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395A - 끈 고정구 - Google Patents

끈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395A
KR19990013395A KR1019980021331A KR19980021331A KR19990013395A KR 19990013395 A KR19990013395 A KR 19990013395A KR 1019980021331 A KR1019980021331 A KR 1019980021331A KR 19980021331 A KR19980021331 A KR 19980021331A KR 19990013395 A KR19990013395 A KR 19990013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male member
arm member
hole
molded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케다야스히코
Original Assignee
오가사와라토시아키
가부시키가이샤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와라토시아키, 가부시키가이샤니프코 filed Critical 오가사와라토시아키
Publication of KR19990013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39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1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deforming the cable by moving a part of th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Buckle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끈 고정구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형태로, 모양 등을 끈 고정구의 외면측에 경시적(經時的)으로 변화하지 않도록 형성하여, 끈 고정구의 외관성을 향상시킨다. 끈 고정구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손에 닿는 감촉을 소프트하게 한다.
통상(筒狀)을 이루는 암부재(10)와, 암부재(10)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숫부재(20)와, 숫부재(20)의 부세수단(30)을 가진다. 숫부재(20)의 밀어 넣음 위치에서 끈(W)이 삽통가능하게 연통되는 관통공(13)(23)을 숫부재(20)와 암부재(10)에 가지고 있다. 관통공(13)(23)에 꿰찔러진 끈(W)을, 부세수단(30)의 부세에 의해 숫부재(20)의 관통공(23)의 구멍 둘레부와 암부재(10)의 관통공(13)의 구멍 둘레부로 끼워 고정하여 끈(W)에 채워진다. 끈 고정구에 있어서의 암부재(10)와 숫부재(20)가, 제1차 성형품 부분(F)과, 제1차 성형품 부분(F)을 인써트하여 제1차 성형품 부분(F)의 외면부(Fa)에 형성되는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끈 고정구
본 발명은 숫부재의 밀어 넣음 위치에서 고정의 대상이 되는 끈을 꿰찌르기 가능한 모양으로 서로 연통되는 끈 관통공을 각각 가지는, 해당 숫부재 및 상기 숫부재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암부재와, 상기 각 관통공에 꿰찔러진 끈을 해당 각 관통공을 상기 숫부재를 상기 암부재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부세시킴으로써 변위시켜 상기 각 관통공의 구멍 둘레부로 끼워서 고정하도록 하는 해당 숫부재의 부세수단을 구비한 끈 고정구의 개량에 관계한다.
여러가지 의복의 개구부 등의 조임끈이나 여러가지 주머니형 물품의 개구부 등의 조임끈 등의 끈 모양체에 대해, 적당한 위치에 자유로이 고정시킬 수 있고, 이러한 고정에 의해 이러한 개구부 등을 둘러싸는 상기 조임끈의 길이를 조정하여, 이러한 개구부 등을 벌린 상태 혹은 조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용도로 이용되는 끈 고정구로서, 숫부재의 밀어 넣음 위치에서 고정의 대상이 되는 끈을 꿰찌르기 가능한 모양으로 서로 연통되는 끈 관통공을 각각 가지는, 해당 숫부재 및 이 숫부재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암부재와, 상기 각 관통공에 꿰찔러진 끈을 해당 각 관통공을 변위시켜 상기 각 관통공의 구멍 둘레부로 끼워서 고정하도록 하는 상기 숫부재의 부세수단을 구비한 끈 고정구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끈 고정구는 상기 의복 등의 조임끈 등 신변물품에 빈번히 사용되는 것이라는 점, 또 상기 고정 혹은 해당 고정의 해제를 위한 상기 숫부재의 누름조작이 행해질 때마다, 표면부에 손가락 등이 접촉되는 것이라는 점때문에, 이러한 끈 고정구에 있어서는 의장적 효과를 높이는 것과, 조작시 등에 있어서의 손에 닿는 감촉을 소프트하게 하는 것이 특히 요청되는 바이다.
상기 의장적 효과를 만족시키는 관점에서는, 끈 고정구의 외면에 인쇄 등으로 모양 등을 가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단순히 이러한 외면에 모양 등을 가한 것만으로는 끈 고정구의 사용시에 이러한 모양 등의 긁힘이나 벗겨져 떨어짐을 야기시키기 쉽다. 또, 이러한 모양 등을 상기 외면부에 홈이나, 오목부, 돌부를 설치하여 시행한 경우에는, 끈 고정구의 외면을 평탄하게 조절할 수 없고, 또 오물 등을 끈 고정구의 외면에 부착하기 쉽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숫부재의 누름조작시 등에 이들 홈 등이 손가락 살 등을 깨물어, 쾌적한 조작감을 사용자에게 주기 어려운 것이다.
