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275A - 끈고정구 - Google Patents

끈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275A
KR19990013275A KR1019970076928A KR19970076928A KR19990013275A KR 19990013275 A KR19990013275 A KR 19990013275A KR 1019970076928 A KR1019970076928 A KR 1019970076928A KR 19970076928 A KR19970076928 A KR 19970076928A KR 19990013275 A KR19990013275 A KR 19990013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member
string
arm member
primary molded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6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0993B1 (ko
Inventor
이케다야스히코
Original Assignee
오가사와라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니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와라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니후고 filed Critical 오가사와라도시아끼
Publication of KR19990013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9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1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deforming the cable by moving a part of th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Buckle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과제) 끈고정구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상태에서, 모양등을 끈고정구의 외면측에 경시적(經時的)으로 변화하지 않도록 형성하여, 끈고정구의 외관성을 향상시킨다. 끈고정구의 조작시에 있어서 촉감을 소프트하게 한다.
(해결수단) 통형상을 이루는 암부재(10)와, 암부재(10)내로 이동가능하게 넣어진 숫부재(20)와, 숫부재(20)의 탄지수단(30)을 구비한다. 숫부재(20)를 밀어넣음위치에서 끈(W)을 끼워통과시키기 가능하게 연통되는 통과구멍(13, 23)을 숫부재(20)와 암부재(10)에 구비하고 있다. 통과구멍(13, 23)에 끼워통과된 끈(W)을, 탄지수단(30)의 탄지에 의하여 숫부재(20)의 통과구멍(23) 가장자리부와 암부재(10)의 통과구멍(13) 가장자리부에서 끼워부착하여, 상기 끈(W)에 끈고정구가 고정부착된다. 끈 고정구에 있어서 암부재(10)와 숫부재(20)가 제 1 차 성형품부분(F)과, 제 1 차 성형품부분(F)을 인서트하여 제 1 차 성형품부분(F)의 외면부(Fa)에 형성된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끈고정구
본 발명은, 숫부재의 밀어넣음위치에서 고정부착의 대상이 되는 끈을 끼워통과하기 가능하도록 서로 연통되는 끈의 통과구멍을 각각 구비하는, 상기 숫부재 및 그 숫부재가 이동가능하게 끼워넣어진 암부재와, 상기 각 통과구멍에 끼워통과된 끈을 상기 각 통과구멍을 상기 숫부재를 상기 암부재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시키므로써 어긋나게 하여, 그 각 통과구멍의 가장자리부에서 끼워부착시키도록 하는 상기 숫부재의 탄지수단을 구비한 끈고정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각종 의복의 트임부등의 조임끈이나, 여러가지 봉지입구의 조임끈 등 끈형상체에 대하여 적당한 위치에서 자유롭게 고정부착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착에 의하여 상기 트인구멍부등을 두르는 상기 조임끈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트인구멍부등을 넓힌 상태 또는 좁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용도로 이용되는 끈고정구로서, 숫부재의 밀어넣음위치에서 고정부착의 대상이 되는 끈을 끼워통과하기 가능하도록 서로 연통되는 끈의 통과구멍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숫부재 및 이 숫부재가 이동가능하게 끼워넣어진 암부재와, 상기 각 통과구멍에 끼워통과된 끈을 상기 각 통과구멍을 어긋나게 하여 각 통과구멍의 가장자리부에서 끼워부착되게 하는 상기 숫부재의 탄지수단을 구비한 끈고정구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끈고정구는 상기 의복등의 조임끈등 신변물품에 자주 이용되는 것이고, 또 상기 고정부착 혹은 상기 고정부착의 해제를 위하여 상기 숫부재의 누름조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표면부에 손가락등이 닿게 되므로 이러한 끈고정구로서는 끈고정구에 있어서 의장적 효과를 높이는 것과, 조작시에 있어서 촉감을 소프트하게 하는 것이 특히 요청되는 것이다.
