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719A -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719A
KR19990013719A KR1019980027595A KR19980027595A KR19990013719A KR 19990013719 A KR19990013719 A KR 19990013719A KR 1019980027595 A KR1019980027595 A KR 1019980027595A KR 19980027595 A KR19980027595 A KR 19980027595A KR 19990013719 A KR19990013719 A KR 19990013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rea
block
pointer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3630B1 (ko
Inventor
구사까베스스무
다까다마사유끼
Original Assignee
이데이노부유끼
소니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1375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1371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노부유끼, 소니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19990013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6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G07F7/1008Active credit-cards provided with means to personalise their use, e.g. with PIN-introduction/compariso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 G06F12/0246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in block erasable memory, e.g. flash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0806Details of the card
    • G07F7/0813Specific details related to card security
    • G07F7/082Features insuring the integrity of the data on or in the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럭 단위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가 데이타를 블럭 단위로 기억하는 영역과,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할당된 번호인 블럭 번호를 복수 기억하는 제1 및 제2 영역을 갖고 있고,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데이타를 기록하며, 그 데이타를 기록한 블럭의 블럭 번호를 제1 또는 제2 영역 중 다른 쪽의 영역에 기억시키고,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데이타를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메모리 손상(memory corruption)의 우려가 저감되어 안정하게 데이타를 판독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본 발명은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하는 IC(Integrated Circuit) 카드 등에 이용하는데 바람직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화폐 시스템이나 보안 시스템에서의 이용이 기대되고 있는 IC 카드(스마트 카드)가 개발되어 있다.
IC 카드는 각종 처리를 행하는 CPU나, 처리에 필요한 데이타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를 내장하고, 소정의 리더/라이터(R/W)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데이타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그런데, IC 카드 중에는 스스로는 배터리를 갖고 있지 않는 무배터리(batteryless)형 IC 카드가 있고, 이와 같은 무배터리형 IC 카드는 R/W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IC 카드에는 전자파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R/W 사이에서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함과 동시에, 그 전자파에 의해 필요한 전력을 취득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비접촉으로 IC 카드와 R/W 사이에서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IC 카드가 내장하는 메모리에 억세스하고 있는 도중에 전자파의 수신 상태가 불량으로 된 경우에 충분한 전력이 얻어지지 않게 되어, 메모리에서의 데이타의 정합성에 결함(메모리 손상: Memory Corruption)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IC 카드와 R/W를 접촉시켜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IC 카드를 R/W에 대해 자유롭게 뺏다 끼웠다 할 수 있을 때에는, 메모리에 억세스하고 있는 도중에 IC 카드가 R/W로부터 빠지면, 역시, 메모리 손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IC 카드에서, 예를 들면 MS-DOS(Microsoft-Disk Operating System) (등록 상표)의 FAT(File Allocation Table)와 같이, 데이타가 기억되는 단위(MS-DOS의 경우는 섹터)마다 정보가 보유되는 경우에는, FAT에 메모리 손상이 생기면 데이타(파일)의 위치 정보가 전부 상실되고, 데이타에 억세스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메모리 손상이 생기면, 최악의 경우 IC 카드가 사용 불능으로 되기 때문에, 메모리 손상에 대해서는 어떠한 대처가 필요해진다.
그래서, 전회(前回)의 데이타와 전전회(前前回)의 데이타를 IC 카드에 남겨 놓고, 전전회의 데이타를 새로운 데이타로 갱신하도록 하여, 갱신의 처리를 양호하게 행할 수 없던 경우 (전전회의 데이타가 파괴된 경우)에도 전회의 유효한 데이타가 남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한 경우, 전전회의 데이타를 갱신 중에 예를 들면 전원이 차단되면, 그 갱신된 데이타를 판독할 때, 그 데이타가 정확한 데이타로서 판독되거나, 잘못된 데이타로서 판독할 수 없어, 전회의 데이타가 판독되거나 하는 불안정한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안정하게 항상 1개의 데이타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는 메모리가 데이타를 블럭 단위로 기억하는 데이타 영역과,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할당된 번호인 블럭 번호를 복수 기억하는 제1 및 제2 영역을 갖고 있고,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데이타를 기록하며, 그 데이타를 기록한 블럭의 블럭 번호를 제1 또는 제2 영역 중 다른 쪽의 영역에 기억시키고,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데이타를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메모리가 데이타를 블럭 단위로 기억하는 데이타 영역과,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할당된 블럭 번호를 복수 기억하는 포인터 영역과, 포인터 영역의 블럭에 할당된 블럭 번호를 복수 기억하는 제1 및 제1 영역을 갖고 있고,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포인터 영역의 블럭의 블럭 번호에, 또한 대응하는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데이타를 기록하며, 그 데이타를 기록한 블럭의 블럭 번호를 포인터 영역의 블럭에 기억시키고, 그 기억된 포인터 영역의 블럭의 블럭 번호를 제1 또는 제2 영역 중 다른 쪽의 영역에 기억시키며,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데이타를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비접촉 카드 시스템의 한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도 1의 리더/라이터(1)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1의 IC 카드(2)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한 구성의 메모리에 대한 판독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4에 도시한 구성의 메모리에 대한 기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8은 싱글 포인터 방식이 적용되는 메모리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싱글 포인터 방식이 적용되는 메모리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싱글 포인터 방식에 의한 판독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1은 싱글 포인터 방식에 의한 기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2는 더블 포인터 방식이 적용되는 메모리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더블 포인터 방식이 적용되는 메모리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더블 포인터 방식에 의한 판독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5는 더블 포인터 방식에 의한 기록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6은 더블 포인터 방식에 의해 데이타의 기록 및 판독을 행하는 경우의, 도 3의 EEPROM(66)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유효 판정 블럭으로 되는 물리 블럭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포인터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더/라이터
2 : IC 카드
3 : 컨트롤러
21 : IC
23 : 변조 회로
25 : 복조 회로
27 : 안테나
51 : IC
52 : 컨덴서
53 : 안테나
61 : RF 인터페이스부
62 : BPSK 복조 회로
63 : PLL부
64 : 연산부
65 : ROM
66 : EEPROM
67 : RAM
68 : BPSK 변조 회로
81 : ASK 복조부
82 : 전압 조절기
83 : 발진 회로
84 : ASK 변조부
91 : 시퀀서
92 : 암호/복호부
93 : 패리티 연산부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비접촉 카드 시스템의 한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비접촉 카드 시스템은 R/W(1), IC 카드(2) 및 컨트롤러(3)로 구성되며, R/W(1)와 IC 카드(2)와의 사이에는 전자파를 이용하여 비접촉으로 데이타의 송수신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R/W(1)가 소정의 커맨드를 IC 카드(2)로 송신하고, IC 카드(2)는 그 커맨드를 수신하며, 그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IC 카드(2)는 그 처리 결과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타를 R/W(1)로 송신한다.
R/W(1)는 소정의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RS-485A의 규격 등에 준거한 것)를 통해 컨트롤러(3)에 접속되어 있고, 컨트롤러(3)는 R/W(1)에 대해 소정의 제어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소정의 처리를 행하게 한다.
도 2는 도 1의 R/W(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IC(21)에서는, 데이타의 처리를 행하는 DPU(Data Processing Unit: 31), IC 카드(2)로 송신하는 데이타 및 IC 카드(2)로부터 수신한 데이타의 처리를 행하는 SPU(Signal Processing Unit: 32), 컨트롤러(3)와의 통신을 행하는 SCC(Serial Communication Controller: 33), 및 데이타의 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있는 ROM부(41)와 처리 도중의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부(42)로 구성되는 메모리부(34)가 버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버스에는 소정의 데이타를 기억하는 플래시 메모리(22)도 접속되어 있다.
DPU(31)는 IC 카드(2)로 송신하는 커맨드를 SPU(32)로 출력함과 동시에, IC 카드(2)로부터 수신한 응답 데이타를 SPU(32)로부터 수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SPU(32)는 IC 카드(2)로 송신하는 커맨드에 대해 소정의 처리 [예를 들면, BPSK(BiPhase Shift Keying)] 변조 등을 행한 후, 변조 회로(23)로 출력함과 동시에, IC 카드(2)에 의해 송신되어 온 응답 데이타를 복조 회로(25)로부터 수신하고, 그 데이타에 대해 소정의 처리(BPSK 복조 등)를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변조 회로(23)는 발진기(26)로부터 공급된 소정의 주파수 (예를 들면 13. 56㎒)의 반송파를 SPU(32)로부터 공급된 데이타로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조하고, 생성된 변조파를 안테나(27)를 통해 전자파로서 IC 카드(2)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때, 변조 회로(23)는 변조도를 1미만으로 하여 ASK 변조를 행한다. 즉, 데이타가 로우 레벨일 때에도 변조파의 최대 진폭이 제로가 되지 않도록 한다.
복조 회로(25)는 안테나(27)를 통해 수신한 변조파(ASK 변조파)를 복조하고, 복조된 데이타를 SPU(32)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3은 도 1의 IC 카드(2)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IC 카드(2)에서는, IC(51)는 안테나(53)를 통해 R/W(1)에 의해 송신된 변조파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컨덴서(52)는 안테나(53)와 함께 LC 회로를 구성하고, 소정의 주파수 (캐리어 주파수)의 전자파에 동조(공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IC(51)에서는, RF 인터페이스부(61)는 ASK 복조부(81)로 안테나(53)를 통해 수신한 변조파 (ASK 변조파)를 검파하여 복조하고, 복조 후의 데이타를 BPSK 복조 회로(62) 및 PLL(Phase Locked Loop)부(63)로 출력함과 동시에, 전압 조절기(82)로 ASK 복조부(81)가 검파한 신호를 안정화하여, 각 회로에 직류 전력으로서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RF 인터페이스부(61)는 발진 회로(83)로 데이타의 클럭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발진하고, 그 신호를 PLL부(63)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RF 인터페이스부(61)의 ASK 변조부(84)는 연산부(64)로부터 공급된 데이타에 대응하여, IC 카드(2)의 전원으로서의 안테나(53)의 부하를 변동시킴 [예를 들면, 데이타에 대응하여 소정의 스위칭 소자를 온/오프시키고, 스위칭 소자가 온 상태일 때만 소정의 부하를 안테나(53)에 병렬로 접속시킴]으로써, 안테나(53)를 통해 수신하고 있는 변조파를 ASK 변조하고, 그 변조 성분을 안테나(53)를 통해 R/W(1)로 송신하도록 [R/W(1)의 안테나(27)의 단자 전압을 변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PLL부(63)는 ASK 복조부(81)로부터 공급된 데이타에 의해, 그 데이타에 동기한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그 클럭 신호를 BPSK 복조 회로(62) 및 BPSK 변조 회로(68)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BPSK 복조 회로(62)는 ASK 복조부(81)에서 복조된 데이타가 BPSK 변조되어 있는 경우, PLL부(63)로부터 공급된 클럭 신호에 따라 그 데이타의 BPSK 복조를 행하고, 복조한 데이타를 연산부(64)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연산부(64)는 BPSK 복조 회로(62)로부터 공급된 데이타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그 데이타를 암호/복호부(92)에서 복호화한 후, 그 데이타를 시퀀서(91)에서 처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데이타가 암호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BPSK 복조 회로(62)로부터 공급된 데이타는 암호/복호부(92)를 통하지 않고 시퀀서(91)에 직접 공급된다.
