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233A - 전기에너지 변환용 세라믹스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조성물을 이용한 장방형 판상 압전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전기에너지 변환용 세라믹스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조성물을 이용한 장방형 판상 압전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233A
KR19990019233A KR1019970042587A KR19970042587A KR19990019233A KR 19990019233 A KR19990019233 A KR 19990019233A KR 1019970042587 A KR1019970042587 A KR 1019970042587A KR 19970042587 A KR19970042587 A KR 19970042587A KR 19990019233 A KR19990019233 A KR 19990019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electrode
hours
mixing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2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6426B1 (ko
Inventor
류주현
이석태
윤현상
Original Assignee
류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주현 filed Critical 류주현
Priority to KR1019970042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426B1/ko
Publication of KR19990019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9Form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s
    • H10N30/093Forming inorganic materials
    • H10N30/097Forming inorganic materials by sinter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4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 변환용 세라믹스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장방형 판상 압전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압전트랜스포머는 노트북 컴퓨터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backlight) 구동용 고압 트랜스포머로 많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전기에너지 변환용 세라믹스 조성물 제조방법은, 전자천평으로 원료를 0.1 mg까지 평량하는 평량과정; 상기 평량된 원료를 지르코니아 볼밀에서 아세톤으로 20시간 동안 혼합분쇄하는 1차 혼합 및 분쇄과정; 상기 1차 혼합 및 분쇄과정에서 혼합분쇄가 완료된 시료는 80。C에서 10시간동안 전기오븐에서 완전히 건조시키는 1차 건조과정; 상기 건조과정이후 알루미나 도가니에서 850。C의 온도로 2시간 동안 하소하는 하소과정; 상기 하소된 시료를 지르코니아 볼밀에서 아세톤으로 15시간동안 2차 혼합분쇄하는 2차 혼합 및 분쇄과정; 상기 2차 혼합 및 분쇄과정후 전기오븐에서 80。C에서 10시간동안 건조하는 2차 건조과정; 건조된 시료를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하는 과정; 상기 분쇄과정후 100 메쉬를 사용하여 고르게 통과시켜 5% PVA용액을 시료에 5wt% 첨가하여 유발에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과정; 상기 섞는 과정이후 직경 21 mmØ 강철 몰더를 사용하여 1 ton/㎠의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성형과정; 성형된 시료를 소결도중 PbO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편조성과 동일한 분위기 분말을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어 밀폐시켰으며 승하강 온도를 300。C/h로 하여 소정의 소성온도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여 소성하는 소성과정; 소성이 끝난 시편을 샌드페이퍼와 SiC 분말을 써서 제반 물성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1 mm의 두께로 연마하는 연마과정; 초음파 세척기로 아세톤 속에서 세척한 다음 듀퐁사의 실버페이스트 #7095를 600。C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전극부착과정; 및 상기 전극부착이 완료된 시편들을 실리콘 유속에서 25 kV/㎝ 의 전계를 30분간 가하여 분극처리하는 분극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방형 판상 압전트랜스포머는, 구동부, 발전부, 중간영역, 입력전극, 출력전극 및 보조전극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전극의 형상은 상기 입력전극에서 상기 중간영역만큼 떨어져서 상기 장방형 판상의 위아래면과 좌우측면의 네면에 걸쳐서 띠형태로 형성되어, 분극효율을 향상시키고 전계를 고르게 걸리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전기에너지 변환용 세라믹스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장방형 판상 압전트랜스포머
본 발명은 전기에너지 변환용 세라믹스 조성물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장방형 판상 압전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압전트랜스포머는 노트북 컴퓨터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backlight) 구동용 고압 트랜스포머로 많이 사용된다.
종래의 전기에너지변환 가능한 세라믹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는 화학식 1을 기본 조성으로 하였다.