상기 의장적 효과를 만족시키는 관점에서는, 끈고정구의 외면에 인쇄등에 의하여 모양등을 새기는 것이 고려되었지만, 단순히 상기 외면에 모양등을 새기는 것만으로는 끈고정구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 모양등이 긁히거나, 벗겨져 떨어지는 일이 생기기 쉽다. 또, 상기 모양등을 상기 외면부에 홈이나, 오목부, 돌출부를 형성하여 새긴 경우에는, 끈고정구의 외면을 평탄하게 할 수 없고, 또 더러움등이 끈고정구의 외면에 부착되기 쉬울뿐만 아니라, 상기 숫부재의 누름조작시에 이들 홈등이 손가락의 불룩한 부분등에 패어들어가 쾌적한 조작감을 사용자에게 주기 어렵다.
또, 조작시에 있어서 촉감을 소프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끈고정구 전체를 고무형상의 탄성을 지닌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고려되었지만, 단순히 상기한 소재로 끈고정구를 구성한 경우에는 끈고정구의 강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특히 상기 숫부재의 통과구멍 가장자리부와 암부재의 통과구멍 가장자리부에 의하여 끼워통과된 끈을 제대로 끼워부착할 수 없게 된다는 점이다.
또, 상기 각 관점을 만족시켜야 하고, 상기 숫부재 및 암부재의 외면부에 예를 들면, 고무형상의 탄성을 지닌 커버체등을 덮어씌우는 것도 고려되었지만, 상기 덮어씌우는 작업이 반듯이 쉬운 일은 아니고, 또한 상기 외면부에 대한 커버체의 붙인 상태를 경시적으로 확보하기 어렵우므로, 상기한 수법도 채용되기 어려운 점이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끈고정구에 있어서 가장 끈고정구의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상태에서, 모양등을 끈고정구의 외면측에 경시적으로 변화하지 않도록 형성하여, 끈고정구의 외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음으로 끈고정구의 조작시에 있어서 촉감을 소프트하게 하는 구성을 끈고정구의 외면측에 간단하고 확실하게 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끈고정구가 이하의 (1)∼(8)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1) 일측 통단이 막혀진 통형상을 이루는 암부재와,
(2) 이 암부재내로 이동가능하게 끼워넣어진 끼워넣음부를 구비한 수부재와,
(3) 상기 숫부재를 상기 암부재내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4)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에 대항하는 상기 숫부재의 밀어넣음위치에서 끈이 끼워통과되기 가능하도록 서로 연통되는 상기 끈의 통과구멍을, 상기 숫부재의 끼워넣음부와 상기 암부재의 측부에 구비하고 있고,
(5) 상기 밀어넣음위치에서 서로 연통되는 상기 통과구멍에 끼워통과된 끈을,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하여 상기 숫부재의 통과구멍 가장자리부와 상기 암부재의 통과구멍 가장자리부에 끼워부착하여, 상기 끈에 고정부착된 끈고정구로서,
(6) 이 끈고정구에 있어서 암부재와 숫부재가 제 1 차 성형품부분과,
(7) 이 제 1 차 성형품부분을 인서트하여, 적어도 상기 암부재에 있어서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외면부와, 상기 숫부재에 있어서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상기 암부재로부터 돌출하는 측에 있는 외면부에 형성된 제 2차 표면성형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8)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이 고무 또는 고무형상 탄성을 지닌 플라스틱재료, 또는 투광성을 지닌 플라스틱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숫부재의 끼워넣음부에 형성한 통과구멍과, 상기 암부재의 통과구멍을 연통시키는 상기 숫부재의 밀어넣음위치에 있어서, 상기 서로 연통된 각 통과구멍에 끈을 끼워통과시킨 후,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하여 숫부재를 상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이와 같이 이동된 숫부재의 통과구멍 가장자리부와 암부재의 통과구멍 가장자리부에서 상기 끈을 끼워부착할 수 있고, 끼워부착시키므로서 상기 끈의 적당한 위치에 상기 끈고정구를 고정부착할 수 있다.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암부재내로 밀어넣어진 숫부재를 상기 암부재내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시키면 되고, 예를 들면 상기 숫부재의 끼워넣음부와 암부재 바닥과의 사이에 장치된 압축코일스프링이나, 숫부재의 끼워넣음부 혹은 암부재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숫부재의 밀어넣음에 의해 탄성변형되고, 탄성복귀에 의하여 상기 숫부재를 상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시키는 탄성편 등에 의하여, 상기한 탄지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외면부에 이 제 1 차 성형품부분을 인서트하여, 상기 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진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외면부와 제 2 차 표면성형부분과의 일체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끈고정구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이 제 1 차 성형품부분과 분리되는 사태를 일으키는 일은 적다. 