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796U - 분쇄기의 커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분쇄기의 커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796U
KR19990016796U KR2019970030270U KR19970030270U KR19990016796U KR 19990016796 U KR19990016796 U KR 19990016796U KR 2019970030270 U KR2019970030270 U KR 2019970030270U KR 19970030270 U KR19970030270 U KR 19970030270U KR 19990016796 U KR19990016796 U KR 199900167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up
grinder
rotating rod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0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796U/ko
Publication of KR199900167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796U/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쇄기가 음식물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자체에서 발생하는 접착력에 의해 컵의 상부에 정체되는 음식물 덩어리를 컵의 하부로 내려오게 하여 컵의 상부에 정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기모터(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봉(11)이 내부에 삽입된 컵(3)과, 상기 컵(3)이 안착되는 요입부(18)가 형성된 몸체(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11)의 외주면에 나선(1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의 커터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음식물 자체에 접착력이 발생하더라도 음식물이 컵(3)내에서 정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분쇄물을 얻을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분쇄기의 커터 어셈블리
본 고안은 비교적 약한 힘으로 결합되어 있는 고체 덩어리를 외력을 작용시켜 잘게 부수는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분쇄기의 상부에 뭉쳐있는 분쇄물을 하부로 내려오게 하여 분쇄가 잘될 수 있도록 하는 분쇄기의 커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갈아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에는 쥬서기와 믹서기 및 분쇄기등이 있는바, 상기 쥬서기는 음식물을 갈아 고체성분을 가진 입자와 액체 성분을 가진 즙으로 분리하여 즙만을 추출해내는 데에 사용되며, 상기 믹서기는 한 종류 혹은 다종의 음식물을 동일 용기 내에서 갈아 혼합하며 상기 쥬서기와는 달리 액체성분을 따로 분리해내지 않는 경우에 사용된다.
또한, 분쇄기는 액체성분이 거의 없는 음식물의 분말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쥬서기나 믹서기 또는 분쇄기는 최근 식생활 문화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으로 제조되고 있는바, 그 일 예로서 쥬서기와 믹서기 및 분쇄기의 기능이 하나로 겸비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이 다기능을 겸비한 제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한 쥬서기나 믹서기 및 분쇄기가 기본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회전력 제공수단을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며, 상기한 회전력 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얻어 음식물을 미세하게 조각낼 수 있는 회전칼날 및 이와 유사한 회전부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에 따라서 각각 쥬서기나 믹서기 또는 분쇄기로 구분되기 때문이다.
즉, 기본적으로 쥬서기나 믹서기 및 분쇄기는 음식물을 보다 작은 입자상태 로 조각내는 것을 기본적인 기능으로 가지고 있고, 여기에 즙을 짜내는 기능이나 보다 미세한 입자로 조각낼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또는 보다 견고한 물체를 조각내기에 적합한 구조 등을 첨가하여 각각의 특성을 가진 제품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기본적인 동력원인 회전력 제공수단을 공통으로 하여 각각의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부품을 대체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기능을 겸비한 하나의 제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목적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회전력 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각내고, 여기에서 액체성분이 거의 없는 음식물의 분말을 제조하는 분쇄기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상기한 회전력 제공수단으로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전기모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도시된 바, 전기의 힘으로 회전 작동하는 전기모터(105)를 지지하고 도면상 상측과 좌측으로 개구된 요입부(118)가 형성되어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101)와, 상기 요입부(118)에 안착되며 내부에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컵(103)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1)에 형성된 요입부(118)의 하단부에는 상기 전기모터(105)의 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커플링(107)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입홈(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01)의 상부에는 전기모터(105)를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10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컵(103)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의 하단부 중앙에는 삽입공(125)이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107)과 연결되는 연결축(115)이 공간부 내에 삽입되어 있고, 이 연결축(115)과 연계되며 상부에 나사홈(121)을 갖는 지지대(1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대(113)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봉(11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봉(111)에는 삽입구(127)가 형성된 커터몸체(109)가 끼워지고, 이 커터몸체(109)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커터날(117)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터몸체(109)의 상단부에는 상기 지지대(113)의 나사홈(121)과 연계되는 연통공(119)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대(113)에 나사결합되어 진다. 