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466U - 체적 조절식 분쇄컵을 구비한 분쇄기 - Google Patents

체적 조절식 분쇄컵을 구비한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466U
KR19990019466U KR2019970032806U KR19970032806U KR19990019466U KR 19990019466 U KR19990019466 U KR 19990019466U KR 2019970032806 U KR2019970032806 U KR 2019970032806U KR 19970032806 U KR19970032806 U KR 19970032806U KR 19990019466 U KR19990019466 U KR 199900194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grinding
food
grinde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2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466U/ko
Publication of KR19990019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466U/ko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동 모터(11)와 조작부(13)를 구비한 본체(3), 상기 본체(3)의 상단에 장착되며 음식물 절삭용 회전커터(13)가 하단에 구비되고 상단컵(6)이 하단컵(5) 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체적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상하단 이중 구조로 된 분쇄컵(5,6) 및, 상기 분쇄컵(6,5) 중 하단 분쇄컵(5)과 상기 본체(3)를 연결하는 컵베이스(7)로 구성되어 있는 체적 조절식 분쇄컵을 구비한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건조한 음식물을 분쇄함에 있어 음식물을 담고 있는 분쇄컵의 용적을 상하단 이중 구조로 되어 있는 분쇄컵의 상하 이동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음식물과 분쇄커터의 밀착률을 증대시켜 음식물의 분쇄를 에너지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체적 조절식 분쇄컵을 구비한 분쇄기
본 고안은 체적 조절식 분쇄컵을 구비한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교적 물기가 적은 음식물의 분쇄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음식물이 담기는 분쇄컵을 상하단 2개로 분리하여 하단컵에 대해 상단컵을 상대 회전시켜 분쇄에 충당되는 분쇄용적을 분쇄되는 음식물의 양에 알맞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과 분쇄커터의 밀착률이 증대되도록 하여 음식물의 분쇄가 최적의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믹서기의 믹싱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믹싱컵 커버의 중앙에 믹싱컵 체적 조절봉을 설치하여 믹싱하는 음식물의 양에 따라 믹싱컵 내부의 체적을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체적에서 음식물이 믹싱되도록 믹싱커터와 음식물 간의 밀착률을 증대시킨 체적 조절봉을 구비한 믹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갈아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에는 쥬서기와 믹서기 및 분쇄기등이 있는바, 여기에서 쥬서기는 음식물을 갈아 입자 또는 건더기 등과 같은 고체성분과 즙 또는 액과 같은 액체 성분으로 분리하여 즙 또는 액만을 추출해내어 이를 취음하도록 되어 있고, 믹서기는 한 종류 혹은 다종의 음식물을 동일 용기 내에서 갈아 혼합하며 위의 쥬서기와는 달리 액체성분을 따로 분리해내지 않고 믹싱된 음식물 전부를 취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는 그다지 널리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분쇄기는 액체성분이 거의 없는 음식물을 갈아 분말 상태가 되도록 하는 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쥬서기나 믹서기 또는 분쇄기는 최근 식생활 문화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의 제품이 제조 공급되고 있는바, 그 일 예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쥬서기와 믹서기 및 분쇄기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물론,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은 다기능을 겸비한 제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상기한 쥬서기나 믹서기 및 분쇄기가 기본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회전력 제공수단을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며, 이러한 회전력 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을 얻어 음식물을 미세하게 조각낼 수 있는 회전커터 및 이와 유사한 회전부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에 따라서 각각 쥬서기나 믹서기 또는 분쇄기로 구분된다.
즉, 기본적으로 쥬서기나 믹서기 및 분쇄기는 음식물을 보다 작은 입자상태로 조각내는 것을 기본적인 기능으로 가지고 있고, 여기에 즙을 짜내는 기능이나 보다 미세한 입자로 조각낼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또는 보다 단단한 물체를 조각내기에 적합한 구조 등을 첨가하여 각각의 특성을 가진 제품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기본적인 동력원인 회전력 제공수단을 공통으로 하여 각각의 다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부품을 대체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기능을 겸비한 하나의 제품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비교적 건조한 상태의 음식물을 분쇄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분쇄기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분쇄기(101)는 크게 커터(109)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11)와 각종 제어부가 내장되어 있는 본체(103), 이 본체(103) 상단에 장착되어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분쇄컵(105) 그리고 본체(103)와 분쇄컵(105) 사이에 장착되어 본체(103)에 분쇄컵(105)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해주며, 구동 모터(111)로부터의 회전력을 분쇄커터(109)에 전달하는 커플링(115)이 내장되어 있는 컵베이스(10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본체(103)에 장착된 구동모터(111)로는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전기모터가 채용되며, 본체(103)의 외부 케이스에는 조작 스위치나 표시등과 같은 조작부(113)가 부착되어 있다.
분쇄컵(105)은 목적으로 하는 음식물이 투입되어 분쇄가 직접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분쇄가 끝난 후 음식물을 취식하고자 할 때 본체(103)에서 떼어내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분쇄컵(105)은 하단 내주면에 가공된 너트부(117)가 컵베이스(107)의 외주면에 가공된 볼트부(119)와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분쇄시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컵(205)의 하단 원주 에지부에 슬리브(207)를 형성하고 컵베이스(209)의 외주면을 미끄럼면으로 만들어 분쇄동작시 슬리브(207)가 컵베이스(209)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분쇄컵(205)과 컵베이스(209)가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분쇄컵(205) 내부의 음식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분쇄기(101)의 작동상태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리상태의 분쇄컵(105)을 뒤집어 내부에 분쇄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투입하고 난 다음에, 회전커터(109)의 회전축이 밀봉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컵베이스(107)를 거꾸로 놓여진 분쇄컵(105)에 결합한다. 이때, 컵베이스(107)의 외주면에 구비된 볼트부(119)와 분쇄컵(105)의 하단에 형성된 너트부(117)가 나사 결합을 함으로써 내부의 음식물이 새어나오는 일없이 컵베이스(107)와 분쇄컵(105)이 체결된다.