시퀀서(91)는 거기에 공급되는 커맨드로서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예를 들면 시퀀서(91)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66)에 대한 데이타의 기록이나 판독 등의 처리를 행한다.
연산부(64)의 패리티 연산부(93)는 EEPROM(66)에 기억되는 데이타나, EEPROM(66)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로부터 패리티로서 리드 솔로몬 부호를 산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연산부(64)는 시퀀서(91)에서 소정의 처리를 행한 후, 그 처리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타 [R/W(1)로 송신하는 데이타]를 BPSK 변조 회로(68)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BPSK 변조 회로(68)는 연산부(64)로부터 공급된 데이타를 BPSK 변조하고, 변조 후의 데이타를 RF 인터페이스부(61)의 ASK 변조부(84)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ROM(65)은 시퀀서(91)가 행해야 하는 처리 프로그램 외의 필요한 데이타를 기억하고 있다. RAM(67)은 시퀀서(91)가 처리를 행할 때, 처리 도중의 데이타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EEPROM(66)은 불휘발성의 메모리로, IC 카드(2)가 R/W(1)와의 통신을 종료하고, 전력 공급이 정지된 후에도 데이타를 계속해서 기억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R/W(1)와 IC 카드(2) 사이의 데이타의 송수신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R/W(1: 도 2)는 안테나(27)로부터 소정의 전자파를 방사하여 안테나(27)의 부하 상태를 감시하고, IC 카드(2)가 접근함에 따른 부하 상태의 변화가 검출될 때까지 대기한다. 또, 여기서는 R/W(1)는 소정의 짧은 패턴의 데이타로 ASK 변조한 전자파를 방사하여, IC 카드(2)로의 요구를, IC 카드(2)로부터의 응답이 일정 시간 내에 얻어질 때까지 반복하는 처리(폴링)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R/W(1)에서, IC 카드(2)의 접근이 검출되면, R/W(1)의 SPU(32)는 소정의 주파수 (예를 들면, 데이타의 클럭 주파수의 2배 주파수)의 구형파를 반송파로 하여, IC 카드(2)로 송신하는 데이타 [IC 카드(2)에 실행시키는 처리에 대응하는 커맨드나, IC 카드(2)에 기록하는 데이타 등]로 BPSK 변조를 행하고, 생성된 변조파 (BPSK 변조 신호)를 변조 회로(23)로 출력한다.
또, BPSK 변조 시에는, 차동 변환을 이용하여 변조파의 위상 변화에 데이타를 대응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한 경우, BPSK 변조 신호가 반전하더라도 원래의 데이타로 복조되므로, 복조할 때 변조파의 극성을 배려할 필요가 없어진다.
변조 회로(23)는 입력된 BPSK 변조 신호로 소정의 반송파를 1 미만 (예를 들면 0. 1)의 변조도 (= 데이타 신호의 최대 진폭/반송파의 최대 진폭)로 ASK 변조하고, 생성된 변조파 (ASK 변조파)를 안테나(27)를 통해 IC 카드(2)로 송신한다.
또, 송신을 행하지 않을 때, 변조 회로(23)는 디지털 신호의 2개의 레벨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 중, 예를 들면 하이 레벨로 변조파를 생성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IC 카드(2: 도 3)에서는, 안테나(53) 및 컨덴서(52)로 구성되는 LC 회로에서, R/W(1)의 안테나(27)가 방사한 전자파의 일부가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그 전기 신호(변조파)가 IC(51)의 RF 인터페이스(61)로 출력된다. 그리고, RF 인터페이스(61)의 ASK 복조부(81)는 그 변조파를 정류 평활화함으로써, 포락선 검파를 행하고, 이에 따라 생성되는 신호를 전압 조절기(82)에 공급함과 동시에, 그 신호의 직류성분을 억제하여 데이타 신호를 추출하며, 그 데이타 신호를 BPSK 복조 회로(62) 및 PLL부(63)로 출력한다.
전압 조절기(82)는 ASK 복조부(81)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안정화하고, 직류 전력을 생성하여 각 회로에 공급한다.
또, 이 때 안테나(53)의 단자 전압 V0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된다.
V0= V10(1+k×Vs(t))cos(ωt)
단, V10cos(ωt)는 반송파를, k는 변조도를, Vs(t)는 SPU(32)가 출력하는 데이타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ASK 복조부(81)에 의한 정류 후의 전압 V1에서의 로우 레벨의 값 VLR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된다.
VLR= V10(1+k×(-1)) - Vf
여기서, Vf는 ASK 복조부(81)에서 정류 평활화를 행하기 위한 정류 회로를 구성하는 다이오드에서의 전압 강하를 나타내고 있고, 일반적으로 0. 7볼트 정도이다.
전압 조절기(82)는 ASK 복조부(81)에 의해 정류 평활화된 신호를 수신하면, 그 신호를 안정화하고, 직류 전력으로서 연산부(64)를 비롯한 각 회로에 공급한다. 또, 변조파의 변조도 k는 1미만이므로, 정류 후의 전압 변동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의 차)이 작다. 따라서, 전압 조절기(82)에서 직류 전력을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조도 k가 5%의 변조파를, V10이 3볼트 이상으로 되도록 수신한 경우, 정류 후의 로우 레벨 전압 VLR은 2. 15(=3×(1- 0.05) - 0.7) 볼트 이상으로 되고, 전압 조절기(82)는 전원으로서 충분한 전압을 각 회로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정류 후의 전압 V1의 교류 성분 (데이타 성분)의 진폭 2×k×V10(Peak-to-Peak 치)은 0. 3(= 2×0.05×3) 볼트 이상으로 되고, ASK 복조부(81)는 충분히 높은 S/N 비로 데이타의 복조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조도 k가 1미만인 ASK 변조파를 이용함으로써, 에러율이 낮은 (S/N 비가 높은 상태에서) 통신을 행함과 동시에, 전원으로서 충분한 직류 전압이 IC 카드(2)에 공급된다.
BPSK 복조 회로(62)는 ASK 복조부(81)로부터 데이타 신호(BPSK 변조 신호)를 수신하면, 그 데이타 신호를, PLL부(63)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신호에 따라 복조하고, 복조된 데이타를 연산부(64)로 출력한다.
연산부(64)는 BPSK 복조 회로(62)로부터 공급된 데이타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암호/복호부(92)에서 복호화한 후, 그 데이타(커맨드)를 시퀀서(91)에 공급하여 처리한다. 또, 이 기간, 즉 IC 카드(2)에 데이타를 송신한 후,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때까지의 동안, R/W(1)는 값이 1인 데이타를 송신한 상태 그대로 대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기간에는 IC 카드(2)는 최대 진폭이 일정한 변조파를 수신하고 있다.
시퀀서(91)는 처리가 종료되면, 그 처리 결과 등에 대한 데이타 [R/W(1)로 송신하는 데이타]를 BPSK 변조 회로(68)로 출력한다. BPSK 변조 회로(68)는 R/W(1)의 SPU(32)와 마찬가지로, 그 데이타를 BPSK 변조한 후, RF 인터페이스부(61)의 ASK 변조부(84)로 출력한다.
그리고, ASK 변조부(84)는 안테나(53)의 양단에 접속되는 부하를,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BPSK 변조 회로(68)로부터의 데이타에 따라 변동시킴으로써, 수신하고 있는 변조파 [IC 카드(2)에 의한 데이타의 송신 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R/W(1)이 출력하는 변조파의 최대 진폭은 일정하게 되어 있음]를 송신하는 데이타에 따라 ASK 변조하고, 이에 따라 R/W(1)의 안테나(27)의 단자 전압을 변동시켜서, 그 데이타를 R/W(1)로 송신한다.
한편, R/W(1)의 변조 회로(23)는 IC 카드(2)로부터의 데이타의 수신 시에는 값이 1(하이 레벨)인 데이타의 송신을 계속하고 있다. 그리고, 복조 회로(25)에서, IC 카드(2)의 안테나(53)와 전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있는 안테나(27)의 단자 전압의 미소한 변동 (예를 들면, 수십 마이크로볼트)으로부터 IC 카드(2)에 의해 송신되어 온 데이타가 검출된다.
또한, 복조 회로(25)에서는, 검출된 신호(ASK 변조파)가 고이득의 증폭기에서 증폭되어 복조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디지털 데이타가 SPU(32)로 출력된다. SPU(32)는 그 데이타 (BPSK 변조 신호)를 복조하여 DPU(31)로 출력한다. DPU(31)는 SPU(32)로부터의 데이타를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에 따라 통신을 종료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재차 통신을 행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R/W(1)와 IC 카드(2)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진다. 한편, 통신을 종료한다고 판단한 경우, R/W(1)는 IC 카드(2)와의 통신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R/W(1)는 변조도 k가 1미만인 ASK 변조를 이용하여 IC 카드(2)에 데이타를 송신하고, IC 카드(2)는 그 데이타를 수신하여, 그 데이타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하여, 그 처리 결과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R/W(1)로 반송한다.
다음에, IC 카드(2: 도 3)의 시퀀서(91)에 의한 EEPROM(66)에 대한 데이타의 기록 및 판독 처리에 대해 설명하지만, 그 전에 그 전단계의 준비로서 본 발명에 따한 메모리 손상에 대한 대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메모리 손상에 대한 대처 방법의 기본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에 대해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이 소정의 블럭 단위로 행해지도록 하고, 어떤 블럭 B1에 기억된 데이타를 갱신하는 (블럭 B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를 다른 데이타로 재기록) 것을 생각한다.
이 경우, 블럭 B1 자체에, 새로운 데이타를 기록하면 (이미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에 재기록하면), 그 기록이 진행 중에 IC 카드로의 전력의 공급이 부족할 때에는, 새로운 데이타는 완전하게 기록되지 않아 메모리 손상이 생긴다. 따라서, 블럭 B1에 기록되는 새로운 데이타를 그 블럭 B1에 실제로 기록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손상이 생기면 그것에 대처할 수 없게 된다. 즉, 예를 들면 블럭 B1에 기억되어 있던 데이타가 전자 화폐의 잔금 등으로서 새롭게 쇼핑을 하여, 그 대금을 뺀 금액을 새로운 데이타로서 기록하는 것을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행한 경우에는, 메모리 손상이 생기면 IC 카드는 사용 불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블럭 B1에 기록해야 하는 새로운 데이타를 그 블럭 B1과는 다른 블럭 B2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블럭 B2로의 기록이 진행 중일 때에 메모리 손상이 생긴 경우에는, 새로운 데이타의 기록은 완전히 행해지지 않아, 그 유효성은 보증되지 않지만, 적어도 블럭 B1에 기억되어 있던 데이타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블럭 B2로의 기록이 종료한 후, 블럭 B1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를 소거한다.
