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312U -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312U
KR19990021312U KR2019970034809U KR19970034809U KR19990021312U KR 19990021312 U KR19990021312 U KR 19990021312U KR 2019970034809 U KR2019970034809 U KR 2019970034809U KR 19970034809 U KR19970034809 U KR 19970034809U KR 19990021312 U KR19990021312 U KR 199900213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inion
rotating
side wing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석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4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312U/ko
Publication of KR199900213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31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니언과 랙을 이용하여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사이드 윙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사이드 윙 조절장치는 상부 캡(18, 18')과 하부 베어링(22, 22')에 의해서 시트 백(14)의 양 사이드 윙(16, 16')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에는 종동기어(19, 19')가 형성된 회전봉(20, 20')과, 회전칼람(24, 24')에 의해 회전봉(20, 20')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 회전판(26, 26')과, 가이드 브라켓(40, 42)과 가이드 베어링(50, 52)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종동기어(19, 19')와 치합되는 제 1 및 제 2랙(30, 32)과, 제 1 및 제 2랙(30, 32)과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34)과, 스위치(60)의 조작에 따라 전달되는 밧데리(62)의 전기에 의해 모터축(36)을 개재하여 피니언(34)을 회전시키는 모터(38)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니언과 랙을 이용하여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사이드 윙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기능별로 대별하여 보면, 차체(body)와 섀시(chassis)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서,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 승객의 탑승 공간을 제공하는 차실내와, 엔진이 설치되는 기관실 및 짐을 보관하여 운반할 수 있는 트렁크 실로 이루어지며, 섀시는 자동차에서 차체를 제외한 부분으로, 프레임 상에 기관이나 주행에 필요한 각종 장비가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을 가능케 한다.
또한, 차실내의 바닥을 구성하는 플로어(floor)상에는 운전자와 승객이 앉는 프론트 시트 및 리어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밖에 변속에 필요한 시프트 레버나 각종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콘솔(console) 등이 장착되어 있다.
차량의 플로어(floor)에 설치되는 시트는 운전자 및 앞좌석 승객이 앉을 수 있는 프론트 시트와 뒷좌석 승객이 앉을 수 있는 리어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시트는 운전석과 조수석이 각각 별도로 분리되어 있는 반면, 리어 시트는 좌측과 우측의 시트 쿠션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프론트 시트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사람이 앉는 시트 쿠션(2)과, 이 시트 쿠션(2)에 앉아 등을 기대는 시트 백(4)과, 시트 백(4)의 상단에 형성된 인출홈(4a)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헤드레스트(6)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 시트 백(4)은 시트 쿠션(2)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탑승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게 시트 백(4)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트 백(4)에는 코너링시나 선회시에 탑승자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막기 위한 사이드 윙(side wing)(4')이 형성되어 있어, 원심력에 의해 몸이 한쪽으로 기우는 것을 막아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에서는 승, 하차시에 사이드 윙이 탑승자의 몸에 걸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 크기를 작게 형성하므로, 커브의 각도가 큰 길을 급선회하는 경우에는 몸이 한쪽으로 쏠려 탑승자가 중심을 잃게 되어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다. 또한, 탑승자 개개인의 체형이 다르기 때문에, 몸이 시트에 밀착되지 않게 되어 장시간 탑승시에는 피로감이 가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피니언과 랙을 이용하여 자신의 체형에 맞게 사이드 윙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의 구성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윙 조절장치의 구성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윙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시트 쿠션 14:시트 백
16, 16':사이드 윙 18, 18':상부 캡
19, 19':종동기어 20, 20:회전봉
22, 22':하부 베어링 24, 24':회전칼럼
26, 26':회동판 30, 32:랙
34:피니언 36:모터축
38:모터 40, 42:가이드 브라켓
54:스페이서 60:스위치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승객이 앉는 시트 쿠션과, 이 시트 쿠션에 앉아 등을 기대는 것으로, 상부에 헤드레스트가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시트 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상부 캡과 하부 베어링에 의해서 시트 백의 양 사이드 윙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에는 종동기어가 형성된 회전봉과, 회전칼람에 의해 회전봉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 회전판과, 가이드 브라켓과 가이드 베어링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제 1 및 제 2랙과, 제 1 및 제 2랙과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과,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전달되는 밧데리의 전기에 의해 모터축을 개재하여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 부호로 표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윙 조절장치의 구성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윙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시트 백(14)의 양측면에 형성된 사이드 윙(16, 16')의 폭을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 사이드 윙(16, 16')의 내부에는 회전봉(20, 20')에 고정된 회전칼람(24, 24')과 함께 좌우로 회동되는 회전판(26, 26')을 장착하였다. 이 회전판(26, 26')을 좌우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모터(38)를 설치한 다음, 이 모터(38)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축(36)의 상부에 피니언(34)을 설치하였다. 피니언(34)은 종동기어(19, 19')와 치합되어 있는 제 1랙(30)과 제 2랙(32)과 치합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하단에 종동기어(19, 19')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봉(20, 20')은 상부 캡(18, 18')과 하부 베어링(22, 22')에 의해서 시트 백(14)의 양 사이드 윙(16, 16')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회전칼람(24, 24')에 의해 회전봉(20, 20')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 회전판(26, 26')은 좌, 우측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캡(18, 18')에는 회전봉(20, 20')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54)가 부착되어 있다.
