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134A - 편향요크 및 이것을 사용한 음극선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편향요크 및 이것을 사용한 음극선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134A
KR19990014134A KR1019980029811A KR19980029811A KR19990014134A KR 19990014134 A KR19990014134 A KR 19990014134A KR 1019980029811 A KR1019980029811 A KR 1019980029811A KR 19980029811 A KR19980029811 A KR 19980029811A KR 19990014134 A KR19990014134 A KR 19990014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coil
cathode ray
less
ray tube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8807B1 (ko
Inventor
노부타카 오쿠야마
고지 후쿠야마
소이치 사쿠라이
히로시 요시오카
마사오 오바라
다케시 지바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츠토무
히다치세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하시모토 야스고로
히다치미디어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306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456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306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45670A/ja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츠토무, 히다치세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하시모토 야스고로, 히다치미디어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나이 츠토무
Publication of KR19990014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03Neck or cone portions of the CRT vessel
    • H01J2229/8606Neck or cone portions of the CRT vessel characterised by the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13Faceplates
    • H01J2229/8616Faceplates characterised by shape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이 편향요크를 사용한 음극선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형상의 대형화, 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편향요크 및 이 편향요크를 사용한 음극선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네크직경이 22㎜이상 26㎜이하이고, 편향각이 95°이상 110°이하인 음극선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편향요크로서, 음극선관의 관축방향에 대한 치수가 60 ㎜이상 80㎜이하인 수평편향코일, 음극선관의 관축방향에 대한 치수가 45㎜이상 65㎜이하인 수직편향코일 및 음극선관의 관축방향에 대한 치수가 25㎜이상 45㎜이하인 코어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편향요크의 열화가 없고 또 편향요크형상의 소형화 및 비용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편향요크 및 이것을 사용한 음극선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이 편향요크를 사용한 음극선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넓은 각으로 편향되고 전체길이가 짧은 컬러음극선관에 적합한 고감도 편향요크와 이 편향요크를 사용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형광면의 대각치수가 약 410㎜이고 약 100°의 편향(이하, 이것을 41㎝ - 100°라 한다)인 디스플레이장치용 컬러음극선관 및 이것에 사용되는 편향요크의 종래예로서는 National Technical Report Vol.42, No.3 pp.93∼100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컬러음극선관의 네크부의 외경은 29.1㎜(이하, 29.1㎜ 네크라 한다)이다. 이 형태의 컬러음극선관에 사용되는 편향요크는 제품화되고 있고 또 이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컬러음극선관의 관축방향의 길이는 348㎜이고, 이 컬러음극선관에 사용되는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의 관축방향의 길이는 이 제품에서 이미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약 93㎜로 길다. 컬러음극선관의 관축방향의 길이를 더욱 단축한 경우에는 이 편향요크를 사용할 수 없어 새로운 편향요크를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종래의 편향요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수평편향코일의 최소내경은 약 31.5㎜로 크다. 편향요크의 내면이 직경 56.5㎜인 원에 외접하는 관축방향의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수평편향코일의 개구측 끝까지의 길이는 약 37㎜이고, 수평편향코일의 네크측 끝까지의 길이는 약 56㎜이다. 따라서, 전체길이는 합계 93㎜로 된다. 또, 수평편향은 수평편향코일의 개구측의 가장자리(fringe)가 직경 약 165㎜인 원에 내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측 가장자리의 편향에 기여하지 않는 자계로 인한 수평편향코일의 인덕턴스가 증가하여 수평편향감도가 악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편향요크에 의해 음극선관장치 주변에 발생하는 불필요 복사자계를 임의의 값 이하로 저감시켜야만 한다는 요구가 생기고 있다. 특히, 400kHz이하의 저주파수대역의 불필요 복사자계에 대해서 예를 들면 TCO라고 불리는 가이드라인이 제안되어 있다. 이 가이드라인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 50㎝, 음극선관장치의 관면에서 30㎝의 측정점에 있어서, 주로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에서 누설되는 5Hz∼2kHz의 극초저주파자계(ELMF: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는 200nT이하로 유지하고, 주로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에서 누설되는 2kHz∼400kHz의 초저주파자계(VLMF:Very Low Frepuency Magnetic Field)는 25nT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ELMF 및 VLMF의 주된 발생원이 편향요크이기 때문에, 불필요 복사자계를 없애기 위해서 역극성 자계를 편향요크에 발생시키고 불필요 복사자계를 규격값 이하로 저감시키는 수단이 수많이 제안되어 있다.