또, 더욱 새로운 데이타가 공급된 때에는, 그 데이타는 블럭 B2와는 다른 블럭인, 예를 들면 블럭 B1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 새로운 데이타가 공급된 경우에, 전회에 기록된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는 블럭 이외의 블럭에 그 새로운 데이타를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적어도 새로운 데이타의 기록에 의한 전회에 기록된 데이타의 파손이 행해지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IC 카드가 최악인 경우에도 사용 불가로 되지 않게 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이상과 같은 기본 원리를 적용한 메모리의 기록 및 판독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1블럭이 1바이트(8비트)의 최신 정보, 8바이트의 데이타, 및 2바이트의 유효성 정보가 그 선두로부터 순차 배치된 11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단, 1블럭의 비트수, 또한 최신 정보, 데이타 및 유효성 정보에 할당하는 비트수는 상술한 것에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신 정보는 그 블럭의 기억 내용이 새로움(최신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절대적인 날짜 및 시각이나, 시퀀셜한 번호 이외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절대적인 날짜 및 시각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데이타가 기억된 날짜 및 시각을 최신 정보로서 기억하도록 하면, 그 최신 정보에 의해 데이타의 기억이 이루어진 최신의 블럭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시퀀셜한 번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데이타의 기록이 행해질 때마다, 예를 들면 인크리멘트되는 번호를 최신 정보로서 기억하도록 하면, 그 값의 가장 큰 블럭이 데이타의 기록이 이루어진 최신의 것으로 된다.
또, 여기서는 적어도 2개의 블럭 중 어느 하나가 새로운지를 인식할 수 있으면 충분하고, 따라서 최신 정보는 적어도 3개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면 좋다. 즉, 예를 들면 지금 3개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최신 정보로서, 0, 1, 2의 3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면, 2개의 블럭 중 어느 하나에 기록이 행해질 때마다, 0, 1, 2, 0, …을 그 기록이 행해진 블럭의 최신 정보로서 기록하도록 하면 좋다. 이 경우, 2개의 블럭의 최신 정보가 0과 1이면 1의 블럭 쪽이 새롭고, 1과 2이면 2의 블럭 쪽이 새로우며, 2와 0이면 0의 블럭 쪽이 새롭게 된다. 이와 같이, 최신 정보로서 0, 1, 2의 3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비트수는 2비트로 된다. 그 밖에, 예를 들면 최신 정보로서는 1비트의 플래그를 3개 이용하고, 블럭의 기록이 행해질 때마다 비트를 세우는 플래그를 순차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여기서, 이하에서는 최신 정보로서 0, 1, 2의 3치를 이용하도록 한다.
다음에, 유효성 정보는 그 블럭의 최신성 정보 및 데이타의 기록이 정상적으로 종료했는지 여부의, 말하자면, 최신성 정보 및 데이타의 유효성 (유효한지 무효한지)을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면 RS(리드 솔로몬) 부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유효성 정보는 RS 부호 등의 오류 정정 부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유효성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신성 정보 및 데이타가 유효 또는 무효인지를 나타낼 수 있으면 좋고, 따라서 예를 들면, 최신성 정보 및 데이타를 기록하면서 계산되는 패리티만이거나, 또는 예를 들면, 최신성 정보 및 데이타가 정상적으로 기록된 후에 부가되는 1비트의 플래그 등이어도 좋다.
도 4에서는, 메모리가 제1 및 제2 영역으로서의 2개의 블럭을 갖고 있고, 도4의 (a)는 제1 영역으로서의 블럭에 데이타 01H 내지 08H (H는 16진수를 나타냄)가 이미 기억되어 있고,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에서는 데이타가 소거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11H 내지 18H가 새롭게 기록해야 할 데이타로서 공급되었다고 하면, 우선 제1 및 제2 영역으로서의 2개의 블럭의 유효성이, 유효성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판정된다. 또, 여기서는 제1 영역으로서의 블럭만이 유효한 것으로 한다.
새로운 데이타의 기록을 행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전회에 기록된 데이타를 파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지 않는 블럭에, 새로운 데이타의 기록을 행한다. 따라서, 이 경우 데이타 11H 내지 18H는, 예를 들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에 기록된다. 데이타 11H 내지 18H의 기록의 종료 후에는, 우선, 그 기록이 행해진 쪽의 블럭의 최신 정보를 갱신한다. 즉, 최신의 블럭인, 제1 영역으로서의 블럭의 최신 정보가 01H이기 때문에, 지금 기록이 행해진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의 최신 정보는 01H를 1만큼 인크리멘트한 02H로 되고, 또한 최신 정보 02H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유효성 정보의 기록이 행해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으로의 기록이 전부 종료한 후, 예를 들면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역으로서의 블럭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데이타가 소거된다.
다음에, 도 4에 도시한 구성의 메모리에 대한 데이타의 기록 및 판독 처리에 대해 도 5, 및 도 6 및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더욱 설명한다.
우선, 도 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판독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우선 최초에, 단계 S1에서 제1 및 제2 영역의 유효성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그 유효성이 판정된다. 단계 S1에서, 제1 영역으로서의 블럭만이 유효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로 진행하고, 그 유효한 블럭인 제1 영역으로부터 데이타가 판독되어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단계 S1에서,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만이 유효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3으로 진행하고, 그 유효한 블럭인 제2 영역으로부터 데이타가 판독되고, 처리를 종료한다. 제1 및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 양쪽이 무효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IC 카드(2)의 하드웨어로서의 수명으로, 판독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에러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에, 도 7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기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단계 S11에서, 도 6의 단계 S1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효성이 판정된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양쪽이 무효인 경우, IC 카드(2)의 수명 등의 치명적인 에러로, 에러 처리가 행해진다. 단계 S11에서, 제1 영역으로서의 블럭이 유효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2로 진행하고, 유효하지 않은 블럭인 제2 영역의 데이타가 소거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소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20으로 진행하고, 소거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20에서는, 유효하지 않은 블럭인 제2 영역의 데이타가 소거되고,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3에서, 데이타가 소거된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에 새로운 데이타와 그 최신 정보 및 유효성 정보가 기록되고(갱신되고),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4에서, 제1 영역으로서의 블럭의 데이타가 소거된다.
또한, 단계 S11에서,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이 유효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5로 진행하고, 유효하지 않은 블럭인 제1 영역의 데이타가 소거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소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22로 진행하고, 소거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22에서는, 유효하지 않은 블럭인 제1 영역의 데이타가 소거되고,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서, 데이타가 소거된 제1 영역으로서의 블럭에, 새로운 데이타와, 그 최신 정보 및 유효성 정보가 기록되고(갱신되고), 단계 S17로 진행한다. 단계 S17에서,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의 데이타가 소거된다.
또한, 단계 S14 또는 S17에서 오래된 데이타를 소거하기 전, 혹은 소거 도중에 전력의 공급이 끊어지는 경우, 오래된 쪽의 데이타가 소거되지 않고 그대로 남거나, 혹은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의 데이타만이 갱신되고 패리티는 우연히 정확한 상태로 되는 일이 일어나 메모리 손상이 발생된다. 이 경우, 어떤 블럭의 데이타도 단계 S11에서 유효하다고 판단되므로, 단계 S18로 진행한다.
단계 S18에서는, 제2 영역 쪽이 제1 영역보다 새롭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1로 진행하고, 그 새로운 쪽의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에, 예를 들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타와 최신 정보 및 유효성 정보가 다시 기록되고, 단계 S22로 진행한다. 이후, 상술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단계 S22에서는, 예를 들면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신이 아닌 블럭인 제1 영역의 데이타가 소거되어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서, 예를 들면 도 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타가 소거된 제1 영역으로서의 블럭에 새로운 데이타와 그 최신 정보 및 유효성 정보를 갱신한 것이 기록되고, 단계 S17로 진행한다. 단계 S17에서, 예를 들면 도 5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의 데이타가 소거된다.
또한, 단계 S18에서, 제1 영역 쪽이 제2 영역보다 새롭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9로 진행하고, 그 새로운 쪽의 제1 영역으로서의 블럭에 데이타와 최신 정보 및 유효성 정보가 다시 기록되고,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이후, 상술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단계 S20에서는, 최신이 아닌 블럭인 제2 영역의 데이타가 소거되고, 단계 S13으로 진행한다. 단계 S13에서, 데이타가 소거된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에 새로운 데이타와 그 최신 정보 및 유효성 정보를 갱신한 것이 기록되고,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4에서, 제1 영역으로서의 블럭의 데이타를 소거한다.
데이타를 판독할 때에, 그 데이타가 정확한 데이타로 되거나, 잘못된 데이타로 되는 불안정한 상태는 그 데이타를 충분한 시간을 걸쳐 기록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처리에 의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한 쪽을 소거한다라고 하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다른 쪽이 남아 있는 영역은 충분한 시간을 걸쳐 기록을 행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 기록 데이타가 불안정하게 판독되는 일은 방지된다.
또, 제1 및 제2 영역으로서의 2개의 블럭은 외부로부터는 동일한 논리적인 블럭인 논리 블럭으로서 인식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은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블럭인 물리 블럭이고, 각 물리 블럭에는 그 식별을 위해, 유니크한 번호인 물리 블럭 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영역으로서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에는 그 어느 것이나 논리 블럭을 식별하기 위한 논리 블럭 번호로서 동일한 번호가 대응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영역으로서의 물리 블럭은 외부로부터는 1개의 논리 블럭으로서 인식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하에서는 물리 블럭 번호 및 논리 블럭 번호 중 어느 것이나 1바이트로 나타내도록 한다.
다음에, 상술한 경우에는 하나의 물리 블럭의 데이타의 기록 종료 후에, 그 물리 블럭의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가 갱신되기 때문에, 관련된 복수의 데이타를 복수의 물리 블럭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신구 혼재된 데이타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즉, 외부로부터 본 경우에, 복수의 논리 블럭에 복수의 데이타를 기록하고 있는 도중에 메모리 손상이 생기면, 메모리 손상이 생기기 전에 기록이 이루어진 논리 블럭에는 새로운 데이타가 존재하게 되지만, 메모리 손상이 생긴 논리 블럭으로부터 메모리 손상이 생기지 않으면 새로운 데이타의 기록이 행해지는 논리 블럭까지는 오래된 데이타가 존재하게 된다.