사이드 윙(16, 16')내에 배치되는 제 1랙(30)과 제 2랙(32)의 단부는 가이드 베어링(50, 52)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피니언(34)과 인접하게 중앙에 배치되는 단부는 가이드 브라켓(40, 42)에 의해 그의 길이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모터축(36)을 통해 모터(38)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제 1랙(30)과 제 2랙(32)을 이동시키는 피니언(34)은 2개의 랙(30, 32)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서, 피니언(34)의 회전에 의해 제 1랙(30)과 제 2랙(32)은 동시에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동됨으로써, 2개의 회전판(26, 26')이 동시에 회동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모터(38)는 스위치(60)의 조작에 따라 전달되는 밧데리(62)의 전기에 의해 모터축(36)을 개재하여 피니언(34)을 회전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윙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 단면도이다. 이를 참고로, 랙과 피니어을 이용하여 사이드 윙(16, 16')의 각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가령, 자신의 체격에 비해서 사이드 윙(16, 16')의 간격이 너무 넓은 경우에 이를 좁히기 위해서, 탑승자가 스위치(60)를 조작하면, 밧데리(62)의 전기가 모터(38)로 공급되기 시작한다. 모터(38)에 밧데리(62)전기가 인가됨으로써, 모터축(36)을 통해 피니언(34)이 회전하게 된다. 피니언(34)의 회전으로 제 1랙(30)은 화살표 방향(P)을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제 2랙(32)은 화살표 방향(P')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서, 종동기어(19, 19')가 회전되면서 회전칼람(24, 24')을 개재하여 좌우측 회전판(26, 26')이 화살표 방향(Q, Q')을 따라 내측으로 회동됨으로써 양 사이드 윙(16, 16')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반대로, 사이드 윙(16, 16')의 간격을 넓히기 위해서는 스위치(60)의 확장버튼을 누르면 된다. 이때, 모터(38)는 역회전하면서 제 1랙(30)과 제 2랙(32)이 상기한 바와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전판(26, 26')을 확장시켜 간격이 확장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사이드 윙의 각도를 탑승자 자신의 체형에 맞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하며 장시간 탑승하는 경우에도 피로감이 저하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승객이 앉는 시트 쿠션(12)과, 이 시트 쿠션(12)에 앉아 등을 기대는 것으로, 상부에 헤드레스트가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시트 백(14)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시트에 있어서,
    상부 캡(18, 18')과 하부 베어링(22, 22')에 의해서 시트 백(14)의 양 사이드 윙(16, 16')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에는 종동기어(19, 19')가 형성된 회전봉(20, 20')과,
    회전칼람(24, 24')에 의해 상기 회전봉(20, 20')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 회전판(26, 26')과,
    가이드 브라켓(40, 42)과 가이드 베어링(50, 52)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종동기어(19, 19')와 치합되는 제 1 및 제 2랙(30, 32)과,
    상기 제 1 및 제 2랙(30, 32)과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34)과,
    스위치(60)의 조작에 따라 전달되는 밧데리(62)의 전기에 의해 모터축(36)을 개재하여 상기 피니언(34)을 회전시키는 모터(3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랙(30)과 제 2랙(32)은 상기 피니언(34)을 중심으로 대향으로 배치되어 모터(38)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18, 18')에는 상기 회전봉(20, 20')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스페이서(54)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
KR2019970034809U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 KR199900213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09U KR19990021312U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09U KR19990021312U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312U true KR19990021312U (ko) 1999-06-25

Family

ID=69698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809U KR19990021312U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31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4553B1 (en) Flexible seat system
KR101123437B1 (ko) 차량 시트 배치 구조
CN110803072A (zh) 车辆
JP2000238560A (ja) 自動車のシート
GB2442583A (en) Vehicle seat head restraint with movable lateral portions
JP2001105939A (ja) 車両用座席の位置調節装置
KR19990021312U (ko) 자동차용 시트의 사이드 윙 조절장치
JP4962693B2 (ja) 車両のシート配設構造
KR19990001460U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각도 가변장치
KR20040042946A (ko) 자동차의 센터 시트 마운팅 구조
CN216002425U (zh) 车辆的后排座椅以及车辆
KR100196175B1 (ko) 자동차용 시트
KR20000003712U (ko) 자동차의 시트 슬라이딩장치
JPS63145145A (ja) 自動車のシ−ト装置
KR100387615B1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터 조절장치
KR980008729A (ko) 자동차 세퍼레이트 시트용 볼스터(Bolster) 조절장치
KR0140757Y1 (ko) 확장 가능한 자동차용 시이트
JP2007153220A (ja) 車両のシート配設構造
JP2006123583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7153221A (ja) 車両のアームレスト構造
KR0140166Y1 (ko)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KR19980043182U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전.후이동조절장치
JPH075051B2 (ja) 自動車のシ−ト装置
KR0166546B1 (ko) 자동차의 후방시트에 설치된 동전박스
KR0131546Y1 (ko) 자동차의 팔걸이 위치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