이 수단의 1예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3-289029호에 기재된 불필요 복사자계 저감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이 공보에는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에 불필요 복사자계를 저감시키기 위한 상쇄코일(cancel coil)을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이 코일을 사용해서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 각각에서 발생하는 불필요 복사자계를 없애기 위한 새로운 자계를 발생시키고 불필요 복사자계를 저감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이 2개의 코일에 상쇄코일을 접속하는 것에 의해 편향요크의 수평편향감도 및 수직편향감도가 악화된다. 또, 상쇄코일을 접속하는 것에 의해 편향요크의 형상이 커지게 되고 편향요크의 비용도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점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형상의 대형화, 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편향요크 및 이 편향요크를 사용한 음극선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해서 수평편향감도가 양호하고 또한 컬러음극선관의 관축방향의 길이를 단축시킨 95°∼110°편향형 컬러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이 편향요크를 사용한 음극선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향요크장착부의 네크직경이 22㎜∼26㎜, 형광체의 대각치수가 400㎜∼420㎜, 편향각이 95°∼110°인 컬러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이 편향요크를 사용한 음극선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편향감도 및 수직편향감도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고 불필요 복사자계의 발생을 효율좋게 억압할 수 있는 컬러음극선관용 편향요크 및 이 편향요크를 사용한 음극선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평편향코일의 관축방향의 치수a를 변화시킨 경우의 수평편향 전력지수를 도시한 특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수평편향코일의 관축방향의 길이를 변화시킨 경우의 BSN 변화량을 도시한 특성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수평편향코일의 치수를 변화시킨 경우의 전자빔의 빔직경의 변화율을 도시한 특성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수평편향코일의 치수를 변화시킨 경우의 편향요크의 온도 상승을 도시한 특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7은 도 1의 편향요크의 정면도,
도 8a는 컬러음극선관의 형광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8b는 도 8a의 화살표A-A방향에서 본 컬러음극선관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음극선관과 그 주변회로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변형예을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VLMF의 특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주요부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ELMF의 특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구성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는 이 편향요크를 음극선관에 부착했을 때의 음극선관의 관축방향에 대해서, 수평편향코일의 치수를 60㎜이상 80㎜이하로 하고, 수직편향코일의 치수를 45㎜이상 65㎜이하로 하고, 코어의 치수를 25㎜이상 45㎜이하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는 또 수평편향코일의 개구측 끝과 코어의 개구측 끝 사이의 거리를 15㎜이상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는 수직편향코일의 개구측 끝과 코어의 개구측 끝 사이의 거리를 5㎜이상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크기가 41㎝(대각치수가 400㎜∼420㎜)인 형광면, 100° 편향(95°∼105° 편향)에 적합한 퍼넬부, 외경이 23.6㎜∼25.0㎜인 네크부 및 인라인배열의 다전자빔을 발생하는 전자총을 갖는 음극선관의 퍼넬부에서 이 네크부에 걸쳐 장착해서 사용하고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갖는 편향요크로서, 편향요크의 내면이 직경 56.5㎜인 원에 외접하는 관축방향의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수평편향코일의 개구측 끝까지의 길이가 20.5㎜이상 24.5㎜이하이고, 수평편향코일의 네크측 끝까지의 길이가 46㎜이상 50㎜이하인 편향요크를 마련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는 수평편향코일의 최소내경이 25㎜이상 27㎜이하, 수평편향코일의 관축방향의 길이가 66.5㎜이상 74.5㎜이하, 수평편향코일의 개구측의 가장자리가 직경 125㎜이상 135㎜이하인 원에 내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컬러음극선관장치는 대각치수가 400㎜∼420㎜인 형광면, 95°∼105° 편향에 적합한 퍼넬부, 외경이 23.6㎜이상 25.0㎜이하인 네크부 및 이 네크부내에 마련되고 인라인 배열의 다전자빔을 발생하는 전자총을 갖는 컬러음극선관과 이 음극선관의 퍼넬부에서 그의 네크부에 걸쳐 장착되고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갖는 편향요크를 구비하고, 퍼넬부의 외경이 56.5㎜인 관축방향의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수평편향코일의 개구측 끝의 위치는 기준으로 부터 16.5㎜이상 22.5㎜이하의 범위로 하고, 수평편향코일의 네크측 끝의 위치는 기준으로 부터 48㎜이상 54㎜이하의 범위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41㎝-100°컬러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컬러음극선관의 관축방향의 길이를 338㎜∼344㎜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과 함께 고려될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 및 이 편향요크를 사용한 음극선관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단면도이다. (1)은 편향요크, (2)는 수평편향코일, (3)은 수직편향코일, (4)는 코어이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수직편향코일(3)은 코어(4)의 내면측에 마련되고 수평편향코일(2)는 수직편향코일(3)의 내면측에 마련되어 편향요크(1)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편향요크(1)은 네크직경이 22㎜이상 26㎜이하로서 편향각이 95°이상 110°이하인 음극선관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이 편향요크를 음극선관에 부착했을 때의 음극선관의 관축방향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코일(2)의 치수a를 60㎜이상 80㎜이하로 하고, 수직편향코일(3)의 치수b를 45㎜이상 65㎜이하로 하고, 코어(4)의 치수c를 25㎜이상 45㎜이하로 하면 바람직하다는 것이 실험상 명확하게 되었다.
이하, 이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d는 수평편향코일(2)의 개구측 끝과 코어(4)의 개구측 끝 사이의 치수, e는 수직편향코일(3)의 개구측 끝과 코어(4)의 개구측 끝 사이의 치수, X1은 편향요크(1)의 개구측 방향, X2는 편향요크(1)의 네크측 방향을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평편향코일의 관축방향의 치수를 변화시킨 경우의 수평편향 전력지수를 규격화해서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횡축은 수평편향코일(2)의 전체적인 치수a를 나타내고, 종축은 수평편향 전력지수P를 나타낸다.
동일동면에 있어서, 특성A1은 수평편향코일(2)의 전체적인 치수a를 70㎜를 기준으로 해서 편향요크(1)의 네크측 길이를 변화시켰을 때의 즉 편향요크(1)의 네크측 끝을 네크측으로 연장 또는 단축시켰을 때의 수평편향 전력지수를 나타낸다. 특성B1은 수평편향코일(2)의 전체적인 치수a를 상기와 같이 70㎜를 기준으로 해서 편향요크(1)의 개구측 길이를 변화시켰을 때의 즉 편향요크(1)의 개구측(형광면측이라고도 한다) 끝을 연장 또는 단축시켰을 때의 수평전력지수P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수평편향코일의 치수a를 70㎜로 했을 때의 수평전력지수P를 100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특성A1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편향요크(1)의 네크측(전자총측이라고도 한다) 끝을 연장시켜 그 전체적인 치수a를 70㎜보다 길게 하면, 수평편향 전력지수P가 100%보다 작아진다. 수평전력지수P가 100%보다 작아진다는 것은 편향요크(1)을 구동하는 수평편향회로의 소비전력이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편향요크(1)의 편향감도가 향상하는 것을 의미한다. 편향요크(1)의 네크측 끝을 단축해서 수평편향코일(2)의 치수a를 70㎜보다 짧게 하면 수평편향 전력지수P가 100%보다 높아져 수평편향감도가 열화한다.
도 2의 특성B1에 있어서, 편향요크(1)의 개구측 끝을 단축해서 수평편향코일(2)의 전체적인 치수a를 70㎜보다 짧게 하면 수평편향 전력지수P가 100%보다 낮아져 수평편향감도가 개선된다. 한편, 치수a가 70㎜보다 길어지면 수평편향 전력지수P가 100%보다 높아져 수평편향감도가 열화한다.
