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1242U -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1242U
KR19990021242U KR2019970034739U KR19970034739U KR19990021242U KR 19990021242 U KR19990021242 U KR 19990021242U KR 2019970034739 U KR2019970034739 U KR 2019970034739U KR 19970034739 U KR19970034739 U KR 19970034739U KR 19990021242 U KR19990021242 U KR 199900212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air
air breather
automatic transmission
cha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학락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4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1242U/ko
Publication of KR199900212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242U/ko

Links

Landscapes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톱볼을 이용하여 에어 브리더를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물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에 관한 것으로서, 변속기 케이스(2)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기체를 배출하거나 공기를 빨아들이는 본 고안의 에어 브리더는 하부에 형성된 유입통로(12)와 연통되는 제 1 및 제 2챔버(14, 16)를 구비하며, 이들 제 1 및 제 2챔버(14, 16)내에는 나사부(14a, 16a)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스프링(26, 36)에 의해 제 1 및 제 2챔버(14, 16)내에 각각,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스톱볼(24, 34)과,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0a)를 통해 제 2챔버(16)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유출공(22)이 형성된 유출 플러그(20)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30a)를 통해 제 1챔버(14)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유입공(32)이 형성된 유입 플러그(30)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본 고안은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톱볼을 이용하여 에어 브리더를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물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변속기는 변속방식에 따라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 및 무단 자동변속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엔진의 토오크를 변환시켜 바퀴로 전달하는 기능 이외에도, 정차시 엔진의 공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구동륜의 회전방향을 변환시켜 후진을 가능하게 한다.
이 중에서, 자동 변속기는 오일펌프에서 공급되는 압축유체에 의해 작동되는 일방향 클러치나 브레이크와 같은 각종 마찰계합 요소에 의해서, 유성기어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기어들이 선택적으로 치합됨으로써, 차량의 주행속도 및 드로틀 밸브의 개도량에 따라 운전조건에 맞게 최적으로 변속이 수행되는 구조를 지닌다.
이러한 변속은 차속이나 운전조건에 맞게 자동 또는 수동으로 유압을 변환하여 유성기어장치를 조작하는 유압제어기구에 의해서 수행된다. 유압제어기구에는 오일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을 압송하는 오일펌프와, 오일펌프에서 압송된 작동유체를 유성기어장치로 분배하는 유로를 형성하고 있는 밸브바디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변속기 케이스에는 선기어, 유성기어, 링기어와 같은 유성기어장치를 비롯하여, 일방향 클러치나 브레이크와 같은 마찰계합요소를 윤활하기 위한 밋션오일이 들어 있다. 마찰계합과정에서 발생된 마찰열 등에 의해 밋션오일의 온도가 상승되면서 기체의 체적이 증대되므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야 하므로, 이를 위해서 다음의 도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어 브리더를 사용한다.
도 1과 도 2는 각각, 종래의 캡 타입과 호스 타입의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를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기 케이스(2)의 내부에는 유성기어장치나 각종 마찰계합요소가 설치되며, 외측면에는 밸브바디가 부착된다. 전방에는 토오크 컨버터가 장착되는 수납부(4)가 구비되어 있다. 캡 타입의 에어 브리더의 구성을 보면, 변속기 케이스(2)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6)과, 이 하우징(6)에 씌워져 있는 캡(8)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캡(8)과 하우징(6)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새(6a)를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된다.
