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8551U -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 - Google Patents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551U
KR19980058551U KR2019970002984U KR19970002984U KR19980058551U KR 19980058551 U KR19980058551 U KR 19980058551U KR 2019970002984 U KR2019970002984 U KR 2019970002984U KR 19970002984 U KR19970002984 U KR 19970002984U KR 19980058551 U KR19980058551 U KR 199800585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air breather
automatic transmission
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창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2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8551U/ko
Publication of KR199800585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551U/ko

Links

Landscapes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에 관한 것으로, 종래 에어브리더는자동변속기내의 압력상승시 에어브리더를 통해 배출관측에 응집된 변속기오일이 에어와 더불어 함께 배출되어 오일의 누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단순한 덮개와 스프링만으로는 배출관을 통해 에어와 함께 토출되는 오일의 누유를 방지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3 에서와 같이 미션케이스(20)의 토출관(22)에 배출관(28)과 유도관(30)으로 내부가 구분된 연결케이스(24)가 설치되고, 배출관(28)의 상단에 1차적 에어브리더를 설치하여, 배출되는 변속기오일이 유도관(30) 하방으로 유도되도록 하므로써 자동변속기내로 다시 유입되도록 하는 한편, 에어만이 에어브리더(3)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것이다.
따라서, 변속기오일의 누유가 방지되고 이로인해 차량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
본 고안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속기 오일의 누유가 방지되도록 2중의 밸브와 유도관이 형성된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자동 변속기는 토크컨버터를 거쳐서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변속하여 추진축으로 전달하는데, 동력의 변속은 유성기어의 작동과 그 조합으로서 가능토록 되어 있다.
즉, 유성기어의 선기어, 피니언기어, 인터널기어의 어느 하나가 구동이 되고 있으면, 나머지 두 기어중 하나는 고정이 되어 있고, 하나는 출력축과 연결되어 있어 구동과 출력을 기어에 따라 각각 고정하여 변속을 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유성기어의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고 다른 기어를 고정 또는 출력시키는 것은 변속기에 내장된 클러치와 브레이크 등 각 멤버가 수행하며, 상기 각각의 멤버는 유압의 작용으로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예시도면 도 1 은 자동변속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요도로서, 오일펌프(1)의 구동은 토크컨버터(2)의 선단과 오일펌프(1)의 인너기어가 맞물려 엔진의 구동력으로서 이루어져 엔진시동과 동시에 제어밸브로 작동유압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어 제어밸브로 작동유압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으며, 제어밸브가 유로를 변경시켜 작동유압의 잔달관계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유로의 변경은 각 멤버로의 작동변경을 의미하며, 따라서, 상기 오일펌프(1)는 자동변속기의 심장이라 할 수 있고, 오일은 이러한 심장에 의해 압송되는 혈액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변속기의 오일은 자동변속기의 원할한 수행을 위해 그 성분상 까다로운 조건이 요구될뿐더러, 온도에 따라 점도지수가 변하고, 특히 유온이 급상승되면 열화되어 각 멤버의 작동이 곤란하므로, 자동변속기에는 오일의 냉각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즉, 오일펌프(1)에서 토크컨버터(2)내에 공급된 오일은 토크의 전달매체이고, 각 멤버의 윤활유이며, 각 멤버의 작동유이다.
따라서, 발열작용은 피할수 없는 사실이므로, 차량 주행중 오일의 유온이 상승되기 때문에 변속기 오일은 토크컨버터(2)의 외부인 라디에이터에서 냉각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오일의 온도상승은 밀폐된 자동변속기 케이스 내에서의 압력상승에 직관되어 다수의 케이스가 결합된 부위에서 누유가 발생되므로, 이러한 압력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브리더(3)가 장착되어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 도 2 (가)(나)는 예시도면 도 1 의 A - A선 확대단면도로서, 도시된 화살표는 압력상승시 에어브리더(3)를 통해 토출되는 기체의 흐름을 나타낸다.
에어브리더(3)는 연결몸체(4)와 캡(5), 밸브(6)등으로 구성되며, 연결몸체(4)에는 미션케이스(7)에 성형된 토출관(8)과 이어지도록 배출관(9)이 중앙을 관통하여 성형되어 있다.