관련된 복수의 데이타가 일괄해서 의미가 있는 것이고, 따라서 그 전체에서 유용한 것인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중에 새로운 것과 오래된 것이 혼재하면, 그 정합성이 없어지게 된다. 즉, 관련된 복수의 데이타가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승차한 역과 시각, 하차한 역과 시각, 승차 하차한 역 사이의 운임 등인 경우에, 승차한 역에 대해서는 새로운 데이타가 기록되고, 승차한 시각에 대해서는 오래된 데이타 상태 그대로에서는, 그 정합성이 얻어지지 않아 의미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논리 블럭에, 관련되는 복수의 데이타가 기록되는 경우에, 그 복수의 데이타의 기록이 종료할 때까지 메모리 손상이 생길 때에는 외부로부터 보아, 논리 블럭에 그 관련된 복수의 오래 된 데이타가 존재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메모리를,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한다.
즉, 메모리를, 데이타를 기억하는 데이타 영역으로서의 물리 블럭과, 데이타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를 기억하는 제1 및 제2 영역으로서의 물리 블럭으로 구성한다.
또, 도 8에서도, 도 4 및 도 5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1개의 물리 블럭은 11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타 영역을 구성하는 각 물리 블럭은 11바이트 단위로 데이타를 기억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도 8에서는 데이타 영역은 물리 블럭 번호로서 #00H 내지 #07 각각이 할당된 8개의 물리 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은 물리 블럭 번호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는 외부로부터는 4개의 논리 블럭이 보이도록 이루어져 있고, 그 4개의 논리 블럭 각각은 논리 블럭 번호로서 %00H 내지 %03H가 할당되어 있다. 또, 도 8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논리 블럭 번호 %00H 내지 %03H와, 물리 블럭 번호 #00H 내지 #03H가 각각 대응되어 있다.
제1 및 제2 영역으로서의 물리 블럭은 그 선두의 1바이트가 최신 정보에, 끝의 2바이트가 유효성 정보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점에서, 도 4에서의 경우와 공통된다. 단,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와의 사이의 8바이트에는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즉 데이타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으로의 포인터가 배치된다.
제1 및 제2 영역에서의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와의 사이의 8바이트 중, 전반의 4바이트에는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배치되고, 그 후반의 4바이트에는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배치된다.
여기서, 대상 블럭이란, 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에, 원래 그 기록의 대상으로 되어야 되는 물리 블럭을 의미한다, 즉, 예를 들면, 기본 원리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블럭 B1에 기억된 데이타를, 새로운 데이타로 재기록하는 경우에, 그 새로운 데이타를 블럭 B2에 기록하지만, 이 경우에는 원래 새로운 데이타를 기록해야 되는 블럭 B1이 대상 블럭에 상당한다.
또한, 갱신 블럭이란, 어떤 물리 블럭에 정보를 기록하고, 그 기억 내용을 갱신할 때에 이용되는 갱신용 물리 블럭을 의미한다. 즉, 예를 들면, 기본 원리에 있어서 블럭 B1에 기억된 데이타를 새로운 데이타로 재기록하는 경우에, 그 새로운 데이타를 실제로 기록하는 블럭 B2가 갱신 블럭에 상당한다.
제1 및 제2 영역에서의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와의 사이의 8바이트 중, 전반의 4바이트에 배치되는 4개의 물리 블럭 번호는 논리 블럭 번호와 대응되도록 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그 1 내지 4바이트째에 배치되는 물리 블럭 번호는 각각 논리 블럭 번호 %00H 내지 %03H에 대응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8에서는 제1 또는 제2 영역의 물리 블럭 번호는 각각 #FE 또는 #FF 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메모리에서, 도 8에서는 4개의 관련된 데이타가 물리 블럭 #00H (물리 블럭 번호가 #00H의 물리 블럭) 내지 #03H에 기억되어 있고, 그 물리 블럭 번호 #00H 내지 #03H가 제1 영역에서의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 사이의 8바이트 중 전반의 4바이트 (이하, 적절하게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이라고 함)에 그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 영역에 주목한 경우에는 물리 블럭 번호 #00H 내지 #03H 각각은 논리 블럭 번호 %00H 내지 %03H와 대응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영역에 주목한 경우에는, 논리 블럭 %00H (논리 블럭 번호가 %00H의 논리 블럭) 내지 %03H에 대응된 물리 블럭 #00H 내지 #03H 중 어느 하나가, 억세스의 대상으로 되어야 할 블럭, 즉 대상 블럭으로 된다.
갱신 블럭은 그 시점에서 대상 블럭으로는 되지 않는, 말하자면 빈 영역으로 되어 있는 물리 블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서 제1 영역에 주목한 경우에는, 물리 블럭 #04H 내지 #07H가 갱신 블럭으로 될 수 있으므로, 그 제1 영역에서의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와의 사이의 8바이트 중 후반의 4바이트 (이하, 적절하게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이라고 함)에는 이들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04H 내지 #07H가 배치되어 있다.
지금, 예를 들면,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 영역으로서의, 예를 들면 제1 영역만이 유효한 것으로 하여, 외부로부터 논리 블럭 번호 %00H와 %02H에 대응하는 논리 블럭 각각에, 관련된 2개의 데이타의 기록 요구가 있었다고 하자.
이 경우, 유효한 제1 영역 중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참조함으로써, 논리 블럭 번호 %00H와 %02H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 번호 #00H와 #02H가 인식되고, 이들 물리 블럭 #00H 및 #02H가 관련된 2개의 데이타 각각을 기록되어야 할 대상 블럭으로서 인식된다.
또한, 제1 영역 중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참조함으로써, 대상 블럭과 동일한 수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04H 및 #05H가 인식된다. 또,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는 예를 들면,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의 좌측으로부터 배치되어 있는 것부터 순서대로 인식된다.
그리고, 원래대로이면, 대상 블럭인 물리 블럭 #00H 또는 #02H에 기록해야 되는 2개의 데이타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갱신 블럭인 물리 블럭 #04H 또는 #05H 각각에 기록된다.
여기서, 도 9는 논리 블럭 번호 %00H와 %02H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 번호 #00H와 #02H에 기록되어야 하는 2개의 데이타가 각각 40H 내지 4AH와 50H 내지 5AH인 것으로서, 이들이 갱신 블럭인 물리 블럭 #04H와 #05H 각각에 기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 후, 새로운 데이타를 기록한 갱신 블럭이었던 물리 블럭의 블럭 번호 #04H와 #05H가 유효하지 않던 제2 영역에서의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 기록된다. 즉, 제1 영역에서의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이 제2 영역에 복사되고, 그 중 대상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00H 또는 #02H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로 데이타가 기록된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04H 또는 #05H에 각각 재기록된다. 그 결과, 제2 영역에 주목한 경우에는, 물리 블럭 번호 #04H 또는 #05H는 물리 블럭 번호 #00H 또는 #02H가 대응되고 있는 논리 블럭 번호 %00H 또는 %02H에 각각 대응된다.
또한, 데이타를 기록해야 했던 물리 블럭 #00H와 #02H는 갱신 블럭으로 되고, 그 물리 블럭 번호 #00H와 #02H가, 유효하지 않던 제2 영역에서의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 기록된다. 즉, 제1 영역에서의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이 제2 영역에 복사되고, 그 중 데이타가 기록된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04H 또는 #05H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00H 또는 #02H에 각각 재기록된다. 그 결과, 제2 영역에 주목한 경우에는, 물리 블럭 #00H 및 #02H는 갱신 블럭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2 영역을 갱신한 후에는, 도 4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제2 영역에서의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가 순차 기록되고(재기록되고), 그 후 제1 영역의 데이타가 전부 소거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제2 영역에 대해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의 기록이 종료하지 않으면, 유효하다고 하는 유효성 정보는 기록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경우에는, 2개의 논리 블럭 %00H와 %02H로의 데이타의 기록이 양쪽 모두 종료하지 않으면, 제2 영역에는 유효하다고 하는 유효성 정보는 기록되지 않는다.
그 결과, 2개의 논리 블럭 %00H와 %02H로의 데이타의 기록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메모리 손상이 생긴 경우에는, 제1 영역만이 유효한 상태로 된 상태 그대로로 되어, 논리 블럭 %00H와 %02H로부터는 유효한 제1 영역을 참조함으로써, 그 논리 블럭 %00H와 %02H에 각각 대응되고 있는 물리 블럭 #00H와 #02H에 기억되어 있는 오래된 데이타가 판독되게 된다.
따라서, 논리 블럭 %00H와 %02H에 기억되는 복수의 데이타로서의 2개 데이타가 관련성을 갖는 것일 때에는, 메모리 손상이 생기더라도 개개의 데이타의 정합성과 동시에, 그 2개의 데이타 사이의 정합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구성의 메모리에 대한 데이타의 기록 및 판독 처리에 대해, 도 10 및 도 1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더욱 설명한다.
우선, 도 10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판독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우선 최초에, 단계 S31에서, 도 6의 단계 S1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판정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제1 영역이 유효한 경우, 단계 S32로 진행하고, 또한 제2 영역이 유효한 경우, 단계 S34로 진행한다.
단계 S32에서는, 제1 영역에서의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참조함으로써, 판독되는 데이타의 논리 블럭 번호 (이 논리 블럭 번호는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공급되게 함)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 번호, 즉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로서의 그 물리 블럭 번호가 인식되고, 단계 S3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3에서는, 단계 S32에서 인식된 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으로부터 데이타가 판독되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34에서는, 제2 영역에서의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참조함으로써, 판독되는 데이타의 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 번호, 즉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로서의 그 물리 블럭 번호가 인식되고, 단계 S35로 진행한다. 단계 S35에서는, 단계 S34에서 인식된 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으로부터 데이타가 판독되어,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1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기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단계 S41에서, 도 7의 단계 S11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판정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제1 영역만이 유효한 경우에는 단계 S42로 진행하고, 유효하지 않은 블럭인 제2 영역의 데이타가 소거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어, 소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54로 진행하고, 소거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43으로 진행한다. 단계 S54에서는, 유효하지 않은 블럭인 제2 영역의 데이타가 소거되고, 단계 S43으로 진행한다. 단계 S43에서, 제1 영역에서의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참조함으로써, 갱신 블럭으로 할 수 있는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인식되고, 단계 S44로 진행한다. 단계 S44에서는, 그 인식된 물리 블럭의 번호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 즉 갱신 블럭에 외부 등으로부터 공급된 기록해야 될 데이타가 기록된다.
또, 외부로부터 복수의 논리 블럭에 기록하는 데이타가 공급된 경우에는, 단계 S43에서는 그 복수의 논리 블럭과 동일한 수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인식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단계 S44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인식된 복수의 물리 블럭 번호 각각에 대응하는 갱신 블럭에 외부로부터의 데이타가 순차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그 후, 단계 S45로 진행하고, 제1 영역에서의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과,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갱신하고, 또한 그 최신 정보 및 유효성 정보를 갱신한 것이 제2 영역에 복사된다.