즉, 본 발명의 상기 끈고정구에 의하면,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외면부의 촉감이나, 의장적 특성 등을 향상시키는 가공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을 고무 또는 고무형상 탄성을 지닌 플라스틱재료로 구성하면, 제 1 차 성형품부분에 소요되는 강성,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끼워통과된 끈을 상기 각 통과구멍 가장자리부에서 제대로 끼워부착하기 가능한 단단한 것을 상기한 구멍가장자리부에 부착한 상태로, 끈고정구 조작등에 있어서 손가락 등이 닿는 끈고정구 외부면의 촉감을 소프트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을 투광성을 지닌 플라스틱재료로 구성하면, 끈고정구에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의 테두리와, 이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을 통하여 보고 알 수 있는 상기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테두리의 두개의 테두리를 가질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색채를 깊게 하여 끈고정구 전체의 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끈고정구의 의장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플라스틱재료의 투광성을 조정하므로서 혹은 유색투명하게 하므로서, 다양한 의장적 효과를 끈고정구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광성을 지닌 플라스틱재료를 고무형상 탄성을 지닌 것으로 하므로서, 상기 투광성에 입각한 의장적 효과와 상기 촉감을 소프트한 것으로 하는 효과를 끈고정구에 부여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을 투광성을 지닌 플라스틱재료로 구성한 경우에는,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외면부에 형성한 홈이나, 오목부, 돌기부, 또 상기 외면부에 인쇄등을 하여 새긴 문자, 도형, 모양 등의 표시체를 제 2차 표면성형부분을 통하여 보고 알 수 있도록 하여 끈고정구의 의장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이들 표시체를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에 의하여 덮어두므로서, 끈고정구의 외면부를 평탄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즉 끈고정구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 홈, 오목부, 돌기부 등이 손가락등에 맞닿아서 사용감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하는 상태로 끈고정구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외면부에 인쇄등에 의하여 새겨진, 제 2차 표면성형부분을 통하여 보고 알 수 있는 모양이, 상기 끈고정구의 사용에 있어서 긁히거나 끊어져 떨어지거나 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소기의 의장적 효과를 경시적으로 끈고정구에 계속 부여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상기 끈고정구가 또한,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외면부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돌기부의 돌출단면과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의 표면이 거의 동일면을 이루도록, 상기 외면부에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돌기부의 돌출단면을 둘러싸는 상기 돌기부의 가장자리에 의하여, 끈고정구의 외면부에 끈고정구의 사용에 있어서 끊어져 떨어지거나 하지 않는 모양을 형성시킬 수 있고, 또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색채와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의 색채를 다르게 하므로써, 상기 모양을 눈에 띄게 할 수 있고, 상기 끈고정구의 의장적 효과를 놓일 수 있다. 또, 상기 돌기부의 돌출단면과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의 표면을 거의 동일면으로서 하고 있으므로, 끈고정구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감을 해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끈고정구(T1)의 종단면도
도 2는 끈고정구(T1)의 종단면도
도 3은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관한 숫부재(20)의 요부파단 측면도
도 4는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관한 암부재(10)의 요부파단 측면도
도 5는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관한 암부재(10)의 평면도
도 6은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관한 암부재(10)의 요부파단 측면도
도 7은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관한 암부재(10)의 저면도
도 8은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관한 숫부재(20)의 평면도
도 9는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관한 숫부재(20)의 요부파단 측면도
도 10은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관한 숫부재(20)의 저면도
도 11은 숫부재(20)의 요부파단 측면도
도 12는 암부재(10)의 요부파단 측면도
도 13은 암부재(10)의 평면도
도 14는 암부재(10)의 요부파단 측면도
도 15는 암부재(10)의 저면도
도 16은 숫부재(20)의 평면도
도 17은 숫부재(20)의 요부파단 측면도
도 18은 숫부재(20)의 저면도
도 19는 끈고정구(T1)의 사시도
도 20은 끈고정구(T1)의 사시도
도 21은 끈고정구(T2)의 종단면도
도 22는 끈고정구(T2)의 사시도
도 23은 끈고정구(T3)의 종단면도
도 24는 끈고정구(T3)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1 - 끈고정구 T2 - 끈고정구
T3 - 끈고정구 10 - 암부재
13 - 통과구멍 20 - 숫부재
21 - 끼워넣음부 23 - 통과구멍
30 - 탄지수단 F - 제 1 차 성형품부분
Fa - 외면부 S - 제 2 차 표면성형부분
이하,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도 1 내지 도 20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상기 끈고정구(T1)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끈(W)에 대하여 고정부착을 이룬 상태인 상기 끈고정구(T1)를 종단면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는, 도 1의 상태인 끈고정구(T1)를 도 1과 90°다른 방향에서 종단면상태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동일도면에 있어서 끈(W)은 생략하고 있다.)
