이러한 버튼상태 천이표에 따라 사용자의 메뉴 조작에 대한 응답 제어가 하이라이트 표시제어부(934), 명령 해석 실행부(936)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이라이트 표시제어부(934)는 버튼상태 천이표에 따라 선택 상태, 확정 상태에 있는 버튼의 하이라이트 영역이나, 버튼색 번호로 지정된 색정보를 부영상 디코더(88)에 지시함에 따라 하이라이트 표시를 제어한다.
시스템상태 관리부(935)는 신호 처리부(84)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버퍼이다. 이 일부의 버퍼영역은 PGC 정보를 유지하는 PGC 정보버퍼(935a)로서 확보된다. 시스템상태 관리부(935)에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가 VOB인 경우에는 재생제어부(937)에 의해 시스템 디코더(86)로 전송되고, PGC 정보라면 PGC 정보버퍼에 저장된다.
명령 해석 실행부(936)는 버튼이 확정 상태가 되었을 때 그 버튼 명령을 실행한다.
재생 제어부(937)는 레지스터 세트(937a)를 갖고, 키입력 수신부(938)로부터 키입력 데이터의 해석 실행이나 그 밖의 다른 재생제어 전체를 행한다. 레지스터 세트는 복수개의 레지스터(R0∼R3의 4개로 한다)로 구성된다. 레지스터의 하나는 현재 재생 중의 부영상 데이터의 채널 번호와 음성 데이터의 채널 번호를 유지하여, 부영상 선택부(122)와 오디오 선택부(123)에 당해 번호를 지정한다.
키입력 수신부(938)는 리모콘 수신부(92)로부터 입력된 키를 도시하는 키 코드를 수신하고 버튼상태 제어부(933) 및 재생제어부(937)에 통지한다.
부영상 디코더의 상세한 구성
도 24는 부영상 디코더(88)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4와 같이 부영상 디코더(88)는 입력 버퍼(881), 부영상 코드 생성부(882), 부영상 표시 제어부(883), 부영상 코드 변환표(884), 압축 부영상 신호생성부(885), 하이라이트 코드 변환표(886), 하이라이트 영역 관리부(887), 부영상 신호 생성부(888), 색 변환표(889)로 구성된다.
입력 버퍼(881)는 시스템 디코더(86) 내의 부영상 선택부(122)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부영상 데이터를 유지한다.
부영상 코드 생성부(882)는 실행길이 압축된 입력 버퍼 내의 이미지 데이터를 신장함으로써 각 픽셀이 2 비트 코드로 나타낸 비트 맵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부영상 표시 제어부(883)는 이미지 데이터의 표시 개시나 표시 종료, 노래방사용시의 색변화 등 이미지 처리를 함과 동시에 부영상 데이터 중에 기록된 색정보에 의해 부영상 코드 변환표(884)를 생성한다.
압축영상 신호생성부(885)는 부영상 코드생성부(882)의 출력인 각 픽셀마다의 2비트 코드를 부영상 부분은 부영상 코드 변환표(884)를 참조하고, 그 중 하이라이트 부분은 하이라이트 코드 변환표(886)를 참조하여 4비트의 16색 코드를 생성한다.
하이라이트 코드 변환표(886)는 이미지 데이터의 일부 영역인 하이라이트 부분의 2비트 코드로부터 4비트 코드로의 색 변환표이다.
하이라이트 영역관리부(887)는 하이라이트 표시의 직사각형 영역을 개시 XY 좌표와 종료 XY 좌표를 기억, 압축영상 신호생성부(885)의 판독에 대비한다.
부영상 신호 생성부(888)는 압축영상 신호생성부(885)의 출력인 각 픽셀당 4비트의 16색 코드를 색 변환표(889)의 정보에 의해 24비트의 1670만 색데이터로 변환한다.
색 변환표(889)는 재생을 행하는 PGC 정보 중의 색 변환표의 16색 정보를 기억한다.
시스템 제어부(93)에 의한 재생 제어의 개략 처리 흐름
도 25는 도 20에서의 시스템 제어부(93)에 의한 재생제어의 개략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시스템 제어부(93)는 디스크가 재생장치에 세트된 것을 검출하면, 기구제어부(83) 및 신호처리부(84)를 제어함으로써, 안정된 판독이 행하여질 때까지 디스크 회전제어를 하고, 안정된 시점에서 광픽업을 이동시켜 리드 인 영역을 최초로 판독한다. 그 후, 볼륨 관리 영역을 판독하고, 볼륨 관리 영역의 정보에 기초하여 도 5에 도시된 비디오 매니저를 판독하고(단계 121, 122), 시스템 메뉴용 PGC 군이 재생된다(단계 123).
시스템 메뉴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93)는 선택된 비디오타이틀 세트에서의 타이틀 메뉴용 PGC를 재생하고(단계 124),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단계 125), 선택된 타이틀에 대응하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 정보를 판독하고(단계 126), 타이틀의 선두 PGC로 분기한다(단계 127). 또, 이 PGC군을 재생하여 재생을 종료하면 단계 124로 복귀한다(단계 128).
프로그램 체인군의 재생 처리 흐름
도 26은 도 25의 단계 128의 프로그램 체인군의 재생 처리의 상세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5의 단계 123, 12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6에서 우선 시스템 제어부(93)는 비디오 타이틀 세트 관리 정보로부터 대응하는 PGC 정보를 판독한다(단계 131). 이 PGC 정보는 PGC 정보 버퍼(935a)에 저장된다.
다음에 PGC 정보 버퍼(935a) 내의 PGC 정보에 따라 초기 설정을 한다. 이 초기 설정에는 전처리 명령군의 실행과 색 변환표의 설정이 포함된다(단계 132). 전처리 명령군의 실행에 의해, 예컨대 레지스터의 초기값의 설정 등이 이루어진다. 도 16 제 4 계층에 도시된 색 변환표는, 이 시점에서는 시스템 상태 관리부(935) 내의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고, 또 도 24에 도시된 부영상 디코더(88) 내의 부영상 코드 변환표(884)로 전송된다.
이어서, PGC 정보 버퍼(935a) 내의 경로 정보에 지정되어 있는 위치 정보 1을 차례로 인출하여 각 VOB#i(i는 1부터 n)의 재생제어를 행한다(단계 133). 구체적으로는 시스템 제어부(93)는 경로 정보로 설정된 위치 정보에 따라 기구제어부(83) 및 신호 처리부(84)에 대하여, 당해 VOB의 판독을 시작한다. 판독된 VOB는 AV 디코더부(85)에 의해 분리 및 재생된다. 이 시점에서 분리된 비디오, 부영상이 표시화면(도시 생략)에 표시되고, 오디오 데이터에 의한 음성 출력이 시작된다. 이 VOB 재생 도중에서 버튼 명령으로서 설정된 분기 명령이 실행된 경우에는 당해 분기 명령으로 지정된 PGC로 분기한다(단계 135→131). 또한, 모든 VOB의 재생이 종료된 경우에는, 후처리 명령군을 실행한다(단계 134). 또 다음에 재생할 PGC가 있으면 새로운 PGC의 재생을 시작한다(단계135→13l). 다음에 재생할 PGC는 후처리 명령군 중에 분기 명령 또는 PGC 정보 중의 PGC 연결 정보에 의해 지정된다.
VOB의 재생
도 27은 도 26 중의 단계 133#i에 나타난 개개의 VOB (VOB#i)의 재생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시스템 제어부(93)는 경로 정보의 i번째의 위치 정보에 따라 VOB#i의 선두 어드레스로부터의 판독 개시를 제어한다(단계 i1). 이에 따라, VOB#i의 디지털 데이터열이 기구제어부(83) 및 신호처리부(84)에 의해 판독된다. 판독된 디지털 데이터열은 일단 시스템 제어부(93)를 통해 시스템 디코더(86)에 연속적으로 입력된다. 시스템 디코더(86)는 디지털 데이터열을 디코드하여 비디오 팩, 어떤 채널의 부영상 팩, 어떤 채널의 오디오 팩, 관리 팩을 판별하고, 각각 비디오 디코더(87), 부영상 디코더(88), 오디오 디코더(89), 시스템 제어부(93)내의 PCI 디코더(931)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동화상, 음성, 부영상의 재생이 시작된다. 또한, 관리 팩은 약 0.5초에 1회 PCI 디코더(931)로 입력된다.
PCI 디코더(931)는 관리 팩이 입력되는 (단계 i2)와, 도 13에 도시된 하이라이트 상태에 따라 관리 팩에 새로운 하이라이트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i3), 새로운 하이라이트 정보라면 하이라이트 정보해석부(932)로 전송한다. 하이라이트 정보해석부(932)는 전송된 하이라이트 정보로부터 버튼상태 천이표를 생성한다. 버튼제어부(930)에서는 버튼상태 천이표에 따라 도 28에 도시하는 하이라이트 처리를 한다(단계 i4). 여기서 하이라이트 처리란, 하이라이트 표시와 하이라이트 정보에 기초하는 인터랙티브 제어를 말한다.
또, 시스템 제어부(93)는 DVD에서 판독된 디지털 데이터열이 VOB#i의 마지막이 아니면 관리 팩의 입력은 대기로 된다(단계 i2). 이 경우 상기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VOB의 마지막이라면 당해 VOB#i의 재생을 종료한다. 그 때는 VOB#i의 마지막인지의 여부를 위치 정보 중에 포함되는 VOB#i의 전체 섹터수를 기초로 판정한다.
하이라이트 처리
도 28은 상기 하이라이트 처리(도 27의 단계 i4)의 개략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PCI 디코더(931)로부터 하이라이트 정보가 전송되었을 때, 하이라이트 정보해석부(932)는 당해 하이라이트 정보를 해석하여 도 23에 예시한 버튼상태 천이표를 생성하여 버튼상태 제어부(933)에 저장한다(단계 201, 202). 버튼상태 제어부(933)는 당해 하이라이트 정보 중의 강제선택 버튼번호에 따라 버튼의 초기 상태를 결정한다(단계 203 : 도 29 참조). 또, 버튼상태 제어부(933)는 하이라이트 개시시각과 재생장치 내부의 시스템 시각을 비교하여, 하이라이트 개시시각이 된 시점에서(단계 204 : 도 30 참조) 하이라이트 표시제어부(934)를 통해 하이라이트 표시처리한다(단계 205). 이 후, 버튼상태 제어부(933)는 버튼선택 종료시각이 되기까지의 사이(단계 205),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라 상태가 천이될 때마다(단계 207, 단계 208 : 도 33 참조) 하이라이트 표시처리를 한다. 버튼선택 종료시각이 된 시점에서 종료 처리를 행한다(단계 206 : 도 31 참조).
