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444Y1 -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444Y1
KR200153444Y1 KR2019960058734U KR19960058734U KR200153444Y1 KR 200153444 Y1 KR200153444 Y1 KR 200153444Y1 KR 2019960058734 U KR2019960058734 U KR 2019960058734U KR 19960058734 U KR19960058734 U KR 19960058734U KR 200153444 Y1 KR200153444 Y1 KR 200153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pare tire
bolt
wheel hous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7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5592U (ko
Inventor
상명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87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444Y1/ko
Publication of KR199800455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5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4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 플로어패널에 형성된 휠하우징에 안착되는 스페어 타이어를 보다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해, 자동차의 플로어패널(2)에 함몰된 휠 하우징(4)에 스페어 타이어(10)를 넣고, 이 스페어 타이어(10)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0)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20)는 휠 하우징(4)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재(6)의 너트부재(8)에 그 일단이 나삽되는 볼트부(22)와, 이 볼트부(22)의 타단에 그 일단이 양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링크(24)와, 이 링크(24)와 볼트부(22)를 고정하는 고정핀(26)과, 이 고정핀(26)의 하부측 볼트부(22)에 스페어 타이어 허부(14)를 누르는 걸림부(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스페어 타이어(10)를 플로어 패널(2)에 함몰된 휠 하우징(4)의 중앙에 안착시킨 후, 고정볼트(20)의 볼트부(22)를 스페어 타이어 허브(14)의 중앙을 통과시켜 상기 휠 하우징(4)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재(6)의 배면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된 너트부재(8)에 소정량 체결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20)의 링크(24)를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링크(24)를 잡고 고정되는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볼트부(22)가 고정부재(6)의 너트부재(8)에 체결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 플로어패널(Floor Panel)에 형성된 휠하우징(Wheel Housing)에 안착되는 스페어 타이어를 보다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타이어가 펑크나거나 또는 공기주입 밸브의 고장으로 타이어의 공기압이 부족한 경우를 대비하여 타이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스페어 타이어를 한 개 이상 비치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스페어 타이어(10)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트렁크룸 플로어패널(2)의 바닥면으로부터 저면으로 함몰된 휠 하우징(4)에 안착되며, 그 중앙부를 플로어패널(2)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재(6)의 배면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는 너트부재(8)에 윙(12a)이 구비된 고정볼트(12)를 체결시켜 스페어 타이어 허브(14)를 눌러줌으로써 고정되었다.
따라서, 운전자가 스페어 타이어(10)를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스페어 타이어(10)를 휠 하우징(4)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플로어패널(2)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부재(8)에 고정볼트(12)의 중심을 맞추고 손으로 힘주어 회전시켜 고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스페어 타이어(10)를 상기와 같이 고정볼트(12)의 윙(12a)을 잡고 힘주어 회전시켜 고정하여야 하고 또는 분해하여야 하기 때문에, 특히 여성 운전자의 경우 힘에 부칠 뿐만 아니라 상기 고정볼트(12)의 윙(12a)이 작아 조립/분해할 수 있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 플로어패널에 형성된 휠하우징에 안착되는 스페어 타이어를 보다 간편하게 고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플로어패널에 함몰된 휠하우징에 스페어 타이어를 넣고, 이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는 휠하우징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재에 그 일단이 나삽되는 볼트부와, 이 볼트부의 타단에 그 일단이 양측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링크와, 이 링크와 볼트부를 고정하는 고정핀과, 이 고정핀의 하부측 볼트부에는 스페어 타이어 허부를 누르는 걸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가 휠하우징에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플로어패널(Floor Panel) 4 : 휠 하우징(Wheel Housing)
6 : 고정부재 8 : 너트부재
10 : 스페어 타이어 14 : 스페어 타이어 허브
20 : 고정볼트 22 : 볼트부
24 : 링크 26 : 고정핀
28 : 걸림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플로어패널(2)에 저면에 스페어 타이어(10)를 넣기에 충분한 공간으로 휠 하우징(4)이 형성되는 통상의 구조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스페어 타이어(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20)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볼트(20)는 휠 하우징(4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재(6)에 그 일단이 나삽되는 볼트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부(22)의 타단에 그 일단이 양측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링크(24)가 구비된다.
상기 볼트부(22)와 링크(24)는 고정핀(26)으로 수평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링크(24)를 고정핀(26)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회동시켜 볼트부(22)를 힐 하우징(4)에 형성된 고정부재(6)에서 고정/해제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26)은 이탈가능하게 형성하여 미사용시에는 볼트부(22)와 링크(24)를 분할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부(22)의 일측 둘레에는 스페어 타이어 허브(14)를 누르는 걸림부(2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는 스페어 타이어(10)를 트렁크룸의 플로어 패널(2)에 함몰된 휠 하우징(4)의 중앙에 안착시킨 후, 고정볼트(20)의 볼트부(22)를 스페어 타이어 허브(14)의 중앙을 통과시켜 상기 휠 하우징(4)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재(6)의 배면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정된 너트부재(8)에 소정량 체결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20)의 링크(24)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링크(24)는 고정핀(26)을 중심으로 직각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링크(24)를 잡고 고정되는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볼트부(22)가 고정부재(6)의 너트부재(8)에 체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볼트부(22)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부(28)가 스페어 타이어 허브(14)를 누를때 까지 체결시킨 후에 고정핀(26)을 뽑아 볼트부(22)로부터 링크(24)를 탈거하여 공구함에 저장하면 된다.
한편, 타이어가 펑크나거나 또는 공기주입 밸브의 고장으로 타이어의 공기압이 부족한 경우에는 상술한 역순에 의해 타이어를 교환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는 종래의 고정방식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게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 이러한 방식은 별도의 공구를 필요하지 않으며 적은 힘으로도 고정 및 해제가 가능하다.

