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207A - Ic 카드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Ic 카드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207A
KR19990014207A KR1019980030124A KR19980030124A KR19990014207A KR 19990014207 A KR19990014207 A KR 19990014207A KR 1019980030124 A KR1019980030124 A KR 1019980030124A KR 19980030124 A KR19980030124 A KR 19980030124A KR 19990014207 A KR19990014207 A KR 19990014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upport shaft
lever
push rod
driv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0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8371B1 (ko
Inventor
와따루 오구찌
히데따까 후루쇼
Original Assignee
가따오까 마사따까
알프스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따오까 마사따까, 알프스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따오까 마사따까
Publication of KR19990014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4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edge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푸시로드에 대한 조작력을 경감시켜도 IC 카드의 배출량을 크게 할 수 있는 IC 카드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다수개의 핀 콘택트가 설치된 핀 하우징 (10) 에 제 1 지지축 (15) 과 제 2 지지축 (16) 을 세워설치하고, 제 1 지지축 (15) 에 이젝트 레버 (13) 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핀 하우징 (10) 에 일체화된 프레임 (11) 에 푸시로드 (12) 를 왕복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푸시로드 (12) 의 선단을 이젝트 레버 (13) 에 걸어맞춘다. 제 2 지지축 (16) 에 IC 카드 (1) 를 밀어내기 위한 갈고리형상편 (14b) 을 가지는 구동레버 (14) 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이 구동레버 (14) 에 제 2 지지축 (16) 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제 1 걸어맞춤편 (14c) 과, 제 2 지지축 (16) 으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운 제 2 걸어맞춤편 (14d) 을 형성하고, 이들 걸어맞춤편 (14c,14d) 을 이젝트 레버에 형성한 연결 구멍 (13c,13d) 내로 각각 돌출시킨다. 그리고, 푸시로드 (12) 의 누름조작에 연동하여 이젝트 레버 (13) 가 회전할 때, 회전의 초기단계에서 제 1 걸어맞춤편 (14c) 을 통해 구동레버 (14) 로 동력전달하고, 회전 도중에 동력전달부를 제 1 걸어맞춤편 (14c) 에서 제 2 걸어맞춤편 (14d) 으로 변경하여 구동레버 (14) 를 회전한다.

Description

IC 카드용 커넥터
본 발명은 IC 카드를 삽입 장착하여 사용되는 기기에 설치되는 IC 카드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넥터내에 삽입 장착되어 있는 IC 카드를 핀 콘택트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이젝트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IC 카드용 커넥터는, 통상 IC 카드내의 소켓 콘택트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핀 콘택트를 핀 하우징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핀 헤더부, 삽입발출(拔出)시의 IC 카드를 가이드하는 프레임, 그리고 삽입 장착된 상태의 IC 카드를 핀 콘택트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이젝트기구부 등을 구비하여 개략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젝트기구부는 IC 카드를 뺄 때에 누름조작되는 푸시로드나, 핀 하우징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레버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IC 카드가 커넥터내에 삽입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푸시로드를 누름조작하면, 푸시로드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레버부재가 IC 카드를 배출위치까지 밀어내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IC 카드용 커넥터의 종래예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82409 호에 개시된 것을 설명하면, 도 7 은 종래의 IC 카드용 커넥터의 IC 카드를 삽입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8 은 종래의 IC 카드용 커넥터의 이젝트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IC 카드용 커넥터는, IC 카드 (1) 내의 소켓 콘택트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핀 콘택트를 소정 배열로 핀 하우징에 압입고정하여 이루어지는 핀 헤더 (도시생략) 와, 삽입발출시의 IC 카드 (1) 를 폭방향 양측에서 가이드하는 1 쌍의 오목홈부 (2a) 를 형성한, 평면이 대략 ㄷ자형상의 프레임 (2) 과, 이 프레임 (2) 에 부착된 이젝트 레버 (3), 구동레버 (4) 및 푸시로드 (5) 등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고, 프레임 (2) 의 연결부 (2b) 가 상기 핀 헤더의 핀 하우징 상면과 마주하고 있다. 