다음에, 도 3을 사용해서 도 1에 있어서의 수평편향코일(2)의 관축방향의 치수a를 변화시킨 경우의 전자빔의 네크섀도우여유도의 변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네크섀도우 여유도BSN라는 것은 편향요크(1)을 음극선관의 유리용기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음극선관의 형광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서 전자빔의 일부가 유리용기에 의해 차단되고 네크섀도우(형광면의 4모서리중의 어느 일부분이 발광하지 않게 된다)가 발생할 때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수평편향코일(2)의 관축방향의 길이를 변화시킨 경우의 BSN의 변화량을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횡축은 수평편향코일(2)의 치수a를 나타내고, 종축은 BSN의 변화량N을 나타낸다. 동일도면에 있어서, 특성A2는 수평편향코일(2)의 전체적인 치수a를 상기 70㎜를 기준으로 해서 편향요크(1)의 네크측 길이를 변화시켰을 때의 BSN의 변화량N을 나타낸 것이다. 특성B2는 수평편향코일(2)의 전체적인 치수a를 상기와 같이 70㎜를 기준으로 해서 편향요크(1)의 개구측 길이를 변화시켰을 때의 BSN의 변화량N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수평편향코일(2)의 치수a는 70㎜로 했을 때의 BSN의 변화량N을 0㎜로 나타내고 있다.
특성A2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편향요크(1)의 네크측을 길게 해서 수평편향코일(2)의 전체적인 치수a를 70㎜보다 길게 하면 BSN이 짧아져서 악화되고, 치수a를 70㎜보다 짧게 하면 BSN이 길어져서 개선된다.
또, 특성B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요크(1)의 개구측을 짧게 해서 수평편향코일(2)의 전체적인 치수a를 70㎜보다 짧게 하면 BSN이 짧아져서 악화되고, 치수a를 70㎜보다 길게 하면 BSN이 길어져서 개선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특성도로 부터는 수평편향 전력지수P와 BSN의 관계가 상반하는 관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요크(1)의 네크측만을 길게 해서 수평편향 전력지수P를 개선해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BSN이 짧아지기 때문에 양쪽의 특성은 성립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요크(1)의 개구측만을 길게 해서 수평편향 전력지수P를 개선해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BSN이 짧아지기 때문에 양쪽의 특성은 성립하지 않는다. 이 결과, 양쪽의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편향요크(1)의 네크측을 길게 하는 경우 이것과 동시에 개구측도 길게 하면 좋다. 마찬가지로 해서, 편향요크(1)의 네크측을 짧게 하는 경우에는 이것과 동시에 개구측도 짧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수평편향코일(2)의 치수a를 네크측으로 너무 길게 하면 전자총으로의 악영향이 발생해서 화상의 포커스열화가 발생한다. 이하, 이것에 대해서 도 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수평편향코일의 치수를 변화시킨 경우의 전자빔의 빔직경의 변화율을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횡축은 수평편향코일의 치수a를 나타내고, 종축은 빔직경의 변화량R을 나타낸다. 또한, 도 4에서는 포커스열화가 문제로 되지 않는 최대빔직경을 100%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빔직경은 이것 이하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도 4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포커스열화를 허용할 수 있는 수평편향코일(2)의 치수a는 80㎜이하이다.
또, 이것과는 반대로 편향요크(1)의 개구측 및 네크측을 짧게 해서 수평편향코일(2)의 형상을 작게 하면 온도상승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 도 5를 사용해서 편향요크(1)의 온도상승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수평편향코일의 치수를 변화시킨 경우의 편향요크의 온도상승을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횡축은 수평편향코일(2)의 치수a를 나타내고, 종축은 온도T를 나타낸다. 즉, 도면에 있어서, 편향요크(1)의 최대허용온도를 기준 즉 0으로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편향요크(1)은 이것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도면에 도시한 특성도로 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온도상승의 허용값을 만족시키는 수평편향코일(2)의 치수a는 60㎜이상이다.
이상,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결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편향코일(2)의 허용치수a는 60㎜이상 80㎜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도 1에 도시한 수직편향코일(3)의 관축방향의 치수b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치수b는 수평편향코일(2)의 관축방향의 치수a에서 수평편향코일(2)의 개구측 가장자리(21)(가장자리는 스팬(span)부라고도 한다) 및 네크측 가장자리(22)의 두께g1, g2와 수평편향코일(2)와 수직편향코일(3) 사이를 절연하는 분리기(23)의 두께h를 뺀 길이로 된다. 수평편향코일(2)의 개구측 및 네크측 가장자리의 두께g1, g2(도 1참조)는 약 4∼7㎜정도이고, 평균적인 값으로서는 약 6.3㎜정도이다. 분리기(23)의 두께h는 개구측 및 네크측에서 각각 약 1㎜정도, 평균적인 값으로서는 약 1.2㎜정도이다. 따라서, 수직편향코일(3)의 관축방향의 치수b는 수평편향코일(2)의 관축방향의 치수a에서 약 15㎜를 뺀 길이로 된다. 따라서, 수직편향코일b의 치수는 45㎜이상 65㎜이하의 값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해서, 도 4에 있어서의 코어(4)의 관축방향의 치수c는 수직편향코일(3)의 관축방향의 치수b에서 수직편향코일(3)의 개구측 가장자리(24) 및 네크측 가장자리(25)의 가장자리두께k1, k2, 수직편향코일(3)과 코어(4)의 개구측 공간 및 네크측 공간를 뺀 길이로 된다. 여기에서, 수직편향코일(3)의 개구측 및 네크측 가장자리두께k1, k2는 약 4∼7㎜정도이고 평균적인 값으로서는 약 6.3㎜정도이고, 수직편향코일(3)의 네크측 가장자리(24)와 코어(4) 사이의 공간치수가 약1㎜정도이고, 또 불필요 복사대책을 고려한 수직편향코일(3)과 코어(4)의 공간분으로서 약 6.5㎜를 고려하면, 코어(4)의 관축방향의 치수c는 수직편향코일(3)의 관축방향의 치수b보다 약 20㎜정도 짧은 길이로 된다. 이것에 의해 이 치수b는 25㎜이상 45㎜이하의 값으로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1)에 있어서는 수평편향코일(2)의 치수a를 60㎜이상 80㎜이하로 설정하고, 수직편향코일(3)의 치수b를 45㎜이상 65㎜이하로 설정하고, 코어(4)의 치수c를 25㎜이상 45㎜이하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네크직경이 22㎜이상 26㎜이하이고, 편향각도가 95°이상 110°이하인 음극선관에 이 편향요크(1)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편향요크장착부의 네크직경이 23.6㎜∼25㎜, 편향각이 95°∼105°, 형광면의 대각치수가 400㎜∼420㎜인 음극선관에 적용해서 바람직한 편향요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31)은 편향요크, (35)는 막대자석(bar magnet), (36)은 조임용 밴드(clamping band), (37)은 편향요크(31)의 네크측, (38)은 편향요크(31)의 개구측, (42)는 수평편향코일, (43)은 주수직편향코일, (44)는 주코어, (45)는 분리기, (46)은 부코어, (47)은 보조수직편향코일, (48)은 링형상 자석, (71)은 편향요크(31)의 기준선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편향요크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편향요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면에 있어서, 편향요크(31)은 수평편향코일(42), 주수직편향코일(43), 주코어(44), 분리기(45), 부코어(46), 보조수직편향코일(47), 링형상 자석(48), 막대자석(35) 및 조임용 밴드(36)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수평편향코일(4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접원(73)에 외접하고, 외접원(74)에 내접하고 있다.
