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6406B1 - 용기마개의 사출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용기마개의 사출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6406B1
KR100226406B1 KR1019950041097A KR19950041097A KR100226406B1 KR 100226406 B1 KR100226406 B1 KR 100226406B1 KR 1019950041097 A KR1019950041097 A KR 1019950041097A KR 19950041097 A KR19950041097 A KR 19950041097A KR 100226406 B1 KR100226406 B1 KR 100226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orming core
container
opening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1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915A (ko
Inventor
유만준
이윤범
임효빈
반영화
정철원
Original Assignee
신명수
주식회사신동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수, 주식회사신동방 filed Critical 신명수
Priority to KR1019950041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6406B1/ko
Priority to CA 2185732 priority patent/CA2185732A1/en
Priority to AU65673/96A priority patent/AU6567396A/en
Priority to DE1996306884 priority patent/DE778219T1/de
Priority to EP96306884A priority patent/EP0778219A3/en
Priority to MX9604232A priority patent/MX9604232A/es
Priority to JP8251176A priority patent/JPH09183443A/ja
Publication of KR970025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6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64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봉막을 구비한 용기마개의 사출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30)에 의해 성형되는 용기마개의 성형사출방법에 있어서, 개봉막 상부 형성코어(11)와, 개봉막 하부 형성코어(11)에 의해 상기 용기마개의 개봉막(50)을 형성한 때에, 상기 개봉막(50)의 고리(51)의 인장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개봉막 상부 형성코어(11) 내에 경사방향으로 게이트(70)를 형성하되, 이 게이트(70)의 하단부가 상기 고리 (51)의 상부 중앙에 접하게 하여, 상기 게이트(70)를 통해 개봉막의 고리 (51)의 상부에서부터 하측으로 흐르게 플라스틱 용융물질을 주입하므로, 상기 고리의 강도는 약해지지 않아 사용자가 용기를 처음 사용시 개봉막의 고리를 잡고 위로 당길때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별도의 수단(예; 뺀지)을 이용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기마개의 사출성형방법
제1도는 종래의 용기마개를 사출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용기마개내에 성형되어 있는 개봉막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를 사출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개봉막이 용기마개내에 성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금형 11 : 개봉막 상부 형성코어
13 : 마개몸체의 유출구 내주면 형성 코어
15 : 마개몸체의 유출구 외주면 형성 코어
17 : 뚜껑의 절첩부 형성코어 19 : 뚜껑의 돌기 내주면 형성코어
20 : 뚜껑 21 : 돌기부
23 : 절첩부 30 : 하부금형
31 : 개봉막 하부 형성코어 33 : 마개몸체의 원통부형성코어
40 : 마개몸체 41 : 팩킹
43 : 유출구 45 : 내측둘레면
50 : 개봉막 51 : 고리
53 : 밀봉부 55 : 볼록부
57 : 중앙부 59 : 구멍부
60, 70 : 게이트
본 발명은 개봉막를 구비한 용기마개의 사출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마개내에 성형된 개봉막의 고리의 강도를 강하게 하는 용기마개의 사출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마개의 사출성형시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사출기에 장착되는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30)의 사이에는 용기마개(100)의 형상과 모양을 성형하는 공간부(5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30)의 일측에는 개봉막(50)을 성형하는 다수개의 코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개봉막(50)에 일체로 성형된 고리(51)부분을 성형하는 개봉막 상부 형성코어(11)상기 상부금형(10)의 일측에 배설되어 있고, 상기 개봉막 상부 형성코어(11)의 외측둘레에는 용기마개(100)의 유출구(43)내측을 성형하는 마개몸체의 유출구 내주면 형성코어(1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마개몸체의 유출구 내주면 형성코어(13)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유출구(43)의 외측을 성형하는 마개몸체의 유출구 외주면 형성코어(15)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20)과 마개몸체(40)와 절첩가능하도록 절첩부(23)를 성형하는 뚜껑의 절첩부 형성코어(17)가 상기 마개몸체의 유출구 외주면 형성코어를 감싸고 있다.