이젝트 레버 (3) 와 구동레버 (4) 는 각각 프레임 (2) 의 연결부 (2b) 에 부착한 제 1 지지축 (6) 과 제 2 지지축 (7) 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고, 한편 IC 카드 (1) 를 빼낼 때에 누름조작되는 푸시로드 (5) 는 프레임 (2) 측면의 2 개소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지지틀 (2c) 에 의해 IC 카드 삽입발출방향 (도 7 의 화살표 (A) 방향) 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이들 이젝트 레버 (3) 와 구동레버 (4) 및 푸시로드 (5) 에 의해 이젝트기구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젝트 레버 (3) 는 그 일단부에 IC 카드를 밀어내기 위한 갈고리형상편 (3a) 을 가지고, 타단부는 푸시로드 (5) 의 후단부와 걸어맞춰져 있으며, 양단부 도중에 오목형상의 걸어맞춤단부 (3b) 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레버 (4) 는 푸시로드 (5) 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 IC 카드 (1) 를 밀어내기 위한 갈고리형상편 (4a) 을 가지고, 타단부에 볼록형상의 걸어맞춤단부 (4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이젝트 레버 (3) 와 구동레버 (4) 는 각각의 걸어맞춤단부 (3b,4b) 끼리를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끼워맞춤으로써 연결되어 있으며, 이젝트 레버 (3) 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구동레버 (4) 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IC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프레임 (2) 의 카드삽입부를 통해 IC 카드 (1) 를 삽입해 가면, 1 쌍의 오목홈부 (2a) 로 가이드되면서 상기 핀 헤더로 향하는 IC 카드 (1) 가 이젝트 레버 (3) 의 갈고리형상편 (3a) 과 구동레버 (4) 의 갈고리형상편 (4a) 을 밀어넣으면서, 자신의 소켓 콘택트에 핀 헤더의 핀 콘택트를 압입시켜 가기 때문에, IC 카드 (1) 를 소정량 삽입함으로써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IC 카드가 각 핀 콘택트와 확실하게 접속하는 삽입 장착이 완료된 상태가 된다. 이 때, IC 카드 (1) 가 카드삽입발출면 (1a) 으로 밀어넣어져서, 이젝트 레버 (3) 와 구동레버 (4) 는 각각 제 1 지지축 (6) 과 제 2 지지축 (7) 을 회전축으로 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이젝트 레버 (3) 의 회전에 연동하여 푸시로드 (5) 는 앞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커넥터내에 IC 카드 (1) 가 삽입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푸시로드 (5) 를 누름조작하면, 이젝트 레버 (3) 가 이 푸시로드 (5) 에 의하여 구동되어 도 7 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회전력이 걸어맞춤단부 (3b,4b) 를 통해 구동레버 (4) 로 전달되기 때문에, 구동레버 (4) 가 도 7 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이젝트 레버 (3) 와 구동레버 (4) 의 갈고리형상편 (3a,4a) 이 IC 카드 (1) 의 카드삽입발출면 (1a) 의 양단부를 밀어내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C 카드 (1) 가 핀 콘택트에서 이탈하여 배출위치까지 밀려나오기 때문에, 손가락으로 간단히 앞으로 빼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IC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 1 지지축 (6) 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젝트 레버 (3) 와 제 2 지지축 (7) 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레버 (4) 가 걸어맞춤단부 (3b,4b) 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푸시로드 (5) 의 밀어넣기량에 대한 구동레버 (4) 의 회전량은 제 2 지지축 (7) 에서 걸어맞춤단부 (3b,4b) 까지의 거리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따라서, 제 2 지지축 (7) 에서 걸어맞춤단부 (3b,4b) 까지의 거리를 길게 설정하면, 그에 따라 구동레버 (4) 의 모멘트가 커져서 푸시로드 (5) 를 가벼운 조작력으로 밀어넣어도 IC 카드 (1) 를 핀 콘택트에서 확실하게 이탈시킬 수 있으나, 그 반면 구동레버 (4) 의 회전각도가 작아져서 IC 카드 (1) 를 충분히 밀어낼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푸시로드 (5) 에 대한 조작력을 경감시키는 것과 IC 카드 (1) 의 배출량을 크게 하는 것은 상반되는 관계에 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푸시로드 (5) 에 대한 조작력의 경감화를 희생하고, IC 카드 (1) 의 배출량을 우선하여 제 2 지지축 (7) 에서 걸어맞춤단부 (3b,4b) 까지의 거리를 설정하고 있으며, 가벼운 조작력으로 IC 카드의 배출량을 크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IC 카드용 커넥터에 IC 카드를 삽입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2 는 이젝트 레버의 저면도이다.