즉, 제1 영역에서의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 대해서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타를 기록하는 논리 블럭의 논리 블럭 번호에 대응되어 있던 물리 블럭 번호 (도 8 및 도 9의 예에서는, #00H와 #02H)가 실제로 데이타를 기록한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도 8 및 도 9의 예에서는, #04H와 #05H)로 갱신된다. 또한, 제1 영역에서의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 대해서는, 데이타가 기록된 물리 블럭 (갱신 블럭이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도 8 및 도 9의 예에서는, #04H와 #05H)가 데이타를 기록하는 논리 블럭의 논리 블럭 번호에 대응되어 있던 물리 블럭 번호 (도 8 및 도 9의 예에서는, #00H와 #02H)로 갱신된다. 또한,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가 갱신되고, 이상의 갱신 결과가 제2 영역에 기록되어, 단계 S46으로 진행한다. 단계 S46에서, 제1 영역으로서의 블럭의 데이타가 소거된다.
한편, 단계 S41에서, 제2 영역이 유효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47 내지 S51, S56에서, 제1 또는 제2 영역에 대한 처리가 반대로 제2 또는 제1 영역에 대해 각각 행해지는 것을 제외하면, 단계 S42 내지 S46, S54에서의 경우와 각각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메모리 손상이 발생하였던 경우에는, 도 7의 단계 S18과 마찬가지로 단계 S52에서, 제1 및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의 최신성이 판정된다. 단계 S52에서, 제2 영역 쪽이 제1 영역보다 새롭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55로 진행하고, 그 새로운 쪽의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에서, 제2 영역에서의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과,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갱신하고, 단계 S56에서 최신이 아닌 제1 영역의 소거가 행해진다. 이후, 단계 S48 내지 S51까지는 상술한 설명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단계 S52에서, 제1 영역의 쪽이 제2 영역보다 새롭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53, S54, S43 내지 S46에서, 제1또는 제2 영역에 대한 처리가 반대로 제2 또는 제1 영역에 대해 각각 행해지는 것을 제외하면, 단계 S55, S56, S48 내지 S51에서의 경우와 각각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 이상의 도 8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메모리에 대한 기록 및 판독 방식은 데이타 영역으로의 1단의 포인터를 이용한 것이므로, 이하 적절하게 싱글 포인터 방식이라고 한다.
그런데, 싱글 포인터 방식에 의한 경우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 4개의 물리 블럭 번호의 기억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최대 4블럭분의 데이타의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 및 도 9에서,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과 마찬가지로, 4개의 물리 블럭 번호의 기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은, 정합성의 유지가 가능한 최대의 블럭수인 4블럭분의 데이타의 기록을 행하는데에, 4개의 갱신 블럭이 필요해지기 때문이다.
싱글 포인터 방식을 도 8 및 도 9의 메모리 구성에 적용한 경우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최대 4블럭분의 데이타의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지만, 반대로 말하면 그보다 많은 블럭분의 정합성의 유지를 꾀하는 것은 곤란하다. 즉, 제1 및 제2 영역으로서의 물리 블럭에 데이타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를 기억시켜 관리하는 것만으로는, 제1 및 제2 영역으로서의 물리 블럭에 물리 블럭 번호를 기억시킬 수 있는 수에 따라 데이타의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는 블럭수가 제한된다.
그래서, 메모리를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한다.
즉, 여기서는 메모리를, 데이타를 기억하는 데이타 영역으로서의 물리 블럭, 데이타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으로의 포인터로서의, 그 블럭 번호를 기억하는 포인터 영역으로서의 물리 블럭, 및 포인터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으로의 포인터로서의 그 블럭 번호를 기억하는 제1 및 제2 영역으로서의 물리 블럭으로 구성한다.
또, 도 12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하나의 물리 블럭은 8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타 영역을 구성하는 각 물리 블럭은 8바이트 단위로 데이타를 기억하도록 되어 있고, 도 12에서는 데이타 영역은 물리 블럭 번호로서 #00H 내지 #17H 각각이 할당된 24개의 물리 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여기서는, 외부로부터는, 16의 논리 블럭이 보이도록 되어 있고, 그 16의 논리 블럭 각각에는 논리 블럭 번호로서 %00H 내지 %0FH가 할당되어 있다. 단,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 상 데이타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과 동일한 수만 논리 블럭이 존재하도록 하고, 외부로부터 논리 블럭으로서 보이는 물리 블럭 이외의 8개의 물리 블럭 각각에 논리 블럭 번호로서 %10 내지 %17을 가상적으로 할당하여 놓는다. 도 12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논리 블럭 번호 %00H 내지 %17H와, 물리 블럭 번호 #00H 내지 #17H가 각각 대응되어 있다.
포인터 영역 (블럭 번호 영역)을 구성하는 각 물리 블럭은 8바이트 단위이고, 데이타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으로의 포인터로서의 그 물리 블럭 번호를 기억하도록 되어 있고, 도 12에서는 포인터 영역은 물리 블럭 번호로서 #18 내지 #1D 각각이 할당된 6개의 물리 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포인터 영역을 구성하는 각 물리 블럭은 8바이트 단위로 물리 블럭 번호를 기억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또한 물리 블럭 번호는 1바이트로 나타내기 때문에, 1개의 물리 블럭에는 8개의 물리 블럭 번호가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또, 포인터 영역의 각 물리 블럭에 배치되는 8개의 물리 블럭 번호는 논리 블럭 번호와 대응되도록 되어 있다. 즉, 그 1 내지 8바이트째에 배치되는 물리 블럭 번호는 임의의 논리 블럭 번호 (후술하는 바와 같이, %00H, %08H, 또는 %10H)를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7만 옵셋한(어긋난) 논리 블럭 번호에 대응되도록 되어 있다.
제1 및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은 그 선두의 1바이트가 최신 정보에, 끝의 1바이트가 유효성 정보에 각각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와의 사이의 6바이트에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으로의 포인터로서의 그 물리 블럭 번호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영역에서의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 사이의 6바이트 중, 전반의 3바이트 (이하, 적절하게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는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배치되고, 그 후반의 3바이트 (이하, 적절하게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는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배치된다.
제1 및 제2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 배치되는 3개의 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이 기억하고 있는 물리 블럭 번호는 논리 블럭 번호와 대응되도록 되어 있다. 즉, 예를 들면, 그 1 내지 3바이트째에 배치되는 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이 기억하고 있는 물리 블럭 번호는 각각 논리 블럭 번호 %00H 내지 %07H, %08H 내지 %0FH, 또는 %10H 내지 %17H에 대응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2에서, 제1 영역에 주목한 경우에는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서의 1바이트째의 물리 블럭 번호 #18H가 가리키고 있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의 1 내지 8바이트째에 배치된 물리 블럭 번호 #00H 내지 #07H는 제1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서의 1바이트째에 대응되고 있는 논리 블럭 번호 %00H 내지 %07H에 각각 대응된다. 즉,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서의 1바이트째의 물리 블럭 번호가 가리키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의 1 내지 8바이트째에 배치된 물리 블럭 번호는 논리 블럭 번호 %00H를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7만 옵셋한 논리 블럭 번호 %00H 내지 %07H에 각각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서의 2바이트째의 물리 블럭 번호가 가리키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의 1 내지 8바이트째에 배치된 물리 블럭 번호는 논리 블럭 번호 %08H를 기준으로 하여 0 내지 7만 옵셋한 논리 블럭 번호 %08H 내지 %0FH에 각각 대응된다.
또, 도 12에서는, 제1 또는 제2 영역의 물리 블럭 번호는 각각 #1E 또는 #1F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메모리에서, 예를 들면 제1 영역에 주목한 경우에는,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 기술된 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이 억세스 대상으로 되어야 하는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 된다. 따라서, 도 12에서는 물리 블럭 #18H 내지 #1AH가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포인터 영역의 나머지의 물리 블럭 #1BH 내지 #1DH가 포인터 영역의 갱신을 위한 갱신 블럭으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 그 물리 블럭 번호 #1BH 내지 #1DH가 제1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에 기술된 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 중, 예를 들면 논리 블럭 %00H 내지 %0FH에 대응하는 것이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이 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에서는 물리 블럭 #00H 내지 #0FH가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 되고, 데이타 영역의 나머지의 물리 블럭 (논리 블럭 %10H 내지 %17H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 #10H 내지 #17H가 데이타 영역의 갱신을 위한 갱신 블럭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은 그 물리 블럭 번호가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 기술되어 있으므로, 그 란을 참조함으로써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은 논리 블럭 %10H 내지 %17H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이기 때문에,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의 3바이트째에 기술되어 있는 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을 참조함으로써, 거기에 기술되어 있는 물리 블럭 번호로부터 인식할 수 있다.
지금,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 영역으로서의, 예를 들면 제1 영역만이 유효하다고 되어 있는 것으로 해서, 외부로부터 예를 들면, 논리 블럭 번호 %00H와 %02H에 대응하는 논리 블럭 각각에, 관련하는 2개의 데이타의 기록 요구가 있었다고 한다.
이 경우, 유효한 제1 영역 중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참조하고, 또한 거기에 기술되어 있는 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을 참조함으로써, 관련된 2개의 데이타를 기록하는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인 대상 블럭이 인식된다. 즉, 우선 상술한 점으로부터, 제1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의 1바이트째를 참조함으로써, 논리 블럭 %00H와 %02H에 대응하는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기술된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 #18H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물리 블럭 #18H의 1바이트째와 3바이트째를 참조함으로써, 논리 블럭 %00H와 %02H에 대응하는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대상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00H와 #02H를 각각 인식할 수 있다.
그 후,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이 인식된다. 즉, 상술한 점으로부터, 제1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의 3바이트째를 참조함으로써,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이 되는 논리 블럭 %10H 내지 %17H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기술된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 #1AH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물리 블럭 #1AH를 참조함으로써,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 되어 있는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10H 내지 #17H를 인식할 수 있다. 또, 여기서는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서, 데이타의 기록 대상인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과 동일한 수의 물리 블럭이 물리 블럭 #1AH를 예를 들면, 좌측으로부터 순차 참조함으로써 인식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물리 블럭 번호 #10H와 #11H에 대응하는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이 갱신 블럭으로 된다.
그리고, 원래대로이면,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인 물리 블럭 #00H 또는 #02H에 기록되는 2개의 데이타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인 물리 블럭 #10H 또는 #11H 각각에 기록된다.
