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344B1 -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9344B1 KR102239344B1 KR1020190133874A KR20190133874A KR102239344B1 KR 102239344 B1 KR102239344 B1 KR 102239344B1 KR 1020190133874 A KR1020190133874 A KR 1020190133874A KR 20190133874 A KR20190133874 A KR 20190133874A KR 102239344 B1 KR102239344 B1 KR 1022393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teel plate
- juice
- food material
- plat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5—Devices for grating
- A47J43/255—Devices for grating with grating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 채소, 곡물 등의 식재료를 분쇄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탈착 가능한 스크루에 의해 착즙하는 기능을 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식재료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식재료가 투입되는 투입부재; 상기 투입부재의 중심에 모터축이 하부로 향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모터축과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투입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상기 식재료를 분쇄하는 복수 개의 분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강판부재; 상기 투입부재와 상기 강판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식재료가 상기 강판부재에 의해 분쇄되도록 상기 식재료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간측에 구비되며, 상기 강판부재에 의해 분쇄된 상기 식재료가 중심을 향해 배출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하부가 개방되게 중공이 형성되는 상부안내판을 포함하는 상부호퍼; 상기 연결축과 일체로 회전되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외주면에 착즙날이 형성되어 상기 식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호퍼를 지지하고 상기 스크루에 의해 상기 식재료를 가압하여 상기 식재료의 건더기와 착즙물을 분리하는 하부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에 식재료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식재료가 투입되는 투입부재; 상기 투입부재의 중심에 모터축이 하부로 향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모터축과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투입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상기 식재료를 분쇄하는 복수 개의 분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강판부재; 상기 투입부재와 상기 강판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식재료가 상기 강판부재에 의해 분쇄되도록 상기 식재료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간측에 구비되며, 상기 강판부재에 의해 분쇄된 상기 식재료가 중심을 향해 배출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하부가 개방되게 중공이 형성되는 상부안내판을 포함하는 상부호퍼; 상기 연결축과 일체로 회전되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외주면에 착즙날이 형성되어 상기 식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호퍼를 지지하고 상기 스크루에 의해 상기 식재료를 가압하여 상기 식재료의 건더기와 착즙물을 분리하는 하부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일, 채소, 곡물 등의 식재료를 분쇄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탈착 가능한 스크루에 의해 착즙하는 기능을 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에 관한 관심이 커지면서 과일, 채소 등과 같은 건강에 유용한 식재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식재료를 분쇄 또는 즙을 내어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직접 만들어 먹고 있으며, 이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믹서기, 착즙기 등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믹서기는 칼날을 통해 식재료를 자동으로 분쇄하는 방식으로, 믹서기의 내부에 식재료를 투입하면 모터의 동력에 의해 칼날이 회전하여 식재료를 혼합 및 분쇄하는 특징을 가지는 것이고, 착즙기는 스크루를 통해 식재료를 착즙하는 방식으로, 착즙기의 내부에 식재료를 투입하면 모터의 동력에 의해 스크루가 회전하여 식재료를 가압하여 착즙된 식재료의 건더기와 착즙물을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믹서기와 착즙기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짐에 따라 용도 별로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믹서기, 착즙기 등은 개별적으로 제작 판매되고 있어 사용자의 필요한 용도에 따라 복수의 제품을 각각 구입해야 하므로 비경제적으로 구매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믹서기, 착즙기 등은 용도에 따라 각각 사용해야 하므로 편의성이 떨어지며 대부분 큰 부피를 가지므로 관리 및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재료를 골고루 분쇄하기 위해 사용자는 직접 부피가 큰 식재료를 작게 잘라 믹서기, 착즙기 등에 투입하거나, 가압봉 등으로 부피가 큰 식재료를 가압하여 믹서기, 착즙기 등을 사용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믹서기, 착즙기 등을 개별적으로 구입할 필요 없이 스크루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분쇄 또는 착즙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관 및 관리하기에도 용이한 분쇄 및 착즙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믹서기와 착즙기의 사용시 부피가 큰 식재료를 자르거나 가압봉으로 가압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식재료를 가압하여 작게 분쇄할 수 있는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 없이 자동으로 부피가 큰 식재료를 고정하여 가압하는 고정부재와, 연결축과 일체로 회전함에 분쇄돌기로 식재료를 분쇄하는 