또, 조작시 등에 있어서의 손에 닿는 감촉을 소프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끈 고정구 전체를 고무상의 탄성을 구비한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단순히 이러한 소재로 끈 고정구를 구성한 경우, 끈 고정구의 강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특히 상기 숫부재의 관통공의 구멍 둘레부와 암부재의 관통공의 구멍 둘레부로 꿰찔러진 끈을 충분히 끼워서 고정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예상된다.
또, 상기 각 관점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기 숫부재 및 암부재의 외면부에 예컨대 고무상(狀) 탄성을 구비한 커버체 등을 장착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이러한 장착작업은 반드시 용이한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으며, 게다가 상기 외면부에 대한 커버체의 조립상태를 경시적(經時的)으로 확보하기 어려워서, 이러한 수법도 채용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류의 끈 고정구에 있어서, 첫째로 끈 고정구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형태로, 모양 등을 끈 고정구의 외면측에 경시적으로 변화하지 않도록 형성하여, 끈 고정구의 외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둘째로 끈 고정구의 조작시에 있어서의 손에 닿는 감촉을 소프트하게 하는 모양인 구성을, 끈 고정구의 외면측에 용이하면서 확실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끈 고정구(T1)의 종단면도,
도 2는 끈 고정구(T1)의 종단면도,
도 3은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관계되는 숫부재(20)의 요부 파단 측면도,
도 4는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관계되는 암부재(10)의 요부 파단 측면도,
도 5는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관계되는 암부재(10)의 평면도,
도 6은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관계되는 암부재(10)의 요부 파단 측면도,
도 7은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관계되는 암부재(10)의 저면도,
도 8은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관계되는 숫부재(20)의 평면도,
도 9는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관계되는 숫부재(20)의 요부 파단 측면도,
도 10은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관계되는 숫부재(20)의 저면도,
도 11은 숫부재(20)의 요부 파단 측면도,
도 12는 암부재(10)의 요부 파단 측면도,
도 13은 암부재(10)의 평면도,
도 14는 암부재(10)의 요부 파단 측면도,
도 15는 암부재(10)의 저면도,
도 16은 숫부재(20)의 평면도,
도 17은 숫부재(20)의 요부 파단 측면도,
도 18은 숫부재(20)의 저면도,
도 19는 끈 고정구(T1)의 사시도,
도 20은 끈 고정구(T1)의 사시도,
도 21은 끈 고정구(T2)의 종단면도,
도 22는 끈 고정구(T2)의 사시도,
도 23은 끈 고정구(T3)의 종단면도,
도 24는 끈 고정구(T3)의 사시도.
〔부호의 설명〕
T1...끈 고정구, T2...끈 고정구,
T3...끈 고정구, 10...암부재,
13...관통공, 20...숫부재,
21...끼움부, 23...관통공,
30...부세수단(付勢手段), F...제1차 성형품 부분,
Fa...외면부, S...제2차 표면 성형부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끈 고정구가 이하의 ⑴∼⑻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⑴ 한쪽의 통끝이 막혀진 통상(筒狀)을 이루는 암부재와,
⑵ 이 암부재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끼움부를 가지는 숫부재와,
⑶ 상기 숫부재를 상기 암부재내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가짐과 동시에,
⑷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에 대항한 상기 숫부재의 밀어 넣음 위치에서 끈이 삽통가능한 모양으로 서로 연통되는 해당 끈 관통공을 해당 숫부재의 끼움부와 상기 암부재의 측부에 가지고 있으며,
⑸ 상기 밀어 넣음 위치에서 서로 연통되는 상기 관통공에 꿰찔러진 끈을,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에 의해 상기 숫부재의 관통공의 구멍 둘레부와 상기 암부재의 관통공의 구멍 둘레부로 끼워 고정하여, 해당 끈에 고정되는 끈 고정구로서,
⑹ 이 끈 고정구에 있어서의 암부재와 숫부재가, 제1차 성형품 부분과,
⑺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을 인써트하여, 적어도, 상기 암부재에 있어서의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외면부와, 상기 숫부재에 있어서의 제1차 성형품 부분의 해당 암부재로부터의 돌출측에 있는 외면부에 형성되는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을 가지고 있고,
⑻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이 고무 또는 고무상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투광성(透光性)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숫부재의 끼움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암부재의 관통공을 연통시키는 해당 숫부재의 밀어 넣음 위치에 있어서, 이러한 연통하여 맞추어진 각 관통공에 끈을 꿰찌른 후,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에 의해 숫부재를 상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이와 같이 이동되는 숫부재의 관통공의 구멍 둘레부와 암부재의 관통공의 구멍 둘레부로 상기 끈을 끼워 고정할 수 있고, 이 끼움에 의해 해당 끈의 적정 위치에 이러한 끈 고정구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부세수단은 상기 암부재내에 밀어 넣어진 숫부재를 해당 암부재내에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부세시키는 것이면 되며, 예컨대 상기 숫부재의 끼움부와 암부재의 바닥 사이에 끼워진 압축 코일스프링이나, 숫부재의 끼움부 혹은 암부재의 바닥부에 설치되고 동시에 숫부재의 밀어 넣음에 의해 탄성변형되며, 탄성복귀에 의해 해당 숫부재를 상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부세시키는 탄성편 등으로 이러한 부세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외면부에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을 인써트하여 상기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외면부와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의 일체성을 높게 확보할 수 있고, 끈 고정구의 사용시에 이러한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이 제1차 성형품 부분과 분리되어 버리는 사태를 일으키는 일이 적다. 