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893U -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893U
KR19990015893U KR2019970029230U KR19970029230U KR19990015893U KR 19990015893 U KR19990015893 U KR 19990015893U KR 2019970029230 U KR2019970029230 U KR 2019970029230U KR 19970029230 U KR19970029230 U KR 19970029230U KR 19990015893 U KR19990015893 U KR 199900158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cover
lid
pape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원
Original Assignee
오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원 filed Critical 오재원
Priority to KR2019970029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5893U/ko
Publication of KR19990015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893U/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컵을 덮는 덮개부(10)와; 상기 덮개부(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10)의 원주를 따라 아래쪽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1), 상기 절곡부(22)에서 내측방향으로 소정부분 들어간 걸림턱(22) 및 상기 걸림턱(22)에서 외측방향으로 소정부분 돌출 되어서 끝이 벌어져 있는 외향부(23)로 구성된 결합부(20)를 포함하는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쉽게 섞는 종이를 재질로 하였으므로 환경오염을 크게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
본 고안은 도시락 용기나 각종 음료용 종이컵에 사용되는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이를 재질로 한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종이컵에 사용되는 뚜껑을 플라스틱 제재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이러한 플라스틱 제재는 열과 압력을 가할 경우 용이하게 희망하는 형태로 변형하고, 그 온도를 내리면 그 모양이 오래 보존되는 특성이 있어서, 쉽게 사출기를 이용하여 뚜껑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즉, 종래의 플라스틱 뚜껑은 사출기에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쉽게 제작될 수 있었으며, 그 형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컵(300)을 덮는 덮개부(100)와 상기 덮개부(100)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결합부(200)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결합부(200)에는 원주를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돌기들(210)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돌기들(210)은 상기 컵(300)이 뚜껑의 덮개부(100)로 덮여질 때 컵(300)의 상부 개구된 부분을 따라서 형성된 돌출부에 맞물리게 되므로, 컵(300)이 뚜껑에 결합되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플라스틱 뚜껑은 그 재료의 구입이 용이하고 형성방법이 간단하다는 이유로 주로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뚜껑을 폐기하는 경우 섞지 않는 플라스틱의 특성으로 인해 그 처분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환경에도 지대한 악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제재가 아닌 쉽게 폐기 처분할 수 있는 제재인 종이로 뚜껑을 만들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으나, 쉽게 성형하기 어려운 종이의 특성상 지금까지는 종이를 제재로 한 뚜껑이 없었으며, 날로 심해져 가는 환경오염으로 인해 그 개발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과 비교되는 종래의 용기 뚜껑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덮개부 11: 보강부
20: 결합부 21: 절곡부
22: 걸림턱 23: 외향부
24: 주름 30: 컵
본 고안의 특성은 컵을 덮는 덮개부(10)와; 상기 덮개부(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10)의 원주를 따라 아래쪽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1), 상기 절곡부(22)에서 내측방향으로 소정부분 들어간 걸림턱(22) 및 상기 걸림턱(22)에서 외측방향으로 소정부분 돌출 되어서 끝이 벌어져 있는 외향부(23)로 구성된 결합부(20)를 포함하는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특성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은 컵(30)의 개구된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부(10)와 상기 덮개부(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컵을 뚜껑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결합부(20)를 포함한다.
덮개부(10)는 컵의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컵을 감싸기 위해 컵의 개구된 상부(31)의 둘레보다 큰 둘레를 가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종이로 둥근 형의 뚜껑을 만드는 경우 탄성이 없는 종이의 특성에 의해 뚜껑이 구부러지거나 찌그러지는 경우를 대비해 덮개부(10)에 보강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보강부(11)는 덮개부(10)의 외주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소정 들어간 곳에 원주를 따라 이루어져 있는 홈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러한 보강부(11)에 의해 종이의 성형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컵과 결합하는 결합부(20)는 크게 절곡부(21), 걸림턱(22) 및 외향부(23)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절곡부(21)는 덮개부(10)의 원주를 따라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져 형성되며, 컵의 돌출부분(31)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절곡부(21)에서 내측방향으로 소정부분 들어간 걸림턱(22)은 뚜껑과 컵을 결합시키는 주요한 역할을 한다. 즉, 컵을 뚜껑에 결합시킬 때 컵의 상부 개구된 부분(31)은 걸림턱(22)의 둘레보다 크므로 일단 걸림턱(22)에 걸리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반박력은 미력하기 때문에 곧 걸림턱(22)을 지나 상기 절곡부(21)로 컵의 돌기부분(31)이 들어가게 된다. 마지막 구성요소인 외향부(23)는 걸림턱(22)에서 외측방향을 향해서 소정부분 돌출 되어져 있으며, 그 끝이 다소 밖으로 향하여 있으며, 둘레를 따라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세로로 주름(24)이 잡혀져 있다. 이러한 주름(24)은 뚜껑에 컵을 삽입하고 제거할 때 어느 정도의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종이의 특성상 생길 수 있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인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은 쉽게 분해되므로, 종래의 플라스틱 뚜껑이 섞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하던 쓰레기의 문제를 해소하므로, 환경오염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발생한다.