버튼 초기상태 결정처리
도 29는 상기 버튼 초기상태 결정처리(도 28의 단계 203)를 도시하는 더욱 상세한 흐름도이다.
버튼상태 천이표의 생성후, 버튼상태 제어부(933)는 하이라이트 정보 중에 강제선택 버튼번호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버튼번호를 현재의 상태로서 유지한다(단계 211, 212). 강제선택 버튼번호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버튼번호(예컨대, 전회 선택 상태로서 유지되어 있던 버튼번호 등)를 현재의 상태로서 유지한다(단계 211, 213).
하이라이트 표시처리
도 30은 상기 하이라이트 표시처리(도 28의 단계 204)를 도시하는 더욱 상세한 흐름도이다.
버튼 초기상태가 결정되었을 때 및 현재의 상태가 변화하였을 때, 버튼상태제어부(933)는 현재의 상태(버튼 선택 번호)에 대한 버튼 상태 천이표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판독하고(단계 221), 하이라이트 표시제어부(934)를 통하여 부영상 디코더(88) 내부의 하이라이트 영역관리부(887)에 설정한다(단계 222). 동시에 버튼 상태 천이표의 버튼색 번호에 따라 버튼색 정보의 선택색 정보가 하이라이트 표시제어부(934)를 통하여 부영상 디코더(88) 내부의 하이라이트 코드변환표(886)에 설정된다(단계 223). 이에 따라 부영상 디코더(88)는 현재 표시 중의 부영상 이미지의 하이라이트 영역 부분의 색을 변화시킨다.
하이라이트 종료처리
도 31은 상기 하이라이트 종료처리(도 28의 단계 206)를 도시하는 더욱 상세한 흐름도이다.
버튼선택 종료시각이 된 시점에서, 버튼 상태 제어부(933)는 PGC 정보 버퍼(935a) 중에 강제확정 버튼번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231). 강제확정 버튼번호는 1∼36 또는 63이라면 강제 확정 버튼이 존재하고, 0이라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체크 결과, 강제확정 버튼번호가 무효(그 값이 0)인 경우에는, 버튼 상태 제어부(933)는 하이라이트 종료시각이 된 시점에서 하이라이트 표시 제어부(934)를 통해서 하이라이트 표시를 소거한다(단계 235, 236). 또한, 체크 결과, 강제확정 버튼번호가 유효(그 값이 0 이외)인 경우에는, 1부터 36까지의 특정한 버튼번호가 지정되어 있으면 당해 버튼을 확정 상태로, 또한, 버튼번호 63이 지정되어 있으면 현재 선택 상태에 있는 버튼의 확정 상태로 하여(단계 233), 버튼 확정 처리를 행한다(단계 234).
버튼 확정 처리
도 32는 상기 버튼 확정 처리(도 31의 단계 234)를 도시하는 더욱 상세한 흐름도이다.
버튼 상태 제어부(933)는 하이라이트 표시제어부(934)를 통해서 확정 상태의 버튼을 확정색 표시하고(단계 241), 버튼 상태 천이표로부터 당해 버튼의 버튼 명령을 판독하여 명령 해석 실행부(936)에 실행시킨다(단계 242). 또, 버튼 명령의 실행에 의해 분기할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243), 분기하지 않는 경우(SetReg, Random 등)라면 버튼 확정 처리를 종료하고, 분기하는 명령(Link 등)이라면 도 26에 도시된 단계 135로 진행하고, 다른 PGC로 분기한다.
버튼 상태 천이 처리
도 33은 상기 버튼 상태 천이 처리(도 28의 단계 208)를 도시하는 더욱 상세한 흐름도이다.
키입력 수신부(938)로부터 키 코드가 입력되었을 때, 버튼 상태 제어부(933)는 우선 키 코드로부터 입력 키를 판별한다(단계 251, 254, 257).
다음에, 버튼 상태 제어부(933)는 입력 키가 숫자 키이고(단계 251), 버튼 상태 천이표의 「현재의 상태」에 대응하는 「숫자 키 허가」란이 맞으면(단계 252) 당해 숫자를 선택 상태의 버튼번호로서 유지한다(단계 253). 예컨대, 도 23에서 현재의 상태가 S1일 때에 숫자 키(2)가 입력 키라면 현재의 상태가 S2로 변경된다. 선택 상태를 변경한 후, 다시 「선택즉시 확정」란이 맞으면 당해 숫자 키의 번호를 확정 상태의 버튼번호로서 유지하고(단계 256), 버튼 확정 처리를 행한다(단계 258).
또한, 입력 키가 화살표 키라면(단계 254), 버튼 상태 천이표의 「화살표 키천이 정보」에 따라 천이 장소의 버튼번호를 취득하여 당해 버튼번호를 선택 상태로서 유지한다(단계 255). 또, 「선택즉시 확정」란이 맞으면 당해 숫자 키의 번호를 확정 상태의 버튼번호로서 유지하고(단계 256) 버튼 확정 처리를 행한다(단계 258).
또한, 입력 키가 확정 키라면 현재의 상태로서 유지되어 있는 버튼번호를 확정 상태의 버튼번호로서 유지하고(단계 257) 버튼 확정 처리를 행한다(단계 258).
시스템 메뉴의 호출 및 복귀 처리
이상 하이라이트 처리를 중심으로 PGC군의 재생 제어 처리를 설명하였는데, 이어서, PGC군 재생의 도중에서 리모콘(92)의「메뉴」 키가 눌려진 경우에 호출되는 시스템 메뉴에 관한 호출 및 복귀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4는 시스템 메뉴의 호출 및 복귀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재생 제어부(937)는「메뉴」키가 눌려진 경우에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표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261), 메뉴표시중인 경우에는, 관리 팩의 DSI 패킷 중에 설정된 부영상 데이터 복귀장소 어드레스를 저장하여 시스템상태 관리부(935) 내의 버퍼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 262). 메뉴 표시되어 있는 지의 여부는 시스템 시각이 하이라이트 구간(하이라이트 개시시각으로부터 하이라이트 종료시각까지)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함에 의한다. 이것은, 메뉴 화상이 현재의 VOBU보다도 전의 VOBU 내의 부영상 데이터에 의해 실현되는 경우에는 현재의 메뉴 표시를 재개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관리 팩과 같은 VOBU 중의 부영상 데이터로부터가 아니라, 선두의 부영상 데이터로부터 재생을 재개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메뉴 표시중이 아니라면 현재의 VOBU의 개시 어드레스를 시스템 상태 관리부(935) 내의 버퍼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 263).
또, 재생 제어부(937)는 현재의 재생상태를 나타내는 시스템 상태를 저장한다(단계 263). 이 시스템 상태에는 선택 상태에 있는 버튼번호도 포함된다.
이 후, 재생 제어부(937)는 시스템 메뉴의 재생제어를 실행한다(단계 265). 시스템 메뉴의 재생 제어는 도 26에 도시된 PGC군의 재생 제어와 동일하다. 시스템 메뉴 표시중에 사용자가 다시 한번 「메뉴」키를 눌렀을 때, 시스템 메뉴의 재생은 종료한다. 이 때, 재생 제어부(937)는 시스템 상태를 복귀하고(단계 266), 복귀장소 어드레스로부터 재생을 재개한다(단계 267).
동작예
계속해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서의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및 그 재생장치에 대하여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강제 확정의 예
강제 확정 버튼을 이용한 동작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5는 드래곤과 무사가 싸우는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타이틀예이다. PGC#1에 의한 장면 1은 무사가 드래곤과 만나기까지를 표시화상 1을 나타낸다. PGC#2에 의한 장면 2는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가 다중된 표시화상 2를 나타낸다. PGC#3에 의한 장면 3은 무사가 도망친 장면인 표시화상 3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도 설명의 편의상 각 PGC가 1개의 VO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PGC#2 중의 부영상 데이터는 「1 싸운다」버튼과 「2 도망간다」버튼으로 이루어지는 메뉴 화상이다. 버튼 1의 버튼 명령은 싸우는 장면을 나타내는 PGC(도시 생략)로의 Link 명령이, 버튼 2의 버튼 명령은 장면 3을 나타내는 PGC#3으로의 Link 명령이 설정되어 있다. 또, 이 예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강제 확정 버튼번호로서 “63”이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강제확정 버튼번호의 “63”은 버튼선택 종료시각에서, 현재의 선택 상태의 버튼을 강제적으로 확정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에 사용자가 장면 2에서「2 도망간다」버튼을 선택하였지만 버튼선택종료시각까지 확정키를 누르지 않았다면, 재생 제어부(937)는 버튼 선택 시각이 된 시점에서, 선택 상태에 있는 「2 도망간다」버튼을 확정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장면 3의 재생이 시작된다.
어느 버튼을 강제 확정 버튼으로 할 것인지는 타이틀 제작자가 스토리 전개나 장면의 내용이나 메뉴 항목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예에서는 사용자의 선택 상태에 따라 확정 버튼이 결정되고 있지만, 타이틀 제작자가 직접 확정 버튼 번호를 지정하는 쪽이 보다 효과적으로 재생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5의 하단의 예와 같이 PGC#2에 의한 장면 2는 「1 싸운다」버튼, 「2 도망간다」버튼, 「3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버튼으로 이루어지는 메뉴가 다중된 표시 화상 2'를 나타내고, PGC#3에 의한 장면 3은 PGC#2에서「3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경우의 분기장소이며, 드래곤이 더욱 무사에게 접근해 오는 표시 화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장면 2에서는「3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에 계속되는 스토리 전개가 바람직한 경우에는, PGC#2의 메뉴에 대한 강제확정 버튼번호를 “3”으로서 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에 의한 확정 조작이 없는 경우라도 장면 2로부터 장면 3으로 재생이 진행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토리 참가에 흥미가 없는 경우에 가장 효과적인 스토리 전개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의 PGC#1∼#3···에 있어서, 도 35에 도시한 메뉴 버튼의 외에 은폐 버튼이 존재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은폐 버튼은 화면 상에 항상 표시된다고 할 수 없는 버튼이고, 모든 장면에서 공통인 기능이 할당된다. 상기의 무사와 드래곤의 타이틀에서는, 예컨대 맵(map) 버튼과 스테이터스(status) 버튼이 은폐 버튼으로서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맵 버튼이란 무사가 거주하는 모험 세계의 지도를 호출하기 위한 버튼이다. 스테이터스 버튼이란 무사의 체력이나 득점 등의 파라미터를 표시하는 영상을 호출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 경우, 맵 버튼을 숫자 키를「7」, 스테이터스 버튼을 숫자 키를「8」로 한다. 이들은 도 14에 도시된 버튼 정보에 의해 실현된다. 즉 도 14에 도시된 버튼 7 정보 중에 상기의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PGC로의 LINK 명령이 설정되고, 버튼 8 정보 중에 상기 스테이터스를 표시하기 위한 PGC로의 LINK 명령이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덧붙여, 버튼 7 정보와 버튼 8 정보의 선택즉시 확정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숫자 키를 누르는 것 만으로 지도 또는 스테이터스를 볼 수 있다. 또한, 지도 또는 스테이터스의 표시로부터 원래의 장면으로의 복귀는 도 13에 도시된 복귀장소 어드레스에 의해 실현된다.