상기한 종래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조성물은, 요근래 수요가 많은 휴대용 컴퓨터의 백라이트 구동용 고압 압전트랜스포머등의 응용에 제약이 있었다. 그 이유는, 종래의 세라믹스 조성물을 사용한 압전트랜스포머에 있어서는 에너지변환효율이 낮아 승압비가 작아져서 보조 트랜스를 필요로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에너지 변환효율이 우수한 세라믹스 조성물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압전트랜스포머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도 2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서 보듯이 종래의 압전트랜스포머는 분극시, 분극의 경계면 근방에 있어서 왜형의 응력이 발생하여 그곳에 집중적으로 전단응력이 생겨 경계면 근방에서 기계적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종래및 3성분계 세라믹스를 이용한 압전트랜스포머를 고압용 음이온 발생기, 복사기등에 응용하려는 연구가 행하여 졌으나 실용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 이유는 압전트랜스포머를 대전력에 장시간 구동할 때 발열현상과 기계적 피로로 인한 파괴를 수반하며, 부하저항 변동에 따른 승압비 변화로 일정한 전압출력을 얻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전기에너지 변환용 세라믹스 조성물 제조방법과, 상기한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조성물을 이용한 장방형 판상 압전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위한 세라믹스 조성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종래의 압전트랜스포머의 구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압전트랜스포머의 구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에너지 변환용 세라믹스 조성물 제조방법은, 전자천평으로 원료를 0.1 mg까지 평량하는 평량과정; 상기 평량된 원료를 지르코니아 볼밀에서 아세톤으로 20시간 동안 혼합분쇄하는 1차 혼합 및 분쇄과정; 상기 1차 혼합 및 분쇄과정에서 혼합분쇄가 완료된 시료는 80。C에서 10시간동안 전기오븐에서 완전히 건조시키는 1차 건조과정; 상기 건조과정이후 알루미나 도가니에서 850。C의 온도로 2시간 동안 하소하는 하소과정; 상기 하소된 시료를 지르코니아 볼밀에서 아세톤으로 15시간동안 2차 혼합분쇄하는 2차 혼합 및 분쇄과정; 상기 2차 혼합 및 분쇄과정후 전기오븐에서 80。C에서 10시간동안 건조하는 2차 건조과정; 건조된 시료를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하는 과정; 상기 분쇄과정후 100 메쉬를 사용하여 고르게 통과시켜 5% PVA용액을 시료에 5wt% 첨가하여 유발에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과정; 상기 섞는 과정이후 직경 21 mmØ 강철 몰더를 사용하여 1 ton/㎠의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성형과정; 성형된 시료를 소결도중 PbO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편조성과 동일한 분위기 분말을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어 밀폐시켰으며 승하강 온도를 300。C/h로 하여 소정의 소성온도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여 소성하는 소성과정; 소성이 끝난 시편을 샌드페이퍼와 SiC 분말을 써서 제반 물성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1 mm의 두께로 연마하는 연마과정; 초음파 세척기로 아세톤 속에서 세척한 다음 듀퐁사의 실버페이스트 #7095를 600。C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전극부착과정; 및 상기 전극부착이 완료된 시편들을 실리콘 유속에서 25 kV/㎝ 의 전계를 30분간 가하여 분극처리하는 분극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방형 판상 압전트랜스포머는, 구동부, 발전부, 중간영역, 입력전극, 출력전극 및 보조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보조전극의 형상은 상기 입력전극에서 상기 중간영역만큼 떨어져서 상기 장방형 판상의 위아래면과 좌우측면의 네면에 걸쳐서 띠형태로 형성되어, 분극효율을 향상시키고 전계를 고르게 걸리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세라믹스는 x = 0.01 ∼ 0.1 인 경우 화학식 1을 기본 조성으로 하여,를 1∼10 mol% 치환하는 것이 특징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를 6 mol% 치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는 화학식 1의 조성세라믹스에 과잉 PbO를 1∼6 mol%첨가하여 세라믹스 소자의 소결온도를 1100℃∼1300℃ 범위에서 제조가능하다. 바람직하기는 상기 소결온도를 1200℃로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 가운데에서 특히 상기 화학식 1의 조성세라믹스에 과잉 PbO를 3mol%첨가하여 세라믹스 소자의 소결온도를 1100℃, 1150℃, 1200℃, 1225℃, 1250℃, 1275℃, 1300℃로 변수를 두어 제조하였다. 이것으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축소되지 아니함은 이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본 발명에서는 산화물 혼합법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변환용 세라믹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시료의 순도 및 제조회사는 표1과 같다.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시료들의 순도는 99%이상인 것이 특징임을 알 수 있다.