캡(5)은 연결몸체(4)의 상단을 둘러싸며, 연걸몸체와 캡(5)과의 결합부분에는 다수의 토출공(10)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6)는 덮개(11)와 스프링(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캡(5)의 내면을 지지점으로 스프링(12)의 탄성력이 덮개(11)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11)가 스프링(12)의 탄성력으로 배출관(9)을 폐쇠하다가 일정압력 이상이면 덮개(11)가 개도되고, 토출공(10)을 통해 에어가 방출되어 자동변속기내의 압력이 하강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자동변속기의 오일은 온도에 따른 점도 변경이 변속기의 성능에 영항을 미치므로 오일 냉각장치등이 설치되고, 또한 오일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압력상승은 오일의 누유를 유발시키므로 에어브리더(3)등이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자동변속기내의 압력상승시 에어브리더(3)를 통해 배출관측에 응집된 변속기오일이 에어와 더불어 함께 배출되어 오일의 누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단순한 덮개(11)와 스프링(12)만으로는 배출관(9)을 통해 에어와 함께 토출되는 오일의 누유를 방지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오일의 누유가 방지되는 2중의 구조로 형성된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미션케이스의 토출관에 배출관과 유도관으로 내부가 구분된 연결케이스가 설치되고, 배출관의 상단에 1차적 에어브리더를 설치하여 배출되는 변속기오일이 유도관 하방으로 유도되도록 하므로써 자동변속기내로 다시 유입되도록 하는 한편, 에어만이 에어브리더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것이다.
따라서, 변속기오일의 누유가 방지되고 이로인해 차량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변속기를 나타낸 설명도,
도 2 (가)(나)는 종래 에어브리더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전·후를 나타낸 도 1 의 A - A선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나타낸 단면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미션케이스, 22 - 토출관,
24 - 연결케이스, 26 - 격벽,
28 - 배출관,30 - 유도관,
32 - 덮개, 34 - 스프링,
36 - 연결공, 38 - 체크밸브,
40 - 단턱부.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차량 자동변속기 미션케이스(20)의 토출관(22)에 연결케이스(24)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케이스(24)의 내부가 격벽(26)으로 배출관(28)과 유도관(30)으로 구분되는 한편, 배출관(28)의 상단에는 덮개(32)와 이에 탄발력을 가하는 스프링(34)이 설치됨과 동시에, 배출관(28)과 유도관(30)을 연결하는 연결공(36)이 형성되고, 유도관(30)의 하단에는 상기 배출관(28)으로만 개도되는 체크밸브(38)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관(30)의 상단에는 에어브리더(3)가 설치된 구조인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이다.
여기서, 상기 연결공(36)은 유도관(30)의 하방을 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도면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브리더를 나타낸 단면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2중으로 에어브리더가 형성되어 그 중 첫번째 에어브리더의 역할을 하는 연결케이스(24)에 유도관(30)이 형성되어 토출되는 변속기 오일이 다시 비션케이스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이를 뒤해 연결케이스(24)의 내관은 격벽(26)으로 2분할되어 배출관(28)과 유도관(30)이 형성되고, 유도관(30)의 하단에는 토출관(22), 즉 자동변속기 내부를 향하여 개도되는 체크밸브(3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변속기의 압력이 상승되면 에어와 변속기오일은 배출관(28)을 통해 유도관(30)으로 유입되며, 배출관(28)과 유도관(30)의 경계인 배출관(28)의 상단에는 연결공(36)을 비롯하여 덮개(32)와 스프링(3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32)와 스프링(34)이 설치되기 위하여 배출관(28)의 상부에 단턱부(40)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단의 격벽(26)은 덮개(32)와 스프링(34)의 외측과 하단을 둘러싸듯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격벽(26)의 단턱부(40) 하단에 유도관(30)측으로 유도관(30)의 하방을 향하여 연결공(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덮개(32)와 스프링(34)이 1차적인 에어브리더의 역할을 하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자동변속기의 압력이 상승되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스프링(34)의 탄발력에도 불구하고 덮개(32)가 개도되어 에어와 번속기오일이 연결공(36)을 통해 유도관(30)으로 유입된다.