도 3 내지 도 10은, 제 1 차 성형품부분(F)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상기 숫부재(20) 또는 암부재(10)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은 상기 숫부재(20)를 측방에서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상태이고, 도 4는 상기 암부재(10)를 측방에서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상태이며, 도 5는 상기 암부재(10)를 트인구멍(11)측에서 본 상태이고, 도 6은 상기 암부재(10)를 도 4와 90°다른 방향의 측방에서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상태이고, 도 7은 상기 암부재(10)를 바닥측에서 본 상태이고, 또 도 8은 상기 숫부재(20)를 머리부(22)측에서 본 상태이고, 도 9는 상기 숫부재(20)를 도 3과 90°다른 방향의 측방에서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상태이고, 또 도 10은 상기 숫부재(20)를 상기 머리부(22)와 반대측에서 본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8은, 상기 제 1 차 성형품부분(F)의 외면부에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을 형성시킨 상태를 이해하기 쉽도록, 이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이 형성된 숫부재(20) 또는 암부재(10)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1은, 상기 숫부재(20)를 측방에서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상태이고, 도 12는 상기 암부재(10)를 측방에서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상태이며, 도 13은 상기 암부재(10)를 트인구멍(11)측에서 본 상태이고, 도 14는 상기 암부재(10)를 도 12와 90°다른 방향의 측방에서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상태이고, 도 15는 상기 암부재(10)를 바닥측에서 본 상태이고, 또 도 16은 상기 숫부재(20)를 머리부(22)측에서 본 상태이고, 도 17은 상기 숫부재(20)를 도 11과 90°다른 방향의 측방에서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상태이고, 또한 도 18은 상기 숫부재(20)를 상기 머리부(22)와 반대측에서 본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9는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을 고무 또는 고무형상 탄성을 지닌 플라스틱재료로 구성한 끈고정구(T1)의 예를, 또 도 20은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을 투광성을 지닌 플라스틱재료로 구성한 끈고정구(T1)의 예를 각각 사시도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끈고정구(T1)는, 일측 통단이 막힌 거의 통형상을 이루는 암부재(10)와, 이 통형상을 이루는 암부재(10)내로 이동가능하게 끼워넣어진 거의 원주형상을 이루는 끼워넣음부(21)를 구비한 숫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숫부재(20)는, 상기 끼워넣음부(21)의 일단부에 상기 끼워넣음부(21)의 축선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판면을 나란히 하는 원판형상을 이루는 머리부(2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숫부재(20)는 상기 암부재(10)의 트인구멍(11), 즉 막혀 있지 않은 타측의 통단측에서 상기 암부재(10)내로, 상기 머리부(22)와 반대측에서 상기 끼워넣음부(21)를 이동가능하게 끼워넣은 구성으로 하고 있다.