또, 맵 버튼과 스테이터스 버튼은 화살표 키에 의한 선택을 금지하여 숫자 키만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된 버튼 정보 중의 인접 버튼 정보에도 버튼 7 과 버튼 8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된다. 이렇게 하면 화살표 키에 의해 은폐 버튼이 선택되는 일이 없게 되고, 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버튼이 선택 상태가 된다고 하는 상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화상 2'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정해도 된다. 「2 도망간다」를 초기 선택 버튼으로 하고, 「1 싸운다」버튼, 「3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버튼에 대하여 선택즉시 확정 플래그를 세트해 놓는다. 이렇게 하면, 표시화상 2' 의 표시후, 사용자가「→」또는「←」 키를 누르는 동시에 다음 장면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더욱 현장감이 있는 스토리 전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는 달리 맵 버튼, 스테이터스 버튼, 「싸운다」버튼, 「도망간다」버튼,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버튼의「버튼 번호」가 각각의 1, 2, 3, 4, 5로 버튼 정보 중에 설정되어 있고, 「버튼 선택 가능 버튼수」가 2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은폐 버튼의 맵 버튼과 스테이터스 버튼은 숫자 키 선택 가능하고, 「싸운다」버튼, 「도망간다」버튼,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버튼은 화살표 키에 의한 선택이 가능해진다.
선택, 확정, 선택즉시 확정의 동작예
도 36은 타이틀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 타이틀은 각종 스포츠를 소개하는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예이고, PGC#l, #2,, #3,···으로 구성된다. 이 예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 각 PGC가 1개의 VOB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PGC#1에 의한 장면 1은 이 타이틀의 도입부분이다. PGC#2에 의한 장면 2는 골프나 스키 등의 즐거움을 호소하는 부분이다. PCC#3에 의한 장면 3은 야구나 발레 등의 즐거움을 호소하는 부분이다. PGC#4 이후의 PGC에는 각각 개별의 스포츠의 내용을 소개하는 장면이다. 도 36의 각 PGC 중, 백색 부분은 비디오 데이터를, 흑색 부분은 관리 팩을, 사선 부분은 부영상 데이터를 나타낸다. PGC#1에는 메뉴 화상이 필요없고 부영상 데이터가 없다.
PGC#2에는 도 36의 2번째의 VOBU 내에 메뉴 화상 1의 이미지 데이터를 나타내는 부영상 데이터를 갖는다. 같은 VOBU 내의 관리 팩에는 메뉴 화상 1에 당해하는 하이라이트 정보가 기록된다. 이 메뉴 화상 1은 이미 도시된 도 12와 같은 것이다. 또, 이 하이라이트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버튼 상태 천이표는 도 23과 같다. 하이라이트 구간(하이라이트 개시시각으로부터 하이라이트 종료시각까지의 구간)은 3번째의 VOBU의 재생개시로부터 PGC# 2의 재생종료까지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PGC#2의 3번째의 VOBU 이후의 VOBU에는 하이라이트 정보 중의 하이라이트 상태가 “10” 즉 전의 관리 팩과 같은 하이라이트 정보인 것을 도시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PGC#2의 2번째의 VOBU 재생 이후, 메뉴 화상 1이 비디오 데이터에 다중 표시되고, 그 동안 하이라이트 처리에 의한 사용자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 메뉴 화상 1은 도 23의 버튼 상태 천이표에 따라 제어되기 때문에 버튼 1, 2의 상방향과 버튼 3의 하방향은 화살표 키에 의한 이동 불가(선택 불가)로 되어 있다. 이것은 도 14에 도시된 인접 버튼 정보(버튼1, 2의 상버튼 번호와 버튼 3의 하버튼 번호)에 이동 불가를 나타내는 0이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한다.
또한, 버튼 4의 화살표 키 천이 정보의「하방향」에서는「다음 메뉴」를 나타내는 버튼 5가 기재되어 있다. 「숫자 키 허가」란에서는 버튼 1로부터 버튼 4까지는 숫자 키 허가 플래그에 의해 숫자 키로도 선택가능하지만, 버튼 5는 버튼 4로부터의 하방향 키에 의해서만 선택가능하다. 요컨대, 버튼 1∼4는 스토리 전개를 진행시키는 데 이용되고, 버튼 5는 멀티페이지 메뉴의 전환에 이용된다. 이와 같이 장면마다 메뉴 내용이나 버튼의 의미에 따라 리모콘의 조작키의 용도를 구별지어 사용할 수 있다.
또, 버튼 5만「선택즉시 확정」란이 yes 이고 버튼 4로부터 화살표 키에 의해 이동했을 때에 선택 상태로부터 자동적으로 확정 처리로 이동한다. 이 때 버튼5의 버튼 명령으로서 지정되어 있는 Link PGC#3이 실행된다. 이에 따라 확정키를 누르지 않더라도 장면 2의 재생 도중에「다음 메뉴」인 장면 3으로 재생 분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택즉시 확정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확정 키 누름이라는 조작을 재생 장치가 대행한다. 선택즉시 확정 플래그는 사용자 조작을 대행하기 위한 보조적인 제어 데이터의 하나이다.
또한, 버튼 1로부터 버튼 4에서는 각각 다른 PGC로의 분기 명령(Link 명령)이 기록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영상으로 대화적으로 분기할 수 있다.
시스템 메뉴 호출·복귀의 예
다음에, 도 36의 PGC#2의 재생 중에 시스템 메뉴를 호출하여 복귀하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7에 도 36의 PGC#2만을 도시한다. 도 37에서도 설명의 편의상 PGC#2가 1개의 VOB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PGC#2에서는 VOBU#3∼#l1까지가 하이라이트 구간이고, 메뉴 화상 1로서 VOBU#2내의 부영상 데이터가 재생되어 있다. 이 경우, 도 37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구간의 전체 관리 팩 중 DSI 패킷에는 도 37의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VOBU#2의 개시 어드레스가 복귀장소 어드레스로서 기록되어 있다.
지금, 도 36의 (1)의 시점, 요컨대 VOBU#6의 재생 중에 리모콘의「메뉴」 키가 눌려진 것으로 가정한다.
이 시점에서 재생 제어부(937)는 PGC#2의 재생을 중단하고, 하이라이트 구간 내이기 때문에 VOBU#6의 관리 팩의 DSI 패킷 중에 설정되어 있는 복귀장소 어드레스를 저장하여 시스템상태 관리부(935) 내의 버퍼 메모리에 보존한다. 이 복귀장소 어드레스는 VOBU#2의 개시 어드레스이다. 또, 재생 제어부(937)는 그 시점에서 선택 상태에 있는 버튼번호 등의 시스템 상태를 보존한다.
이 후, 재생 제어부(937)는 시스템 메뉴의 재생을 제어한다.
시스템 메뉴의 종료 후, 재생 제어부(937)는 시스템 상태를 복귀하고, 복귀장소 어드레스로 지정되어 있는 VOBU#2로부터 재생을 재개한다.
이렇게 하여 부영상 데이터가 하이라이트 구간보다 전, 혹은 하이라이트 구간의 선두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도, 하이라이트 구간의 재생 도중에서 시스템 메뉴를 일시적으로 호출한 후, 다시 중단했을 때에 표시하고 있던 메뉴로 복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및 재생 장치에 의하면 레스폰스가 좋고 또한 고도의 인터랙티브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재생 진행 분기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분기 지정이 없는 경우라도 자동 분기를 함으로써 재생 진행을 중단하지 않는 메뉴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한 확정 동작이 없는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고 있는 버튼을 자동 확정하여 재생을 진행시킬 수 있다. 더구나, 자동 확정 버튼은 애플리케이션 제작자가 미리 정한 버튼으로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숫자 선택 가능한 버튼과 불가능한 버튼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오조작을 막을 수 있다. 버튼의 관리는 모두 버튼 번호에 의한 단순한 것이더라도 본 기능에 의해 숫자 키 입력과 화살표 키 입력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숫자 키와 화살표 키를 장면에 따라 구별지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선택즉시 확정 플래그를 세트함으로써, 선택 조작과 확정 조작으로 이루어지는 2단계의 조작을 1단계의 조작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애플리케이션 재생 도중에서 시스템 메뉴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재생을 하여 복귀하는 것이 인터랙티브한 애플리케이션에서도 가능해졌다.
또, 상기 실시예 중의 하이라이트 정보는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메뉴 상의 버튼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기 위한 버튼 제어 데이터와,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대행하기 위한 보조 제어 데이터로 대별된다. 보조 제어 데이터는 도 13에 도시한 버튼선택 종료시각, 강제확정 버튼번호, 숫자선택 가능버튼수, 부영상 복귀장소 어드레스, 도 14에 도시된 선택즉시 확정 플래그 등이다. 버튼 제어 데이터는 이들 외의 하이라이트 정보에 상당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숫자 키는 버튼 선택에 이용되지만 버튼 확정에 이용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도 33의 흐름도에서 단계 253으로부터 직접 단계 258(확정 처리)로 진행하도록 변경하면 된다. 이 때, 보조 제어 데이터 중 숫자선택 가능 버튼수는 숫자확정 가능 버튼수라는 의미가 된다. 또한, 선택즉시 확정 플래그는 화살표 키에 대해서만 유효하다(도 33 참조). 또, 혹시 전체 숫자 키가 숫자확정 가능버튼이라면 선택즉시 확정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가 잘못하여 조작하였을 때의 피해가 커진다. 그 때문에 숫자확정 가능 버튼수를 설정함으로써 숫자확정 가능버튼과 그렇지 않은 버튼을 구분함으로써 피해가 적은 장면에서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숫자 키에 의한 선택이 선택 가능한 버튼은 버튼번호1을 기점으로 하여 「숫자선택 가능 버튼수」까지 올림순으로 카운트되는 버튼번호에 대응하는 버튼으로 하였다. 그러나, 버튼의 지정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하이라이트 일반정보 중에 오프세트값을 설치해도 된다. 예컨대, 오프세트를 3, 숫자선택 가능버튼수를 5로 하면, 버튼번호 4∼8까지의 버튼이 숫자선택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디스크가 DVD인 예를 게시하였지만, 대용량의 디지털 동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으면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판독 전용 디스크가 아니고, 고쳐쓰기 가능한 디스크라도 효과는 같다.