여기서, 도 13은 논리 블럭 번호 %00H와 %02H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 번호 #00H와 #02H에 기록되는 2개의 데이타가, 각각 8바이트의 00H와 8바이트의 02H인것으로서, 이들이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인 물리 블럭 #10H와 #11H 각각에 기록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1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 번호 #18H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 번호 #00H 및 #02H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에 기록되는 2개의 데이타를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10H와 #11H에 각각 기록한 후에는, 그 데이타를 기록한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이던 물리 블럭의 블럭 번호 #10H와 #11H가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에 기록됨과 동시에, 원래대로이면 데이타가 기록되었던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대상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00H 및 #02H가 포인터 영역의 다른 갱신 블럭에 기록된다.
즉, 우선 제1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참조함으로써,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이 인식된다. 또, 여기서는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서,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 중, 상술한 바와 같은 데이타 영역으로의 기록에 따라 변경(갱신)할 필요가 있는 것과 동일한 수의 물리 블럭이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예를 들면 좌측으로부터 순차 참조함으로써 인식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경우에는, 원래 데이타가 기록되는 물리 블럭(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00H와 #02H가 기억되어 있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 #18H, 및 실제로 데이타가 기록된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10H와 #11H가 기억되어 있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 #1AH의 2개의 물리 블럭과 동일한 수인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 #1BH와 #1CH의 2개가 제1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좌측으로부터 순차 참조함으로써 인식된다.
그리고, 인식된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 #1BH 또는 #1CH 중, 예를 들면 갱신 블럭 #1BH에는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00H와 #02H가 기억되어 있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 #18H의 기억 내용이 복사되고, 그 중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00H 또는 #02H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로 데이타가 기록된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10H 또는 #11H에 각각 재기록된다.
또한, 인식된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 #1BH 또는 #1CH 중 나머지의 갱신 블럭 #1CH에는, 실제로 데이타가 기록된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10H와 #11H가 기억되어 있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 #1AH의 기억 내용이 복사되고, 그 물리 블럭 번호 #10H와 #11H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래 데이타가 기록되는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 #00H 또는 #02H에 각각 재기록된다.
그 후, 물리 블럭 번호가 갱신된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이던 물리 블럭의 블럭 번호 #1BH와 #1CH가 유효하지 않던 제2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 기록된다. 즉, 제1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이 제2 영역에 복사되고, 그 중 논리 어드레스 %00H 내지 %07H에 대응하는 1바이트째가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1BH에 재기록됨과 동시에, 논리 어드레스 %10H 내지 %17H에 대응하는 3바이트째가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1CH에 재기록된다(도 13).
그 결과, 제2 영역에 주목한 경우에는, 물리 블럭 #1BH, #19H, 및 #1CH가,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 되고, 이에 따라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이던 물리 블럭 #10H 또는 #11H는 데이타 영역의 대상 블럭이던 물리 블럭 #00H 또는 #02H가 대응되고 있던 논리 블럭 번호 %00H 또는 %02H에 각각 대응됨과 동시에, 대상 블럭인 물리 블럭 #00H 또는 #02H는 논리 블럭 %10H 또는 %11H에 각각 대응되어, 갱신 블럭으로 된다.
즉, 제2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의 1바이트째를 참조하면, 논리 블럭 %00H와 %02H에 대응하는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기술된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은 물리 블럭 #1BH로 되고, 또한 그 물리 블럭 #1BH의 1바이트째와 3바이트째를 참조하면, 논리 블럭 %00H와 %02H에 대응하는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은 각각 물리 블럭 #10H와 #11H로 된다. 또한, 제2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의 3바이트째를 참조하면, 논리 블럭 %10H와 %11H에 대응하는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기술된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은 물리 블럭 #1CH로 되고, 또한 그 물리 블럭 #1CH의 1바이트째와 2바이트째를 참조하면, 논리 블럭 %10H와 %11H에 대응하는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 즉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은 물리 블럭 #00H와 #02H로 된다.
또한, 포인터 영역 중, 원래 데이타가 기록되는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00H와 #02H가 기억되어 있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18H, 및 실제로 데이타가 기록된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10H와 #11H가 기억되어 있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1AH가 유효하지 않던 제2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 기록된다. 즉, 제1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이 제2 영역에 복사되고, 그 중 기억 내용의 갱신이 이루어진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1BH 또는 #1CH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리 어드레스 %00H 내지 %07H에 대응하고 있던 물리 블럭 번호가 기억된 물리 블럭 번호 #18H, 또는 논리 어드레스 %10H 내지 %17H에 대응하고 있던 물리 블럭 번호가 기억된 물리 블럭 번호 #1AH에 각각 재기록된다.
그 결과, 제2 영역에 주목한 경우에는, 물리 블럭 #18H, #1AH, 및 #1DH가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2 영역을 갱신한 후에는, 싱글 포인터 방식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제2 영역에서의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가 순차 기록된다.
그리고, 그 제2 영역에서의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가 기록된 후에, 제1 영역의 데이타가 소거된다.
따라서, 이 경우, 데이타 영역, 또한 포인터 영역의 기록이 종료하지 않으면, 유효하다고 하는 유효성 정보는 기록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경우에는, 2개의 논리 블럭 %00H와 %02H로의 데이타의 기록이 종료하지 않으면, 제2 영역에는 유효하다고 하는 유효성 정보는 기록되지 않는다.
그 결과, 2개의 논리 블럭 %00H와 %02H로의 데이타의 기록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메모리 손상이 생긴 경우에는, 제1 영역만이 유효한 상태로 된 그대로 되어, 논리 블럭 %00H와 %02H로부터는 유효한 제1 영역을 참조함으로써, 그 논리 블럭 %00H와 %02H에 각각 대응되어 있는 물리 블럭 #00H와 #02H에 기억되어 있는 오래된 데이타가 판독되게 된다.
한편, 2개의 논리 블럭 %00H와 %02H로의 데이타의 기록이 종료하고, 제2 영역에서의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의 갱신이 행해진 경우에는, 논리 블럭 %00H와 %02H로부터는 유효하고 또한 가장 새로운 제2 영역을 참조함으로써, 그 논리 블럭 %00H와 %02H에 각각 대응되고 있는 물리 블럭 #10H와 #11H에 기억되어 있는 새로운 데이타가 판독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논리 블럭 %00H와 %02H에 기억되는 복수의 데이타로서의 2개 데이타가 관련성을 갖는 것일 때에는, 메모리 손상이 생기더라도 싱글 포인터 방식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2개의 데이타 사이의 정합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및 제2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의 3개분의 물리 블럭 번호를 기억시킬 수 있고, 또한 포인터 영역의 1의 물리 블럭에는,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의 8개분의 물리 블럭 번호를 기억시킬 수 있으므로, 최대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을 24(=3×8)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24블럭 중 절반인 12블럭을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 할 수 있어, 그 블럭수분, 즉 싱글 포인터 방식보다도 많은 블럭수의 데이타의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도 12 및 도 13에서는, 24블럭 중 8블럭을 갱신 블럭으로 하고 있고, 최대 8블럭분의 데이타의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이상의 도 12 및 도 13에서 설명한 메모리에 대한 기록 및 판독 방식은 데이타 영역으로의, 말하자면 2단의 포인터를 이용한 것이므로, 이하, 적절하게 더블 포인터 방식이라고 한다.
다음에, 더블 포인터 방식에 의한 데이타의 기록 및 판독 처리에 대해, 도 14 및 도 1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더욱 설명한다.
우선, 도 1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판독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우선 최초에, 단계 S61에서 도 6의 단계 S1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판정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제1 영역만이 유효한 경우에는, 단계 S62로 진행하고, 또한, 제2 영역만이 유효한 경우에는, 단계 S65로 진행한다.
단계 S62에서는, 제1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참조함으로써, 판독되는 데이타의 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포인터)가 인식되고, 단계 S63으로 진행한다. 즉, 예를 들면,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모리가 구성되는 경우에, 논리 블럭 번호가 %00H 내지 %07H, 또는 %08H 내지 %0FH일 때,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의 1 또는 2바이트째에 기억되어 있는 물리 블럭 번호가 각각 인식된다.
단계 S63에서는, 단계 S62에서 인식된 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을 참조함으로써, 판독되는 데이타의 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 번호가 인식되고, 단계 S64로 진행한다. 즉, 판독되는 데이타의 논리 블럭 번호가 어떤 기준치 (도 12의 경우에는, %00H 또는 %08H)로부터 0 내지 7만큼 옵셋한 값인 경우에는, 단계 S63에서 인식된 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의 좌측으로부터, 그 옵셋분만큼 어긋난 위치에 기억된 물리 블럭 번호가, 판독되어야 할 데이타의 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 번호로서 인식된다.
그리고, 단계 S64에서는, 단계 S63에서 인식된 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으로부터 데이타가 판독되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65에서는, 제2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참조함으로써, 판독되어야 할 데이타의 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 번호가 기억되어 있는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인식되고, 이하 단계 S66, S67로 순차 진행하고, 단계 S63, S64 각각에 상당하는 처리가 행해지고,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15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기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단계 S71에서 도7의 단계 S11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판정 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제1 영역이 유효한 경우에는, 단계 S72로 진행하고, 유효하지 않은 블럭인 제2 영역의 데이타가 소거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 소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88로 진행하고, 소거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S73으로 진행한다. 단계 S88에서는, 유효하지 않은 블럭인 제2 영역의 데이타가 소거되고, 단계 S73으로 진행한다. 단계 S73에서, 제1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참조함으로써, 갱신 블럭으로 할 수 있는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기억된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인식되고, 단계 S74로 진행한다. 즉,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1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의 3바이트째에 기억된 물리 블럭 번호 #1AH가 인식된다.
단계 S74에서는, 단계 S73에서 인식된 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에 기억된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를 참조함으로써,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이 인식되고, 단계 S75로 진행하여 그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에 외부 등으로부터 공급된 기록해야 할 데이타가 기록된다.
또, 외부로부터 복수의 논리 블럭에 기록하는 데이타가 공급된 경우에는, 단계 S74에서는 그 복수의 논리 블럭과 동일한 수의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단계 S73에서 인식된 물리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물리 블럭(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을, 예를 들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순차 서치함으로써 인식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단계 S75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인식된 복수의 물리 블럭 번호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에 외부로부터의 데이타가 순차 기록되도록 되어 있다.
그 후, 단계 S76으로 진행하고, 데이타의 기록의 대상으로 한 논리 블럭의 논리 블럭 번호가 대응되고 있던 물리 블럭 번호를 기억하고 있는 물리 블럭을 갱신한 것이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에 복사된다. 즉,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에서 설명한 경우에는, 데이타의 기록의 대상으로 한 논리 블럭의 논리 블럭 번호%00H, %02H가 대응되고 있던 물리 블럭 번호 #00H, #02H를 기억하고 있는 물리 블럭 #18H를 갱신하고, 그 중의 물리 블럭 번호 #00H, #02H를 각각 #10H, #11H 로 한 것이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 #1BH에 복사된다.