Claims (3)

  1. 컵을 덮는 덮개부(10)와;
    상기 덮개부(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10)의 원주를 따라 아래쪽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1), 상기 절곡부(22)에서 내측방향으로 소정부분 들어간 걸림턱(22) 및 상기 걸림턱(22)에서 외측방향으로 소정부분 돌출 되어서 끝이 벌어져 있는 외향부(23)로 구성된 결합부(20)를 포함하는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0)는 외주면에서 내측방향으로 소정부분 들어간 곳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 보강부(11)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부(23)에는 컵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마찰력을 발생하기 위해 둘레를 따라 외측에 일정간격으로 주름(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
KR2019970029230U 1997-10-21 1997-10-21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 KR199900158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230U KR19990015893U (ko) 1997-10-21 1997-10-21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230U KR19990015893U (ko) 1997-10-21 1997-10-21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893U true KR19990015893U (ko) 1999-05-15

Family

ID=6969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230U KR19990015893U (ko) 1997-10-21 1997-10-21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589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926A2 (ko) * 2011-09-21 2013-03-28 주식회사 에스제이피 종이뚜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926A2 (ko) * 2011-09-21 2013-03-28 주식회사 에스제이피 종이뚜껑
KR101270527B1 (ko) * 2011-09-21 2013-06-04 주식회사 에스제이피 종이뚜껑
WO2013042926A3 (ko) * 2011-09-21 2013-07-04 주식회사 에스제이피 종이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6477A (en) Two piece hinge closure
US20040084464A1 (en) Airtight container
WO1999044896A3 (de) Kunststoffverschlusskappe mit abtrennbarem garantieband und innendichtung
WO1995028329A1 (en) Resealable closure for beverage cans
JPH0661873B2 (ja) ブロー成形された合成樹脂容器に使用される合成樹脂キャップのための密封部材の製造方法及び密封材料
JP2838518B2 (ja) 外し蓋付きプラスチック容器
US20050247714A1 (en) Closure for drink bottle
JPH0454113Y2 (ko)
DE60106486D1 (de) Verschlusskombination und verfahren
US4799603A (en) Container and plug closure means
KR19990015893U (ko) 종이 재질의 용기 뚜껑
JP3603935B2 (ja) 分別廃棄性の良好なヒンジキャップ
JP2005514286A (ja) ヒンジ式保証クロージャーの提供方法、ヒンジ式保証クロージャーおよびヒンジ式保証クロージャーを有する容器
JP4580064B2 (ja) ヒンジ付きキャップ
JP4330234B2 (ja) 容器とそのキャップ
US20040112919A1 (en) Closure with integrated ventilation
JPS593968Y2 (ja) 合成樹脂製密閉容器
JPS5816517Y2 (ja) 瓶蓋
JPH10167312A (ja) 樹脂製密封容器
KR100226406B1 (ko) 용기마개의 사출성형방법
JP4143739B2 (ja) 容易に分離可能な密封蓋体
JPH09249247A (ja) キャップ
JP2607664Y2 (ja) プロテクターリング付液体注出キャップ
KR960007080Y1 (ko) 포장용기의 봉인장치
KR200202711Y1 (ko) 수지재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