강판부재가 구비된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필요한 용도에 따라 하우징으로부터 스크루 및 하부호퍼를 탈착 가능하여 착즙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는 내부에 식재료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식재료가 투입되는 투입부재와, 투입부재의 중심에 모터축이 하부로 향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모터축과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구동부와, 투입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식재료를 분쇄하는 복수 개의 분쇄돌기가 형성되며 연결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강판부재와, 투입부재와 강판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하우징에 고정되어 식재료가 강판부재에 의해 분쇄되도록 식재료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하우징의 내부 중간측에 구비되며, 강판부재에 의해 분쇄된 식재료가 중심을 향해 배출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하부가 개방되게 중공이 형성되는 상부안내판을 포함하는 상부호퍼와, 연결축과 일체로 회전되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외주면에 착즙날이 형성되어 식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 및 하우징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상부호퍼를 지지하고 스크루에 의해 식재료를 가압하여 식재료의 건더기와 착즙물을 분리하는 하부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부재로 인해 식재료를 사용자가 직접 자를 필요 없이 자동으로 잘라지므로 식재료의 형상 및 크기에 제한받지 않으며 분쇄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어 분쇄 또는 착즙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스크루를 수용하도록 설치되는 착즙망으로 인해 식재료의 착즙물과 건더기를 효율적으로 분리해낼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으로부터 투입부재, 강판부재, 고정부재, 상부호퍼, 스크루, 하부호퍼를 분리할 수 있어 보관 및 관리에 용이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의 고정부재에 의해 식재료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가압식 분새 및 착즙 장치의 고정판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의 고정부재에 의해 식재료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가압식 분새 및 착즙 장치의 고정판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를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의 고정부재에 의해 식재료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가압식 분새 및 착즙 장치의 고정판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투입부재(200), 강판부재(300), 고정부재(400), 상부호퍼(500), 스크루(600) 및 하부호퍼(700)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식재료(A)를 수용하는 것으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부로 투입부재(200), 강판부재(300), 고정부재(400)가 분리될 수 있고, 하부로 상부호퍼(500), 스크루(600), 하부호퍼(700)가 분리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투입된 식재료(A)를 분쇄 및 착즙시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는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것으로, 하우징(1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커버는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외주면에 커버의 암나사와 대응되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하우징(100)과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투입부재(200)는 하우징(10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식재료(A)가 투입되는 것으로, 중심에 설치되는 구동부(210)와, 구동부(210)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 형성되는 연결링(230)과, 구동부(210)와 연결링(230)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10)는 강판부재(300) 및 스크루(600)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위한 것으로, 강판부재(300), 스크루(600)의 축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210)는 투입부재(200)의 중심에 모터축(212)이 하부로 향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211)와, 모터축(212)과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축(2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10)의 회전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투입부재(200)는 일측에 회전스위치와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대(220)는 하우징(100)의 내부로 식재료(A)가 투입되도록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투입부재(200)는 하우징(100)과 고정 결합하기 위해 제1걸림턱(250)이 연결링(230)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투입부재(200)의 제1걸림턱(250)과 대응되는 제1걸림홈(110)이 양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턱(250) 및 제1걸림홈(110)에 의해 투입부재(200)는 구동부(210)의 작동시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투입부재(200)는 하우징(100)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1지지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260)는 연결축(240)과 연결되어 투입부재(20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연결축(240)이 관통되는 중공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지지부(260)는 내주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무링으로 형성되어 연결축(240)에 고정될 수 있다.