도 3 은 구동레버의 저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IC 카드용 커넥터의 이젝트동작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 는 푸시로드의 밀어넣기량과 IC 카드의 배출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IC 카드용 커넥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IC 카드용 커넥터의 IC 카드를 삽입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 은 종래의 IC 카드용 커넥터의 이젝트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IC 카드 10 : 핀 하우징
11 : 프레임 12 : 푸시로드
13 : 이젝트 레버 13a : 고리형상 구멍
13b : 걸어맞춤부 13c ∼ 13f : 연결 구멍
14 : 구동레버 14a : 고리형상 구멍
14b : 갈고리형상편 14c : 제 1 걸어맞춤편
14d : 제 2 걸어맞춤편 15 : 제 1 지지축
16 : 제 2 지지축 17 : 제 2 구동레버
17b : 갈고리형상편 17c : 제 1 걸어맞춤편
17d : 제 2 걸어맞춤편
본 발명은 푸시로드의 누름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이젝트 레버의 회전력을 구동레버로 전달할 때, 회전의 초기단계에서 구동레버의 회전운동 지지점에서 먼 쪽의 걸어맞춤부를 통해 동력전달하고, 회전 도중에 구동레버의 회전운동 지지점에서 가까운 쪽의 걸어맞춤부를 통해 동력전달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푸시로드의 밀어넣기조작 초기단계에서 구동레버의 변위량은 적지만 큰 모멘트를 발생하기 때문에, 가벼운 조작력에도 불구하고 IC 카드를 핀 콘택트에서 확실하게 이탈시킬 수 있고, IC 카드의 이탈후에는 푸시로드의 밀어넣기량에 대하여 구동레버가 크게 변위하기 때문에, IC 카드의 배출량을 크게 하여 간단히 빼낼 수 있다.
발명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IC 카드용 커넥터에서는, IC 카드의 소켓 콘택트에 접속되는 다수개의 핀 콘택트가 설치된 핀 하우징과, 이 핀 하우징에 일체화된 프레임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IC 카드를 빼낼 때에 누름조작되는 푸시로드와, 상기 핀 하우징에 제 1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부를 상기 푸시로드에 걸어맞춘 이젝트 레버와, 상기 핀 하우징에 제 2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IC 카드를 밀어내기 위한 갈고리형상부를 가지는 구동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레버에 상기 제 2 지지축으로부터의 거리를 달리하는 2 개의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삽입 장착된 상태에 있는 상기 IC 카드를 배출위치까지 밀어낼 때에, 상기 푸시로드의 누름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이젝트 레버의 회전력이 상기 제 2 지지축에서 먼 쪽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통해 상기 구동레버로 전달된 후, 상기 제 2 지지축에서 가까운 쪽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통해 상기 구동레버로 전달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축에 상기 이젝트 레버와의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제 2 구동레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 1 지지축에서 이 제 2 구동레버의 걸어맞춤부까지의 거리를, 상기 제 2 지지축에서 상기 구동레버의 먼 쪽의 걸어맞춤부까지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면, 큰 힘을 필요로 하는 IC 카드의 이탈시에 2 개의 구동레버에 의해 IC 카드의 이탈방향으로 거의 똑바로 밀어낼 수 있어, 보다 확실한 이탈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IC 카드용 커넥터에 IC 카드를 삽입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2 는 이젝트 레버의 저면도, 도 3 은 구동레버의 저면도, 도 4 는 도 1 의 IC 카드용 커넥터의 이젝트동작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5 는 푸시로드의 밀어넣기량과 IC 카드의 배출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IC 카드용 커넥터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C 카드 (1) 내의 소켓 콘택트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핀 콘택트 (모두 도시생략) 를 소정 배열로 압입고정하여 이루어지는 핀 하우징 (10) 과, 이 핀 하우징 (10) 의 좌우양측에 고정되며, 삽입발출시의 IC 카드 (1) 를 폭방향 양측에서 가이드하는 1 쌍의 프레임 (11) 과, 일측 