또, 이들 매체는 영상 정보와 그 제어 정보를 인터리브하여 배포할 수 있는 매체라면 광디스크 등의 정보기록 매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방송 등의 무선 전송매체나 통신 회선 등의 유선 전송매체를 통해 전송해도 된다. 여기서 말하는 전송매체란 전화 회선, 인터넷, LAN, 위성 방송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비디오 오브젝트는 시스템 스트림이라 불리우는 MPEG 데이터의 일종이기 때문에, 상기 전송매체에서는 이들 시스템 스트림을 다중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서 전송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메뉴에서 디스크 상의 별도의 위치에 저장된 비디오 오브젝트가 분기장소로서 선택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경우는 메뉴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다중되어 있는 다른 시스템 스트림이 분기장소로서 선택되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재생 장치는 모터(81), 광픽업 및 기구 제어부(83) 대신에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설치하면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동화상 데이터가 MPEG2 방식의 디지털 동화상 데이터인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음성이나 부영상 등과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형성 가능한 동화상 데이터라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MPEG1 방식의 디지털 동화상이나, MPEG 방식으로 이용되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 이외의 변환 알고리즘에 의한 디지털동 화상이라도 물론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관리 팩은 동화상의 복원단위인 GOP 마다 배치되었지만, 디지털 동화상의 압축 방식이 다르면, 그 압축방식의 복원 단위별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 표시 중에 사용자의「메뉴」키 누름에 의해 시스템 메뉴로 분기되고, 또 다시 「메뉴」 키 누름에 의한 원래의 메뉴 표시로 되돌아가는 예를 나타냈다. 이 시스템 메뉴의 호출은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 표시 중에 한정되지 않고,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자막의 표시중이라도 된다. 이 경우, 도 34에 도시된 단계 261은 단지 자막 표시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면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부영상의 복귀장소 어드레스는 DSI 패킷에 기록해 놓은 예를 나타냈으나 PCI 패킷에 기록해 두도록 해도 된다.
또, 하이라이트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팩의 배치 단위는 VOBU마다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0.5초∼1.0초보다도 세밀한 영상 재생의 동기 단위, 예컨대 1/30초마다의 영상 프레임단위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VOBU를 하나의 GOP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복수의 GOP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단, 인터랙티브 기능을 세밀한 시간 정밀도로 실현하는 데에는 동화상의 재생시간이 1, 2초정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관리 팩은 복수개의 GOP 선두에 배치되고, 이들 복수의 GOP 에 대하여 유효한 재생 제어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광디스크의 제조 방법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광디스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8은 본 실시예에 관한 광디스크의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볼륨 영역의 데이터를 논리데이터열 작성장치에 의해 작성한다(단계 191). 이 논리 볼륨 데이터 작성장치는 퍼스널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 상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편집 소프트웨어을 사용하고,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를 갖는 볼륨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이 볼륨 데이터는 자기 테이프 등의 전달매체에 기록되고, 또 물리 데이터열 작성장치에 의해 물리 데이터열로 변환된다 (단계 192). 이 물리 데이터열은 볼륨 데이터에 대하여 리드 인 영역의 데이터, 리드 아웃 영역의 데이터 등이 부가된 후, ECC(Error Correction Code)처리된 것이다. 이 물리 데이터열을 이용하여 원반 커팅은 광디스크의 원반을 작성한다(단계 193). 또 프레스 장치에 의해 작성된 원반으로부터 광디스크가 제조된다(단계 194).
상기 제조 흐름도에서는 본 발명의 데이터 구조에 관한 논리데이터열 작성장치의 일부를 제외하고, 기존의 CD용 제조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점에 관해서는, 오옴사「컴팩트 디스크 독본」중도평태랑(中島平太郞), 소천박사(小川博司) 공저나, 조창서점(朝倉書店)「광디스크 시스템」응용 물리학회 광학담화회에 기재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멀티미디어 광디스크는 소영역마다 복수 버튼을 포함하는 메뉴를 나타내는 부영상 데이터와, 버튼 제어 데이터와, 보조 제어 데이터를 갖는 비디오 오브젝트를 기록하는 영역을 갖기 때문에 소영역마다 레스폰스가 좋고 또한 고도의 인터랙티브성을 실현하는 제어에 적합하다. 또한 재생 장치는 상기 광디스크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그 내용에 따라 적절하고 또한 간단한 사용자 조작으로 원활한 재생 진행을 실현하는 것에 적합하다.

Claims (37)

  1. 부영상 데이터와 동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에 있어서,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소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연속하는 소영역에 걸쳐 하나의 오브젝트가 기록되고, 소영역의 각각은 제 1, 제 2 서브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서브 영역에는 소정 시각 단위의 동화상 데이터와, 그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재생될 부영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부영상 데이터는 표시용 선택 가지를 나타내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메뉴 화상이며,
    제 2 서브 영역에는 제어 정보가 기록되고, 제어 정보는 같은 소영역내의 제 1 서브 영역의 메뉴 화상이 재생되었을 때의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기 위한 버튼 제어 데이터와,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대행하기 위한 보조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제어 데이터는 선택 상태의 버튼을 착색하기 위한 선택색과, 확정상태의 버튼을 착색하기 위한 확정색과, 버튼이 확정 상태가 되었을 때에 실행해야 할 버튼마다의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허가로 하는 기간의 종료 시각과,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에 강제적으로 확정 상태로 이행시키는 버튼을 나타내는 강제 확정 버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확정 버튼 정보는 종료 시각에서 선택 상태에 있는 버튼 또는 특정한 버튼 번호를 갖는 버튼을 강제 확정 버튼으로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시각은 오브젝트의 재생 개시를 기점으로 하는 시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제어 데이터는, 버튼이 선택 상태일 때의 표시색인 선택색과, 버튼이 확정 상태일 때의 표시색인 확정색과, 버튼이 확정 상태가 되었을 때에 실행할 버튼마다의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버튼을 선택 상태로 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확정 상태로 이행시켜야 되는 버튼을 지정하는 자동 확정 버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확정 버튼 정보는 버튼마다의 플래그로 이루어지고,
    각 플래그는 선택시에 강제적으로 확정 상태로 이행시킬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또한 사용자의 숫자 키 입력에 의한 선택이 금지되는 버튼을 나타내는 금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또한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허가로 하는 기간의 종료 시각과,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에 강제적으로 확정 상태로 이행시키는 버튼을 나타내는 강제 확정 버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사용자의 숫자 키 입력에 의한 선택이 금지되는 버튼을 나타내는 금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금지 정보는 임계값이며,
    임계값보다 큰 버튼 번호를 갖는 버튼은 사용자의 숫자 키 입력에 의한 선택이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10. 제 1 항에 있어서,
    오브젝트의 소정 구간 내의 복수의 제 l 서브 영역의 부영상 데이터는 동화상 데이터와 다중 표시되는 1개의 정지화상을 구성하며,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다른 오브젝트로의 분기 재생후의 복귀용으로서, 상기 소정 구간 내의 최초의 소영역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11. 부영상 데이터와 동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에 있어서,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소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연속하는 소영역에 걸쳐 하나의 오브젝트가 기록되며, 소영역의 각각은 제 1, 제 2 서브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서브 영역에는 소정 시각 단위의 동화상 데이터와, 그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재생될 부영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부영상 데이터는 표시용 선택 가지를 나타내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메뉴 화상이고,
    제 2 서브 영역에는 제어 정보가 기록되고, 제어 정보는 같은 소영역 내의 제 1 서브 영역의 메뉴 화상이 재생되었을 때의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기 위한 버튼 제어 데이터와,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대행하기 위한 보조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며,
    버튼 제어 데이터는 확정 상태로 되었을 때에 실행할 버튼마다의 명령과, 선택 상태의 버튼을 착색하기 위한 선택색과, 확정 상태에 있는 버튼을 착색하기 위한 확정색과, 선택색, 확정색의 착색 표시 구간을 나타내는 하이라이트 기간을 포함하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허가로 하는 기간의 종료 시각과,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에 강제적으로 확정 상태로 이행시키는 버튼을 나타내는 강제 확정 버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시각은 오브젝트의 재생 개시를 0으로 하는 시각이고, 상기 강제 확정 버튼 정보는 종료 시각에서 선택 상태에 있는 버튼 또는 특정한 버튼 번호를 강제 확정 버튼으로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13. 부영상 데이터와 동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에 있어서,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소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연속하는 소영역에 걸쳐서 하나의 오브젝트가 기록되며, 소영역의 각각은 제 1, 제 2 서브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서브 영역에는 소정 시각 단위의 동화상 데이터와 그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재생될 영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부영상 데이터는 표시용의 선택 가지를 나타내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메뉴 화상이고,
    제 2 서브 영역에는 제어 정보가 기록되고, 제어 정보는 같은 소영역 내의 제 1 서브 영역의 메뉴 화상이 재생되었을 때의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기 위한 버튼 제어 데이터와,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대행하기 위한 보조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며,
    버튼 제어 데이터는 확정 상태로 되었을 때에 실행해야 할 버튼마다의 명령과, 선택 상태의 버튼을 착색하기 위한 선택색과, 확정 상태에 있는 버튼을 착색하기 위한 확정색을 포함하며,
    보조 제어 데이터는 선택 상태가 되는 동시에 확정 상태로 할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버튼마다의 플래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14. 부영상 데이터와 동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소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연속하는 소영역에 걸쳐 하나의 오브젝트가 기록되고, 소영역의 각각은 제 1, 제 2 서브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서브 영역에는 소정 시각 단위의 동화상 데이터와, 그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재생될 부영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부영상 데이터는 표시용 선택 가지를 나타내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메뉴 화상이고,
    제 2 서브 영역에는 제어 정보가 기록되고, 제어 정보는 같은 소영역 내의 제 1 서브 영역의 메뉴 화상이 재생되었을 때의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기 위한 버튼 제어 데이터와,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대행하기 위한 보조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판독 수단에 의해서 판독된 제 1 서브 영역의 동화상 데이터 및 부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고, 표시용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재생 수단과,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에 대한 사용자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판독수단에 의해 제 2 서브 영역에서 판독된 버튼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접수된 사용자 지시에 대하여 응답하는 제어를 하는 제 1 제어 수단과,