도 7은 도 1의 편향요크의 정면도이다. 도 8a는 컬러음극선관의 형광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8b는 도 8a의 화살표A-A 방향에서 본 컬러음극선관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32)는 컬러음극선관, (51)은 형광면, (52)는 퍼넬부, (53)은 네크부, (54)는 인라인배열의 다전자빔을 발생하는 전자총, (55)는 패널부, (72)는 컬러음극선관(32)의 기준선이다.
도 8b에 있어서, 컬러음극선관(32)는 형광면(51), 퍼넬부(52), 네크부(53), 전자총(54), 패널부(55)를 구비하고 있다. Lb는 음극선관(32)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컬러음극선관(32)내에는 섀도우마스크나 내부실드(inner shield) 등이 마련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를 구비한 컬러음극선관장치와 그 주변회로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60)은 비디오회로, (61)은 수평편향회로, (62)는 수직편향회로, (63)은 고압회로, (85)는 비디오신호의 입력단자, (86)은 수평동기신호의 입력단자, (87)은 수직동기신호의 입력단자이고, 도 6∼도 8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컬러음극선관(32)에는 스테이틱 집중자석(33)이 부착된다. 또, 그 주변회로로서는 비디오회로(60)이나 수평편향회로(61), 수직편향회로(62), 고압회로(63) 등이 마련되어 있다.
컬러음극선관(32)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앞면의 대각(A-A로 나타낸다)의 치수Lt가 약 410㎜(400㎜∼420㎜의 범위를 말한다)의 형광면(51)을 형성한 패널부(55), 그 중간부에 마련되고 약 100° 편향에 적합한 퍼넬부(52) 및 그 후방부에 마련되고 외경ψDn이 약 24.3㎜인 네크부(53)을 갖는다. 이 네크부(53)의 후단에 인라인배열의 다전자빔을 발생하는 전자총(54)가 마련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들 퍼넬부(55)에서 네크부(53)에 걸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요크(31)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컬러음극선관(32)의 적어도 편향요크(31)이 조임용 밴드(36) 등에 의해 장착되는 부분에서의 네크부(53)의 외경ψDn은 ±0.7㎜의 제조공차를 고려해서 23.6㎜∼2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편향코일(42)의 최소내경ψDi는 네크부(53)의 외경ψDn의 최대값에 대해서 0㎜∼2㎜만큼 큰 25㎜이상 27㎜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평편향코일(42)의 직경ψDi는 약 26㎜의 내접원(73)(도 7참조)에 외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사이즈의 음극선관을 편향하는 경우에도 종래의 29.1㎜네크형 컬러음극선관장치에 사용되는 수평편향코일은 내면이 직경56.5㎜의 원에 외접하는 관축방향의 위치(기준선)에 대해서 개구측 치수가 37㎜, 네크측 끝까지의 길이가 56㎜이다. 따라서 관축방향의 치수가 93㎜나 되는 편향요크에 비해 이 실시예의 편향요크(31)의 수평편향코일(42)의 치수L1은 20.5㎜이상 24.5㎜이하이고, L2의 치수는 46㎜∼50㎜이다. 그러므로, 발생된 자속수를 저감시켜서 인덕턴스의 증대화를 방지할 수 있어 수평편향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도 6에 있어서, 편향요크(31)은 그 내면이 직경ψ 56.5㎜의 원에 외접하는 관축방향의 위치(즉, 편향요크(1)의 기준선(71))를 기준으로 해서 수평편향코일(42)의 개구측(38)의 끝까지의 길이L1을 약 22.5㎜로 하고, 수평편향코일(42)의 네크측(37)의 끝까지의 길이L2를 약48㎜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평편향코일(42)의 개구측(38)의 가장자리(42a)(도 7 참조)는 직경ψDo가 약 130㎜인 외접원(74)(도 7참조)에 내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수평편향코일(42)의 개구측(38)의 가장자리(42a)부근의 퍼넬부(52)의 외경은 관축방향으로 1㎜변화하면 직경이 약 2.5㎜변화한다. 이 때문에, 길이L1(도 6 참조)을 짧게 한 이 실시예의 편향요크(31)에서는 직경ψDo가 작아진다. 따라서, 동일크기의 음극선관을 편향하는 경우 종래의 29.1㎜ 네크형 컬러음극선관용의 편향요크에 비해 수평편향코일(42)의 개구측(38)의 가장자리(42a)에서 발생하는 누설자속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수평편향코일의 인덕턴스의 증대화를 방지할 수 있어 수평편향감도가 향상한다.