그리고 나서, 컵베이스(107)를 본체(103) 상단에 결합하여 조립이 완료되면 조작부(113)의 동작 스위치를 온시켜 분쇄 커터(109)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커터(111)에 의해 음식물이 점차 파쇄가 된다. 분쇄기(101)의 작동이 진행됨에 따라 음식물은 커터(109)의 회전력에 따라 일정 수준의 분말이나 즙 상태로 되며, 설정시간 동안 분쇄가 이루어지고 나면 동작이 정지되어 원하는 분쇄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이때, 분쇄되는 음식물의 양은 사용자가 임의로 결정하게 되며, 이는 분쇄컵(105)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적정량의 음식물을 투입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즉, 소량의 음식물을 분쇄하도록 하는 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분쇄컵(105)은 일정한 크기를 갖도록 되어 있으므로 다량의 음식물을 동시에 분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소량의 음식물을 갈게 될 경우 음식물이 분쇄기(101) 밖으로 새어나올 염려는 없으나, 분쇄에 사용되는 분쇄컵(105) 내부공간이 음식물 양에 비해 상대적으로 너무 크게 유지되므로 분쇄 중인 음식물 조각의 운동 범위가 넓어 분쇄 커터(109)와 음식물 간의 밀착률이 떨어져 회전커터(109)가 공회전하는 경우가 빈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분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쇄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분쇄컵을 상하단 이중 구조로 분할 구성하여 분쇄컵 내부의 분쇄용적을 투입되는 음식물의 양에 따라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이 분쇄 중에 보다 빈번하게 절삭 커터와 충돌하고, 이에 따라 음식물과 분쇄 커터 간의 밀착력이 증대되어 분쇄되는 음식물의 양이 소량인 경우에도 커터의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커터 구동모터에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여 궁극적으로는 가정에서 소모되는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쇄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또다른 종래의 분쇄기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쇄기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믹서기 3 : 본체
5 : 하단 믹싱컵 6 : 상단 믹싱컵
7 : 컵베이스 9 : 커터
11 : 구동 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구동 모터와 조작부를 구비한 본체, 본체의 상단에 장착되며 음식물 절삭용 회전커터가 하단에 구비되고 상단컵이 하단컵 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체적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상하단 이중 구조로 된 분쇄컵 및, 분쇄컵 중 하단 분쇄컵과 본체를 연결하는 컵베이스로 구성되어 있는 체적 조절식 분쇄컵을 구비한 분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쇄기는 참조번호 1로 표시되어 있다. 이 분쇄기(1)는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분쇄기(101)와 마찬가지로 크게 외체를 형성하는 본체(3), 본체(3) 위쪽의 분쇄컵(5,6) 및 본체(3)와 분쇄컵(5,6) 사이의 컵베이스(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체(3)는 내부에 커터(9)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1)가 장착되어 있고, 외부면에 구동모터(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부(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작부(13)에는 전원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다. 본체(3) 상단에 장착되어 있는 컵베이스(7) 내에는 절삭 커터(9)와 구동모터(11)의 회전축(17)을 연결시켜주는 커플링(15)이 내장되어 있다.
이때, 컵베이스(7)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분쇄컵(5,6)은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분쇄용적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음식물을 절단하는 회전 커터(9)가 설치되어 있으며, 분쇄컵(5,6)은 또한 상단 분쇄컵(6)과 하단 분쇄컵(5)으로 된 이중 구조를 가지고 있다.
분쇄컵(5,6)은 분쇄되는 음식물의 양이 적을 경우 내부의 분쇄용적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상단 상부컵(6)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 이를 위해 상단 분쇄컵(6)의 하단 외주면에는 수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부(21)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부컵(6)이 삽입되는 하단 분쇄컵(5)의 상단 내주면에는 암나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분쇄기(1)의 작동상태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분쇄기(1)는 일반적인 분쇄기와 달리 분쇄컵(5)과 컵베이스(7)를 본체(3)에서 분리해낸 뒤 분쇄컵(5)을 뒤집지 않은 상태에서 하단 분쇄컵(5)으로 부터 상단 분쇄컵(6) 돌려 빼낸다. 그리고 나서 분쇄할 음식물의 양에 알맞게 분쇄용적을 조절하게 되는데 이때 분쇄할 음식물 양이 분쇄용적에 훨씬 못미칠 정도로 적으면 상단 분쇄컵(6)을 하단 분쇄컵(5)에 대해 상대회전시켜 하단 분쇄컵(5)의 아래쪽으로 깊숙히 돌려 넣음으로써 분쇄에 직접 이용되는 분쇄용적을 감소시켜 음식물과 회전 커터(9)의 밀착률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음식물은 분쇄되는 동안 유동할 수 있는 공간적인 범위가 훨씬 적어지므로 소량의 음식물을 갈더라도 음식물과 회전 커터(11)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보다 신속하고 에너지 효율적으로 분쇄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때 상부컵(6)의 하향 이동량이 과도하게 증대되면 회전커터(11)에 가해지는 음식물의 저항이 오히려 증가할 수 있으므로 분쇄에 충당되는 분쇄컵(5,6)의 용적을 최적의 상태로 조절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쇄기에 의하면 분쇄컵을 상하단 이중으로 구성하고, 분쇄되는 음식물의 양에 따라 상단 분쇄컵을 상하로 회전 이동하도록 조절하여 음식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상단 분쇄컵이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회전 커터에 걸리는 저항력을 감소시켜 음식물의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반대로 음식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상단 분쇄컵이 상대적으로 하단 분쇄컵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분쇄용적을 축소시킴으로써 음식물과 절단 커터의 접촉빈도를 높여 커터의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분쇄기 자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생활 소비전력의 효율적 이용을 도모할 있도록 한다.