또한, 상기 커터몸체(109)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대(113)이 삽입되는 삽입부(12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분쇄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컵(103)의 공간부에 분쇄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담아 상기 몸체(101)의 요입부(118)에 안착시킨 후, 상기 몸체(10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106)를 눌러 전류가 흐르도록 분쇄기를 온 시키게 되면, 이 전류를 인가받은 전기모터(105)가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된 축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축과 연결된 커플링(107)이 회전을 하게 되며, 이 커플링(107)과 상기 지지대(113)를 연결시키는 연결축(115)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113)과 연결된 연결축(115)의 회전에 의해 지지대(1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회전봉(111)이 회전을 하게 되며, 이 회전봉(111)에 끼워져 지지대(113)에 고정되어 있는 커터몸체(109)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컵(103)의 하부에 설치되며 커터몸체(109)의 외주면에 설치된 커터날(117)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렇게, 커터날(117)의 회전에 따라 음식물이 커터날(117)과의 접촉에 의해 조금씩 잘려지게 되며, 커터날(117)의 계속되는 회전에 따라 음식물과의 접촉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을 잘게 분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음식물이 분쇄되는 과정에서 회전력 제공수단의 회전에 따라 분쇄되는 분쇄물의 자체에 발생하는 접착성이 분쇄물을 정체 시키게 됨으로써, 잘게 분쇄되지 않은 음식물의 덩어리가 캡의 상부에 남게 되고, 이에 따라 원활한 분쇄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분쇄물을 얻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분쇄기가 음식물을 분쇄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자체에서 발생하는 접착력에 의해 컵의 상부에 정체되는 음식물 덩어리를 컵의 하부로 내려오게 하여 컵의 상부에 정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분쇄기의 원활한 분쇄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분쇄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분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일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일측면 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터 어셈블리의 부분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3 : 컵
5 : 전기모터 6 : 스위치
7 : 커플링 9 : 커터몸체
11 : 회전봉 11a : 나선
13 : 지지대 15 : 연결축
17 : 커터날 18 : 요입부
19 : 연통공 21 : 나사홈
23 : 요입홈 25 : 삽입공
27 : 삽입구 29 : 삽입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봉이 내부에 삽입된 컵과, 상기 컵이 안착되는 요입부가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의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의 커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첨부도면에 의거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 일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부분 상세도로서, 본 고안의 분쇄기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기의 힘으로 회전하는 전기모터(5)를 지지하고 도면상 상측 및 좌측이 개구된 요입부(18)가 형성되어 제품의 외곽을 형성하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기모터(5)에 전류를 온오프시키도록 하는 스위치(6)와, 상기 요입부(18)에 안착되며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부(16)의 하단부 중앙에 삽입공(25)이 형성된 컵(3)과, 상기 컵(3)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모터(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음식물을 분쇄시키는 커터날(17)이 외주면에 형성된 커터몸체(9)와, 상기 커터몸체(9)가 끼워져 고정되는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위에서 아래로 음식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나선(11a)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봉(1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에는 상기 컵(3)이 안착되는 바닥면에 요입홈(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입홈(23)에는 상기 전기모터(5)의 축과 연결되며 또 하나는 상기 컵(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지지대(13)에 연결되는 연결축(15)과 연동되는 두 개의 커플링(7)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 커터몸체(9)에는 회전봉(11)에 끼워지기 위해 중앙에 삽입구(27)가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연통공(19)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대(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3)에는 상기 커터몸체(9)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연통공(19)과 