즉, 본 발명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에 의하면,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외면부의 손에 닿는 감촉이나 의장적 특성 등을 향상시키는 가공을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을 고무 또는 고무상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하면, 제1차 성형품 부분에 소요의 강성(剛性), 특히 상기와 같이 꿰찔러진 끈을 상기 각 관통공의 구멍 둘레부로 충분히 끼워서 고정가능한 단단함을 이러한 구멍 둘레부에 갖게 시킨 상태에서, 끈 고정구의 조작 등에 대응하여 손가락 등이 접촉되는 끈 고정구의 외부면의 손에 닿는 감촉을 소프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을, 투광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하면, 끈 고정구에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의 윤곽(輪郭)과,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을 통하여 눈으로 인식되는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윤곽과의 2개의 윤곽을 갖게 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색채에 깊이를 주어서 끈 고정구 전체의 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끈 고정구의 의장적 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의 투광성을 조정함으로써, 또는 유색투명(有色透明)으로 함으로써, 다양한 의장적 효과를 끈 고정구에 부여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이러한 투광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를 고무상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함으로써, 이러한 투광성에 기초한 의장적 효과와 상기 손에 닿는 감촉을 소프트한 것으로 하는 효과 모두를 끈 고정구에 부여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을 투광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한 경우에는,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외면부에 형성한 홈이나, 오목부, 돌부 더나아가서는 이러한 외면부에 인쇄 등을 하여 형성한 문자, 도형 등의 모양 등의 표시체(表示體)를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을 통하여 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끈 고정구의 의장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이들 표시체를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으로 덮어 둠으로써, 끈 고정구의 외면부를 평탄하게 유지한 상태로, 즉 끈 고정구의 사용시에 상기 홈, 오목부, 돌부 등이 손가락 등에 닿아서 사용감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한 상태로, 끈 고정구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외면부에 인쇄 등으로 형성되어,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을 통하여 눈으로 인식되는 모양이, 이러한 끈 고정구의 사용시에 흐려진다든지 지워진다든지 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소기의 의장적 효과를 경시적으로 끈 고정구에 계속하여 부여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가 또한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외면부에 돌부를 형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돌부의 돌출 단면과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의 표면이 거의 동일면을 이루도록, 해당 외면부에 해당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돌부의 돌출 단면(端面)을 둘러싸는 해당 돌부의 둘레로, 끈 고정구의 외면부에 끈 고정구의 사용시에 지워져 버린다든지 하는 일이 없는 모양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또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색채와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의 색채를 달리함으로써, 이러한 모양을 눈에 잘 띄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끈 고정구의 의장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이러한 돌부의 돌출 단면과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의 표면을 거의 동일면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끈 고정구의 사용시의 사용감을 해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T1)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끈(W)에 대해 고정을 한 상태에 있는 해당 끈 고정구(T1)를 종단면 상태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는 도 1의 상태에 있는 끈 고정구(T1)를 도 1과 90도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종단면 상태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동 도에서 끈(W)은 생략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10은 제1차 성형품 