상기한 기준선(71)로 부터의 치수L1이 22.5㎜, 치수L2가 48㎜인 편향요크(31)을 기준으로 해서 수평편향코일(42), 수직편향코일(43) 및 코어(44)의 개구측(38)(도 6에 있어서 기준선(71)에서 보아 화살표X1방향으로 연장하는 편향요크(31)에 대응)을 확장시키면, 1㎜당 수평편향감도는 약 2%악화한다. 수평편향감도를 충분히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평편향감도의 변화량을 4%이내로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명확하게 되었다. 따라서, 수평편향코일(42)의 개구측(38)을 기준선(71)로부터 더욱 연장시키는 길이는 2㎜이하로 하였다. 또, L1이 22.5㎜인 편향요크(31)을 기준으로 해서 수평편향코일(42), 수직편향코일(43) 및 코어(44)의 개구측(38)을 단축하면 1㎜당 네크섀도우 여유도는 약 0.3㎜ 짧아진다. 네크섀도우 여유도의 변화량을 0.6㎜이하로 하면 좋은 것이 실험적으로 명확하게 되었다. 따라서, 수평편향코일(42)의 개구측(38)을 기준선(71)로 부터 더욱 단축하는 길이는 2㎜이하로 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편향코일(42)의 개구측(38)의 끝까지의 길이L1을 20.5㎜이상 24.5㎜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6, 도 7에 도시한 편향요크(31)에 있어서, L2=48㎜를 기준으로 해서 수평편향코일(42), 수직편향코일(43) 및 코어(44)의 네크측(37)을 연장시키면, 1㎜당 네크섀도우 여유도는 약 0.6㎜ 짧아진다. 따라서, 개구측(38)을 네크측(37)과 동일량만큼 연장시킨다고 해도 네크섀도우 여유도를 충분히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장시키는 길이를 2㎜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알 수 있었다.
또, L2=48㎜의 편향요크(31)을 기준으로 해서 수평편향코일(42), 수직편향코일(43) 및 코어(44)의 네크측(37)을 단축시키면, 1㎜당 수평편향감도가 약 3% 악화된다. 따라서, 수평편향감도를 충분히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평편향감도의 악화를 개구측(3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4% 이하로 할 필요가 있는 것이 실험적으로 명확하게 되었으므로, 개구측(38)에서 1㎜단축함과 동시에 네크측(37)에서는 2㎜ 이하 단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기술한 것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편향코일(42)의 네크측(37)의 끝까지의 길이L2(도 6 참조)는 46㎜∼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편향코일(42)의 관축방향의 길이는 도 6에 도시한 길이L1과 길이L2의 합이다. 따라서, 수평편향감도 및 네크섀도우 여유도를 충분히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평편향코일(42)의 길이를 66.5㎜∼74.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평편향코일(42)의 개구측(38)의 가장자리(42a)의 크기는 길이L1의 범위와 음극선관(32)의 퍼넬부(52)(도 8b 참조)의 형상의 관계상 직경 125㎜∼135㎜의 외접원(74)(도 7 참조)에 내접하는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b에 도시한 컬러음극선관(32)에서는 퍼넬부(52)의 외경이 56.5㎜로 되는 관축방향의 위치(즉, 컬러음극선관(32)의 기준선(72))를 원점으로 한 형광면(51)의 대각방향의 확장각도θpp가 약 100°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각도θpp는 90°편향과 110°편향 사이의 100° 편향에 대응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음극선관(32)의 편향각도는 오차를 고려하면 95°∼105°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음극선관(32)에 편향요크(31)을 장착한 컬러음극선관장치에 있어서 편향요크(31)은 컬러음극선관(32)의 퍼넬부(52)에 밀착시킨 상태부터 약 3㎜ 후퇴시킨 위치에서 사용한다. 즉, 편향요크(31)의 기준선(71)은 컬러음극선관(32)의 기준선(72)에 대해서 3㎜만큼 네크측(37)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치수L1=22.5㎜, L2=48㎜를 각각 예로 들고 컬러음극선관(32)의 기준선(72)를 기준으로 하면, 수평편향코일(42)의 개구측(38)의 끝까지의 길이L3은 19.5㎜로 되고, 수평편향코일(42)의 네크측(37)(전자총측)의 끝까지의 길이L4는 51㎜로 된다. 따라서, 종래의 29.1㎜네크형 컬러음극선관장치에 비해 치수L3, L4를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컬러음극선관(32)의 기준선(72)에 본 네크측(37)의 컬러음극선관(32)의 관축방향의 길이를 종래의 29.1㎜네크형 컬러음극선관장치에 비해 짧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수평편향코일(42)의 길이L3, L4(도 9 참조)를 각각 종래의 29.1㎜네크형 컬러음극선관장치에 비해 짧게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들 길이L3 및 L4의 변화의 효과를 상쇄시켜 네크섀도우가 발생해서 문제로 되는 일은 없다. 또한, 수평편향코일(42)의 길이L1:20.5㎜∼24.5㎜, 길이L2:46㎜∼50㎜의 범위(도 6 참조) 및 편향요크(31)의 부착오차 ±1㎜를 고려하면, 수평편향코일(42)의 길이L3은 20.5㎜ - 4㎜ = 16.5㎜∼24.5㎜ - 2㎜ = 22.5㎜로 되고, 수평편향코일(42)의 길이L4는 46㎜ + 2㎜ = 48㎜∼50㎜ + 4㎜ = 54㎜로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디스플레이장치는 편향요크(31)이 장착된 컬러음극선관장치와 함께 비디오회로(60), 수평편향회로(61), 수직편향회로(62) 및 고압회로(63)을 구비하고 있다. 비디오신호가 입력단자(85)에서, 또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단자(86)에서,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단자(87)에서 각각 입력되는 것에 의해, 이들 비디오회로(60), 수평편향회로(61), 수직편향회로(62) 및 고압회로(63)이 각각 동작한다.