소결 온도에 따른 조성물의 분류는 표2와 같다.
상기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순서는 도 1과 같다.
먼저, 원하는 소결 원료를 만들기 위해, 전자펀평으로 0.1mg까지 평량된 원료를 지로코니아 볼밀에서 아세톤으로 20시간동안 혼합분쇄한다.
혼합분쇄가 완료된 시료는 80℃에서 10시간 전기오분에서 완전히 건조된후 알루미나 도가니에서 850℃의 온도로 2시간동안 하소(Calcining)처리된다.
하소된 시료는 지르코니아 볼밀에서 아세톤으로 15시간 2차 혼합분쇄를 한 후 다시 전기오븐에서 80℃에서 10시간 건조된다.
건조된 시료는 아루미나 유발에서 재분쇄후 100 mesh를 사용하여 고르게 통과시켜 5% PVA용액을 시료에 5 wt% 첨가하여 유발에서 균일하게 섞은 후, 직경 21mmØ 강철 몰더를 사용하여 1 ton/㎠의 압력을 가하여 성형된다.
성형된 시료는 소결도중 PbO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편조성과 동일한 분위기 분말을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어 밀폐시켰으며 승하강 온도를 300 ℃/h로 하여 소결온도별로 1시간 유지하여 소결하였다.
소결이 끝난 조성물은 샌드 페이퍼(Sand paper)와 SiC분말을 사용하여 제반 물성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1 mm의 두께로 연마한 뒤, 초음파 세척기로 아세톤 속에서 세척한 다음, 듀퐁사의 실버페이스트 #7095를 600℃에서 10분간 열처리하여 전극을 형성시켰다.
전극 부착이 완료된 조성물들은 실리콘 유속에서 25 kV/㎝의 전계가 30분간 가하여져서 분극처리된다.
표 3은 제조된 시편의 제반 유전 및 압전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1200℃∼ 1250℃ 사이의 온도에서 소결된 시편에서 압전특성이 즉 전기에너지 변환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압전트랜스포머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전기에너지변환용 세라믹스 조성물이 만들어지면, 이 조성물들은 여러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그 한 예가 도 3의 본 발명에 의한 압전 트랜스포머이다. 도 3에서 좌 반분(10)은 구동부로서 위, 아래면에 입력 전극(6)(9)이 있다. 우반분(7)은 발전부분이며, 출력전극(13), 보조전극(11)(12) 및 중간영역(8)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전극은 상기 조성물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분극효율을 향상시키고 전계를 고르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구동부는 두께방향으로 분극하고(P로 표시), 상기 발전부는 길이 방향으로 분극(P' 로 표시)하도록 제작한다.
종래에는 압전재료는 분극에 의해 분극방향으로 늘어나고, 그것과 직각방향으로 축소하기 때문에, 구동부와 발전부 경계부분에는 각각 S 와 S' 로 표시한 왜형의 응력이 걸리기 때문에, 그곳에 집중적으로 전단응력이 생겨 경계면 근방에 있어서 기계적 강도가 약해졌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보조 전극으로 중간 영역(8)을 형성하여, 경계면 근방에 있어서 국부적인 전달 왜형이 작게되어 강도를 높여, 분극이나 동작중에 있어서 파괴가 되지 않는 방법으로 신뢰성을 향상시켰다.
분극하는 방법은 먼저 보조전극과 출력전극간(11)(13)에 길이 방향으로 분극을 한 다음 구동부(6)(9)를 두께방향으로 분극하였다. 이때, 길이 방향으로 25 kV/㎝로 약 80 ℃에서 3시간 행하였으며 두께방향으로는 30분간 행하였다.
압전 트랜스포머는 구동부에 입력 잔압을 인가하면 압전정수 d31로부터 전기에너지가 기계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동작이 행해지며, 발전부에서는 압전정수 d33(혹은 g33)에 의한 기계-전기에너지 변환이 행해진다. 따라서 압전정수 d31,d33(g33)에 대응하는 전기기계 결합계수 k31, k33가 가능한한 큰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압전 트랜스포머의 전압이득은 Qm값이 높으면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Qm이 높은 조성이 유리하다. Qm은 기계적 품질계수로 공진시의 첨예도(sharpness)정도, 손실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공진시 저항값이 낮고, 유전상수 값이 낮으면 Qm이 커지나, 유전상수가 지나치게 낮게되면 압전 d상수 값이 현저히 저하하므로, 공진 진동시 전계에 의한 왜형이 크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트랜스포머 이용시 불리해 진다. 또한 Qm이 1000이상으로 높게 되면, 공진주파수가 약간만 변동해도 이득이 크게 감소하게 되므로 압전트랜스포머에서는 500∼1000 정도가 적당하다.