강판부재(300)는 투입부재(2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면에 식재료(A)를 분쇄하는 복수 개의 분쇄돌기(310)가 형성되며 연결축(240)과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것일 수 있다.
분쇄돌기(310)는 식재료(A)를 잘게 분쇄하는 칼날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분쇄돌기(310)로 인해 잘게 분쇄된 식재료(A)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강판부재(300)의 둘레는 하우징(100)의 둘레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은 강판부재(300)가 구비되는 지점에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외주면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강판부재(300)와 사이간격을 가질 수 있다.
강판부재(300)는 하우징(100)과 3mm 내지 10mm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강판부재(300)와 하우징(100)이 5mm 내지 6mm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강판부재(300)와 하우징(100)의 사이간격으로 인해 분쇄돌기(310)에 의해 잘게 갈려진 식재료(A)가 강판부재(300)의 하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강판부재(300)는 연결축(240)이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축(240)과 고정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320)는 강판부재(300)와 연결축(24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주면이 강판부재(300)의 중공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내주면이 연결축(24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320)는 강판부재(300)와 억지끼움식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결합부(320)의 외주면에 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강판부재(300)의 내주면에 제1결합부(32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결합부(320)의 내주면에 연결축(240)에서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무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연결축(240)이 회전함에 따라 연결축(240)과 결합되는 제1결합부(320) 및 강판부재(300)가 헛돌지 않고 일체로 회전되기 위함이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강판부재(3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지지롤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롤러부(130)는 하우징(100)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강판부재(300)를 지지하는 지지축(131)과, 강판부재(300)의 하부와 맞닿으며 강판부재(300)가 회전하면 지지축(131)의 축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축(131)은 하우징(100)의 내주면에서 내부측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롤러(132)는 지지축(13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재(400)는 투입부재(200)와 강판부재(300)의 사이에 구비되고 하우징(100)과 고정되어 식재료(A)가 강판부재(300)에 의해 분쇄되도록 식재료(A)를 고정하여 가압하는 것으로, 날개부(410), 고정부(420) 및 축관통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410)는 식재료(A)를 가압하는 것으로, 고정부재(40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강판부재(300)의 회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20)는 날개부(410)의 내측면에 강판부재(300)의 회전방향을 향하며 하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식재료(A)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강판부재(300)에 의해 분쇄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고정부(420)와 날개부(410)의 사이에 투입된 식재료(A)는 고정부(420)에 의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며 날개부(41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고정부(420)에 의해 식재료(A)는 부피에 관계없이 고정되고 가압되면서 강판부재(300)의 분쇄돌기(310)로 인해 잘게 분쇄될 수 있다.
축관통부(430)는 날개부(410)를 지지하며, 연결축(240)이 관통하여 통과되기 위한 통공을 구비하되, 통공의 직경이 연결축(2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축관통부(430)는 연결축(240)이 관통될 수 있다. 축관통부(430)에 의해 연결축(240)의 회전시 고정부재(400)는 일체로 회전되지 않고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식재료(A)는 고정부재(400)가 고정되고 강판부재(300)가 회전됨에 따라 날개부(410)의 하부로 삽입되면 고정부(420)로 인해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을 차단하고 날개부(410)로 인해 가압되어 강판부재(300)의 분쇄돌기(310)로 인해 잘개 분쇄될 수 있다.