그리고, 수평편향회로(61)에 의해 수평편향코일(42)에 수평편향전류Ih가 공급되어 수평편향자계가 발생한다. 수직편향회로(62)에 의해 주수직편향코일(43)과 보조수직편향코일(47)에 수직편향전류Iv가 공급되어 수직편향자계가 발생한다. 비디오회로(60)에 비디오신호가 공급되어 전자총(54)가 제어된다. 그 결과, 이 비디오신호에 의해 변조된 전자빔이 컬러음극선관(32)내에 발생하고 수평편향자계나 수직편향자계에 의해 편향된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컬러음극선관(32)의 관축방향의 길이Lb(도 9 참조)를 약 341㎜로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비해 디스플레이장치의 깊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종래의 41㎝ - 100°- 29.1㎜네크형 컬러음극선관장치에 비해 전체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컬러음극선관(32)의 관축방향의 길이Lb는 제조공차±3㎜를 고려해도 338㎜이상 344㎜이하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불필요 복사자계를 경감할 수 있는 편향요크에 대해서 도 10∼도 13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변형예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VLMF의 특성도이다. 횡축은 수평편향코일과 개구측 끝과 코어의 개구측 끝 사이의 치수d를 나타내고, 종축은 초저주파자계VLMF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한 편향요크(1)과 같이 수평편향코일(2)의 치수a가 60㎜이상 80㎜이하, 수직편향코일(3)의 치수b가 45㎜이상 65㎜이하, 코어(4)의 치수c가 25㎜이상 45㎜이하인 편향요크(1)에 있어서, 코어(4)의 개구 끝과 수평편향코일(2)의 개구 끝 사이의 치수d 및 코어(4)의 개구 끝과 수직편향코일(3)의 개구 끝 사이의 치수e가 매우 커지도록 코어(4)를 네크측에 부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치수d, e를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종래예와 같은 상쇄코일을 사용하지 않아도 편향요크(1)에서 발생하는 불필요 복사자계(VLMF, ELMF)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1은 코어의 개구측과 수평편향코일의 개구측 끝의 길이를 변화시킨 경우의 VLMF의 변화율을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면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VLMF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치수d를 길게 하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코어(4)의 개구측을 짧게 하고 거리d를 길게 하면 VLMF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1에 있어서, VLMF의 규격값25nT 이하를 만족시키기 위한 기준으로 규정된 d를 실험에 의해 구한다. 수평편향코일(2)의 치수a를 70㎜, 수직편향코일(3)의 치수b를 55㎜, 코어(4)의 치수c를 35㎜로 한 경우, 치수d=22㎜일 때 이 규격값을 만족시키는 몇개의 데이타를 얻을 수 있었다. 이 VLMF의 규격값을 안정하게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치수d=25㎜이상 필요하였다. 수평편향코일(2)를 네크측으로 연장한 경우에는 필요한 치수d는 적어지고 치수d로서는 15㎜이상있으면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치수d의 최대값은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2), 수직편향코일(3), 코어(4), 분리기(23)의 물리적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수평편향코일(2)의 치수a의 최대값 80㎜에서 코어(4)의 최대값25㎜, 수평편향코일(2)의 가장자리(22)의 두께g2:약6.3㎜, 분리기(23)의 두께: 약 1.2㎜, 수직편향코일(3)의 가장자리(25)의 두께k2:약6.3㎜ 및 수직편향코일(3)의 네크측의 가장자리(24)와 코어(4)의 네크측 끝 사이의 공간치수: 약1㎜정도를 뺀 값으로 된다. 이 경우, 치수d의 최대값은 40.2㎜ 즉 약 40㎜로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예와 같은 상쇄코일을 사용하지 않아도 편향요크(1)에서 발생하는 VLMF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평편향감도의 열화가 없고 또 편향요크형상의 소형화 및 비용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이다. 횡축은 수직편향코일의 개구부 끝과 코어의 개구부 끝 사이의 치수e를 나타내고, 종축은 극초저주파자계ELMF의 변화율을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편향코일(2)의 치수a가 60㎜이상 80㎜이하, 수직편향코일(3)의 치수b가 45㎜이상 65㎜이하, 코어(4)의 치수c가 25㎜이상 45㎜이하인 편향요크(1)에 있어서, ELMF를 저감시키도록 코어(4)의 끝과 수직편향코일(3) 사이의 치수e와 ELMF의 관계에 대해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를 도 13에 도시한다.
이 도면은 코어(4)의 개구측과 수직편향코일(3)의 개구 끝 사이의 치수e를 변화시킨 경우의 ELMF의 변화율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ELMF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치수e를 길게 하면 좋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코어(4)의 개구측을 짧게 하고 치수e를 길게 하면 ELMF의 저감이 가능하다.
다음에, 규격값 200nT이하를 만족시키기 위한 기준으로서 주어진 e를 실험에 의해 구한다. 수평편향코일(2)의 치수a를 70㎜, 수직편향코일(3)의 치수b를 55㎜, 코어(4)의 치수c를 35㎜로 한 경우, 치수e=15㎜일 때 ELMF의 규격값을 안정하게 만족시킬 수 있었다. 수평편향코일(2)를 네크측으로 연장시킨 경우에는 필요한 치수e가 적어지고 치수e로서는 5㎜이상 있으면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치수e의 최대값은 치수d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편향요크의 물리적인 구성에 따라 제한된다. 치수e는 치수d에서 수평편향코일(2)의 가장자리 두께g1 및 분리기(23)의 두께를 뺀 값으로 된다. 예를 들면, 치수e의 최대값은 d의 최대치수:40㎜에서 가장자리 두께g1:약6.3㎜ 및 분리기(23)의 두께:1.2㎜를 뺀 값으로 된다. 이 경우 치수e는 32.5㎜ 즉 약 33㎜로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예와 같은 상쇄코일을 사용하지 않아도 편향요크(1)에서 발생하는 ELMF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직편향감도의 열화가 없고 또 편향요크형상의 소형화 및 비용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요크를 구비한 음극선관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23)은 분리기, (6)은 수직보조코일용 자성체, (7)은 수직보조코일, (8)은 단자커버, (9)는 전자총, (10)은 스테이틱 집중자석, (11)은 음극선관의 관체, (12)는 형광면, (13)은 화상회전용 코일이다. 도 1에 대응하는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앞면에 형광면(12)를 구비한 음극선관(11)의 네크부에 편향요크(1)이 부착된다. 이 음극선관의 관체(11)의 네크부에 전자총(9)가 부착된다. 이 편향요크(1)은 수평편향코일(2)와 수직편향코일(3)의 외주에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코어(4)가 배치되고, 또 전자총(9)측에 수직보조코일(7)이 감긴 수직보조코일용 자성체(6)이 마련되고, 또 형광면(12)측에 화상의 회전성분을 보정하기 위해 링형상으로 감긴 화상회전용 코일(13)이 배치되어 있다.
이 음극선관장치에서는 상술한 편향요크(1)을 적용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불필요 복사자계(VLMF, ELMF)의 규격값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편향요크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구성도이다. (14)는 비디오신호의 입력단자, (15)는 수평동기신호의 입력단자, (16)은 수직동기신호의 입력단자, (17)은 비디오회로, (18)은 수평편향회로, (19)는 수직편향회로, (20)은 고압회로이다. 도 14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음극선관장치에 비디오회로(17), 수평편향회로(18), 수직편향회로(19), 고압회로(20) 등이 마련되어 있다.