프레임 (11) 에 부착된 푸시로드 (12) 와, 이 푸시로드 (12) 에 의해 구동되는 이젝트 레버 (13) 및 구동레버 (14) 등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이젝트 레버 (13) 와 구동레버 (14) 는 모두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IC 카드용 커넥터의 이젝트기구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IC 카드 (1) 를 빼낼 때에 누름조작되는 푸시로드 (12) 는, 일측 프레임 (11) 의 측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돌기에 의해 IC 카드 삽입발출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한편, 이젝트 레버 (13) 는 핀 하우징 (10) 에 세워설치된 제 1 지지축 (15) 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고, 구동레버 (14) 도 마찬가지로 핀 하우징 (10) 에 세워설치된 제 2 지지축 (16) 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트 레버 (13) 에는 자신의 회전축인 제 1 지지축 (15) 에 삽입되는 고리형상 구멍 (13a) 과, 이 고리형상 구멍 (13a) 의 반대측 단부로 돌출하는 걸어맞춤부 (13b) 와, 이들 고리형상 구멍 (13a) 과 걸어맞춤부 (13b)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연결 구멍 (13c ∼ 13f) 이 형성되어 있고, 걸어맞춤부 (13b) 는 푸시로드 (12) 의 선단부에 걸어맞춰져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레버 (14) 에는 자신의 회전축인 제 2 지지축 (16) 에 삽입되는 고리형상 구멍 (14a) 과, IC 카드 (1) 를 밀어내기 위한 갈고리형상편 (14b) 과, 이젝트 레버 (13) 의 연결 구멍 (13c,13d) 내로 각각 돌출하는 제 1 및 제 2 걸어맞춤편 (14c,14d) 이 형성되어 있고, 갈고리형상편 (14b) 과 양걸어맞춤편 (14c,14d) 은 구동레버 (14) 의 판면에 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거의 직각으로 접혀 있다. 고리형상 구멍 (14a) 의 중심에서 제 1 걸어맞춤편 (14c) 까지의 거리를 L1 이라 하고, 고리형상 구멍 (14a) 의 중심에서 제 2 걸어맞춤편 (14d) 까지의 거리를 L2 라 하면, L1 은 L2 보다도 충분히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IC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프레임 (11) 의 카드삽입부를 통해 IC 카드 (1) 를 삽입해 가면, 핀 하우징 (10) 으로 향하는 IC 카드 (1) 가 구동레버 (14) 의 갈고리형상편 (14b) 을 밀어넣으면서 자신의 소켓 콘택트에 핀 하우징 (10) 의 핀 콘택트를 압입시켜 가기 때문에, IC 카드 (1) 를 소정량 삽입함으로써,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IC 카드 (1) 가 각 핀 콘택트와 확실하게 접속하는 삽입 장착이 완료된 상태가 된다. 이 때, 구동레버 (14) 는 제 2 지지축 (16) 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이 구동레버 (14) 의 회전이 걸어맞춤편 (14c,14d) 과 연결 구멍 (13c,13d) 의 연결부분을 통해 이젝트 레버 (13) 로 전달되기 때문에, 이젝트 레버 (13) 는 제 1 지지축 (15) 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이에 연동하여 푸시로드 (12) 가 프레임 (11) 의 앞쪽으로 이동한다.
한편, 이와 같이 하여 커넥터내에 IC 카드 (1) 가 삽입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푸시로드 (12) 를 누름조작하면, 전진하는 푸시로드 (12) 에 연동하여 이젝트 레버 (13) 가 제 1 지지축 (15) 을 회전축으로 하여 도 1 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이젝트 레버 (13) 의 회전에 따라 구동레버 (14) 가 제 2 지지축 (16) 을 회전축으로 하여 도 1 의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구동레버 (14) 의 갈고리형상편 (14b) 이 IC 카드 (1) 의 전면 (前面) 을 밀어내어 IC 카드 (1) 는 핀 콘택트에서 이탈하여 배출위치까지 밀려난다. 이 경우, 우선 이젝트 레버 (13) 의 회전 초기단계에서,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트 레버 (13) 의 연결 구멍 (13c) 둘레가 구동레버 (14) 의 제 1 걸어맞춤편 (14c) 에 맞닿아 구동레버 (14) 가 회전축에서 먼 쪽의 제 1 걸어맞춤편 (14c) 을 작용점으로 하여 회전한 후,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구멍 (13c) 의 둘레가 제 1 걸어맞춤편 (14c) 에서 멀어지며, 대신에 연결 구멍 (13d) 의 둘레가 제 2 걸어맞춤편 (14d) 에 맞닿기 때문에, 구동레버 (14) 는 회전축에서 가까운 쪽의 제 2 걸어맞춤편 (14d) 을 작용점으로 하여 회전한다.