암부재(10)에 있어서 상기 트인구멍(11)과, 이 트인구멍(11)과 반대측에 있는 상기 암부재(10)의 일측 통단을 막는 바닥판(12)과의 사이에 있는 상기 암부재(10) 측부에는, 상기 암부재(10)의 통축을 끼고 대칭위치에 거의 같은 길이, 같은 형태의 끈(W)의 통과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숫부재(20)에 있어서 끼워넣음부(21)에는 상기 끼워넣음부(21)의 축선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 끈(W)의 통과구멍(2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과구멍(23)은 상기 끼워넣음부(21)의 직경방향 양측에서 개구(開口)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숫부재(20)의 통과구멍(23)의 지름 및 형상이 암부재(10)의 통과구멍(13)과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끈고정구(T1)는, 상기 숫부재(20)를 상기 암부재(10)내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되는 탄지수단(3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숫부재(20)의 상기 머리부(22)의 반대측과 암부재(10)의 상기 바닥판(12) 내면과의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31)을 수용하여, 숫부재(20)가 상기 탄지를 받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숫부재(20)의 끼워넣음부(21)의 상기 머리부(22)의 반대측에 있는 단부면에 있어서 개구하여, 상기 머리부(22)측을 향하여 이어지는 상기 스프링(31)을 일단측에서 수용하는 수용구멍(24)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암부재(10)의 바닥판(12) 내면에 상기 스프링(31)의 타단측이 말린상태로 끼워부착된 돌기부(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숫부재(20)의 머리부(22) 하면이 암부재(10)의 트인구멍(11) 가장자리에 맞닿는 상기 숫부재(20)의 최대 밀어넣음위치에서, 암부재(10)의 통과구멍(13)과 숫부재(20)의 통과구멍(23)이 거의 어긋남없이 연통되어, 상기 통과구멍(13, 23)에 대하여 끼워통과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최대 밀어넣음위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스프링(31)은 압축변형되어 숫부재(20)를 암부재(10)내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력이 축적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최대 밀어넣음위치에서 상기 각 통과구멍(13, 23)에 끈(W)을 끼워통과한 후, 상기 숫부재(20)의 밀어넣음을 해제하므로서, 상기 숫부재(20)를 상기 스프링(31)의 탄지에 의하여 돌출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 숫부재(20)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숫부재(20)의 통과구멍(23)과 암부재(10)의 통과구멍(13)의 구멍가장자리에서 어긋나게 되어, 상기 각 통과구멍(13, 23) 가장자리부에서 끼워통과된 끈(W)을 끼워부착할 수 있다. 이렇게 끼워부착하여 상기 끈(W)에 끈고정구(T1)가 고정부착된다.(도 1) 또, 상기 고정부착상태에서 다시 숫부재(20)의 상기 머리부(22) 상면을 눌러서 상기 최대 밀어넣음위치를 향하여 숫부재(20)를 이동시키므로서, 상기 끈(W)에 대한 고정부착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끈고정구(T1)는 이와 같은 기능을 지닌 것으로, 상기 고정부착과 상기 고정부착의 해제에 의하여, 상기 끈(W)에 대한 끈고정구(T1)의 고정부착위치를 적당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각종 의복의 트임부 혹은 개방부를 두르는 조임끈등으로 상기 끈고정구(T1)를 고정부착한 경우, 상기 조임끈의 상기 고정부착위치를 바꾸므로서, 상기 트임부등을 두르는 조임끈의 길이를 변화시켜서 상기 의복의 트임부등을 넓히거나 혹은 좁힐 수도 있고, 이 넓히거나 좁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숫부재(20)의 끼워넣음부(21)가 상기 통과구멍(23)의 트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 되는 위치에 상기 끼워넣음부(21)의 축선을 따라서 홈(21a)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암부재(10)가 상기 통과구멍(13)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 되는 위치에 상기 홈(21a)에 들어가는 돌조(15)를 구비하고 있고, 이 홈(21a)에 돌조(15)를 수용하므로서, 상기 숫부재(20)를 암부재(10)로 끼워넣는 방향이 상기 각 통과구멍(13, 23)을 연통가능하게 하는 방향으로 항상 유지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숫부재(20)의 통과구멍(23)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22)와 반대측에 있는 구멍가장자리에는, 암부재(10)로의 숫부재(20)의 끼워넣음부(21)를 끼워넣음에 있어서 약간 탄성변형하여 끼워넣어지고, 암부재(10)의 통과구멍(13)에 있어서 탄성복귀하여 