비디오신호는 입력단자(14)에서 입력되고 비디오회로(17)에서 처리된 후 음극선관장치로 공급된다. 수평동기신호는 입력단자(15)에서 입력되고, 수평편향회로(18)로 공급되고 그곳에서 수평편향전류IH가 형성되며, 편향요크(1)의 수평편향코일(2)로 공급된다. 또, 이 수평동기신호는 고압회로(20)으로도 공급되고 그곳에서 압압(electrical tension)이 발생되고 음극선관장치로 공급된다. 수직동기신호는 입력단자(16)에서 입력되고, 수직편향회로(19)로 공급되고 그곳에서 수직편향전류IV가 형성되며, 편향요크(1)의 수직편향코일(3)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해서 음극선관장치가 구동된다.
이와 같이, 이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상술한 편향요크(1)을 적용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불필요 복사자계(VLMF, ELMF)의 규격값을 만족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직경이 22㎜∼26㎜인 네크부를 갖고 95°∼110°편향형 컬러음극선관에 장착하는데 적합한 편향요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편향요크는 종래의 컬러음극선관의 관축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관축을 갖는 음극선관에 적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평편향코일의 인덕턴스의 증대화를 방지할 수 있어 수평편향감도가 양호하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7)

  1. 네크직경이 22㎜이상 26㎜이하이고, 편향각이 95°이상 110°이하인 음극선관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편향요크로서,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방향에 대한 치수가 60 ㎜이상 80㎜이하인 수평편향코일,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방향에 대한 치수가 45㎜이상 65㎜이하인 수직편향코일 및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방향에 대한 치수가 25㎜이상 45㎜이하인 코어로 구성되는 편향요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그 개구측 끝과 네크측 끝에 각각 마련된 가장자리부를 갖고,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그 개구측 끝과 네크측 끝에 각각 마련된 가장자리부를 갖는 편향요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외주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편향코일과 상기 수평편향코일 사이에 분리기가 마련된 편향요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개구측 끝과 상기 코어의 개구측 끝 사이의 거리를 15㎜이상으로 한 편향요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개구측 끝과 상기 코어의 개구측 끝 사이의 거리를 15㎜이상 40㎜이하로 한 편향요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개구측 끝과 상기 코어의 개구측 끝 사이의 거리를 5㎜이상으로 한 편향요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개구측 끝과 상기 코어의 개구측 끝 사이의 거리를 5㎜이상 33㎜이하로 한 편향요크.
  8. 네크직경이 22㎜이상 26㎜이하이고, 편향각이 95 °이상 110°이하인 음극선관과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방향에 대한 치수가 60㎜이상 80㎜이하인 수평편향코일,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방향에 대한 치수가 45㎜이상 65㎜이하인 수직편향코일 및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방향에 대한 치수가 25㎜이상 45㎜이하인 코어를 구비한 편향요크로 구성되고,
    상기 편향요크가 상기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된 음극선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는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개구측 끝과 상기 코어의 개구측 끝 사이의 거리가 15㎜이상으로 되도록 구성된 음극선관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는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개구측 끝과 상기 코어의 개구측 끝 사이의 거리가 5㎜이상으로 되도록 구성된 음극선관장치.
  11. 네크직경이 22㎜이상 26㎜이하이고, 편향각이 95 °이상 110°이하인 음극선관,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방향에 대한 치수가 60㎜이상 80㎜이하인 수평편향코일,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방향에 대한 치수가 45㎜이상 65㎜이하인 수직편향코일, 상기 음극선관의 관축방향에 대한 치수가 25㎜이상 45㎜이하인 코어를 구비한 편향요크,
    상기 음극선관에 접속된 비디오회로,
    상기 수평편향코일에 접속된 수평편향회로 및
    상기 수직편향코일에 접속된 수직편향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편향요크는 상기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는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개구측 끝과 상기 코어의 개구측 끝 사이의 거리가 15㎜이상으로 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크는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개구측 끝과 상기 코어의 개구측 끝 사이의 거리가 5㎜이상으로 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장치.
  14. 대각치수가 400㎜이상 420㎜이하인 형광면과 편향요크를 장착하는 부분에 있어서 외경이 23.6㎜이상 25.0㎜이하인 네크부를 갖는 95°∼105°편향형 컬러음극선관에 사용되는 편향요크로서,
    수평편향코일,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외측에 배치된 수직편향코일 및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외측에 배치된 코어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편향코일은 상기 편향요크의 내면이 직경56.5㎜인 원에 외접하는 관축방향의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개구측 끝까지의 길이가 20.5㎜이상 24.5㎜이하이고,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네크측 끝까지의 길이가 46㎜이상 50㎜이하로 되도록 구성된 편향요크.
  15. 대각치수가 400㎜∼420㎜인 형광면, 95°∼105°편향에 적합한 퍼넬부, 외경이 23.6㎜∼25.0㎜인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내에 마련되고 인라인배열의 다전자빔을 발생하는 전자총을 갖는 컬러음극선관의 상기 퍼넬부에서 상기 네크부에 걸쳐 장착하여 사용되는 편향요크로서,
    수평편향코일,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외측에 배치된 수직편향코일, 상기 수직편향코일의 외측에 배치된 코어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최소내경이 25㎜이상 27㎜이하이고,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관축방향의 길이가 66.5㎜이상 74.5㎜이하이고,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개구측의 가장자리가 직경이 125㎜이상 135㎜이하인 원에 내접하도록 구성된 편향요크.
  16. 대각치수가 400㎜∼420㎜인 형광면, 95°∼105°편향에 적합한 퍼넬부, 외경이 23.6㎜이상 25.0㎜이하인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내에 인라인배열의 다전자빔을 발생하는 전자총이 마련된 컬러음극선관과
    상기 음극선관의 상기 퍼넬부에서 상기 네크부에 걸쳐 장착되고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갖는 편향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퍼넬부의 외경이 56.5㎜인 관축방향의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개구측 끝의 위치는 상기 기준에서 16.5㎜이상 22.5㎜이하의 범위내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네크측 끝의 위치는 상기 기준에서 48㎜이상 54㎜이하의 범위내에 배치된 컬러음극선관장치.