고정부재(400)는 하우징(100)과 고정 결합하기 위해 제2걸림턱(440)이 양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고정부재(400)의 제2걸림턱(440)과 대응되는 제2걸림홈(120)이 양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턱(440)과 제2걸림홈(120)에 의해 고정부재(400)는 구동부(210)의 작동시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400)는 연결축(240)의 회전시 연결축(240)의 회전력 또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제2걸림턱(440)이 제2걸림홈(120)에 걸리면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과 투입부재(200) 및 고정부재(400)가 각각 고정 결합되기 위하여 하우징(100)에 형성되는 제1걸림홈(110) 및 제2걸림홈(120)은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00)는 투입부재(200)의 하부에 구비되기 위하여 제2걸림홈(120)은 하우징(100)에서 제1걸림홈(110)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400)는 하우징(100)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제2지지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450)는 고정부재(400)와 강판부재(300)의 사이에 구비되며, 고정부재(400)의 축관통부(410)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어 축관통부(41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부(450)는 연결축(240)과 연결되어 고정부재(40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 연결축(240)이 관통되는 중공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지지부(450)는 내주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가 형성되어 연결축(24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400)는 강판부재(300)와 맞닿지 않도록 0.5mm 내지 5mm의 사이간격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재(400)와 강판부재(300)가 1mm 내지 3mm의 사이간격을 가진다.
이는 고정부재(400)와 강판부재(300)가 서로 사이간격을 가짐에 따라 고정부재(400)가 회전되지 않고 강판부재(300)가 원활하게 회전되어 식재료(A)를 잘게 분쇄하고 식재료(A)가 그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는 고정부재(400)로 인해 식재료(A)를 사용자가 직접 자를 필요 없이 자동으로 잘라지므로 식재료(A)의 형상 및 크기에 제한받지 않으며, 분쇄 또는 착즙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부호퍼(500)는 하우징(100)의 내부 중간측에 구비되며, 강판부재(300)에 의해 분쇄된 식재료(A)가 중심을 향해 배출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하부가 개방되게 중공이 형성되는 상부안내판(5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부호퍼(500)에 의해 강판부재(300)로부터 배출된 식재료(A)를 스크루(600)와 하부호퍼(700)의 사이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스크루(600)는 식재료(A)를 착즙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축(240)과 일체로 회전되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외주면에 착즙날(610)이 형성될 수 있다.
착즙날(6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루(600)는 연결축(240)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식재료(A)가 덩어리를 이루지 않고 착즙날(610)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면서 분쇄될 수 있다.
스크루(600)는 연결축(240)이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축(240)과 고정 결합하기 위한 제2결합부(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620)는 스크루(600)와 연결축(24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주면이 스크루(600)의 중공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내주면이 연결축(24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620)는 스크루(600)의 상하부에 각각 복수개가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스크루(600)와 억지끼움식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결합부(620)의 외주면에 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스크루(600)의 내주면에 제2결합부(62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결합부(620)의 내주면에 연결축(240)에서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연결축(240)이 회전함에 따라 연결축(240)과 결합되는 제2결합부(620) 및 스크루(600)가 헛돌지 않고 일체로 회전되기 위함이다.
하부호퍼(700)는 하우징(10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어 상부호퍼(500)를 지지하고 스크루(600)에 의해 식재료(A)를 가압하여 식재료(A)의 건더기와 착즙물을 분리하는 것으로서, 안착판(710), 착즙망(720), 하부안내판(730), 배출구(740) 및 고정판(750)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판(710)은 상부호퍼(500)의 하부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부에 상부호퍼(500)가 안착될 수 있다.
착즙망(720)은 안착판(710)의 내주면과 연결되고 내부에 스크루(600)를 수용하며 스크루(600)에 의해 가압된 식재료(A)를 건더기와 착즙물로 분리할 수 있다.
착즙망(720)은 내부에 스크루(600)가 수용되고 식재료(A)가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착즙망(720)과 스크루(600)의 외주면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식재료(A)가 투입되면 스크루(600)는 연결축(240)과 일체로 회전됨에 따라 식재료(A)를 압착하여 착즙할 수 있다.
착즙망(720)은 식재료(A)의 착즙물이 통과 가능하도록 구멍이 형성된 재질일 수 있다.