즉, 푸시로드 (12) 의 밀어넣기조작 초기단계에서 IC 카드 (1) 를 핀 콘택트에서 이탈시키는 데 큰 힘을 필요로 하는데, 도 5 의 O 점에서 P 점까지의 범위내에서 구동레버 (14) 를 회전운동 지지점에서 먼 쪽의 제 1 걸어맞춤편 (14c) 을 작용점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큰 모멘트를 발생시켜 IC 카드 (1) 를 핀 콘택트에서 확실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그리고, IC 카드 (1) 가 핀 콘택트에서 이탈되면 그 후에는 작은 힘으로 밀어낼 수 있기 때문에, 도 5 의 P 점을 지나 Q 점에 이르는 범위내에서 구동레버 (14) 를 회전운동 지지점에서 가까운 쪽의 제 2 걸어맞춤편 (14d) 을 작용점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그 변위량을 많게 하여 IC 카드의 배출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IC 카드용 커넥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 ∼ 도 5 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예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제 2 지지축 (16) 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구동레버 (14) (이하, 이것을 제 1 구동레버라 함) 와는 별도의 구동레버 (17) (이하, 이것을 제 2 구동레버라 함) 를 제 1 지지축 (15) 에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시키고, 이들 제 1 및 제 2 구동레버 (14,17) 에 의해 IC 카드 (1) 를 배출하도록 한 것에 있으며, 그 외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 2 구동레버 (17) 는 제 1 구동레버 (14) 를 180 도 반전시킨 형상이며, IC 카드를 밀어내기 위한 갈고리형상편 (17b) 과 제 1 및 제 2 걸어맞춤편 (17c,17d)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축 (15) 의 중심에서 제 1 및 제 2 걸어맞춤편 (17c,17d) 까지의 거리 (L1,L2) 는, 제 1 구동레버 (14) 와 마찬가지로 L1 이 L2 보다도 충분히 길게 설정되어 있다. 제 1 지지축 (15) 에는 제 2 구동레버 (17) 와 이젝트 레버 (13) 순으로 삽입되고, 제 2 구동레버 (17) 의 제 1 및 제 2 걸어맞춤편 (17c,17d) 은 이젝트 레버 (13) 의 연결 구멍 (13e,13f) 에서 각각 돌출되어 있다. 단, 이젝트 레버 (13) 와 제 2 구동레버 (17) 는 제 1 지지축 (15) 을 공통의 회전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젝트 레버 (13) 의 회전각도에 관계없이 양걸어맞춤편 (17c,17d) 은 항상 대응하는 연결 구멍 (13e,13f) 과 걸어맞춰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IC 카드용 커넥터에 있어서,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내에 IC 카드 (1) 가 삽입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푸시로드 (12) 를 누름조작하면, 푸시로드 (12) 에 연동하여 이젝트 레버 (13) 가 제 1 지지축 (15) 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며, 이 이젝트 레버 (13) 의 회전을 따라 제 1 구동레버 (14) 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동작된다. 또한, 이젝트 레버 (13) 의 회전 초기단계에서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트 레버 (13) 의 회전이 양연결 구멍 (13e,13f) 과 양걸어맞춤편 (17c,17d) 의 맞닿음부분을 통해 제 2 구동레버 (17) 에 전달되기 때문에, 제 2 구동레버 (17) 는 제 1 지지축 (15) 을 중심으로 제 1 구동레버 (14) 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및 제 2 구동레버 (14,17) 의 각각의 갈고리형상편 (14b,17b) 이 IC 카드 (1) 의 전면을 이탈방향으로 밀어낸다. 이 경우, 양구동레버 (14,17) 의 회전중심에서 제 1 걸어맞춤편 (14c,17c) 까지의 거리는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양구동레버 (14,17) 의 갈고리형상편 (14b,17b) 이 IC 카드 (1) 의 전면 양단부를 동일한 힘으로 밀어내게 되므로, IC 카드 (1) 는 이탈방향으로 거의 똑바로 밀어내지며, 확실한 이탈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이젝트 레버 (13) 가 더 회전하면, 도 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동레버 (14) 는 회전운동 지지점에서 가까운 쪽의 제 2 걸어맞춤편 (14d) 을 작용점으로 해서 회전하여 IC 카드 (1) 를 배출위치까지 크게 밀어내는데, 제 2 구동레버 (17) 의 작용점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구동레버 (17) 의 변위량은 제 