표 4에서 알수 있듯이 t=1.5mm이후에는 점차 승압비가 떨어져 있다. 이는 이론과 부합되나 t=2.25mm에서 승압비가 34로 높은 값을 보였다. 또한 t=0.75mm에서 승압비가 가장낮게 나타나는데 이는모드에서 t가 지나치게 낮으면 길이 방향 진동에 폭방향외 진동이 결합되기 때문에 길이방향 진동이 다소 줄어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길이(2ℓ)를 증가시켜 42mm로 하고, 폭(w)을 6.5mm로 줄였을 때에 승압비가 124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비록 고압용 트랜스포머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음과 같은 여러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게는 자명하다.
1. 백라이트 인버터, 복사기, 정전도장등에 이용되는 고압용 트랜스포머.
2. 저압용 파워 서플라이.
상기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압전트랜스포머의 승압비가 높아진다.
2. 보조 전극에 의해서 높은 분극효율이 얻어진다.
3. 구동부와 발전부 경계선에서의 응력을 줄일 수 있다.
4. 백라이트 구동용 트랜스포머의 크기가 작아진다.
5. 백라이트 구동용 트랜스포머의 전력소모가 줄어든다.
6. 유전상수가 비교적 낮고, 전긱계결합계수의 이방성이 크며, 큐리온도가 높고, 경시변화율이 낮은 세라믹스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Claims (6)

  1. 전자천평으로 원료를 0.1 mg까지 평량하는 평량과정;
    상기 평량된 원료를 지르코니아 볼밀에서 아세톤으로 20시간 동안 혼합분쇄하는 1차 혼합 및 분쇄과정;
    상기 1차 혼합 및 분쇄과정에서 혼합분쇄가 완료된 시료는 80。C에서 10시간동안 전기오븐에서 완전히 건조시키는 1차 건조과정;
    상기 건조과정이후 알루미나 도가니에서 850。C의 온도로 2시간 동안 하소하는 하소과정;
    상기 하소된 시료를 지르코니아 볼밀에서 아세톤으로 15시간동안 2차 혼합분쇄하는 2차 혼합 및 분쇄과정;
    상기 2차 혼합 및 분쇄과정후 전기오븐에서 80。C에서 10시간동안 건조하는 2차 건조과정;
    건조된 시료를 알루미나 유발에서 분쇄하는 과정;
    상기 분쇄과정후 100 메쉬를 사용하여 고르게 통과시켜 5% PVA용액을 시료에 5wt% 첨가하여 유발에서 균일하게 혼합하는 과정;
    상기 섞는 과정이후 직경 21 mmØ 강철 몰더를 사용하여 1 ton/㎠의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성형과정;
    성형된 시료를 소결도중 PbO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편조성과 동일한 분위기 분말을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어 밀폐시켰으며 승하강 온도를 300。C/h로 하여 소정의 소성온도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여 소성하는 소성과정;
    소성이 끝난 시편을 샌드페이퍼와 SiC 분말을 써서 제반 물성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1 mm의 두께로 연마하는 연마과정;
    초음파 세척기로 아세톤 속에서 세척한 다음 듀퐁사의 실버페이스트 #7095를 600。C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하여 전극을 형성하는 전극부착과정; 및
    상기 전극부착이 완료된 시편들을 실리콘 유속에서 25 kV/㎝ 의 전계를 30분간 가하여 분극처리하는 분극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변환용 세라믹스 조성물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세라믹스는 x=0.01∼0.1 인 경우를 기본 조성으로 하여,를 1∼10 mol%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변환용 세라믹스 조성물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잉 PbO의 첨가량은 1∼6 mol%인 것이 특징인, 전기에너지 변환용 세라믹스 조성물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스 소자의 소정의 소결온도는 1100℃∼1300℃의 범위인 것이 특징인, 전기에너지 변환용 세라믹스 조성물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의 순도는 99%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에너지 변환용 세라믹스 조성물 제조방법.