또한, 상기 뚜껑(20)을 성형하는 뚜껑의 돌기부 내주면 형성코어(19) 및 뚜껑의 내주면 형성코어(18)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의 돌기부 내주면 형성코어(19)는 뚜껑(20)의 중앙에 형성되는 돌기부(21)를 성형하며, 상기 뚜껑의 내주면 형성코어(18)는 상기 뚜껑(20)의 내측둘레를 성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상기 하부금형(30)은 상기 개봉막(50)의 하부를 성형하는 개봉막 하부 형성코어(31)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개봉막 하부 형성코어(31)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마개몸체(40)의 하부에 형성된 팩킹(41)과, 용기의 개구부(도시않됨)가 삽입되는 내측둘레면(45)을 성형하는 마개몸체의 원통부 형성코어(3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개봉막 하부 형성코어(31)내에는 플라스틱용융물질(예를 들면, 폴리 에틸렌등)이 주입되는 게이트(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60)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그 단부는 개봉막(50)의 하부 볼록부(55)에 접해 있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사출성형되는 용기마개(100)가 부착된 용기(도시않됨)를 처음 사용시에는 뚜껑(20)을 열은 다음, 상기 용기 뚜껑(20)내에 성형되어 있는 개봉막(50)을 이탈시켜야 만이 상기 용기내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용기내에 형성되어 있는 개봉막(50)을 이탈 시킬시에는 상기 개봉막(50)의 상측에 성형되어 있는 고리(51)를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걸은 다음 위로 잡아 당기면 상기 개봉막(50)은 이탈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개봉막(50)의 고리(51)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게이트(60)의 단부가 개봉막(50)의 하부볼록부(55)에 접하여 프라스틱 용융물은 볼록부(55)에서 차 올라와 사출성형되기 때문에, 상기 고리(51)의 중앙부(57)에는 차 올라온 수지가 모여 용착라인(전선 참조)이 형성된 상태로 사출 성형되어 고리 (51)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용기의 처음 사용시 개봉막(50)을 마개 (40)내에서 이탈시에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자주 끊어져 다른 별도의 수단 ( 예; 뺀지)을 이용하여 상기 끊어진 고리(51)를 잡고 위로 당겨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마개의 사출성형과 동시에 사출성형되는 개봉막의 사출성형시 게이트를 상기 개봉막이 고리의 상부 중앙에 접하게 하여, 고리의 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용기마개의 사출성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용기마개의 사출성형방법은 개봉막 상부 형성코어와, 개봉막 하부 형성코어에 의해 상기 용기마개의 개봉막을 형성할 때에, 상기 개봉막의 고리의 인장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개봉막 상부 형성코어 내에 경사방향으로 게이트를 형성하되, 이 게이트의 하단부가 상기 고리의 상부 중앙에 접하게 하여, 상기 게이트를 통해 개봉막의 고리의 상부에서부터 하측으로 흐르게 플리스틱 용융물질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용기마개의 사출성형방법은 일반적인 사출방법을 일부개선한 것으로서, 종래의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힘과 동시에 설명 또한 동일하게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마개를 사출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개봉막이 용기마개내에 성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의 형상을 성형하는 상부금형(10)과, 상기 상부금형(10)에 대향하는 하부금형(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30)의 사이에는 용기마개의 형상과 모양을 갖는 공간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금형(10)의 일측에는 개봉막(50)을 성형하는 다수개의 코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개봉막(50)에 일체로 성형된 고리(51)와 상기고리(51)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성형하는 개봉막 상부 형성코어(11)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개봉막 상부 형성코어(11)의 외측둘레에는 유출구(43)의 내측을 성형하는 마개몸체의 유출구 내주면 형성코어(1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금형(10)의 개봉막 상부 형성코어(11) 내에는 상기 개봉막(50)의 고리(51) 중앙에서 사출성형시 플라스틱 용융물질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을 주입하는 게이트(70)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게이트(70)의하단부는 상기 고리(51)의 상부 중앙에 접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마개몸체의 유출구 내주면 형성코어(13 )의 외측둘레에는 상기유출구(43)의 외측을 성형하는 뚜껑의 절첩부 형성코어(17)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20)과 마개몸체(40)와 연결하는 절첩부(23)를 성형하는 뚜껑의 절첩부 형성코어(17)가 배설되어있다.
또한, 상기 뚜껑(20)을 성형하는 뚜껑의 돌기부 내주면 형성코어(19) 및 뚜껑의 내주면 형성코어(18)가 배설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의 돌기부 내주면 형성코어(19)는 뚜껑(20)의 중앙에 형성되는 돌기부(21)를 성형하며, 상기 두껑의 내주면 형성코어(18)는 상기 뚜껑(20)의 내측둘레를 성형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30)은 상기 개봉막(50)의 하부를 성형하는 개봉막 하부 형성코어(31)가 배설되어 있으며,상기 개봉막 하부 형성코어(31)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마개 몸체 (40)의 하부에 형성된 팩킹(41)과 용기의 개구부가 삽입되는 내측둘레면(45)을 성형하는 마개몸체의 원통부 형성코어(33)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시하지 않은 사출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30)을 일치할 다음, 상기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30)의 하부금형(3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14)에 상기 상부금형(10)의 일측에 배설된 개봉막 상부 형성코어(11)내에 형성된 게이트(70)로 프라스틱 용융물질(도시않음)를 가열및 가압에 의해 주입시키다.