하부안내판(730)은 착즙망(720)을 통해 분리된 식재료(A)의 착즙물이 수용되고 중심을 향해 배출되도록 하부가 갈수록 좁아지며 상하부가 개방되게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740)는 하부안내판(730)의 하부와 연결되어 하부안내판(730)에 수용된 식재료(A)의 착즙물을 배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판(750)는 배출구(740)에 구비되어 연결축(240)의 이동을 고정하며 하부로 식재료(A)의 착즙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중심에 형성되는 삽입부(751)와, 삽입부(751)와 배출구(74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고정대(752)와, 복수 개의 고정대(752) 사이에 구비되는 거름망(753)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751)는 연결축(240)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내주면이 연결축(24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751)에 의해 연결축(240)은 하부가 고정되어 중심을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고정대(752)는 연결축(240)의 회전시 삽입부(751)가 식재료(A)에 의한 회전 저항으로 인해 배출구(74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연결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거름망(753)은 스크루(600)에 의해 착즙된 식재료(A)의 건더기는 걸러지고 착즙물은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식재료(A)의 착즙물이 통과 가능하도록 구멍이 형성된 재질일 수 있다.
즉, 착즙망(720) 및 스크루(600)에 의해 착즙된 식재료(A)의 건더기는 착즙망(720)과 스크루(600)의 사이공간에 남게되고, 식재료(A)의 착즙물은 착즙망(720) 또는 고정판(750)의 외부로 배출되어 하부안내판(730)으로 투입되거나 배출구(7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는 스크루(600)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착즙망(720)으로 인해 식재료(A)의 착즙물과 건더기를 효율적으로 분리해낼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하우징(100)으로부터 투입부재(200), 강판부재(300), 고정부재(400), 상부호퍼(500), 스크루(600), 하부호퍼(700)를 분리할 수 있어 보관 및 관리에 용이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110: 제1걸림홈 120: 제2걸림홈
130: 지지롤러부 131: 지지축 132: 롤러
200: 투입부재 210: 구동부 211: 구동모터
212: 모터축 220: 연결대 230: 연결링
240: 연결축 250: 제1걸림턱 260: 제1지지부
300: 강판부재 310: 분쇄돌기 320: 제1결합부
400: 고정부재 410: 날개부 420: 고정부
430: 축관통부 440: 제2걸림턱 450: 제2지지부
500: 상부호퍼 510: 상부안내판
600: 스크루 610: 착즙날 620: 제2결합부
700: 하부호퍼 710: 안착판 720: 착즙망
730: 하부안내판 740: 배출구 750: 고정판
751: 삽입부 752: 고정대 753: 거름망
A: 식재료
130: 지지롤러부 131: 지지축 132: 롤러
200: 투입부재 210: 구동부 211: 구동모터
212: 모터축 220: 연결대 230: 연결링
240: 연결축 250: 제1걸림턱 260: 제1지지부
300: 강판부재 310: 분쇄돌기 320: 제1결합부
400: 고정부재 410: 날개부 420: 고정부
430: 축관통부 440: 제2걸림턱 450: 제2지지부
500: 상부호퍼 510: 상부안내판
600: 스크루 610: 착즙날 620: 제2결합부
700: 하부호퍼 710: 안착판 720: 착즙망
730: 하부안내판 740: 배출구 750: 고정판
751: 삽입부 752: 고정대 753: 거름망
A: 식재료
Claims (4)
- 내부에 식재료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식재료가 투입되는 투입부재;
상기 투입부재의 중심에 모터축이 하부로 향하게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모터축과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둘레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투입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면에 상기 식재료를 분쇄하는 복수 개의 분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강판부재;
상기 투입부재와 상기 강판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식재료가 상기 강판부재에 의해 분쇄되도록 상기 식재료를 고정하여 가압하는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간측에 구비되며, 상기 강판부재에 의해 분쇄된 상기 식재료가 중심을 향해 배출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하부가 개방되게 중공이 형성되는 상부안내판을 포함하는 상부호퍼;
상기 연결축과 일체로 회전되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외주면에 착즙날이 형성되어 상기 식재료를 착즙하는 스크루;