다음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 타입의 에어 브리더의 구성을 보면, 변속기 케이스(2)에는 연결관(6')이 꼽혀져 있으며, 이 연결관(6')에는 리모트 호스(8')가 끼워져 있어, 변속기 내부의 공기는 호스(8')의 내부통로(8a')를 따라 멀리 외부로 방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이 통로(8a')를 따라 유입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에 있어서, 캡 타입의 에어 브리더는 주행중 엔진 룸 내부로 유동하는 물의 높이가 캡 위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며, 호스 타입의 에어 브리더는 차량에 변속기를 장착한 후에 엔진 룸 내의 호스를 고정하는 작업이 별도로 필요하며, 호스에 의해 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에어 브리더의 내부에 2개의 스톱볼을 설치하여 변속기 내부의 기체를 방출하거나, 외부기체가 유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에서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별도의 리모트 호스등이 필요 없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과 도 2는 각각, 종래의 캡 타입과 호스 타입의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브리더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브리더의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브리더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 (a)와 (b)는 각각, 공기의 배출시와 유입시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변속기 케이스 10:에어 브리더
12:유입통로 14, 16:제 1, 2챔버
20, 30:유출, 유입 플러그 22, 32:유출, 유입공
24, 34: 스톱볼 26, 36:스프링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변속기 케이스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기체를 배출하거나 공기를 빨아들이는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에 있어서, 하부에 형성된 유입통로와 연통되는 제 1 및 제 2챔버를 구비하며, 이들 제 1 및 제 2챔버 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스프링에 의해 제 1 및 제 2챔버내에 각각,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스톱볼과,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통해 제 2챔버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유출공이 형성된 유출 플러그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통해 제 1챔버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유입공이 형성된 유입 플러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한 부품은 동일 부호로 표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브리더의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변속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었을 때에 생기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외부의 물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안으로, 에어 브리더를 구성하는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유입통로(12)를 통해 변속기 케이스(2)와 연통되는 2개의 챔버(14, 16)를 형성한 다음, 이 챔버(14, 16)에는 스톱볼(24, 34)을 스프링(26, 36)에 의해 탄성적으로 장착하였다. 이 중에서, 제 1챔버(14)에 장착되는 스톱볼(34)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때만 개방되며, 제 2챔버(16)에 장착되는 스톱볼(24)은 변속기 케이스(2)내부의 공기가 배출될 때만 개방된다.
다음에, 도 4는 본 고안의 에어 브리더를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통로(12)와 연통되는 제 1챔버(14)와 제 2챔버(16)의 내벽에는 각각, 나사부(14a, 1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챔버(14)내에는 스톱볼(24)이 안착되는 볼 시트(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챔버(16)내에는 상기 스톱볼(34)이 안착되는 볼 시트(38)가 형성되어 있다.
제 1챔버(14)에 결합되는 유입 플러그(30)에는 유입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입 플러그(30)의 외주부에는 나사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챔버(16)에 결합되는 유출 플러그(20)에는 유출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출 플러그(20)의 외주부에도 나사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시에는 이들 나사부를 결합하여 조립하게 된다. 유입 플러그(30)에 형성된 유입공(32)과 유출 플러그(20)에 형성된 유출공(22)은 유입통로(12)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조립시에, 하우징(10)의 제 1챔버(14)내에는 스프링(36)과 스톱볼(34)을 차례대로 삽입한 후, 유입 플러그(30)를 끼우게 되면, 스톱볼(34)은 스프링(36)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볼시트(38)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유사하게, 제 2챔버(16)내에는 스프링(26)과 스톱볼(24)을 차례대로 삽입한 후, 유출 플러그(20)를 끼우게 되면, 스톱볼(24)은 스프링(26)에 의해 탄성 가압되어 볼시트(18)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에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브리더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브리더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로, (a)와 (b)는 각각, 공기의 배출시와 유입시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먼저, 변속기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어 기체의 체적이 커지면 변속기 케이스(2)의 상부에 설치된 유입통로(12)를 통해 내부의 공기가 올라온다. 이때, 내부의 공기압이 대기압 보다 높기 때문에, 제 1챔버(14)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스톱볼(34)이 볼 시트(38)에 압착되면서 유입공(32)을 막는다. 이와 동시에, 제 2챔버(16)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스톱볼(24)은 스프링(26)의 힘을 이기고 볼 시트(18)로부터 이격되면서 틈새를 형성하게 되며, 유입통로(12)를 따라 올라온 공기는 화살표 방향(P)을 따라 유출 플러그(20)에 형성된 유출공(22)을 따라 외부로 방출된다.