Claims (1)

  1. 자동차의 플로어패널(2)에 함몰된 휠 하우징(4)에 스페어 타이어(10)를 넣고, 이 스페어 타이어(10)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0)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20)는 휠 하우징(4)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부재(6)의 너트부재(8)에 그 일단이 나삽되는 볼트부(22)와, 이 볼트부(22)의 타단에 그 일단이 양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링크(24)와, 이 링크(24)와 볼트부(22)를 고정하는 고정핀(26)과, 이 고정핀(26)의 하부측 볼트부(22)에 스페어 타이어 허부(14)를 누르는 걸림부(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KR2019960058734U 1996-12-27 1996-12-27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KR2001534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734U KR200153444Y1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734U KR200153444Y1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592U KR19980045592U (ko) 1998-09-25
KR200153444Y1 true KR200153444Y1 (ko) 1999-08-02

Family

ID=1948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734U KR200153444Y1 (ko) 1996-12-27 1996-12-27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4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592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59781C (en) Jack storage assembly
JP4021846B2 (ja) 自動車のホイールリムにケーシング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及び関連する取り付け方法
US6039104A (en) Dual purpose clamp for rim holding tire changers
US4360052A (en) Portable tire tool
KR200153444Y1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US5848806A (en) Steering wheel
US6389858B1 (en) Lock structure for steering wheel locking by turning the wheel
EP1084942A1 (fr) Structure formant plancher arrièr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véhicule automobile incorporant une telle structure
GB2399591A (en) Quick-release fastenings for vehicle side guard/skirt/body kit
KR200143805Y1 (ko) 차량용 리어 브레이크 어셈블리 고정구
JPH0428284Y2 (ko)
US1832076A (en) Lock for spare rims
JPH0131536Y2 (ko)
KR200158649Y1 (ko) 자동차용 휠커버의 체결구조
JP2553576Y2 (ja) 自動車のスペアタイヤ固定装置
JPS6211263Y2 (ko)
KR200192422Y1 (ko) 스페어 타이어 장착장치
KR200227780Y1 (ko) 넛트를 분해및 결합하는 공구
JPH0235590Y2 (ko)
KR950009332Y1 (ko)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
KR19980045594U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JPH1016829A (ja) スペアタイヤ取付装置
KR19980045629U (ko) 자동차용 스페어 타이어 취출구조
JPS6246561Y2 (ko)
JPH0618865Y2 (ja) スペアタイヤの固定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