상기 상부호퍼의 하부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부에 상기 상부호퍼가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내주면과 연결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스크루를 수용하되, 상기 스크루를 수용하면 내면과 상기 스크루의 외주면 사이에 식재료가 투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스크루의 형상과 대응되게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스크루에 의해 가압된 상기 식재료를 건더기와 착즙물로 분리하는 착즙망과, 상기 착즙망을 통해 분리된 상기 식재료의 착즙물이 수용되고 중심을 향해 배출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상하부가 개방되게 중공이 형성되는 하부안내판과, 상기 하부안내판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안내판에 수용된 상기 착즙물을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축의 이동을 고정하며 하부로 식재료의 착즙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호퍼를 지지하는 하부호퍼; 및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강판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강판부재의 하부와 맞닿으며 상기 강판부재가 회전하면 상기 지지축의 축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지지롤러부;를 포함하는 것
인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식재료가 상기 강판부재에 따라 회전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내측면에 하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식재료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날개부를 지지하며 상기 연결축이 관통하여 통과되기 위한 통공을 구비하되, 상기 통공의 직경이 상기 연결축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축관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874A KR102239344B1 (ko) | 2019-10-25 | 2019-10-25 |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3874A KR102239344B1 (ko) | 2019-10-25 | 2019-10-25 |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39344B1 true KR102239344B1 (ko) | 2021-04-09 |
Family
ID=7544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3874A KR102239344B1 (ko) | 2019-10-25 | 2019-10-25 |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934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5651Y1 (ko) | 2001-05-31 | 2001-10-17 | 석 현 조 | 쌀겨분리기 겸용 푸드믹서기 |
KR101074420B1 (ko) * | 2011-07-28 | 2011-10-17 | 범진아이엔디(주) | 원액기 |
KR101598304B1 (ko) * | 2014-12-16 | 2016-02-26 | 김순목 | 강판 믹서기 |
-
2019
- 2019-10-25 KR KR1020190133874A patent/KR1022393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5651Y1 (ko) | 2001-05-31 | 2001-10-17 | 석 현 조 | 쌀겨분리기 겸용 푸드믹서기 |
KR101074420B1 (ko) * | 2011-07-28 | 2011-10-17 | 범진아이엔디(주) | 원액기 |
KR101598304B1 (ko) * | 2014-12-16 | 2016-02-26 | 김순목 | 강판 믹서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85529B2 (en) | Juicer provided with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remnants | |
JP4542584B2 (ja) | ジュース抽出器として特に有用な食品加工装置 | |
US3809325A (en) | Food-comminution device | |
EP2777448B2 (en) |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whole foods feed chute | |
JP3990571B2 (ja) | ジュース絞り器 | |
WO2014201776A1 (zh) | 榨汁机 | |
AU2014201613A1 (en) |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whole foods feed chute and clutch mechanism | |
WO2014048097A1 (zh) | 榨汁机 | |
US20150257433A1 (en) | High performance adjustable juicer with pulp chute | |
KR101480934B1 (ko) | 전동식 푸드 그레이터 | |
KR102239344B1 (ko) |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 | |
TWM515364U (zh) | 食物料理機 | |
KR20120012038A (ko) | 조립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
KR20120002370U (ko) | 다용도 분쇄기 | |
KR20180111262A (ko) | 다단 형상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
KR20120012039A (ko) | 편심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 |
KR20150102414A (ko) | 직투입 구조를 가지는 넓은 투입구의 주서기 | |
KR101593615B1 (ko) | 푸드 균질기 | |
WO2020172355A1 (en) | Automatic juicer apparatus and method | |
KR102466894B1 (ko) | 양파 전용 생즙기 | |
KR20140115292A (ko) | 착즙용 하우징 리브를 포함하는 하우징 | |
KR20200002389U (ko) | 착즙기 | |
CN216907574U (zh) | 一种慢榨机 | |
KR20130142497A (ko) | 다기능 커터기 | |
US20220304513A1 (en) | Multipurpose food proces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