부분(F)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관계되는 숫부재(20) 또는 암부재(10)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은 이러한 숫부재(20)을 측면으로부터 일부를 단면한 상태이며, 도 4는 이러한 암부재(10)를 측면으로부터 일부를 단면한 상태이고, 도 5는 이러한 암부재(10)를 개구(11)측에서 본 상태이며, 도 6은 이러한 암부재(10)를 도 4와 90도 상이한 방향의 측면에서 일부를 단면한 상태이고, 도 7은 이러한 암부재(10)를 바닥측에서 본 상태이며, 또 도 8은 이러한 숫부재(20)를 정상부(22)측에서 본 상태이고, 도 9는 이러한 숫부재(20)를 도 3과 90도 상이한 방향의 측면에서 일부를 단면한 상태이며, 또한 도 10은 이러한 숫부재(20)를 상기 정상부(22)와 반대 측에서 본 상태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8은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F)의 외면부에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을 형성시킨 상태를 이해하기 쉽도록,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이 형성된 숫부재(20) 또는 암부재(10)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은 이러한 숫부재(20)를 측면에서 일부를 단면한 상태이며, 도 12는 이러한 암부재(10)를 측면에서 일부를 단면한 상태이고, 도 13은 이러한 암부재(10)를 개구(開口)(11)측에서 본 상태이며, 도 14는 이러한 암부재(10)를 도 12와 90도 상이한 방향의 측면에서 일부를 단면한 상태이고, 도 15는 이러한 암부재(10)를 바닥측에서 본 상태이며, 또 도 16은 이러한 숫부재(20)를 정상부(22)측에서 본 상태이고, 도 17은 이러한 숫부재(20)를 도 11과 90도 상이한 방향의 측면에서 일부를 단면한 상태이며, 또한 도 18은 이러한 숫부재(20)를 상기 정상부(22)와 반대측에서 본 상태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9는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을 고무 또는 고무상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한 끈 고정구(T1)의 예를, 또 도 20은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을 투광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한 끈 고정구(T1)의 예를, 각각 사시 상태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T1)는 한쪽의 통끝이 막혀진 거의 원통상를 이루는 암부재(10)와, 상기 통상을 이루는 암부재(10)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거의 원주상(圓柱狀)을 이루는 끼움부(21)를 가지는 숫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숫부재(20)는 상기 끼움부(21)의 일단부에, 해당 끼움부(21)의 축선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판면(板面)을 배치한 원판상(圓板狀)을 이루는 정상부(22)를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숫부재(20)는 상기 암부재(10)의 개구(11), 즉 막혀져 있지 않은 다른쪽의 통끝측에서 해당 암부재(10)내에, 상기 정상부(22)와 반대측에서 상기 끼움부(21)를 이동가능하게 끼운 구성으로 하고 있다.
암부재(10)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11)와, 이 개구(11)와 반대측에 있는 해당 암부재(10)의 한쪽의 통끝을 막는 바닥판(12)과의 사이에 있는 해당 암부재(10)의 측부에는 해당 암부재(10)의 통축(筒軸)을 사이에 둔 대칭위치에 거의 같은 길이, 같은 형태의 끈(W)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숫부재(20)에 있어서의 끼움부(21)에는 해당 끼움부(21)의 축선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끈(W)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공(23)은 이러한 끼움부(21)의 직경방향 양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숫부재(20)의 관통공(23)의 구멍 직경 및 구멍 형상이 암부재(10)의 관통공(13)과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러한 끈 고정구(T1)는 상기 숫부재(20)를 상기 암부재(10)내에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30)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숫부재(20)의 상기 정상부(22)와 반대측과 암부재(10)의 상기 바닥판(12) 내면과의 사이에, 압축 코일스프링(31)을 끼워 넣어서, 숫부재(20)가 상기 부세를 받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숫부재(20)의 끼움부(21)에, 이 끼움부(21)에 있어서의 상기 정상부(22)와 반대측에 있는 단부면(端部面)에서 개구하고, 상기 정상부(22)측으로 향하여 이어지는 상기 스프링(31)을 일단측으로부터 끼워 넣는 끼움 구멍(24)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암부재(10)의 바닥판(12) 내면에 이러한 스프링(31)의 타단측이 감긴 상태로 끼워지는 돌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숫부재(20)의 정상부(22)의 하면이 암부재(10)의 개구(11) 둘레부에 맞닿는 해당 숫부재(20)의 최대 밀어 넣음 위치에서, 암부재(10)의 관통공(13)과 숫부재(20)의 관통공(23)이 거의 어긋남없이 연통되며, 이러한 관통공(13)(23)의 구멍 직경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끈(W)을 이와 같이 연통되는 각 관통공(13)(23)에 대해 꿰찌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이러한 최대 밀어 넣음 위치에서, 적어도 상기 스프링(31)은 압축변형되며, 숫부재(20)를 암부재(10)내에서 돌출시키는 방향으로의 부세력이 축적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최대 밀어 넣음 위치에서 상기 각 관통공(13)(23)에 끈(W)을 꿰찌른 후, 상기 숫부재(20)의 밀어 넣음을 해제함으로써, 해당 숫부재(20)를 상기 스프링(31)의 부세에 의해 돌출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숫부재(20)의 돌출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해당 숫부재(20)의 관통공(23)과 암부재(10)의 관통공(13)과의 구멍 둘레에 어긋남이 생기게 되어, 이러한 