1 구동레버 (14) 에 비하여 적어지므로, 제 2 구동레버 (17) 의 갈고리형상편 (17b) 은 IC 카드 (1) 의 배출동작에 관여하지 않게 된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IC 카드 (1) 가 핀 콘택트에서 이탈되면 그 후에는 작은 힘으로 밀어낼 수 있기 때문에, 이 동안에는 제 1 구동레버 (14) 의 갈고리형상편 (14b) 만으로 IC 카드 (1) 를 밀어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서로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핀 하우징 (10) 과 1 쌍의 프레임 (11) 을 후공정에서 일체화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핀 하우징 (10) 과 양프레임 (11) 을 미리 일체성형하여도 좋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어 다음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IC 카드의 소켓 콘택트에 접속되는 다수개의 핀 콘택트가 설치된 핀 하우징과, 이 핀 하우징에 일체화된 프레임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IC 카드를 빼낼 때에 누름조작되는 푸시로드와, 상기 핀 하우징에 제 1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부를 상기 푸시로드에 걸어맞춘 이젝트 레버와, 상기 핀 하우징에 제 2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IC 카드를 밀어내기 위한 갈고리형상부를 가지는 구동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레버에 상기 제 2 지지축으로부터의 거리를 달리하는 2 개의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삽입 장착된 상태에 있는 상기 IC 카드를 배출위치까지 밀어낼 때에 상기 푸시로드의 누름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이젝트 레버의 회전력이 상기 제 2 지지축에서 먼 쪽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통해 상기 구동레버로 전달된 후, 상기 제 2 지지축에서 가까운 쪽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통해 상기 구동레버로 전달되도록 구성하면, 푸시로드의 밀어넣기조작 초기단계에서 구동레버의 변위량은 적지만 큰 모멘트를 발생하기 때문에, 가벼운 조작력에도 불구하고 IC 카드를 핀 콘택트에서 확실하게 이탈시킬 수 있고, IC 카드의 이탈후에는 푸시로드의 밀어넣기량에 대하여 구동레버가 크게 변위하기 때문에, IC 카드의 배출량을 크게 하여 간단히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축에 상기 이젝트 레버와의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제 2 구동레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 1 지지축에서 이 제 2 구동레버의 걸어맞춤부까지의 거리를 상기 제 2 지지축에서 상기 구동레버의 먼 쪽의 걸어맞춤부까지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면, 큰 힘을 필요로 하는 IC 카드의 이탈시에 2 개의 구동레버에 의해 IC 카드의 이탈방향으로 거의 똑바로 밀어낼 수 있으며, 보다 확실한 이탈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2)

  1. IC 카드의 소켓 콘택트에 접속되는 다수개의 핀 콘택트가 설치된 핀 하우징과,
    이 핀 하우징에 일체화된 프레임에 왕복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IC 카드를 빼낼 때에 누름조작되는 푸시로드와,
    상기 핀 하우징에 제 1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부를 상기 푸시로드에 걸어맞춘 이젝트 레버와,
    상기 핀 하우징에 제 2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IC 카드를 밀어내기 위한 갈고리형상부를 가지는 구동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레버에 상기 제 2 지지축으로부터의 거리를 달리하는 2 개의 걸어맞춤부가 형성되고, 삽입 장착된 상태에 있는 상기 IC 카드를 배출위치까지 밀어낼 때에, 상기 푸시로드의 누름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기 이젝트 레버의 회전력이 상기 제 2 지지축에서 먼 쪽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통해 상기 구동레버로 전달된 후, 상기 제 2 지지축에서 가까운 쪽의 상기 걸어맞춤부를 통해 상기 구동레버로 전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축에 상기 이젝트 레버와의 걸어맞춤부를 가지는 제 2 구동레버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 1 지지축에서 이 제 2 구동레버의 걸어맞춤부까지의 거리를 상기 제 2 지지축에서 상기 구동레버의 먼 쪽의 걸어맞춤부까지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용 커넥터.
