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942A -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942A
KR19990019942A KR1019970043381A KR19970043381A KR19990019942A KR 19990019942 A KR19990019942 A KR 19990019942A KR 1019970043381 A KR1019970043381 A KR 1019970043381A KR 19970043381 A KR19970043381 A KR 19970043381A KR 19990019942 A KR19990019942 A KR 19990019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pindle
bearing
control arm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3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942A/ko
Publication of KR19990019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942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뒤 엑슬(102)의 양 끝단에 콘트롤암(104)이 결합되고, 그 콘트롤암(104)의 표면에는 쇽업소버(106)와 현가 스프링(108)의 하단이 설치되며, 그 콘트롤암(104)의 일측에 연설된 고정부(104a)에는 표면으로 스핀들(110)이 돌출 형성된 결합판(110a)을 용접 고정하되, 상기 스핀들(110)의 외주면은 선단으로 갈수록 낮게 단부를 형성하고, 그 단부에는 씰링(112)과 베어링(114), 휠허브(116), 링(118), 록킹와셔(120)를 차례로 끼워 결합하게 된 자동차 뒤 현가장치(RS)의 베어링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110)의 선단부 외주연에는 상·하부 고정홈(110b,110c)을 콕킹 형성하고, 그 상·하부 고정홈(110b,110c)에 끼워 고정되도록 고정캡(122)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플렌지부(122b) 표면에는 상·하부 고정돌기(122d,122e)가 콕킹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삽지공(122c)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고정캡(122)의 내부에는 상기 삽지공(122c)과 연통되도록 너트(126)의 안착공(122a)을 관통 형성함으로써, 현가장치의 콘트롤암에 결합 고정된 스핀들에 베어링 고정시 고가인 캐슬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흔한 너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베어링 고정 작업상 코터핀을 고정하는 작업상의 난점을 해소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뒤 엑슬의 양 끝단에 콘트롤암이 결합되고, 그 콘트롤암의 표면에는 쇽업소버와 현가 스프링의 하단이 설치되며, 그 콘트롤암의 일측에 연설된 고정부에는 표면으로 스핀들이 돌출 형성된 결합판을 용접 고정하되, 상기 스핀들의 외주면은 선단으로 갈수록 낮게 단부를 형성하고, 그 단부에는 씰링과 베어링, 휠허브, 링, 록킹와셔를 차례로 끼워 결합하게 된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의 선단부 외주연에는 상·하부 고정홈을 콕킹 형성하고, 그 상·하부 콕킹홈에 끼워 고정되도록 고정캡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플렌지부 표면에는 상·하부 고정돌기가 콕킹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삽지공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고정캡의 내부에는 상기 삽지공과 연통되도록 너트의 안착부를 관통 형성하여 된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Rear suspension type)는 승차감이나 안정성을 좌우하는 것으로, 중량물을 운반하는 트럭에서는 차축 현가식을 쓰지만 승용차에서는 차축 현가식 이외에 승차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독립 현가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뒤 현가장치에서 베어링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뒤 현가 장치(RS)는 뒤 엑슬(2)의 양 끝단에 콘트롤암(4)이 결합되고, 그 콘트롤암(4)의 표면에는 쇽업소버(6)와 현가 스프링(8)의 하단이 결합되며, 그 콘트롤암(4)의 일측에 연설된 고정부(4a)에는 표면으로 스핀들(10)이 돌출 형성된 결합판(10a)이 용접 고정하되, 상기 스핀들(10)의 외주면은 선단으로 갈수록 낮은 단부를 차례로 형성하고, 그 스핀들(10)에는 씰링(12)과 베어링(14), 휠허브(16), 링(18), 록킹와셔(20), 캐슬너트(22) 그리고 더스트캡(24)이 차례로 끼워져 고정하고 있었다.