    판독 수단에 의해 제 2 서브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보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지시를 대행하는 제어를 하는 제 2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제어 데이터는 선택 상태의 버튼을 착색하기 위한 선택색과, 확정 상태의 버튼을 착색하기 위한 확정색과, 버튼이 확정 상태가 되었을 때에 실행해야 할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허가로 하는 기간의 종료시각과,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에 강제적으로 확정 상태로 이행시키는 버튼을 나타내는 강제 확정 버튼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판독 수단에 의해 제 2 서브 영역이 판독될 때마다 상기 제어 정보를 해석하여, 버튼수, 선택색, 확정색, 버튼마다의 명령, 종료 시각, 강제 버튼 번호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버튼의 상태 변화를 제어하는 버튼 제어 수단과,
    재생 수단에 대하여 메뉴 화상 상의 버튼의 선택색 및 확정색을 지시하는 버튼 표시 제어 수단과,
    확정 상태가 된 버튼의 명령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종료 시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시계 수단과,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 강제 확정 버튼 정보에 표시되는 버튼을 확정 상태로 변경하는 강제 확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확정 수단은 강제 확정 버튼 정보가 버튼 번호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당해 버튼을 확정 상태로 변경하고, 강제 확정 버튼 정보가 버튼 번호 이외의 소정값인 경우에는 종료 시각에서 선택 상태에 있는 버튼을 확정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수단은 오브젝트의 재생 개시 시점에 계시(計時)를 시작하고, 계시 시각이 종료 시각에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버튼을 선택 상태로 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확정 상태로 이행시킬 버튼을 지정하는 자동 확정 버튼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판독 수단에 의해 제 2 서브 영역이 판독될 때마다 상기 제어 정보를 해석하여, 버튼수, 선택색, 확정색, 버튼마다의 명령, 종료 시각, 강제 버튼 번호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버튼의 상태 변화를 제어하는 버튼 제어 수단과,
    재생 수단에 대하여 메뉴 화상 상의 버튼의 선택색 및 확정색을 지시하는 버튼 표시 제어 수단과,
    확정 상태가 된 버튼의 명령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버튼 제어 수단에 의해 비선택 상태로부터 선택 상태로 변화된 버튼을 확정 상태로 변경하는 선택즉시 확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확정 버튼 정보는 버튼마다의 플래그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택즉시 확정수단은,
    버튼 제어 수단에 의해 비선택 상태로부터 선택 상태로 변화된 버튼에 대응하는 플래그를 체크하는 플래그 체크 수단과,
    플래그가 소정값인 경우에 당해 버튼을 확정 상태로 변경하는 확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또한 사용자의 숫자키 입력에 의한 선택을 금지하는 버튼을 나타내는 금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또한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이 숫자키인 경우에 당해 숫자키가 금지 정보에 의해 금지되어 있으면, 버튼 제어 수단에 의한 선택 상태로의 변경을 금지하는 금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또한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허가로 하는 기간의 종료 시각과,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에 강제적으로 확정 상태로 이행시키는 버튼을 나타내는 강제 확정 버튼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또한
    종료 시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시계수단과,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 강제 확정 버튼 정보에 표시되는 버튼을 확정 상태로 변경하는 강제 확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사용자의 숫자키 입력에 의한 선택을 금지하는 버튼을 나타내는 금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판독 수단에 의해 제 2 서브 영역이 판독될 때마다 상기 제어 정보를 해석하여 버튼수, 선택색, 확정색, 버튼마다의 명령, 종료 시각, 강제 버튼 번호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버튼의 상태 변화를 제어하는 버튼 제어 수단과,
    재생 수단에 대하여 메뉴 화상 상의 버튼의 선택색 및 확정색을 지시하는 버튼 표시 제어 수단과,
    확정 상태가 된 버튼의 명령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이 숫자키인 경우에 상기 숫자키가 금지 정보에 의해 금지되어 있으면, 버튼 제어 수단에 의한 선택 상태로의 변경을 금지하는 금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금지 정보는 임계값이고,
    상기 금지 수단은 상기 임계값보다 큰 버튼 번호의 버튼에 대해서 버튼 제어수단에 의한 선택 상태로의 변경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3. 제 14 항에 있어서,
    오브젝트의 소정 구간 내의 복수의 제 1 서브 영역의 부영상 데이터는 동화상 데이터와 다중 표시되는 하나의 정지화상을 구성하며,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다른 오브젝트로의 분기 재생 후의 복귀용으로서 상기 소정 구간 내의 최초의 소영역의 기록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판독 수단에 의해 제 2 서브 영역이 판독될 때마다 상기 제어 정보를 해석하여 버튼수, 선택색, 확정색, 버튼마다의 명령, 종료 시각, 강제 버튼 번호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버튼의 상태 변화를 제어하는 버튼 제어 수단과,
    재생 수단에 대하여 메뉴 화상 상의 버튼의 선택색 및 확정색을 지시하는 버튼 표시 제어 수단과,
    확정 상태가 된 버튼의 명령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이 다른 오브젝트의 일시적인 재생 지시인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
    상기 재생 지시가 검출되었을 때,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보존하여 당해 다른 오브젝트의 재생을 재생 수단에 지시하는 호출 수단과,
    당해 다른 오브젝트 재생의 종료 후, 보존되어 있던 상기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오브젝트의 재생을 재개하는 재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4. 부영상 데이터와 동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복수의 소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연속하는 소데이터에 걸쳐져 하나의 오브젝트가 구성되어, 소데이터의 각각은 제 1, 제 2 서브데이터를 포함하며,
    제 1 서브데이터에는 소정 시각 단위의 동화상 데이터와, 그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재생될 부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부영상 데이터는 표시용 선택 가지를 나타내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메뉴 화상이며,
    제 2 서브데이터에는 제어 정보가 기록되고, 제어 정보는 같은 소데이터 내의 제 1 서브데이터의 메뉴 화상이 재생되었을 때의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기 위한 버튼 제어 데이터와,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대행하기 위한 보조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장치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제 l 서브데이터의 동화상 데이터 및 부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용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재생 수단과,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에 대한 사용자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수단과,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제 2 서브데이터 내의 버튼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접수된 사용자 지시에 대하여 응답하는 제어를 하는 제 1 제어 수단과,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제 2 서브데이터 내의 보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지시를 대행하는 제어를 하는 제 2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제어 데이터는 선택 상태의 버튼을 착색하기 위한 선택색과, 확정 상태의 버튼을 착색하기 위한 확정색과, 버튼이 확정 상태가 되었을 때에 실행할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허가로 하는 기간의 종료시각과,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에 강제적으로 확정 상태로 이행시키는 버튼을 나타내는 강제 확정 버튼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입력 수단에 의해 제 2 서브데이터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어 정보를 해석하여 버튼수, 선택색, 확정색, 버튼마다의 명령, 종료 시각, 강제 버튼 번호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버튼의 상태 변화를 제어하는 버튼 제어 수단과,
    재생 수단에 대하여 메뉴 화상 상의 버튼의 선택색 및 확정색을 지시하는 버튼 표시 제어 수단과,
    확정 상태가 된 버튼의 명령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종료 시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시계 수단과,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 강제 확정 버튼 정보에 표시되는 버튼을 확정 상태로 변경하는 강제 확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확정 수단은 강제 확정 버튼 정보가 버튼 번호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당해 버튼을 확정 상태로 변경하고, 강제 확정 버튼 정보가 버튼 번호 이외의 소정값인 경우에는 종료 시각에서 선택 상태에 있는 버튼을 확정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수단은 오브젝트 재생 개시 시점에 계시를 시작하여, 계시 시각이 종료 시각에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버튼을 선택 상태로 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확정 상태로 이행시킬 버튼을 지정하는 자동 확정 버튼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입력 수단에 의해 제 2 서브데이터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어 정보를 해석하여 버튼수, 선택색, 확정색, 버튼마다의 명령, 종료 시각, 강제 버튼 번호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버튼의 상태 변화를 제어하는 버튼 제어 수단과,
    재생 수단에 대하여 메뉴 화상 상의 버튼의 선택색 및 확정색을 지시하는 버튼 표시 제어 수단과,
    확정 상태가 된 버튼의 명령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버튼 제어 수단에 의해 비선택 상태로부터 선택 상태로 변화된 버튼을 확정상태로 변경하는 선택즉시 확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확정 버튼 정보는 버튼마다의 플래그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택즉시 확정수단은,
    버튼 제어 수단에 의해 비선택 상태로부터 선택 상태로 변화된 버튼에 대응하는 플래그를 체크하는 플래그 체크 수단과,
    플래그가 소정값인 경우에 상기 버튼을 확정 상태로 변경하는 확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또한 사용자의 숫자키 입력에 의한 선택을 금지하는 버튼을 나타내는 금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또한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이 숫자키인 경우에 당해 숫자키가 금지 정보에 의해 금지되어 있으면, 버튼 제어 수단에 의한 선택 상태로의 변경을 금지하는 금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또한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허가로 하는 기간의 종료 시각과,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에 강제적으로 확정 상태로 이행시키는 버튼을 나타내는 강제 확정 버튼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또한
    종료 시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시계 수단과,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 강제 확정 버튼 정보에 표시되는 버튼을 확정 상태로 변경하는 강제 확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2.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사용자의 숫자키 입력에 의한 선택을 금지하는 버튼을 나타내는 금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 수단은,
    입력 수단에 의해 제 2 서브데이터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어 정보를 해석하여 버튼수, 선택색, 확정색, 버튼마다의 명령, 종료 시각, 강제 버튼 번호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버튼의 상태 변화를 제어하는 버튼 제어 수단과,
    재생 수단에 대하여 메뉴 화상 상의 버튼의 선택색 및 확정색을 지시하는 버튼 표시 제어 수단과,
    확정 상태가 된 버튼의 명령을 실행하는 실행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 수단은,
    접수 수단에 접수된 사용자 조작이 숫자키인 경우에 당해 숫자키가 금지 정보에 의해 금지되어 있으면, 버튼 제어 수단에 의한 선택 상태로의 변경을 금지하는 금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금지 정보는 임계값이며,
    상기 금지 수단은 당해 임계값보다 큰 버튼 번호의 버튼에 대하여 버튼 제어수단에 의한 선택 상태로의 변경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장치.