그런데, 상기 연결공(36)은 유도관(30)의 하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변속기오일은 응집되어 유도관(30)의 내벽을 따라 하방으로 흐르게 되고 에어는 유도관(30) 전체로 분산된다.
한편, 유도관(30)의 상단에는 종래 에어브리더(3)가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관(30)의 상단에 에어브리더의 연결몸체가 결합되어 있고, 이러한 유도관(30)은 종래 에어브리더의 입장에서는 미션케이스(20)의 토출관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의 구조에 의해 자동변속기내의 압력이 상승되면 1차적 에어브리더의 역할을 하는 덮개(32)가 개도되는데, 변속기 오일은 연결공(36)에서 응집되어 유도관(30)을 따라 체크밸브(38)측으로 흐르게 되고 에어는 유도관(30) 전체로 확산된다.
이때, 자동변속기내의 압력이 계속 상승되면 유도관(30)내의 에어는 에어브리더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며, 변속기오일은 체크밸브(38)를 통해 자동변속기내로 다시 유입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케이스의 내관을 배출관과 유도관으로 구분하고, 배출관의 상단에 1차적 에어브리더를 설치하여 배출되는 변속기오일이 유도관 하방으로 유도되어 자동변속기내로 다시 유입되는 한편, 에어만이 에어브리더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므로써, 변속기오일의 누유가 방지되고 이로인해 차량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 자동변속기 미션케이스(20)의 토출관(22)에 연결케이스(24)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케이스(24)의 내부가 격벽(26)으로 배출관(28)과 유도관(30)으로 구분되는 한편, 배출관(28)의 상단에는 덮개(32)와 이에 탄발력을 가하는 스프링(34)이 설치됨과 동시에, 배출관(28)과 유도관(30)을 연결하는 연결공(36)이 형성되고, 유도관(30)의 하단에는 상기 배출관(28)으로만 개도되는 체크밸브(38)가 설치되며, 상기 유도관(30)의 상단에는 에어브리더(3)가 설치된 구조인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36)은 유도관(30)의 하방을 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
KR2019970002984U 1997-02-24 1997-02-24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 KR199800585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984U KR19980058551U (ko) 1997-02-24 1997-02-24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984U KR19980058551U (ko) 1997-02-24 1997-02-24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551U true KR19980058551U (ko) 1998-10-26

Family

ID=6968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984U KR19980058551U (ko) 1997-02-24 1997-02-24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855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149B1 (ko) * 2002-08-08 2005-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변속기의 에어브리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149B1 (ko) * 2002-08-08 2005-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변속기의 에어브리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8606B2 (en) Automatic transmission
KR19980058551U (ko) 차량 자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
US6546830B2 (en) Transmission device of four-wheel drive vehicle
KR20050017516A (ko) 수동 변속기의 윤활 구조
US4621710A (en) Bearing lubrication system for extension housing of vehicular transmission
KR19980051344A (ko) 차량 자동 변속기의 브리더
KR100299297B1 (ko) 스로틀부재를가지는유압식토크컨버터
US3378118A (en) Centrifugal fluid operated clutch for connecting fluid coupling to transmission
KR20080014368A (ko) 자동차용 변속기
US20100095795A1 (en) Transmission
CN215763187U (zh) 一种变速传动机构的防通气塞冒油结构
JP2019056423A (ja) 動力伝達装置
KR200174846Y1 (ko) 자동변속기용 토오크 컨버터
KR0174190B1 (ko) 자동 변속기용 유압 흐름 컨트롤 장치
KR200210446Y1 (ko) 수동 변속기의 오일 가이드
KR200233414Y1 (ko) 자동변속기용에어브리더
KR100539383B1 (ko) 전후진변속기
KR19980055067U (ko) 자동변속기의 록업클러치
KR100419724B1 (ko) 차량자동변속기의윤활장치
KR200174847Y1 (ko) 자동변속기용 토오크 컨버터
KR100736784B1 (ko) 토크컨버터의 순환유량 확대구조
JP2000018281A (ja) クラッチ装置
KR19980068097U (ko)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용 에어벤트 캡
JP2008190679A (ja) 車両の駆動機構配設構造
KR20030073349A (ko) 차량용 변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