특히, 상기 캐슬너트(22)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고정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스핀들(10)의 선단에는 코터핀(26)의 삽지공(10b)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종래에는 상기 베어링(14)을 스핀들(10)에 끼워 고정할 때 상기 캐슬너트(22)와 코터핀(26)을 이용하게 되는 데, 상기 캐슬너트(22)는 제작하기 어려운 관계로 단가가 높아 비용상 부담이 되고, 상기와 같이 코터핀(26)을 스핀들(10)의 삽지공(10b)에 끼우기 위해서는 그 삽지공(10b)의 양단에 상기 캐슬너트(22)의 고정홈(22a)이 각각 일치된 위치로 맞춘후 코터핀(26)을 끼워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현가장치의 콘트롤암에 결합 고정된 스핀들에 베어링 고정시 고가인 캐슬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흔한 너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베어링 고정 작업상 코터핀을 고정하는 작업상의 난점을 해소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뒤 엑슬의 양 끝단에 콘트롤암이 결합되고, 그 콘트롤암의 표면에는 쇽업소버와 현가 스프링의 하단이 설치되며, 그 콘트롤암의 일측에 연설된 고정부에는 표면으로 스핀들이 돌출 형성된 결합판을 용접 고정하되, 상기 스핀들의 외주면은 선단으로 갈수록 낮게 단부를 형성하고, 그 단부에는 씰링과 베어링, 휠허브, 링, 록킹와셔를 차례로 끼워 결합하게 된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의 선단부 외주연에는 상·하부 고정홈을 콕킹 형성하고, 그 상·하부 콕킹홈에 끼워 고정되도록 고정캡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플렌지부 표면에는 상·하부 고정돌기가 콕킹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삽지공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고정캡의 내부에는 상기 삽지공과 연통되도록 너트의 안착부를 관통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S : 뒤 현가장치
102 : 뒤 엑슬 104 : 콘트롤암
106 : 쇽업소버 108 : 현가 스프링
110 : 스핀들 112 : 씰링
114 : 베어링 116 : 휠허브
118 : 링 120 : 록킹와셔
122 : 고정캡 124 : 더스트캡
126 : 너트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발명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가이 자동차 뒤 현가장치(RS)의 베어링(114) 고정구조에 있어서, 뒤 엑슬(102)의 양 끝단에 콘트롤암(104)이 결합된다.
그 콘트롤암(104)의 표면에는 쇽업소버(106)와 현가 스프링(108)의 하단이 설치된다. 그 콘트롤암(104)의 일측에 연설된 고정부(104a)에는 표면으로 스핀들(110)이 돌출 형성된 결합판(110a)을 용접 고정한다.
상기 스핀들(110)의 외주면은 선단으로 갈수록 낮게 단부를 형성한다.
그 단부에는 씰링(112)과 베어링(114), 휠허브(116), 링(118), 록킹와셔(120)를 차례로 끼워 결합한다.
상기 스핀들(110)의 선단부 외주연에는 상·하부 고정홈(110b,110c)을 콕킹 형성한다.그 상·하부 고정홈(110b,110c)에 끼워 고정되도록 고정캡(122)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플렌지부(122b) 표면에는 상·하부 고정돌기(122d,122e)가 콕킹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삽지공(122c)을 관통 형성한다.
상기 고정캡(122)의 내부에는 상기 삽지공(122c)과 연통되도록 너트(126)의 안착공(122a)을 관통 형성한 것으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124)는 상기 스핀들(110)에 마지막으로 끼워지는 더스트캡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콘트롤암(104)의 고정부(104a)에 용접 결합된 스핀들(110)에 베어링(114)을 고정 결합할 때, 종래와 같이 캐슬너트와 코터핀을 사용하는 대신에,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의 너트(126)와 그 너트(126)가 내측의 안착공(122a)에 끼워진 고정캡(122)으로 베어링(114)을 고정함으로써, 그 제작비가 비교적 고가인 캐슬너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을뿐더러 상기 스핀들(110)의 삽지공에 코터핀을 끼울때의 작업상 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 발명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리어엑슬(102)의 양단에 볼팅 및 용접 고정된 콘트롤암(104)의 고정부(104a)에는 표면으로 스핀들(110)이 일체로 돌출된 결합판(110a)을 용접 고정한 다음, 상기 스핀들(110)의 외주면에는 선단으로 갈수로 직경이 작은 단부를 여러개 형성하고, 각 단부에는 씰링(112)과 베어링(114), 휠허브(116), 링(118), 록킹와셔(120)를 차례로 끼운 후 이들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캐슬너트와 코터핀을 사용하는 대신,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 너트(126)와 고정캡(122)을 사용하기로 한다.
그 고정캡(122)의 구조를 살펴 보자면, 내부로 안착공(122a)이 형성된 고정캡(122)의 일측면으로는 플렌지부(122b)를 고리 모양으로 돌출 형성하게 된다. 그 플렌지부(122b)의 내부로는 삽지공(122c)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공(122a)과 연통되게 한다. 이때 상기 플렌지부(122b)의 표면에는 상·하부 고정돌기(122d,122e)를 삽지공(122c)으로 돌출되게 콕킹의 방법으로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캡(122)이 끼워지는 스핀들(110)의 외주면 선단으로는 상기 고정캡(122)의 플렌지부(122b)에 콕킹 형성된 상·하부 고정돌기(122d,122e)가 끼워지도록 상·하부 고정홈(110b,110c)이 콕킹의 방법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후, 상기 고정캡(122)을 스핀들(110)에 끼워 고정하는 과정에 있어, 우선 앞서와 같이 씰링(112) 및 록킹와셔(120)를 스핀들(110)에 끼우고 난 다음, 그 스핀들(110)에는 록킹와셔(120)의 후면으로 고정캡(122)을 끼우게 되는 데, 이때 그 고정캡(122)에 형성된 안착공(122a)으로는 미리 너트(126)를 끼운 상태이다. 그러면 상기 스핀들(110)에 끼워지는 부분은 너트(126)가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캡(122)의 일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플렌지부(122b)의 내벽은 스핀들(110)에 접면된 상태로 된다. 이는 곧 플렌지부(122b)의 내부로 관통된 삽지공(122c)으로 스핀들(110)이 끼워진 형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플렌지부(122b)에 형성된 상·하부 고정돌기(122d,122e)는 상기 스핀들(110)에 형성된 상·하부 고정홈(110b,110c)으로 끼워진다. 다시말해, 상·하부 고정돌기(122d,122e)는 삽지공(122c) 방향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스핀들(110)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압압되어 있다가 상기 상·하부 고정홈(110b,110c)으로 끼워 들어가 고정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스핀들(110)에는 더스트캡(124)을 끼움에 따라 베어링(114)의 고정 작업은 완료된다.