  33. 부영상 데이터와 동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로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복수의 소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연속하는 소데이터에 걸쳐져 하나의 오브젝트가 구성되며, 소데이터의 각각은 제 1, 제 2 서브데이터를 포함하며,
    제 1 서브데이터에는 소정 시각 단위의 동화상 데이터와, 그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재생될 부영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부영상 데이터는 표시용의 선택 가지를 나타내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메뉴 화상이며,
    제 2 서브데이터에는 제어 정보가 기록되고, 제어 정보는 같은 소데이터 내의 제 1 서브데이터의 메뉴 화상이 재생되었을 때의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기 위한 버튼 제어 데이터와,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대행하기 위한 보조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 취득부를 통해 입력하는 입력 단계와,
    입력된 제 1 서브데이터의 동화상 데이터 및 부영상 데이터를 복호기로 재생시켜, 표시용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재생 단계와,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에 대한 사용자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단계와,
    입력된 제 2 서브데이터 내의 버튼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접수된 사용자 지시에 대하여 응답하는 제어를 데이터 취득부 및 복호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 1 제어 단계와,
    입력된 제 2 서브데이터 내의 보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 지시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을 대행하는 제어를 데이터 취득부 및 복호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 2 제어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제어 데이터는 선택 상태의 버튼을 착색하기 위한 선택색과, 확정상태의 버튼을 착색하기 위한 확정색과, 버튼이 확정 상태로 되었을 때에 실행해야 할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허가로 하는 기간의 종료시각과,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에 강제적으로 확정 상태로 이행시키는 버튼을 나타내는 강제 확정 버튼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 단계는,
    제 2 서브데이터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어 정보를 해석하여 버튼수, 선택색, 확정색, 버튼마다의 명령, 종료 시각, 강제 버튼 번호, 버튼 상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서브 단계와,
    접수 단계에서 접수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버튼의 상태 변화를 판정하여 메모리 중의 버튼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서브 단계와,
    갱신된 버튼 상태를 반영하여 복호부에 대하여 메뉴 화상 상의 버튼의 선택색 및 확정색을 지시하는 서브 단계와,
    갱신에 의해 확정 상태가 된 버튼이 있으면, 그 명령을 실행하는 서브 단계를 갖고,
    상기 제 2 제어 단계는,
    종료 시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서브 단계와,
    종료 시각이 되었을 때, 강제 확정 버튼 정보에 표시되는 버튼을 확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메모리를 갱신하는 서브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버튼을 선택 상태로 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확정 상태로 이행시킬 버튼을 지정하는 자동 확정 버튼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 단계는,
    제 2 서브데이터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어 정보를 해석하여 버튼수, 선택색, 확정색, 버튼마다의 명령, 종료 시각, 자동 확정 버튼 정보, 버튼 상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서브 단계와,
    접수 단계에서 접수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버튼의 상태 변화를 판정하여 메모리 중의 버튼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서브 단계와,
    갱신된 버튼 상태를 반영하여, 복호부에 대하여 메뉴 화상 상의 버튼의 선택색 및 확정색을 지시하는 서브 단계와,
    갱신에 의해 확정 상태가 된 버튼이 있으면, 그 명령을 실행하는 서브 단계를 갖고,
    상기 제 2 제어 단계는,
    메모리 중의 버튼 정보가 갱신되었을 때, 선택 상태가 된 버튼이 자동 확정 버튼 정보에 지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서브 단계와,
    지정된 경우, 당해 버튼을 확정 상태 메모리에 저장하는 서브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제어 데이터는 사용자의 숫자키 입력에 의한 선택을 금지하는 버튼을 나타내는 금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어 단계는,
    제 2 서브데이터가 입력될 때마다 상기 제어 정보를 해석하여 버튼수, 선택색, 확정색, 버튼마다의 명령, 종료 시각, 자동 확정 버튼 정보, 버튼 상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서브 단계와,
    접수 단계에서 접수된 사용자 조작이 숫자키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서브 단계와,
    숫자키가 아닌 경우, 당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각 버튼의 상태 변화를 판정하여 메모리 중의 버튼 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서브 단계와,
    갱신된 버튼 상태를 반영하여 복호부에 대하여 메뉴 화상 상의 버튼의 선택색 및 확정색을 지시하는 서브 단계와,
    갱신에 의해 확정 상태가 된 버튼이 있으면, 그 명령을 실행하는 서브 단계를 갖고,
    상기 제 2 제어 단계는,
    접수 단계에서 접수된 사용자 조작이 숫자키인 경우, 금지 정보에 의해 금지된 키라면 사용자 조작을 무시하고, 금지되지 않은 키라면 당해 버튼을 선택 상태로 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서브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37. 부영상 데이터와 동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기록하는 데이터 영역을 갖는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의 재생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소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연속하는 소영역에 걸쳐서 하나의 오브젝트가 기록되고, 소영역의 각각은 제 1, 제 2 서브 영역을 포함하며,
    제 1 서브 영역에는 소정 시간 단위의 동화상 데이터와, 그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재생될 부영상 데이터가 기록되고, 부영상 데이터는 표시용의 선택 가지를 나타내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메뉴 화상이며,
    제 2 서브 영역에는 제어 정보가 기록되고, 제어 정보는 같은 소영역 내의 제 1 서브 영역의 메뉴 화상이 재생되었을 때의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기 위한 버튼 제어 데이터와, 메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대행하기 위한 보조 제어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방법은,
    상기 멀티미디어 광디스크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단계와,
    판독된 제 1 서브 영역의 동화상 데이터 및 부영상 데이터를 복호기에 재생시켜, 표시용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재생 단계와,
    부영상 데이터에 의한 메뉴에 대한 사용자 지시를 접수하는 접수 단계와,
    판독된 제 2 서브 영역 내의 버튼 제어 데이터에 따라 접수된 사용자 지시에 대하여 응답하는 제어를 복호기에 대하여 하는 제 1 제어 단계와,
    판독된 제 2 서브 영역 내의 보조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 지시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을 대행하는 제어를 복호기에 대하여 행하는 제 2 제어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KR1019970708590A 1996-03-29 1997-03-27 인터랙티브한재생진행의성능을향상시킨멀티미디어광디스크,재생장치및재생방법 KR100423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6124 1996-03-29
JP7612496 1996-03-29
JP96-076124 1996-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111A true KR19990022111A (ko) 1999-03-25
KR100423772B1 KR100423772B1 (ko) 2004-06-30

Family

ID=1359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590A KR100423772B1 (ko) 1996-03-29 1997-03-27 인터랙티브한재생진행의성능을향상시킨멀티미디어광디스크,재생장치및재생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4) US6067400A (ko)
EP (4) EP0830023B1 (ko)
JP (1) JP3345019B2 (ko)
KR (1) KR100423772B1 (ko)
CN (2) CN1110195C (ko)
DE (1) DE69709004T2 (ko)
HK (1) HK1009034A1 (ko)
MY (1) MY115653A (ko)
TW (1) TW360861B (ko)
WO (1) WO199703749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793B1 (ko) * 2002-09-12 2010-01-20 파나소닉 주식회사 기록매체,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방법
US8380048B2 (en) 2002-09-25 2013-02-19 Panasonic Corporation Reproduction device, optical disc, recording medium, program, reproduction method
US8886021B2 (en) 2002-11-20 2014-11-11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at least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7211A (en) * 1993-01-11 1999-11-16 Abecassis; Max Seamless transmission of non-sequential video segments
JP3345019B2 (ja) * 1996-03-29 2002-11-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タラクティブな再生進行の性能を向上させた記録媒体の記録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US6567612B2 (en) 1996-04-05 2003-05-20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 medium, apparatus for record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same
JP3725176B2 (ja) * 1996-10-01 2005-12-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方法を記録した情報記録媒体
US6564009B2 (en) * 1997-05-19 2003-05-13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to and/or from an optical disk and method thereof
US6243086B1 (en) * 1997-05-29 2001-06-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production apparatus
JPH1116250A (ja) * 1997-06-20 1999-01-22 Pioneer Electron Corp 情報再生システム
DE69833976T2 (de) * 1997-09-17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Optische Platte, Aufzeichnungsgerät, und rechnerlesbares Aufzeichnungsmedium
US6453459B1 (en) * 1998-01-21 2002-09-17 Apple Computer, Inc. Menu author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low-level DVD configuration functions and thereby ease an author's job
JP3199011B2 (ja) * 1998-01-21 2001-08-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11215472A (ja) * 1998-01-22 1999-08-06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EP0961277A1 (en) * 1998-05-26 1999-12-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cord carrier, apparatus and method
JPH11353790A (ja) * 1998-06-08 1999-12-24 Yamaha Corp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KR100389854B1 (ko) 1998-06-24 2003-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및/또는비디오데이터를기록및/또는재생하는방법,기록매체의재생방법,기록매체상의정지화를재생하는방법,및기록매체상에정지화를기록하는방법
US6389222B1 (en) * 1998-07-07 2002-05-14 Kabushiki Kaisha Toshiba Management system for protected and temporarily-erased still picture information
JP3383587B2 (ja) * 1998-07-07 2003-03-04 株式会社東芝 静止画像連続情報記録方法と光ディスクと光ディスクの情報再生装置と情報再生方法
KR100306195B1 (ko) 1998-08-18 2001-11-30 구자홍 재기록가능기록매체의내비게이션데이터관리방법
US7113694B2 (en) * 1998-08-18 2006-09-26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creating and managing navigation information in rewritable recording medium and method therefor
JP2000123549A (ja) * 1998-10-13 2000-04-28 Sony Corp 再生装置及び記録装置
JP3701485B2 (ja) * 1998-11-18 2005-09-2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0209523A (ja) * 1999-01-11 2000-07-28 Sanyo Electric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機
EP1021048A3 (en) * 1999-01-14 2002-10-02 Kabushiki Kaisha Toshiba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and its recording medium
US6574419B1 (en) 1999-03-12 2003-06-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reproduc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0470658C (zh) * 1999-04-02 2009-03-1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装置,再现装置及记录、再现方法
EP1096489B1 (en) * 1999-04-07 2007-07-18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for recording digital information including audio information
WO2000068946A1 (fr) * 1999-05-07 2000-11-16 Kabushiki Kaisha Toshiba Structure de donnees pour donnees en continu, et procede d'enregistrement et de reproduction de donnees en continu
FR2796513B1 (fr) * 1999-07-16 2003-09-26 Valentin Lefevre Dispositif permettant de se diriger de facon interactive et fluide dans un film numerique compresse et logiciel gerant ce dispositif
JP2001096068A (ja) * 1999-09-30 2001-04-10 Konami Co Ltd ゲームプログラム作成方法、ゲーム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GB2356100B (en) * 1999-11-05 2004-02-25 Sony Uk Ltd Data format and data transfer
US7127149B1 (en) 1999-11-10 2006-10-24 Thomson Licensing Three-stage menu processing for digital disc recorder
KR100394974B1 (ko) * 2000-05-23 2003-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 기록매체에서의 멀티경로 데이터를 수용하는 방법
JP4361674B2 (ja) * 2000-06-26 2009-1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再生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8091106B1 (en) * 2000-06-26 2012-01-03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DVD subpicture information in a television receiver
KR100470025B1 (ko) * 2001-06-15 2005-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 기록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른기록매체
KR100598285B1 (ko) * 2001-06-21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채널 스트림 기록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른 기록매체
KR100752480B1 (ko) * 2001-06-21 2007-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채널 스트림 기록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른 기록매체
KR20020097454A (ko) * 2001-06-21 2002-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채널 스트림 기록장치 및 방법과, 그에 따른 기록매체
US7643727B2 (en) * 2001-07-24 2010-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recording a multi-channel stream, and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 multi-channel stream recorded by said method
KR100457511B1 (ko) * 2001-11-29 200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 매체, 광 기록 매체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457512B1 (ko) * 2001-11-29 200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 매체, 광 기록 매체 재생 장치 및 방법
US20030110209A1 (en) * 2001-12-07 2003-06-12 Loui Alexander C. Method of producing a multimedia media
JP2003219365A (ja) * 2002-01-18 2003-07-31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又は再生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信号を含むデータ構造
JP3659498B2 (ja) * 2002-01-18 2005-06-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又は再生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信号を含むデータ構造
KR100457515B1 (ko) * 2002-01-31 200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 매체, 광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563685B1 (ko) * 2002-02-25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의 재생리스트 관리방법
KR20030087193A (ko) * 2002-05-07 200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채널 방송 스트림의 기록 관리방법
JP3901590B2 (ja) * 2002-06-14 2007-04-04 富士通株式会社 小説データ処理方法
KR100620185B1 (ko) * 2002-06-21 2006-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데이터의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를갖는 기록 매체
MXPA04002365A (es) * 2002-06-21 2004-11-22 Lg Electronics Inc Medio de grabacion que tiene estructura de datos para manejar la reproduccion de datos de video grabados en el mismo.