또한, 단계 S76에서는,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를 기억하고 있는 물리 블럭을 갱신한 것이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에 복사된다. 즉,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에서 설명한 경우에는,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10H 내지 #17H를 기억하고 있는 물리 블럭 #1AH를 갱신하고, 그 중의 물리 블럭 번호 #10H, #11H를 각각 #00H, #02H로 한 것이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 #1C에 복사된다.
그리고, 단계 S77로 진행하고, 제1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 및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을 갱신하고, 또한 그 최신 정보 및 유효성 정보를 갱신한 것이 제2 영역에 복사된다.
즉,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의 경우를 예로 하면, 제1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 대해서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타를 기록하는 논리 블럭에 대응되고 있는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 #00H, #02H로의 포인터의 포인터로 되어 있는 1바이트째에 기억되어 있던 물리 블럭 번호 #18H가 실제로 데이타를 기록한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 #10H, #11H로의 포인터의 포인터인 물리 블럭 번호 #1BH로 갱신됨과 동시에, 실제로 데이타를 기록한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 #10H, #11H로의 포인터의 포인터로 되어 있는 물리 블럭 번호 #1AH가 데이타를 기록하는 논리 블럭에 대응되어 있던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 #00H, #02H로의 포인터의 포인터로 된 물리 블럭 번호 #1CH로 갱신된다.
또한, 제1 영역에서의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란에 대해서는, 물리 블럭 번호가 갱신된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 (갱신 블럭이었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1BH, #1CH가,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 된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18H, #1AH로 각각 갱신된다.
또한, 제1 영역에서의 최신 정보 및 유효성 정보가 갱신되고, 이상의 갱신 결과가 제2 영역에 기록되어, 단계 S78로 진행한다. 단계 S78에서, 제1 영역의 모든 데이타가 소거된다.
한편, 단계 S71에서, 제2 영역이 유효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S79 내지 S85, S90에서, 제1 또는 제2 영역에 대한 처리가 반대로 제2 또는 제1 영역에 대해 각각 행해지는 것을 제외하면, 단계 S72 내지 S78, S88에서의 경우와 각각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메모리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단계 S71에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양쪽이 유효하다고 판단된다. 이 경우, 단계 S86으로 진행하고, 제1 및 제2 영역의 블럭의 최신성이 판정된다. 단계 S86에서, 제2 영역의 쪽이 제1 영역보다 새롭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89로 진행하고 그 새로운 쪽 제2 영역으로서의 블럭에 제1 영역 중 포인터 영역으로의 포인터를 갱신하고, 최신 정보 및 유효성 정보를 갱신한 것이 재차 기록되고, 단계 S90으로 진행한다. 이후, 단계 S90, S80 내지 S85에서,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단계 S86에서, 제1 영역의 쪽이 제2 영역보다 새롭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S87, S88, S73 내지 S78에서, 제1 또는 제2 영역에 대한 처리가 반대로 제2 또는 제1 영역에 대해 각각 행해지는 것을 제외하면, 단계 S89, S90, S80 내지 S85에서의 경우와 각각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또, 더블 포인터 방식의 경우에도 싱글 포인터 방식과 마찬가지로,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는 물리 블럭의 수에는 제한이 있지만, 싱글 포인터 방식을 더블 포인터 방식으로 확장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더블 포인터 방식을 확장해 가, 데이타 영역으로의 포인터를 3단, 4단, …이라고 하면,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는 물리 블럭의 수를 보다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1블럭의 길이를 고려하여, 데이타 영역으로의 포인터의 단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는 물리 블럭의 수의 상한을 원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
실제로는, 도 3에 도시한 IC 카드(2)의 시퀀서(91)에 의한 EEPROM(66)에 대한 데이타의 기록 및 판독 처리는 상술한 더블 포인터 방식에 의해 행해지도록 이루어져 있고, 이 경우의 EEPROM(66)의 메모리 할당의 예를 도 16에 나타낸다.
도 16에서는, EEPROM(66)은 물리 블럭을 256개 갖고 있다. 각 물리 블럭은 32바이트의 데이타부(D00 내지 D1f)와, 8바이트의 패리티부 (P0 내지 P7)와의 합계 40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256개의 물리 블럭에 물리 블럭 번호 #00H 내지 #FFH가 각각 할당되어 있고, 이 중 물리 블럭 #00H 내지 #EFH가 데이타 영역을, 물리 블럭 #F0H 내지 #FDH가 포인터 영역을, 물리 블럭 #FEH, #FFH가 제1, 제2 영역을 각각 구성하고 있다.
또한, 데이타 영역에 대해서는, 240개의 물리 블럭 #00H 내지 #EFH 중, 224개의 물리 블럭이 대상 블럭(이하, 데이타 블럭이라 함)으로 되고, 나머지 16의 물리 블럭이 갱신 블럭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최대 16블럭분의 데이타의 정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도 16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물리 블럭 #00H 내지 #DFH가 데이타 블럭으로, 물리 블럭 #E0H 내지 EFH가 갱신 블럭으로 되어 있다.
포인터 영역에 대해서는, 14개의 물리 블럭 #F0H 내지 #FDH 중 7개씩이 각각 대상 블럭 (이하, 포인터 블럭이라 함) 또는 갱신 블럭으로 되어 있다. 또, 도 16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물리 블럭 #F0H 내지 #F6H가 포인터 블럭에, 물리 블럭 #F7H 내지 FDH가 갱신 블럭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서는, 제1 및 제2 영역은 유효 판정 블럭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유효 판정 블럭(제1 및 제2 영역)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효 판정 블럭의 데이타부의 1바이트째(D00)에는 최신 정보 (최신성 판정 정보)가 배치되고, 2 내지 8바이트째 (D01 내지 D07)에는 포인터 영역의 대상 블럭(포인터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배치된다.
유효 판정 블럭의 데이타부의 9 내지 24바이트째 (D08 내지 D17)에는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배치된다. 즉, 상술한 경우에는, 제1 및 제2 영역에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기억된 포인터 영역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의 포인터)가 기억되도록 되어 있었지만, 여기서는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으로의 포인터)가 직접 유효 판정 블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포인터 영역에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기억되는 물리 블럭은 없다.
유효 판정 블럭의 데이타부의 25 내지 31바이트째 (D18 내지 D1e)에는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배치되고, 그 32바이트째 (D1f)에는 예비로 되어 있다.
또한, 유효 판정 블럭의 패리티부에는 상술한 유효성 판정 정보에 상당하는 예를 들면 RS 부호 등이 배치된다.
여기서, EEPROM(66)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유효성 판정 블럭의 데이타부의 초기치의 예를 도 17의 (b)에 나타낸다.
다음에, 도 18은 포인터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포인터 블럭 및 그 갱신 블럭)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타부 (D00 내지 D1f)에는 데이타 영역의 물리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가 32개 단위로 배치된다. 또, 포인터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의 패리티부는 상술한 유효성 정보로서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패리티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따라서 이 패리티부에 배치되는 정보는 오류 정정 능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더블 포인터 방식에서는 포인터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의 데이타부에 배치된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의 유효성은 그 패리티부에 배치되는 정보에 의해서가 아니라, 유효 판정 블럭의 유효성 정보로서의 패리티부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판정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EEPROM(66)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포인터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의 데이타부의 초기치의 예를, 도 18의 (b)에 나타낸다.
또, 데이타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 (데이타 블럭 및 그 갱신 블럭)은 데이타부에 물리 블럭 번호가 아니라, 기록 및 판독되는 데이타가 배치되는 외에는 포인터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과 마찬가지로 구성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데이타 영역으로의 기록이 종료하고, 또한 데이타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으로의 포인터를 기억하는 포인터 영역으로의 기록이 종료하고 나서, 포인터 영역을 구성하는 물리 블럭으로의 포인터를 기억하는 유효 판정 블럭(제1 또는 제2 영역)의 기억 내용을 갱신하도록 하였으므로, 1 이상의 물리 블럭에서의 물리적인 메모리 손상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데이타 영역을 구성하는 1의 물리 블럭의 메모리 손상에 대처하는 것과 동시에, 복수의 물리 블럭의 메모리 손상에도 대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점으로부터, 유효 판정 블럭과, 포인터 영역에 기억되는 정보는 데이타 영역에서의 논리 블럭 번호를 물리 블럭 번호로 변환하는 말하자면 변환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효 판정 블럭이나, 포인터 영역의 기록이 진행 중일 때에 장해가 발생하면, 논리적인 메모리 손상이 생기지만, 그와 같은 논리적인 메모리 손상에도 대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복수의 관련성이 있는 데이타의 기록이 진행할 때에 장해가 발생하여 메모리 손상이 생기더라도, 이들의 복수의 데이타의 정합성을 유지한다고 하는 메모리 손상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을 비접촉 카드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메모리 외의 기억 수단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모든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히 예를 들면, 상술한 비접촉 카드 시스템이나, 또한 접촉형이더라도 사용자가 IC 카드의 삽입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시스템 등의, 말하자면, 데이타의 송수신이 불안정한 상태로 행해지는 시스템에 대해 유용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효 판정 블럭 또는 포인터 영역에, 포인터 영역 또는 데이타 영역의, 말하자면 빈 영역으로서의 포인터 영역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 또는 데이타 영역의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를 각각 기억시키도록 하였지만, 이들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는 반드시 기억시킬 필요는 없다. 단,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를 기억시켜 두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타의 기록 시에, 갱신 블럭이 되는 물리 블럭을 EEPROM(66)의 기억 내용을 서치함으로써 검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처리의 고속화 등의 관점으로부터는 갱신 블럭의 물리 블럭 번호를 기억시켜 놓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EEPROM(66)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유효 판정 블럭을 기억시키는 영역, 포인터 영역 및 데이타 영역을 할당하도록 하였지만, 이들 영역을 할당하는 위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영역은 EEPROM(66) 상에 연속한 범위의 영역으로서 확보할 필요도 없다. 즉, 유효 판정 블럭을 기억시키는 영역, 포인터 영역 또는 데이타 영역 각각에는, EEPROM(66) 상의 불연속인 위치에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EEPROM(66)에 전회의 기억 내용만을 유지해 놓도록 하였지만, 그 밖에, 예를 들면 전회와 전전회의 기억 내용을 유지해 놓도록 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단, 이 경우, 보다 많은 기억 용량이 필요해진다.