  17. 대각치수가 400㎜∼420㎜인 형광면, 95°∼105°편향에 적합한 퍼넬부, 외경이 23.6㎜이상 25.0㎜이하인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내에 인라인배열의 다전자빔을 발생하는 전자총이 마련되고 컬러음극선관의 관축방향의 길이가 338㎜이상 344㎜이하인 컬러음극선관,
    상기 음극선관의 상기 퍼넬부에서 상기 네크부에 걸쳐 장착되고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을 구비한 편향요크,
    상기 전자총의 전자빔을 제어하는 비디오회로,
    상기 수평편향코일에 수평편향전류를 공급하는 수평편향회로,
    상기 수직편향코일에 수직편향전류를 공급하는 수직편향회로 및
    상기 컬러음극선관에 고전압을 공급하는 고압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퍼넬부의 외경이 56.5㎜인 관축방향의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개구측 끝의 위치는 상기 기준에서 16.5㎜이상 22.5㎜이하의 범위내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편향코일의 네크측 끝의 위치는 상기 기준에서 48㎜이상 54㎜이하의 범위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장치.
KR1019980029811A 1997-07-29 1998-07-24 편향요크 및 이것을 사용한 음극선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KR100288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306397A JPH1145671A (ja) 1997-07-29 1997-07-29 偏向ヨーク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97-203063 1997-07-29
JP97-203064 1997-07-29
JP20306497A JPH1145670A (ja) 1997-07-29 1997-07-29 偏向ヨーク及びこれを用いた陰極線管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134A true KR19990014134A (ko) 1999-02-25
KR100288807B1 KR100288807B1 (ko) 2001-06-01

Family

ID=2651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811A KR100288807B1 (ko) 1997-07-29 1998-07-24 편향요크 및 이것을 사용한 음극선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66484A (ko)
KR (1) KR100288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943B1 (ko) * 2000-12-09 2003-12-18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1799A (ja) * 1998-03-27 1999-10-15 Ebara Corp 電子線照射装置
KR100309764B1 (ko) * 1998-11-10 2002-05-01 김순택 음극선관
FR2791468B1 (fr) * 1999-03-24 2001-05-11 Thomson Tubes & Displays Unite de deviation pour tube a rayons cathodiques autoconvergents a differentiel de trapeze reduit
JP2002190264A (ja) * 2000-12-20 2002-07-05 Hitachi Ltd 偏向ヨークおよび陰極線管装置
JP2002289118A (ja) * 2001-03-27 2002-10-04 Toshiba Corp カラー陰極線管装置
JP4057887B2 (ja) 2001-10-30 2008-03-05 株式会社東芝 偏向ヨーク及び偏向ヨークを備えた陰極線管装置
KR100465302B1 (ko) * 2002-05-07 2005-01-13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및 칼라 음극선관
US20040000858A1 (en) * 2002-06-28 2004-01-01 Samsung Electro Mechanics Co., Ltd. Deflection yoke
KR100489604B1 (ko) * 2002-09-13 2005-05-17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면 칼라 음극선관
US7098584B2 (en) * 2002-10-09 2006-08-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flection yoke
CN1252790C (zh) * 2002-11-19 2006-04-19 Lg飞利浦显示器(韩国)株式会社 阴极射线管的偏转系统
KR100612314B1 (ko) * 2004-12-03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KR20060098322A (ko) * 2005-03-11 2006-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60098321A (ko) * 2005-03-11 2006-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전자총 및 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6924A (en) * 1982-06-04 1983-03-15 Rca Corporation Self-converging television display system
JP3061389B2 (ja) * 1989-10-27 2000-07-10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装置
JP2619541B2 (ja) * 1989-11-22 1997-06-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偏向ヨークおよび該ヨークを取付けた陰極線管装置
KR940003047A (ko) * 1992-07-21 1994-02-19 문정환 디램(dram)에서 대용량을 갖는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SG46310A1 (en) * 1993-02-18 1998-02-20 Thomson Tubes & Displays Deflection yoke with a pair of magnets near its minor axis
CA2157104C (en) * 1994-08-29 2002-03-12 Masanobu Honda Deflection yoke and color cathode ray tube comprising the deflection yoke
JP3247029B2 (ja) * 1994-09-28 2002-0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偏向ヨーク及びそれ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装置
JP3543900B2 (ja) * 1996-12-27 2004-07-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陰極線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943B1 (ko) * 2000-12-09 2003-12-18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8807B1 (ko) 2001-06-01
US6166484A (en) 2000-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8807B1 (ko) 편향요크 및 이것을 사용한 음극선관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EP0424888B1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EP0053853B1 (en) Defecletion unit for a monochrome cathode-ray display tube and monochrome cathode-ray tube having such a deflection unit mounted on it
EP0692811B1 (en) A color picture tube
KR100432059B1 (ko) 칼라음극선관장치
KR100305304B1 (ko) 정전 4중극 렌즈를 통해 다이나믹 포커스 전압을 감소시킨 칼라 음극선관
TW478001B (en) Wide-angle deflectio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a reduced dynamic focus voltage
US4857796A (en) Cathode-ray tube with electrostatic convergence means and magnetic misconvergence correcting mechanism
US4455541A (en) Color cathode ray tube device
US6144151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electron gun
KR100310691B1 (ko) 편향장치와이를이용한칼라음극선관
US6456080B1 (en) Cathode ray tube
EP0311806A1 (en) Deflection unit for a colour cathode ray apparatus
US6646372B2 (en) Deflection yoke
KR100313208B1 (ko) 랜딩 천이나 라스터 회전이 없이 컨버전스의 보정이 가능한 컨버전스 장치를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
US4399388A (en) Picture tube with an electron gun having non-circular aperture
KR100222054B1 (ko) 인라인형 전자총을 구비한 컬러음극선관
JPH1145670A (ja) 偏向ヨーク及びこれを用いた陰極線管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
KR950003512B1 (ko) 코마 보정 칼라 텔레비젼 표시관
EP1168413B1 (en) Color TV tube apparatus and color display tube apparatus
JP2000106106A (ja) 偏向ヨ―ク及びそれを用いた陰極線管装置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KR810002006B1 (ko) 인-라인 칼라음극 선관용 편향유니트
JPH1145671A (ja) 偏向ヨーク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13785B1 (ko) 칼라음극선관의 자기쉴드
KR100223839B1 (ko) 칼라 브라운관용 전자총의 음극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