US7889968B2 (en) * 2002-06-24 2011-02-15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reproduction path video data for at least a segment of a title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RU2320030C2 (ru) 2002-06-24 2008-03-20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со структурой данных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м записанных на нем видеоданных нескольких каналов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US7783159B2 (en) 2002-06-24 2010-08-24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reproduction path video data for at least a segment of a title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WO2004003908A1 (en) * 2002-06-28 2004-01-08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cording and reproduction of multiple path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
CN101067954B (zh) * 2002-06-28 2010-06-23 Lg电子株式会社 具有用于管理记录在其上面的多个重放路径视频数据的再现的数据结构的记录介质以及记录和再现方法及装置
JP2004128761A (ja) * 2002-10-01 2004-04-22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又は再生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信号を含むデータ構造
JP4588968B2 (ja) * 2002-10-01 2010-12-0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又は再生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信号を含むデータ構造
JP3717880B2 (ja) * 2002-10-01 2005-11-1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記録又は再生制御用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信号を含むデータ構造
CA2469176C (en) * 2002-10-14 2010-09-14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audio stream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ATE547792T1 (de) * 2002-10-15 2012-03-15 Lg Electronics Inc Aufzeichnungsmedium mit einer datenstruktur zur verwaltung der wiedergabe mehrerer darauf aufgezeichneter grafikströme und aufzeichnungs- und wiedergabeverfahren und vorrichtungen
US8064755B2 (en) * 2002-11-08 2011-1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 multi-component stream and a high-density recording medium having a multi-component stream recorded thereon and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of said recording medium
US7720356B2 (en) 2002-11-12 2010-05-18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reproduction path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RU2313139C2 (ru) * 2002-11-12 2007-12-20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со структурой данных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м записанных на нем видеоданных нескольких каналов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записи 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US7664372B2 (en) * 2002-11-20 2010-02-16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multiple component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783160B2 (en) * 2002-11-20 2010-08-24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interleaved multiple reproduction path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KR100920654B1 (ko) * 2002-12-09 2009-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화형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재생 제어방법
US7499860B2 (en) * 2002-12-17 2009-03-03 Microsoft Corporatio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experience using networked devices
JP3793152B2 (ja) * 2002-12-26 2006-07-05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
CN101510980B (zh) 2003-01-31 2011-06-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现装置、记录方法以及再现方法
AU2003294162A1 (en) * 2003-01-31 2004-08-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r-application control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layback of stored interactive-tv applications
US7606463B2 (en) 2003-02-24 2009-10-20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playback control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693394B2 (en) * 2003-02-26 2010-04-06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data stream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809775B2 (en) * 2003-02-27 2010-10-05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playback control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EP1619891B1 (en) * 2003-02-28 2010-06-02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device,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reproduction method
WO2004077417A1 (en) * 2003-02-28 2004-09-10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andom/shuffle reproduction of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US7224664B2 (en) 2003-03-25 2007-05-29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data streams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EP1463052A1 (en) 2003-03-25 2004-09-2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representing animated menu buttons
US20040190874A1 (en) * 2003-03-25 2004-09-30 Phoury Lei Method of generating a multimedia disc
EP1465047A1 (en) * 2003-04-03 2004-10-06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presenting menu buttons
US7620301B2 (en) * 2003-04-04 2009-11-17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uming playback
US20040213542A1 (en) * 2003-04-22 2004-10-28 Hiroshi Hamasaka Apparatus and method to reproduce multimedia content for a multitude of resolution displays
EP1921623B1 (en) * 2003-06-18 2011-09-21 Panasonic Corporation Playback apparatus, program, and playback method
AU2004300605B2 (en) * 2003-07-01 2009-12-03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and metho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recording or reproduction, and data structure containing control signal
US20050031176A1 (en) * 2003-08-08 2005-02-10 Hertel Sarah R. Method and apparatus of multi-modality image fusion
KR100966668B1 (ko) * 2003-10-10 2010-06-29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콘텐츠 재생 장치, 콘텐츠 기록 매체, 콘텐츠 재생 방법 및 기록 매체
TWI382404B (zh) * 2003-11-12 2013-01-11 Panasonic Corp 記錄媒體、播放裝置及方法、記錄方法、及電腦可讀取程式(一)
JP4199804B2 (ja) * 2003-11-12 2008-1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再生装置、記録方法、プログラム、再生方法
KR20050066265A (ko)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구성방법 및 실행방법과기록재생장치
KR20050066264A (ko)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메뉴 구성방법 및 실행방법과기록재생장치
EP2257059B1 (en) * 2004-01-13 2014-03-12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production device, recording method, program, and reproduction method
KR100782808B1 (ko) * 2004-01-13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렉티브 그래픽 스트림을 기록한 저장 매체 및 그 재생장치
US8190003B2 (en) * 2004-01-14 2012-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medium storing interactive graphics stream activated in response to user's command,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reproducing from the same
US8745530B2 (en) 2004-01-14 2014-06-03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generating an on-screen menu
EP1555598A1 (en) * 2004-01-14 2005-07-20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generating an on-screen menu
CN100444093C (zh) * 2004-01-14 2008-12-17 汤姆逊许可公司 产生屏幕菜单的方法
US7862432B2 (en) * 2004-01-26 2011-01-04 Lippincott Louis A Multiple player game system, methods and apparatus
KR100561417B1 (ko) * 2004-02-09 2006-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Av 데이터의 재생상태를 전환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그래픽 스트림을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 재생방법 및 장치
US20050174923A1 (en) * 2004-02-11 2005-08-11 Contemporary Entertainment, Inc. Living audio and video systems and methods
CN1295626C (zh) * 2004-02-26 2007-01-17 晶晨半导体(上海)有限公司 用于视频播放机播放过程中命令控制的方法
CN1985319B (zh) 2004-03-09 2010-08-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内容使用设备及记录介质
JP2005276344A (ja) * 2004-03-25 2005-10-06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US8108890B2 (en) * 2004-04-20 2012-01-31 Green Stuart A Localised menus
TWI303057B (en) * 2004-08-26 2008-11-11 Asustek Comp Inc Electronic apparatus and optical disc drive thereof
US8000580B2 (en) 2004-11-12 2011-08-16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program
JP4019380B2 (ja) * 2004-11-29 2007-12-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8887093B1 (en) 2004-12-13 2014-11-11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generating an on-screen menu
CN101084549B (zh) * 2004-12-20 2011-04-0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使用保护流的内容保护
EP1831887A2 (en) * 2004-12-20 2007-09-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nlocking a protected portable storage medium
JP2008525926A (ja) * 2004-12-20 2008-07-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ィスク保護スキーム
JP2006179157A (ja) * 2004-12-24 2006-07-06 Toshiba Corp 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
US20060181731A1 (en) * 2005-02-17 2006-08-17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trieving apparatus, an image retriev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WO2006095933A1 (en) * 2005-03-08 2006-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 storage medium including data structure for reproducing interactive graphic streams supporting multiple languages seamlessly,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TWI261813B (en) * 2005-06-10 2006-09-11 Ulead Systems Inc Method for generating summary menu for storage medium
JP4610422B2 (ja) 2005-06-21 2011-01-1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ZnO基板の製造方法
JP2007004950A (ja) * 2005-06-27 2007-01-11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ハイブリッド型光ディスク
CN101300597B (zh) * 2005-08-29 2012-12-05 索尼株式会社 盘写作中的文件夹
AU2006320107C1 (en) * 2005-11-29 2012-01-19 Pioneer Corporatio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650489B1 (en) * 2007-04-20 2014-02-11 Adobe Systems Incorporated Event processing in a content editor