각 관통공(13)(23)의 구멍 둘레부로 꿰찌른 끈(W)을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 끼움에 의해, 이러한 끈(W)에 끈 고정구(T1)가 고정된다. (도 1) 또, 이러한 고정 상태로부터 다시 숫부재(20)의 상기 정상부(22)의 상면을 눌러 상기 최대 밀어 넣음 위치로 향하게 하여 숫부재(20)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러한 끈(W)에 대한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끈 고정구(T1)는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고정과 해당 고정의 해제에 의해, 상기 끈(W)에 대한 끈 고정구(T1)의 고정(고정)위치를 적당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예컨대 각종 의복의 개구부 혹은 개방부를 둘러싸는 조임끈 등에 이러한 끈 고정구(T1)를 채운 경우, 이러한 조임끈 등으로의 상기 고정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러한 개구부 등을 둘러싸는 조임끈 등의 길이를 변화시켜 상기 의복의 개구부 등을 벌리고 혹은 오무릴 수 있고, 상기 벌리고 혹은 오무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숫부재(20)의 끼움부(21)가 상기 관통공(23)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이 되는 위치에, 해당 끼움부(21)의 축선을 따른 홈(21a)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암부재(10)가 상기 관통공(13)이 설치되어 있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이 되는 위치에, 상기 홈(21a)에 끼워지는 돌조(15)를 가지고 있으며, 이 홈(21a)으로의 돌조(15)의 끼움에 의해 상기 숫부재(20)의 암부재(10)로의 끼움 방향이, 상기 각 관통공(13)(23)을 연통가능하게 하는 방향으로 항상 유지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숫부재(20)의 관통공(23)에 있어서의 상기 정상부(22)와 반대측에 있는 구멍 둘레에는, 암부재(10)로의 숫부재(20)의 끼움부(21)의 끼움에 대응하여 약간 탄성변형하여 이 끼움을 허용하고, 암부재(10)의 관통공(13)에서 탄성복귀하여 상기 스프링(31)의 부세에 의한 숫부재(20)의 이동시에 암부재(10)의 관통공(13)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11)측의 구멍 둘레부에 당접하여 숫부재(20)의 그 이상의 돌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돌기(21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러한 끈 고정구(T1)에 있어서는 상기 암부재(10)와 숫부재(20)가 제1차 성형품 부분(F)과,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F)을 인써트하여,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F)의 외면부(Fa)에 형성되는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을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끈 고정구(T1)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방법으로서의 구성을 구비한 암부재(10) 및 숫부재(20)의 제1차 성형품 부분(F)을 성형한 후, (도 3 내지 도 10)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F)을 인써트하여, 이하의 ⑴∼⑸의 장소에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을 형성시키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8)
⑴ 암부재(10)의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있어서의 외면부(Fa)에 있어서, 해당 암부재(10)의 바닥판(12') 외면측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돌부(40)의 돌출 단면(41)을 제거한 장소
⑵ 암부재(10)의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있어서의 외면부(Fa)에 있어서, 암부재(10)의 측부 외면
⑶ 암부재(10)의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있어서의 외면부(Fa)에 있어서, 암부재(10)의 개구(11) 둘레부
⑷ 숫부재(20)의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있어서의 정상부(22') 상면에 있어서, 해당 숫부재(20)의 정상부(22') 상면측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돌부(40)의 돌출 단면(41)을 제거한 장소
⑸ 숫부재(20)의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있어서의 정상부(22') 둘레부 및 정상부(22') 하면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관계되는 암부재(10)의 바닥판(12') 외면측과 상기 숫부재(20)의 정상부(22') 외면측에,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F)에서 횡단면 형상이 거의 별모양을 이루는 돌부(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부(40)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 단면(41)을 덮지 않도록, 이러한 암부재(10)의 바닥판(12) 외면과 숫부재(20)의 정상부(22) 외면에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의 두꺼운 부분이 상기 돌부(40)의 돌출 길이와 거의 같아지게 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의 표면(Sa)과 상기 돌부(40)의 돌출 단면(41)이 거의 동일면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암부재(10)의 바닥판(12) 외면과 상기 숫부재(20)의 정상부(22) 외면에,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에 의해 덮여져 있지 않은 상기 돌부(40)의 돌출 단면(41)에 의해 별모양의 도형이 도시되고 있다. 제1차 성형품 부분(F)의 색채와,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의 색채를 다르게 해 두면, 이러한 도형을 눈에 띄게 하는 의장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을 고무 또는 고무상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하면, 표면부에 유연성을 구비한 끈 고정구(T1)를 얻을 수 있다. (도 19)