연계되는 나사홈(21)이 형성되어 나사에 의해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컵(3)의 공간부(16)에 분쇄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넣고 상기 몸체(1)에 설치된 온오프 스위치(6)를 눌러주게 되면, 스위치(6)의 온 신호에 따라 외부에서 들어오는 전류가 전기모터(5)에 인가되고, 전류가 입력된 전기모터(5)는 자체에 가지고 있는 축을 전기의 힘으로 회전을 시키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전기모터(5)의 축과 연결되어 있는 커플링(7)이 회전을 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커플링(7)과 상기 캡(3)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대(13)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축(15)에 의해 상기 지지대(13)가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3)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선(11a)을 갖는 회전봉(11)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11)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커터몸체(9)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 커터몸체(9)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커터날(17)이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이 회전하는 커터날(17)과의 접촉에 의해 잘려지며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음식물이 분쇄되는 과정에서 음식물의 자체에 발생하는 접착력에 의해 컵(3)의 상측으로 밀려나는 음식물 덩어리가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분쇄가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작용을 막기 위해 회전봉(11)에 나선(11a)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화살표는 컵(3)내에서 유동되는 음식물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음식물 자체에서 접착력이 발생하여 음식물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게되더라도 상기 회전봉(11)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11a)의 회전에 의해 컵(3)의 상부에 위치하는 음식물 덩어리들을 강제적으로 컵(3)의 하부로 끌어 내려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하는 커터날(17)에 의해 컵(3)내에 있는 음식물을 원활하게 분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봉(11)에 형성된 나선(11a)에 의해 음식물을 강제적으로 대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분쇄물을 얻을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나선이 형성된 회전봉을 제공하여 음식물 자체에서 접착력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강제적으로 컵내에서 대류시킴으로써, 접착력에 의해 음식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이 원활하게 분쇄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분쇄물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기모터(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봉(11)이 내부에 삽입된 컵(3)과, 상기 컵(3)이 안착되는 요입부(18)가 형성된 몸체(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11)의 외주면에 나선(1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의 커터 어셈블리.
KR2019970030270U 1997-10-30 1997-10-30 분쇄기의 커터 어셈블리 KR199900167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270U KR19990016796U (ko) 1997-10-30 1997-10-30 분쇄기의 커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270U KR19990016796U (ko) 1997-10-30 1997-10-30 분쇄기의 커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96U true KR19990016796U (ko) 1999-05-25

Family

ID=6968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270U KR19990016796U (ko) 1997-10-30 1997-10-30 분쇄기의 커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79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000B1 (ko) * 2006-03-13 2007-06-27 이익재 고속 분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000B1 (ko) * 2006-03-13 2007-06-27 이익재 고속 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9325A (en) Food-comminution device
US3784118A (en) Mixing and comminuting apparatus
US2896924A (en) Mixing device
KR101364333B1 (ko) 교반기구를 구비하는 소형 블렌더
KR100433172B1 (ko) 착즙겸용 분쇄기
KR102216074B1 (ko) 다기능 주서기
KR200393606Y1 (ko) 푸드 프로세서에 구성되는 이중칼날 절삭부
JPH03193013A (ja) フードミキサー
KR19990016796U (ko) 분쇄기의 커터 어셈블리
KR200160084Y1 (ko) 분쇄기의 커터
KR200368485Y1 (ko) 다용도 식품가공기의 커터
KR20200005813A (ko) 소형 믹서기
KR200379916Y1 (ko) 용기에 열흡수재가 장착된 식품가공기
KR200160087Y1 (ko) 용이한 후처리 커버를 구비한 분쇄기
KR102239344B1 (ko)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0272290B1 (ko) 쥬스기
KR19990019463U (ko) 높은 교반 효율의 회전 커터를 구비한 분쇄기
KR100428951B1 (ko) 믹서 겸용 분쇄기의 연동축 방수부재
KR200212716Y1 (ko) 믹서기 겸용 분쇄기
KR200287799Y1 (ko) 착즙겸용 분쇄기
JP2002291627A (ja) 電動調理器
KR19990019466U (ko) 체적 조절식 분쇄컵을 구비한 분쇄기
KR200289845Y1 (ko) 미니믹서
KR19990023978U (ko) 체적 조절형 분쇄기
KR200189236Y1 (ko) 분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