KR1019980030124A 1997-07-28 1998-07-27 Ic 카드용 커넥터 KR100278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01461 1997-07-28
JP20146197A JP3418317B2 (ja) 1997-07-28 1997-07-28 Icカード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207A true KR19990014207A (ko) 1999-02-25
KR100278371B1 KR100278371B1 (ko) 2001-01-15

Family

ID=1644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0124A KR100278371B1 (ko) 1997-07-28 1998-07-27 Ic 카드용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33242A (ko)
EP (1) EP0895180B1 (ko)
JP (1) JP3418317B2 (ko)
KR (1) KR100278371B1 (ko)
DE (1) DE69828468T2 (ko)
SG (1) SG71816A1 (ko)
TW (1) TW41513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914B1 (ko) * 2002-10-16 2007-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닥킹 스테이션의 확장기기 분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15691U (en) * 1998-12-24 2000-12-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R2796320B1 (fr) 1999-07-13 2001-10-05 Amada Europ Sa Presse plieuse a precision amelioree
TW200822084A (en) * 2006-11-15 2008-05-16 Delta Electronics Inc Extracting apparatus for removable hard disk drive
US8931682B2 (en) 2007-06-04 2015-01-13 Ethicon Endo-Surgery, Inc. Robotically-controlled shaft based rotary drive systems for surgical instruments
US7804683B2 (en) * 2007-06-21 2010-09-28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omponent eject mechanism
US8573465B2 (en) 2008-02-14 2013-11-05 Ethicon Endo-Surgery, Inc. Robotically-controlled surgical end effector system with rotary actuated closure systems
CN103531958B (zh) * 2012-07-06 2016-06-29 罗普特(厦门)科技集团有限公司 电子装置
US9844369B2 (en) 2014-04-16 2017-12-19 Ethicon Llc Surgical end effectors with firing element monitoring arrangements
EP3059809B1 (en) * 2015-02-17 2018-06-06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A plug comprising a pullout mechanism
US10052102B2 (en) 2015-06-18 2018-08-21 Ethicon Llc Surgical end effectors with dual cam actuated jaw closing features
US10076326B2 (en) 2015-09-23 2018-09-18 Ethicon Llc Surgical stapler having current mirror-based motor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9871A (en) * 1988-02-29 1993-01-19 Fuji Photo Film Co., Ltd. System for unloading a memory cartridge
JP2761490B2 (ja) * 1993-01-21 1998-06-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cメモリカードの挿入保持装置に於ける複数支点式イジェクト機構
JP3209892B2 (ja) * 1995-09-06 2001-09-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Pcカード用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914B1 (ko) * 2002-10-16 2007-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닥킹 스테이션의 확장기기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45758A (ja) 1999-02-16
KR100278371B1 (ko) 2001-01-15
JP3418317B2 (ja) 2003-06-23
DE69828468T2 (de) 2006-05-04
TW415132B (en) 2000-12-11
SG71816A1 (en) 2000-04-18
US6033242A (en) 2000-03-07
DE69828468D1 (de) 2005-02-10
EP0895180B1 (en) 2005-01-05
EP0895180A2 (en) 1999-02-03
EP0895180A3 (en) 200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371B1 (ko) Ic 카드용 커넥터
KR100293738B1 (ko) 커넥터장치
JP3209892B2 (ja) Pcカード用コネクタ
JP3701792B2 (ja) コネクタ装置
US5562465A (en) Lever-type connector
JPH03297084A (ja) エジェクタ付カードコネクタ
JP3673395B2 (ja) コネクタ装置
KR100309044B1 (ko) Ic카드용 커넥터장치
JPH11317257A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100309043B1 (ko) Ic카드용 커넥터장치
JPH11224725A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483451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KR100309042B1 (ko) Ic카드용커넥터장치
JP3262733B2 (ja) Pcカード用コネクタ
JP4011891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3566588B2 (ja) コネクタの結合構造
JPH11339888A (ja) カードコネクタ
JPH11297416A (ja) コネクタ装置
JPH11224726A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H1186966A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2110286A (ja) イジェクト機構付きコネクタ
JP3566587B2 (ja) コネクタの結合構造
JP2001230020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3673398B2 (ja) Ic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2001118635A (ja) イジェクト機構伸縮式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