다음에, 변속기 내부의 온도가 낮아져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게 되면, 유입 플러그(30)의 유입공(32)을 따라 외부로부터 제 2챔버(16)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스톱볼(24)은 볼 시트(18)에 압착되면서 외기의 유입을 막는다. 이와 동시에, 제 1챔버(14)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스톱볼(34)은 스프링(36)의 힘을 이기고 볼 시트(38)로부터 이격되면서 틈새를 형성하게 되며, 유입공(32)을 따라 올라온 공기는 화살표 방향(Q)을 따라 유입통로(12)를 거쳐 변속기 케이스(2)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에어 브리더의 내부에서 탄성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스톱볼을 이용하여 변속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거나 외부공기를 유입할 수 있으므로, 캡 타입에서와 같이 외부의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호스 타입과 비교하여 볼 때에, 별도의 리모트 호스가 필요치 않으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변속기 케이스(2)의 상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기체를 배출하거나 공기를 빨아들이는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에 있어서,
    하부에 형성된 유입통로(12)와 연통되는 제 1 및 제 2챔버(14, 16)를 구비하며, 이들 제 1 및 제 2챔버(14, 16)내에는 나사부(14a, 16a)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스프링(26, 36)에 의해 제 1 및 제 2챔버(14, 16)내에 각각,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스톱볼(24, 34)과,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0a)를 통해 상기 제 2챔버(16)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유출공(22)이 형성된 유출 플러그(20)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30a)를 통해 상기 제 1챔버(14)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유입공(32)이 형성된 유입 플러그(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챔버(14)와 제 2챔버(16)는 유입통로(12)에 대해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챔버(14)내에는 상기 스톱볼(24)이 안착되는 볼 시트(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챔버(16)내에는 상기 스톱볼(34)이 안착되는 볼 시트(3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KR2019970034739U 1997-11-29 1997-11-29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KR199900212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739U KR19990021242U (ko) 1997-11-29 1997-11-29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739U KR19990021242U (ko) 1997-11-29 1997-11-29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242U true KR19990021242U (ko) 1999-06-25

Family

ID=6969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739U KR19990021242U (ko) 1997-11-29 1997-11-29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1242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006A (ko) * 2001-12-24 2003-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의 에어 브리더 어셈블리
KR100422512B1 (ko) * 2001-12-24 200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에 의한 회전 저항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의 밸런스축조립체
KR100439988B1 (ko) * 2001-12-24 2004-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의 에어 브리더 어셈블리
KR100460913B1 (ko) * 2002-10-17 2004-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슬 하우징의 공기 배출 제어장치
KR101360053B1 (ko) * 2012-07-04 2014-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브리더
KR101448397B1 (ko) * 2013-07-17 2014-10-07 현대다이모스(주) 에어브리더
KR20160145917A (ko) * 2015-06-10 2016-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랙 하우징 내압 조절 장치
CN115217936A (zh) * 2021-11-29 2022-10-21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双向通气结构及变速箱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006A (ko) * 2001-12-24 2003-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의 에어 브리더 어셈블리
KR100422512B1 (ko) * 2001-12-24 2004-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일에 의한 회전 저항을 저감할 수 있는 구조의 밸런스축조립체
KR100439988B1 (ko) * 2001-12-24 2004-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의 에어 브리더 어셈블리
KR100460913B1 (ko) * 2002-10-17 2004-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슬 하우징의 공기 배출 제어장치
KR101360053B1 (ko) * 2012-07-04 2014-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브리더
KR101448397B1 (ko) * 2013-07-17 2014-10-07 현대다이모스(주) 에어브리더
KR20160145917A (ko) * 2015-06-10 2016-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랙 하우징 내압 조절 장치
CN115217936A (zh) * 2021-11-29 2022-10-21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双向通气结构及变速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3186B2 (en) Two stage check valve for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US7308970B2 (en) Externally serviceable transmission sump fill pipe and drain port assembly
KR19990021242U (ko) 자동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JP2007107688A (ja) 潤滑装置
US4823637A (en) Automatic transaxle for automotive vehicle
JP3651655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9803745B2 (en) Oil supply device
JP2007032711A (ja) 油圧式オートテンショナ
EP0571137B1 (en)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in a vehicle
KR200233414Y1 (ko) 자동변속기용에어브리더
US11073199B2 (en) Breather device
KR20080014368A (ko) 자동차용 변속기
KR100775374B1 (ko) 자동변속기의 베어링 윤활구조
KR100748658B1 (ko) 자동변속기용 오일펌프 구조
JP2008164036A (ja) 自動変速機
CN2501729Y (zh) 变速器换挡助力器
JP2019056423A (ja) 動力伝達装置
JP7494593B2 (ja) 車両用動力伝達装置
JP7103976B2 (ja) ワンウェイバルブ及び変速機
KR970000855B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의 오일 펌프내의 잉여 오일 배출구조
KR200144450Y1 (ko) 자동 변속기의 오일넘침 방지장치
KR0158163B1 (ko) 자동변속기용 오일 펌프
KR19980058551U (ko)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
KR19980051344A (ko) 차량 자동 변속기의 브리더
KR200270044Y1 (ko) 클러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