  6. 구동부, 발전부, 중간영역, 입력전극, 출력전극 및 보조전극을 갖는 장방형 판상 압전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극의 형상은 상기 입력전극에서 상기 중간영역만큼 떨어져서 상기 장방형 판상의 위아래면과 좌우측면의 네면에 걸쳐서 띄형태로 형성되어, 분극효율을 향상시키고 전계를 고르게 걸리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장방형 판상 압전트랜스포머.
KR1019970042587A 1997-08-29 1997-08-29 전기에너지변환용세라믹스조성물제조방법 KR100336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587A KR100336426B1 (ko) 1997-08-29 1997-08-29 전기에너지변환용세라믹스조성물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2587A KR100336426B1 (ko) 1997-08-29 1997-08-29 전기에너지변환용세라믹스조성물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233A true KR19990019233A (ko) 1999-03-15
KR100336426B1 KR100336426B1 (ko) 2002-12-06

Family

ID=3747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2587A KR100336426B1 (ko) 1997-08-29 1997-08-29 전기에너지변환용세라믹스조성물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4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610B1 (ko) * 2000-09-22 2003-01-30 성실전자 주식회사 고전압 방전 저항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376994B1 (ko) * 2000-06-24 2003-03-26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 요크
KR100461774B1 (ko) * 2002-02-19 2004-12-13 류주현 고주파 공진기용 세라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2645A (ko) * 2018-11-07 2020-05-15 한국전기연구원 무연압전소재(nklnt)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994B1 (ko) * 2000-06-24 2003-03-26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 요크
KR100370610B1 (ko) * 2000-09-22 2003-01-30 성실전자 주식회사 고전압 방전 저항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461774B1 (ko) * 2002-02-19 2004-12-13 류주현 고주파 공진기용 세라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2645A (ko) * 2018-11-07 2020-05-15 한국전기연구원 무연압전소재(nklnt)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6426B1 (ko) 200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37895B (zh) 一种锆钛酸铅-铌镁酸铅压电陶瓷的制备方法
CN108585852B (zh) 一种镨掺杂铌铟镁酸铅-钛酸铅发光压电陶瓷、制备方法及其应用
CN113548892B (zh) 具有宽温区高压电性能的铌酸钾钠基透明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363791B1 (ko) 고출력 압전세라믹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트랜스포머
KR100336426B1 (ko) 전기에너지변환용세라믹스조성물제조방법
Zhang et al. Suppressed tanδ and enhanced Qm in KCT and Ni2O3 co-modified [(K0. 43Na0. 57) 0.94 Li0. 06][(Nb0. 94Sb0. 06) 0.95 Ta0. 05O3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s
KR100765176B1 (ko) 압전 세라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8283069A (ja) 圧電セラミ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101016A (ko) 압전 자기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압전 세라믹 소자
Mao et al. Low-temperature sintering properties of Bi2O3 doped PZT-5H piezoelectric ceramics
KR100305990B1 (ko) 압전트랜스포머용세라믹스조성물의제조방법
CN116496083B (zh) 一种核壳结构硬化铌酸钾钠基无铅压电陶瓷及其制备方法
KR930011273B1 (ko) 압전세라믹 조성물
JPH10279354A (ja) 圧電セラミックスおよび圧電トランス
CN115504783B (zh) 一种knn基无铅压电陶瓷及其制备方法
KR100272675B1 (ko) 압전자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67819A (ko) 압전특성이 우수한 압전 변압기와 그 소성방법
CN116283281A (zh) 一种有双向应变的压电驱动器材料及其制备方法
JP3528362B2 (ja) 磁器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圧電トランス
JP3189582B2 (ja) アクチュエータ用圧電磁器組成物
CN117460389A (zh) 一种低介损高机电耦合系数的压电单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H02197181A (ja) 強誘電性磁器体
KR100544091B1 (ko) 압전 세라믹 조성물
CN115353385A (zh) 一种增强无铅压电陶瓷热稳定性的制备方法
JP3555194B2 (ja) 磁器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圧電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323

Effective date: 200106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