또,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을 투광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하면,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F)의 윤곽을 외부에서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의장적 특성을 끈 고정구(T1)에 부여할 수 있다. (도 20)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F) 및 제2차 표면 성형부분(S) 모두를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제1차 성형품 부분(F)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용융온도를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용융온도보다도 높게 설정해 둠으로써, 제1차 성형품 부분(F)의 용융, 변형 등을 초래하는 일이 없이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의 성형을 이룰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T2)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이러한 끈 고정구(T2)를 종단면의 상태로서, 또 도 22는 사시의 상태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끈 고정구(T2)를 구성하는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관계되는 암부재(10)의 바닥판(12') 외면측과 숫부재(20)의 정상부(22') 상면측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동일한, 횡단면 형상이 거의 별모양으로 되어 있는 돌부(40)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돌부(40)의 돌출 단면(41)도 덮인 상태로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을 제1차 성형품 부분(F)의 외부면(Fa)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을 투광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T2)에 있어서는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을 통하여,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형성한 상기 돌부(40)를 눈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T2)와 다른 의장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T2)에 있어서의 그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T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상기 각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도에서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 1 내지 도 20에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도 23은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T3)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이러한 끈 고정구(T3)를 종단면의 상태로서, 또 도 24는 사시의 상태로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끈 고정구(T3)를 구성하는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관계되는 암부재(10)의 바닥판(12') 외면과 숫부재(20)의 정상부(22') 상면에, 문자, 도형, 기호 등의 표시부분(50), 여기서는 별모양의 도형을 인쇄 등으로 실시하고 있음과 동시에, 이 표시부분(50)을 덮은 형태로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을 제1차 성형품 부분(F)의 외부면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을 투광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T3)에 있어서는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을 통하여,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F)에 형성한 상기 표시부분(50)을 눈으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T3)와 다른 의장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T3)에 있어서의 그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T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에 있어서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상기 각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도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 1 내지 도 20에 있어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에 의하면,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외면부에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을 인써트하여 상기 플라스틱 재료로 된 제2차 표면 성형부분(S)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외면부와 제2차 표면 성형부분과의 일체성을 높게 확보할 수 있으며, 끈 고정구의 사용에 따라 이러한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이 제1차 성형품 부분과 분리되어 버리는 사태를 일으키는 일이 적어지고, 또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외면부에 실시한 모양 등을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을 통하게 하는 등하여, 끈 고정구의 외면부를 평탄 내지는 매끈하게 유지한 상태로 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관계되는 끈 고정구에 의하면,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외면부의 손에 닿는 감촉이나 의장적 특성 등을 향상시키는 가공을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에 의해, 끈 고정구의 사용에 불편함을 야기하는 일이 없이 용이하면서도 확실하게 이룰 수 있다.