또, 본 발명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는 여러가지 변형이나 응용예를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데이타가 기록되고, 그 데이타를 기록한 블럭의 블럭 번호가 제1 또는 제2 영역 중 다른 쪽에 기억되며,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데이타가 소거되도록 했기 때문에, 안정하게 항상 1개의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Claims (12)

  1. 블럭 단위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가 데이타를 상기 블럭 단위로 기억하는 데이타 영역과, 상기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할당된 번호인 블럭 번호를 복수 기억하는 제1 및 제2 영역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상기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데이타를 기록하고,
    상기 데이타를 기록한 상기 블럭의 블럭 번호를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 중 다른 쪽의 영역에 기억시키며,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 중 상기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데이타를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복수의 상기 블럭 번호 외에, 그 기억 내용 중 새로운 것에 관한 최신 정보, 또는 유효성에 관한 유효성 정보도 기억하고,
    상기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 중 적어도 한 쪽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 중 상기 한 쪽의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정보가,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양쪽이 유효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중, 상기 최신 정보에 의해 최신의 것으로 되어 있는 한 쪽 영역의 데이타를 갱신하고, 최신의 것으로 되어 있지 않은 다른 쪽 영역의 데이타를 소거한 후, 상기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상기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를 기록한 블럭의 블럭 번호를 상기 다른 쪽의 영역에 기억시키고, 상기 다른 쪽의 영역에서의 상기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를 갱신한 후에, 상기 한 쪽 영역의 데이타를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의 영역을 선택한 경우에, 상기 다른 쪽 영역의 데이타가 소거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상기 다른 쪽의 영역의 데이타를 소거한 후, 상기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상기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블럭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6. 블럭 단위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가 데이타를 상기 블럭 단위로 기억하는 데이타 영역과, 상기 데이타 영역을 구성하는 블럭의 번호인 블럭 번호를 복수 기억하는 제1 및 제2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상기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데이타 기록부,
    상기 데이타를 기록한 상기 블럭의 블럭 번호를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 중다른 쪽 영역에 기억시키는 블럭 번호 기록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중 상기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데이타를 소거하는 소거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블럭 단위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이용한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가, 데이타를 상기 블럭 단위로 기억하는 데이타 영역, 상기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할당된 블럭 번호를 복수 기억하는 포인터 영역 및 상기 포인터 영역의 블럭에 할당된 블럭 번호를 복수 기억하는 제1 및 제2 영역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상기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포인터 영역의 블럭의 블럭 번호에, 또한 대응하는 상기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데이타를 기록하고,
    상기 데이타를 기록한 상기 블럭의 블럭 번호를 상기 포인터 영역의 블럭에 기억시키고, 상기 기억된 포인터 영역의 블럭의 블럭 번호를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중 다른 쪽의 영역에 기억시키며,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 중 상기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데이타를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복수의 상기 블럭 번호 외에, 그 기억 내용 중 새로운 것에 관한 최신 정보, 또는 유효성에 관한 유효성 정보도 기억하고,
    상기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 중 적어도 한 쪽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의 영역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정보가,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양쪽이 유효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중, 상기 최신 정보에 의해 최신의 것으로 되어 있는 한 쪽 영역의 데이타를 갱신하고, 최신의 것으로 되어 있지 않은 다른 쪽 영역의 데이타를 소거한 후, 상기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상기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포인터 영역의 블럭의 블럭 번호에, 또한 대응하는 상기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를 기록한 블럭의 블럭 번호를 포인터 영역의 블럭에 기억시키고, 또한 상기 포인터 영역의 블럭의 블럭 번호를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 중 상기 다른 쪽의 영역에 기억시키며, 상기 다른 쪽의 영역에서의 상기 최신 정보와 유효성 정보를 갱신한 후에, 상기 한 쪽 영역의 데이타를 소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 중 한 쪽의 영역을 선택한 경우에, 상기 다른 쪽 영역의 데이타가 소거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상기 다른 쪽 영역의 데이타를 소거한 후, 상기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상기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포인터 영역의 블럭의 블럭 번호에, 또한 대응하는 상기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방법.
  12. 블럭 단위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이용하여 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가, 데이타를 상기 블럭 단위로 기억하는 데이타 영역, 상기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할당된 블럭 번호를 복수 기억하는 포인터 영역 및 상기 포인터 영역의 블럭에 할당된 블럭 번호를 복수 기억하는 제1 및 제2 영역을 갖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 중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상기 블럭 번호에 대응하는 상기 포인터 영역의 블럭의 블럭 번호에, 또한 대응하는 상기 데이타 영역의 블럭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데이타 기록부,
    상기 데이타를 기록한 상기 블럭의 블럭 번호를 상기 포인터 영역의 블럭에 기억시키고, 상기 기억된 포인터 영역의 블럭의 블럭 번호를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 중의 다른 쪽의 영역에 기억시키는 블럭 번호 기록부,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 중 상기 한 쪽의 영역이 기억하고 있는 데이타를 소거하는 소거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19980027595A 1997-07-09 1998-07-09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KR1005536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83534 1997-07-09
JP18353497A JP3721725B2 (ja) 1997-07-09 1997-07-09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719A true KR19990013719A (ko) 1999-02-25
KR100553630B1 KR100553630B1 (ko) 2006-05-25

Family

ID=1613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595A KR100553630B1 (ko) 1997-07-09 1998-07-09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330633B1 (ko)
EP (2) EP0890931B1 (ko)
JP (1) JP3721725B2 (ko)
KR (1) KR100553630B1 (ko)
CN (2) CN1773559B (ko)
AU (1) AU747688B2 (ko)
CA (1) CA2242740C (ko)
HK (1) HK1019253A1 (ko)
MY (1) MY124571A (ko)
TW (1) TW4062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1883A (ja) * 1999-08-12 2001-02-23 Nec Corp 不揮発性メモリにおける自己修復方法および不揮発性メモリ装置
US6763424B2 (en) * 2001-01-19 2004-07-13 Sandisk Corporation Partial block data programming and reading operations in a non-volatile memory
JP3820999B2 (ja) * 2002-01-25 2006-09-13 ソニー株式会社 近接通信システム及び近接通信方法、データ管理装置及びデータ管理方法、記憶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R2848702B1 (fr) * 2002-12-12 2005-03-18 A S K Procede securise de modification de donnees enregistrees dans une carte a memoire
JP4701618B2 (ja) * 2004-02-23 2011-06-1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023957A (ja) 2004-07-07 2006-01-26 Sony Corp 半導体集積回路及び情報処理装置
US20060253643A1 (en) * 2005-05-04 2006-11-09 Delkin Devices, Inc. Memory with isolated master boot record
US7581142B2 (en) * 2006-01-03 2009-08-25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usable in sensor networks for handling memory faults
US20070271421A1 (en) * 2006-05-17 2007-11-22 Nam Sung Kim Reducing aging effect on memory
JP4229140B2 (ja) * 2006-06-16 2009-02-25 ソニー株式会社 集積回路チップ、データ読み出し方法、データ書き込み方法、icカード、および携帯電話機
WO2008053053A1 (es) * 2006-11-03 2008-05-08 Intel Corporation Reducción del efecto de envejecimiento en los registros
CN100535935C (zh) * 2006-12-26 2009-09-02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Cpu与逻辑加密双用智能卡及其数据同步方法
US20090048936A1 (en) * 2007-04-13 2009-02-19 Lerch John W Method and system for RFID transaction integrity utilizing an EEPROM
KR101336258B1 (ko) * 2007-05-29 2013-1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9223435A (ja) * 2008-03-13 2009-10-01 Denso Corp データ記憶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5633125B2 (ja) * 2009-07-29 2014-12-0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74840A (ja) * 2010-02-25 2011-09-08 Alps Electric Co Ltd 無線センサ装置
JP5451682B2 (ja) * 2011-05-20 2014-03-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フラッシュメモリ装置
JP6020377B2 (ja) * 2013-07-25 2016-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Icカード更新装置、icカード、icカード更新システム、及びicカード更新方法
JP2015225565A (ja) * 2014-05-29 2015-12-14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電子制御装置
CN104680095B (zh) * 2015-03-20 2017-07-25 山东威尔数据股份有限公司 非接触式ic卡多信息块安全更新方法
TWI650660B (zh) * 2017-09-21 2019-02-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交易式檔案存取方法與電子裝置
JP2021135563A (ja) * 2020-02-25 2021-09-1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タグ読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448B1 (ko) * 1987-03-20 1991-04-22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휴대가능 전자장치
EP0492450B1 (en) * 1990-12-25 2002-08-28 Fuji Photo Film Co., Ltd. Memory card having an EEPROM
WO1992021104A1 (fr) * 1991-05-22 1992-11-26 Kyodo Printing Co., Ltd. Carte de ci de type sans contact
JP2582487B2 (ja) * 1991-07-12 1997-02-1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半導体メモリを用いた外部記憶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FR2687816B1 (fr) * 1992-02-24 1994-04-08 Gemplus Card International Procede de personnalisation d'une carte a puce.
US5682497A (en) * 1993-09-28 1997-10-28 Intel Corporation Managing file structures for a flash memory file system in a computer
FR2730833B1 (fr) * 1995-02-16 1997-03-28 Gemplus Card Int Procede de mise a jour securisee de memoire eeprom
US5860082A (en) * 1996-03-28 1999-01-12 Dataligh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storage in a flash memory
US5701492A (en) * 1996-03-29 1997-12-23 Canon Kabushiki Kaisha Fail-safe flashing of EPROM
JPH09330598A (ja) * 1996-06-10 1997-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記憶装置及びその特性劣化状態判定方法
KR100383404B1 (ko) * 1996-08-16 2003-07-16 동경 엘렉트론 디바이스 주식회사 반도체메모리장치및반도체메모리장치에있어서의데이타기입/판독방법
US5937423A (en) * 1996-12-26 1999-08-10 Intel Corporation Register interface for flash EEPROM memory arrays
JP3702923B2 (ja) * 1997-02-28 2005-10-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3559B (zh) 2010-10-06
CN1773559A (zh) 2006-05-17
CA2242740A1 (en) 1999-01-09
EP2293232A2 (en) 2011-03-09
CA2242740C (en) 2006-09-12
MY124571A (en) 2006-06-30
EP0890931B1 (en) 2016-12-07
TW406244B (en) 2000-09-21
CN1208905A (zh) 1999-02-24
KR100553630B1 (ko) 2006-05-25
EP0890931A2 (en) 1999-01-13
US6330633B1 (en) 2001-12-11
AU7406798A (en) 1999-01-21
CN1242361C (zh) 2006-02-15
AU747688B2 (en) 2002-05-16
EP2293232A3 (en) 2011-04-06
JP3721725B2 (ja) 2005-11-30
JPH1125003A (ja) 1999-01-29
EP0890931A3 (en) 2001-02-14
HK1019253A1 (en) 200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630B1 (ko)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US77524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data locations accessible by different devices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permissions
US87563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data recovery after failure
EP1341134B1 (en) Data storage device and data storage method
KR100498520B1 (ko) 정보처리방법및정보처리장치
US7343452B2 (en) Apparatus for direct access to only specific lower hierarchy data in a nest structure
KR100273614B1 (ko) 아이씨 카드
JP5633125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46264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リーダ/ライタおよびアクセス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89060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389060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リーダ/ライタおよびアクセス方法、並びに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