한편, 상기 베어링(114)을 탈거하기 위해서는 앞서와는 역순으로 작업을 하게 되는 데, 먼저 상기 더스트캡(124)을 빼낸 이후 고정캡(122)과 록킹와셔(120), 링(118), 휠허브(116), 베어링(114), 씰링(112)을 상기 스핀들(110)로부터 탈거하게 된다.
본 발명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에 따르면, 씰링과 베어링, 휠허브, 링, 록킹와셔를 미리 콘트롤암에 결합된 스핀들에 끼우고 난 다음, 이들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 사용되던 캐슬너트와 코터핀을 사용하는 대신, 공지의 너트 및 그 너트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캡을 구비함으로써, 고가인 캐슬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흔한 너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베어링 고정 작업상 코터핀을 고정하는 작업상의 난점을 해소하여 작업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뒤 엑슬(102)의 양 끝단에 콘트롤암(104)이 결합되고, 그 콘트롤암(104)의 표면에는 쇽업소버(106)와 현가 스프링(108)의 하단이 설치되며, 그 콘트롤암(104)의 일측에 연설된 고정부(104a)에는 표면으로 스핀들(110)이 돌출 형성된 결합판(110a)을 용접 고정하되, 상기 스핀들(110)의 외주면은 선단으로 갈수록 낮게 단부를 형성하고, 그 단부에는 씰링(112)과 베어링(114), 휠허브(116), 링(118), 록킹와셔(120)를 차례로 끼워 결합하게 된 자동차 뒤 현가장치(RS)의 베어링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110)의 선단부 외주연에는 상·하부 고정홈(110b,110c)을 콕킹 형성하고, 그 상·하부 고정홈(110b,110c)에 끼워 고정되도록 고정캡(122)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플렌지부(122b) 표면에는 상·하부 고정돌기(122d,122e)가 콕킹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삽지공(122c)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고정캡(122)의 내부에는 상기 삽지공(122c)과 연통되도록 너트(126)의 안착공(122a)을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
KR1019970043381A 1997-08-30 1997-08-30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 KR19990019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381A KR19990019942A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381A KR19990019942A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942A true KR19990019942A (ko) 1999-03-25

Family

ID=66037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381A KR19990019942A (ko) 1997-08-30 1997-08-30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9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17B1 (ko) * 2001-10-18 2007-11-1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17B1 (ko) * 2001-10-18 2007-11-1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이물질 침투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94075B1 (en) Deformable suspension arm for automotive vehicle
US6375221B1 (en) Mounting structure of suspension member
JP2005537967A (ja) 一体化されたトレーリングアーム及び取付ブラケットを備える自動車用リジッドアクスル
EP1439081B1 (en) Connection between vehicle axle and carrier arm
KR19990019942A (ko) 자동차 뒤 현가장치의 베어링 고정구조
US20020096851A1 (en) Outer tie rod assembly connector body
JPH065956Y2 (ja) 車輌の車体フレーム
JPH11165652A (ja) ホイールストッパ
JPH0755123Y2 (ja) トーイングトラクタのトレーリングアーム式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
KR0134050Y1 (ko) 차량용 댐퍼의 구조
KR200143945Y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링크기구
KR100284127B1 (ko) 캐스터각 조정장치
JPS6020483Y2 (ja) 特殊車両の車軸ハブ
KR0148658B1 (ko) 승용자동차의 리어 액슬 구조
WO2020224988A1 (en) Steering axle assembly for a vehicle
KR100579733B1 (ko) 자동차 리어 서스펜션 장치의 얼라인먼트 조정장치
JP2511030Y2 (ja) 後輪中立ロック装置の取付構造
JP2556069B2 (ja) 車輪の支持構造
KR19990019874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로드와 브라켓의 결합구조
KR100250167B1 (ko) 차량의 스트러트 인슐레이터의 차체 장착구조
GB595773A (en) Improvements in steering wheel axles for motor vehicles
KR200153444Y1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KR19990019962A (ko) 자동차 독립 현가장치의 댐퍼 고정구조
KR0182672B1 (ko) 화물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JPH03235764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取付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