Claims (3)

  1. 구동 모터(11)와 조작부(13)를 구비한 본체(3), 상기 본체(3)의 상단에 장착되며 음식물 절삭용 회전커터(13)가 하단에 구비되고 상단컵(6)이 하단컵(5) 위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체적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상하단 이중 구조로 된 분쇄컵(5,6) 및, 상기 분쇄컵(6,5) 중 하단 분쇄컵(5)과 상기 본체(3)를 연결하는 컵베이스(7)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적 조절식 분쇄컵을 구비한 분쇄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단 이중 분쇄컵(6,5)의 체적조절수단은 상기 상단 분쇄컵(6)의 하단 외주면에 가공되어 있는 수나사부(21)와 상기 하단 분쇄컵(5)의 상단 내주면에 가공되어 상기 수나사부(21)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적 조절식 분쇄컵을 구비한 분쇄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분쇄컵(6)은 상기 하단 분쇄컵(5)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단 분쇄컵(5)에 대해 상대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단 분쇄컵(5)의 내주면을 따라 하향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적 조절식 분쇄컵을 구비한 분쇄기.
KR2019970032806U 1997-11-19 1997-11-19 체적 조절식 분쇄컵을 구비한 분쇄기 KR199900194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806U KR19990019466U (ko) 1997-11-19 1997-11-19 체적 조절식 분쇄컵을 구비한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806U KR19990019466U (ko) 1997-11-19 1997-11-19 체적 조절식 분쇄컵을 구비한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466U true KR19990019466U (ko) 1999-06-15

Family

ID=6969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806U KR19990019466U (ko) 1997-11-19 1997-11-19 체적 조절식 분쇄컵을 구비한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46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95086A1 (zh) 一种食物粉碎方法及其破壁料理机
KR100433172B1 (ko) 착즙겸용 분쇄기
KR200393606Y1 (ko) 푸드 프로세서에 구성되는 이중칼날 절삭부
KR19990019466U (ko) 체적 조절식 분쇄컵을 구비한 분쇄기
KR101175917B1 (ko) 빙삭기
KR200160087Y1 (ko) 용이한 후처리 커버를 구비한 분쇄기
CN213248648U (zh) 粉碎组件和料理机
KR19990023978U (ko) 체적 조절형 분쇄기
KR200160084Y1 (ko) 분쇄기의 커터
KR200343854Y1 (ko) 소형믹서
KR19990016795U (ko) 체적 조절봉을 구비한 믹서기
KR200368485Y1 (ko) 다용도 식품가공기의 커터
KR20200005813A (ko) 소형 믹서기
KR100441829B1 (ko) 맷돌형 착즙기
KR200379916Y1 (ko) 용기에 열흡수재가 장착된 식품가공기
KR200189237Y1 (ko) 분쇄기용 용기
KR200289845Y1 (ko) 미니믹서
KR100428951B1 (ko) 믹서 겸용 분쇄기의 연동축 방수부재
KR19990016796U (ko) 분쇄기의 커터 어셈블리
KR19990023981U (ko) 교반성이 향상된 믹서기
KR19990019463U (ko) 높은 교반 효율의 회전 커터를 구비한 분쇄기
KR200287799Y1 (ko) 착즙겸용 분쇄기
KR100883369B1 (ko) 소채류 분쇄장치
KR200283309Y1 (ko) 믹서 겸용 분쇄기의 증기 배출구조
KR102532522B1 (ko) 복합 블렌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