US8316308B2 (en) 2007-06-08 2012-11-20 Google Inc. Adaptive user interface for multi-source systems
JP4963661B2 (ja) * 2007-10-16 2012-06-2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ビデオ再生装置
US9448814B2 (en) * 2008-02-19 2016-09-20 Google Inc. Bridge system for auxiliary display devices
US8639086B2 (en) 2009-01-06 2014-01-28 Adobe Systems Incorporated Rendering of video based on overlaying of bitmapped images
US9190110B2 (en) 2009-05-12 2015-11-17 JBF Interlude 2009 LTD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recorded composition
US11232458B2 (en) 2010-02-17 2022-01-25 JBF Interlude 2009 LTD System and method for data mining within interactive multimedia
US8457118B2 (en) 2010-05-17 2013-06-04 Google Inc. Decentralized system and method for voice and video sessions
US8742250B2 (en) 2010-08-09 2014-06-0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tationary sunlight redirecting system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fixed-tilt PV farm
US9009619B2 (en) 2012-09-19 2015-04-14 JBF Interlude 2009 Ltd—Israel Progress bar for branched videos
US9257148B2 (en) 2013-03-15 2016-02-09 JBF Interlude 2009 LTD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selectably presentable media streams
US10448119B2 (en) 2013-08-30 2019-10-15 JBF Interlude 2009 LTD Methods and systems for unfolding video pre-roll
GB2524726B (en) * 2014-03-25 2018-05-23 Canon Kk Image data encapsulation with tile support
US9792026B2 (en) 2014-04-10 2017-10-17 JBF Interlude 2009 LTD Dynamic timeline for branched video
US9653115B2 (en) * 2014-04-10 2017-05-16 JBF Interlude 2009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linear video from branched video
US9792957B2 (en) 2014-10-08 2017-10-17 JBF Interlude 2009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video bookmarking
US11412276B2 (en) 2014-10-10 2022-08-09 JBF Interlude 2009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arallel track transitions
US10582265B2 (en) 2015-04-30 2020-03-03 JBF Interlude 2009 LTD Systems and methods for nonlinear video playback using linear real-time video players
US10417447B2 (en) * 2015-06-15 2019-09-17 Arris Enterprises Llc Selective display of private user information
US10460765B2 (en) 2015-08-26 2019-10-29 JBF Interlude 2009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and responsive video
US11128853B2 (en) 2015-12-22 2021-09-21 JBF Interlude 2009 LTD Seamless transitions in large-scale video
US11164548B2 (en) 2015-12-22 2021-11-02 JBF Interlude 2009 LTD Intelligent buffering of large-scale video
US10462202B2 (en) 2016-03-30 2019-10-29 JBF Interlude 2009 LTD Media stream rate synchronization
US11856271B2 (en) 2016-04-12 2023-12-26 JBF Interlude 2009 LTD Symbiotic interactive video
US10218760B2 (en) 2016-06-22 2019-02-26 JBF Interlude 2009 LTD Dynamic summary generation for real-time switchable videos
US11050809B2 (en) 2016-12-30 2021-06-29 JBF Interlude 2009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weighting of branched video paths
US10257578B1 (en) 2018-01-05 2019-04-09 JBF Interlude 2009 LTD Dynamic library display for interactive videos
US11601721B2 (en) 2018-06-04 2023-03-07 JBF Interlude 2009 LTD Interactive video dynamic adaptation and user profiling
US11490047B2 (en) 2019-10-02 2022-11-01 JBF Interlude 2009 LTD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adjusting video aspect ratios
US11245961B2 (en) 2020-02-18 2022-02-08 JBF Interlude 2009 LTD System and methods for detecting anomalous activities for interactive videos
US11882337B2 (en) 2021-05-28 2024-01-23 JBF Interlude 2009 LTD Automated platform for generating interactive videos
US11934477B2 (en) 2021-09-24 2024-03-19 JBF Interlude 2009 LTD Video player integration within website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7154A (ja) * 1982-02-05 1983-08-15 Hitachi Ltd 自動選曲装置
JPS60201782A (ja) * 1984-03-26 1985-10-12 Sharp Corp ビデオデイスクプレ−ヤ
JP2811445B2 (ja) 1988-03-22 1998-10-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画像情報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CA2420426C (en) 1990-09-10 2005-09-06 Starsight Telecast, Inc.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schedule system
ATE148819T1 (de) * 1990-09-19 1997-02-15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e und apparat zur regelung der anzeige des dargestellten bildes
JP2624067B2 (ja) * 1991-12-12 1997-06-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送信方法
JPH05307373A (ja) * 1991-12-16 1993-11-19 Casio Comput Co Ltd 対話式コンパクトディスクプレーヤー
DE69228233T2 (de) * 1991-12-18 1999-09-16 Sun Microsystems Inc Wahlfreie Auffrischung
US5438659A (en) * 1992-10-08 1995-08-01 Hewlett-Packard Company Object-action user interface management system
JP3282260B2 (ja) 1993-01-18 2002-05-13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及び方法
JP2781345B2 (ja) * 1993-09-20 1998-07-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再生装置
KR0156286B1 (ko) * 1993-09-20 1998-11-16 모리시타 요이찌 정보재생장치
US5835669A (en) * 1995-06-28 1998-11-10 Kabushiki Kaisha Toshiba Multilingual recording medium which comprises frequency of use data/history data and a plurality of menus which are stored in a still picture format
DE69319353T3 (de) * 1993-10-29 2001-06-13 Toshiba Kawasaki Kk Aufzeichnungsmedium, wiedergabeverfahren und wiedergabegerät für mehrfachszenen
US5400077A (en) 1993-10-29 1995-03-21 Time Warner Entertainment Co., L.P. System for generating multiple aspect ratio video signals from motion picture disk recorded in a single aspect ratio
US5497241A (en) * 1993-10-29 1996-03-05 Time Warner Entertainment Co.,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motion picture subtitles in a selected language during play of a software carrier
JP2677775B2 (ja) 1994-04-14 1997-11-17 株式会社東芝 再生装置
DE69516210T2 (de) * 1994-06-10 2000-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orführ- und Schneideeinrichtung für Daten mehrerer Medien
JP3339210B2 (ja) * 1994-07-04 2002-10-28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JP3495112B2 (ja) * 1994-11-11 2004-02-0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蓄積型記録媒体の車両内再生方法
US5627657A (en) * 1995-02-28 1997-05-06 Daewoo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sequentially displaying information recorded on interactiv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H08339663A (ja) * 1995-04-14 1996-12-24 Toshiba Corp 記録媒体とこの記録媒体へのデータの記録装置とその記録方法、その記録媒体からのデータの再生装置とその再生方法
BR9606320B1 (pt) * 1995-04-14 2010-11-16 método de codificação para codificar dados a serem registrados em um meio de registro de informação, aparelho de reprodução para reproduzir informações de menu a partir de um meio de registro, meio legìvel de registro de máquina e aparelho de reprodução de informações.
US5819004A (en) * 1995-05-08 1998-10-06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system for a user to manually alter the quality of previously encoded video frames
JP3290851B2 (ja) * 1995-05-31 2002-06-10 株式会社東芝 ストリーム多重化装置、ストリーム多重化方法及び記録媒体
KR0183587B1 (ko) * 1995-12-30 1999-04-15 배순훈 오디오재생기능이 구비된 대화형 브이씨디의 메뉴재생방법
JP3345019B2 (ja) * 1996-03-29 2002-11-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タラクティブな再生進行の性能を向上させた記録媒体の記録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793B1 (ko) * 2002-09-12 2010-01-20 파나소닉 주식회사 기록매체,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방법
KR100967748B1 (ko) * 2002-09-12 2010-07-05 파나소닉 주식회사 기록매체, 재생장치, 재생방법, 기록방법
US8380048B2 (en) 2002-09-25 2013-02-19 Panasonic Corporation Reproduction device, optical disc, recording medium, program, reproduction method
US8385720B2 (en) 2002-09-25 2013-02-26 Panasonic Corporation Reproduction device, optical disc, recording medium, program, reproduction method
US8886021B2 (en) 2002-11-20 2014-11-11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at least video data recorded thereon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3772B1 (ko) 2004-06-30
CN1216196A (zh) 1999-05-05
HK1009034A1 (en) 1999-07-30
CN1110195C (zh) 2003-05-28
US6389221B1 (en) 2002-05-14
CN1449189B (zh) 2010-04-21
US6285823B1 (en) 2001-09-04
EP1134987A1 (en) 2001-09-19
WO1997037491A1 (fr) 1997-10-09
EP0830023A1 (en) 1998-03-18
US6181871B1 (en) 2001-01-30
CN1449189A (zh) 2003-10-15
DE69709004D1 (de) 2002-01-24
US6067400A (en) 2000-05-23
JP3345019B2 (ja) 2002-11-18
EP1134986A1 (en) 2001-09-19
DE69709004T2 (de) 2002-05-02
EP0830023A4 (en) 1998-07-29
EP0830023B1 (en) 2001-12-12
MY115653A (en) 2003-08-30
EP1134988A1 (en) 2001-09-19
TW360861B (en) 199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772B1 (ko) 인터랙티브한재생진행의성능을향상시킨멀티미디어광디스크,재생장치및재생방법
KR100449075B1 (ko) 동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복수 채널의 음성 데이터, 부영상 데이터가 기록된 멀티미디어 광디스크 및 그 재생장치, 재생방법
KR100371429B1 (ko) 대화제어에기초하여의외성넘치는장면전개를실현할수있는멀티미디어광디스크및그재생장치와재생방법
KR100344903B1 (ko) 페어렌탈록구간으로의분기재생을적은제어정보량으로용이하게실현하는멀티미디어광디스크와그재생장치
EP0788101B1 (en) Multimedia optical disk which realizes dynamic switching between reproduced outputs, and reproducing apparatus
JP3345413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な再生進行の性能を向上させた記録媒体の記録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3345412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な再生進行の性能を向上させた記録媒体の記録方法、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813245B2 (ja) 光ディスク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H11225307A (ja) 映像データ記録媒体および映像データ再生装置
JP3356768B2 (ja) 記録方法、再生装置
JP3345352B2 (ja) 記録媒体の記録方法
JP3356770B2 (ja) 動画データとともに複数チャネルの音声データ、副映像データ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その再生装置、再生方法
JP3210289B2 (ja) 光ディスク記録方法
JP3345411B2 (ja) 記録媒体の記録方法
JP3356759B2 (ja) 記録方法、再生装置
JP3356769B2 (ja) 動画データとともに複数チャネルの音声データ、副映像データ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その再生装置、再生方法
JP3499853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JP3356767B2 (ja) 記録方法、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