이때, 플라스틱 용융물질은 고리(51)의 상부 중앙에서부터 하측으로 흘러 내려 사출성형 되므로, 고리에 용착라인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리(51)의 강성이 높아진다.
주입후, 일정한 시간이 흐른 후에는 도시하지 않은 사출기의 작동에 의해 상부금형(10)과 하부금형(30)에 배설된 다수개의 코어는 작동순서에 따라 분리되어지면 용기마개가 완성되어 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 마개의 사출성형방법에 의하면, 용기 마개사출성형시 게이트를 통해 개봉막의 고리 중앙에서 시작되어 하측으로 흘러 내려 성형하므로, 고리의 강도가 약해지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용기를 처음 사용시 개봉막의 고리를 잡고 위로 당길때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별도의 수단(예; 뺀지)을 이용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의해 성형되는 용기마개의 사출성형방법에 있어서, 개봉막 상부 형성코어(11)와 개봉막 하부형성코어(31)에 의해 상기 용기 마개의 개봉막(50)을 형성할 때에, 상기 개봉막(50)의 고리(51)의 인장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개봉막 상부 형성 코어(11) 내에 경사방향으로 게이트 (70)를 형성하되, 이 게이트(70)의 하단부가 상기 고리(51)의 상부 중앙에 접하게 하여, 상기 게이트(70)를 통해 개봉막의 고리(51)의 상부에서부터 하측으로 흐르게 플라스틱용융물질을 주입하는 것을 톡징으로 용기마개의 성형사출 방법.
KR1019950041097A 1995-11-13 1995-11-13 용기마개의 사출성형방법 KR100226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097A KR100226406B1 (ko) 1995-11-13 1995-11-13 용기마개의 사출성형방법
CA 2185732 CA2185732A1 (en) 1995-11-13 1996-09-17 Liquid bottle cap and process for producing such a cap
AU65673/96A AU6567396A (en) 1995-11-13 1996-09-17 Liquid bottle cap and process for producing such a cap
DE1996306884 DE778219T1 (de) 1995-11-13 1996-09-20 Flaschenkapp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EP96306884A EP0778219A3 (en) 1995-11-13 1996-09-20 Bottle cap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MX9604232A MX9604232A (es) 1995-11-13 1996-09-23 Tapa de botella para liquidos y procedimiento para producir la tapa.
JP8251176A JPH09183443A (ja) 1995-11-13 1996-09-24 液体容器栓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1097A KR100226406B1 (ko) 1995-11-13 1995-11-13 용기마개의 사출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915A KR970025915A (ko) 1997-06-24
KR100226406B1 true KR100226406B1 (ko) 1999-10-15

Family

ID=1943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1097A KR100226406B1 (ko) 1995-11-13 1995-11-13 용기마개의 사출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6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186B1 (ko) 2007-11-20 2008-07-02 석종철 용기 뚜껑용 금형 및 그 성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422B1 (ko) * 2002-11-14 2005-11-22 민경순 액체 용기 캡 및 그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186B1 (ko) 2007-11-20 2008-07-02 석종철 용기 뚜껑용 금형 및 그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915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5942A (en) Hinged cap separable from bottle at the time of disposal
KR100354586B1 (ko) 인서트 몰딩된 개방 흔적이 남는 유출구
US4917269A (en) Liquid containing and dispensing package
US5755360A (en) Multi-material, multi-shot, injection molded dispensing closure having a removable seal
CA2462586C (en) Liquid dispensing closure
US4895282A (en) Dispensing closure with pull tab for enlarging orifice
US4019663A (en) Separating means for plastic closure top
US4796769A (en) Tamper-proof pourer and stopper cap assembly
JP4575695B2 (ja) プルリング無しヒンジキャップ
WO1990011938A1 (en) Container with a unitary clos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IE850270L (en) Closure cup of plastics material
IE44429B1 (en) Container closure with extendble pouring spout
US20220388741A1 (en) A package closur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ackage closure
US5601214A (en) Plastic container having an injection molded finish with an integral closure attached thereto
US20050067366A1 (en) Plastic closure which can be produced in a closed manner, injection mould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PL12044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tainer wall
KR100226406B1 (ko) 용기마개의 사출성형방법
US5950876A (en) Insert molded tamper evident pouring spout
US3986646A (en) Plastic closure top for tins
JP2002308313A (ja) ヒンジキャップ
EP0329881A1 (en) Self-draining container
JP5069426B2 (ja) 注出具
JP3481728B2 (ja) 液体収納容器
JP4473067B2 (ja) 開口時の液飛びが防止された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4662645B2 (ja) 注出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81113

Effective date: 199904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