Claims (2)

  1. 한쪽의 통끝이 막혀진 통상을 이루는 암부재와,
    이 암부재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끼움부를 가지는 숫부재와,
    상기 숫부재를 상기 암부재내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수단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에 대항한 상기 숫부재의 밀어 넣음 위치에서 끈이 삽통가능한 모양으로 서로 연통되는 해당 끈의 관통공을 해당 숫부재의 끼움부와 상기 암부재의 측부에 가지고 있고,
    상기 밀어 넣음 위치에서 서로 연통되는 상기 관통공에 꿰찔러진 끈을, 상기 부세수단의 부세에 의해 상기 숫부재의 관통공의 구멍 둘레부와 상기 암부재의 관통공의 구멍 둘레부로 협부하여, 해당 끈에 고정되는 끈 고정구로서,
    상기 끈 고정구에 있어서의 암부재와 숫부재가, 제1차 성형품 부분과,
    상기 제1차 성형품 부분을 인써트하여, 적어도, 상기 암부재에 있어서의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외면부와, 상기 숫부재에 있어서의 제1차 성형품 부분의 해당 암부재로부터의 돌출측에 있는 외면부에 형성되는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이 고무 또는 고무상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 또는 투광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제1차 성형품 부분의 외면부에 돌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돌부의 돌출 단면과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의 표면이 거의 동일면을 이루도록, 해당 외면부에 해당 제2차 표면 성형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고정구.
KR1019980021331A 1997-07-03 1998-06-09 끈 고정구 KR199900133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192059 1997-07-03
JP19205997 1997-07-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395A true KR19990013395A (ko) 1999-02-25

Family

ID=162849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928A KR100230993B1 (ko) 1997-07-03 1997-12-29 끈고정구
KR1019980021331A KR19990013395A (ko) 1997-07-03 1998-06-09 끈 고정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928A KR100230993B1 (ko) 1997-07-03 1997-12-29 끈고정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2) KR100230993B1 (ko)
CN (2) CN1232196C (ko)
HK (1) HK1017978A1 (ko)
TW (2) TW35252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2981B (en) * 2007-09-21 2012-10-17 Otter Controls Ltd Electrical appliances
WO2010061450A1 (ja) * 2008-11-27 2010-06-03 Ykk株式会社 紐固定具
DE102010005795B3 (de) 2010-01-27 2011-06-01 Autoliv Development Ab Schalenelement für die Schlosskappe eines Gurtschlosses, Gurtschlos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alenelementes
CN104939442A (zh) * 2014-11-13 2015-09-30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减震防撞保护扣
JP6358995B2 (ja) * 2015-08-28 2018-07-18 株式会社ニフコ コード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168C (zh) 2004-08-25
CN1494840A (zh) 2004-05-12
CN1208590A (zh) 1999-02-24
TW355671B (en) 1999-04-11
TW352520U (en) 1999-02-11
KR100230993B1 (ko) 1999-11-15
HK1017978A1 (en) 1999-12-10
KR19990013275A (ko) 1999-02-25
CN1232196C (zh) 200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076Y1 (ko) 끈 조임구
JP4295468B2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KR100223576B1 (ko) 끈고정구
KR19990013395A (ko) 끈 고정구
KR100288619B1 (ko) 끈고정구
US5974632A (en) Eyeglasses fastening device
JP2011120862A (ja) 裾周りの長さ調整機構
US20070171357A1 (en) Accessory
JP3523862B2 (ja) 紐留め具
JP2001218607A (ja) 紐止め具
JP4162744B2 (ja) 紐留め具
JP2011117089A (ja) 帽子のサイズ調整機構
JP5619264B1 (ja) 紐先端部取付具
KR19990062621A (ko) 띠,끈 형상체의 단말커버
JP3174151U (ja) 装飾具及びネクタイ
JP3243633U (ja) 装飾具
KR200328453Y1 (ko) 자동차의 핸들커버
KR200262488Y1 (ko) 연결장치 없이 착용하는 방한용 귀마개
KR200210895Y1 (ko) 목걸이용 필기구 케이스
EP0756188A1 (en) A pair of eyeglasses having two lenses fitted in its adjustable rigid-and-resilient rims
JPH0739522U (ja) ピアス用キャッチ
JP2007191847A (ja) バイザーのカール型着用バンド用弾性部材
KR200224159Y1 (ko) 액세서리용 보조장식부재 부착구조
USD442306S1 (en) Lantern
KR200183432Y1 (ko) 야광부재가 설치된 안경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