상기 스프링(31)의 탄지에 의한 숫부재(20)의 이동으로 암부재(10)의 통과구멍(13)에 있어서 트인구멍(11)측의 구멍가장자리부에 맞닿아서 숫부재(20)의 그이상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돌기(21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끈고정구(T1)에 있어서는, 상기 암부재(10)와 숫부재(20)가 제 1 차 성형품부분(F)과, 이 제 1 차 성형품부분(F)을 인서트하여 제 1차 성형품부분(F)의 외면부(Fa)에 형성된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을 구비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끈고정구(T1)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구성을 구비한 암부재(10) 및 숫부재(20)의 제 1 차 성형품부분(F)을 성형한 후, (도 3 내지 도 10) 이 제 1 차 성형품부분(F)를 인서트하여 이하의 (1)∼(5)의 개소에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을 형성시키고 있다.(도 11 내지 도 18)
(1) 암부재(10)의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있어서 외면부(Fa)로서, 상기 암부재(10)의 바닥판(12’) 외면측에 있어서 후술하는 돌기부(40)의 돌출단면(41)을 제외한 개소
(2) 암부재(10)의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있어서 외면부(Fa)로서, 암부재(10)의 측부외면
(3) 암부재(10)의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있어서 외면부(Fa)로서, 암부재(10)의 트인구멍(11) 가장자리부
(4) 숫부재(20)의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있어서 머리부(22’) 상면으로서, 상기 숫부재(20)의 머리부(22’) 상면측에 있어서 후술하는 돌기부(40)의 돌출단면(41)을 제외한 개소
(5) 숫부재(20)의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있어서 머리부(22’) 가장자리부 및 머리부(22’) 하면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상기 암부재(10)의 바닥판(12’) 외면측과 상기 숫부재(20)의 머리부(22’) 외면측에 상기 제 1 성형품부분(F)에 있어서 횡단면형상을 거의 별모양으로 하는 돌기부(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기부(40)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면(41)을 덮지 않도록, 상기 암부재(10)의 바닥판(12) 외면과 암부재(20)의 머리부(22) 외면에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의 두께가 상기 돌기부(40)의 돌출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의 표면(Sa)과 상기 돌기부(40)의 돌출단면(41)이 거의 동일면이 되도록 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암부재(10)의 바닥판(12) 외면과 상기 숫부재(20)의 머리부(22) 외면에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에 의하여 덮어져 있지 않은 상기 돌기부(40)의 돌출단면(41)에 별모양의 도형이 나타나 있다. 제 1 차 성형품부분(F)의 색채와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의 색채를 다르게 하고 있으면, 상기 도형을 눈에 띄게 하는 의장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을 고무 또는 고무형상 탄성을 지닌 플라스틱재료로 구성하면, 표면부에 유연성을 지닌 끈고정구(T1)을 얻을 수 있다.(도19)
또,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을 투광성을 지닌 플라스틱재료로 구성하면, 상기 제 1차 성형품부분(F)의 테두리를 외부에서 보고 알 수 있는 의장적 특성을 끈고정구(T1)에 부여할 수 있다.(도 20)
상기 제 1 차 성형품부분(F) 및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의 양쪽을 플라스틱재료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제 1 차 성형품부분(F)을 구성하는 플라스틱재료의 용융온도를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을 구성하는 플라스틱재료의 용융온도보다도 높게 설정하므로서, 제 1 차 성형품부분(F)의 용융, 변형 등을 초래하지 않고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의 성형을 이룰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도 21은 본 실시형태에 상기 끈고정구(T2)를 이해하기 쉽도록 상기 끈고정구(T2)를 종단면 상태로서, 또 도 22는 사시도 상태로서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끈고정구(T2)를 구성하는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상기 암부재(10)의 바닥판(12’) 외면측과 숫부재(20)의 머리부(22’) 상면측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횡단면형상을 거의 별모양으로 하는 돌기부(40)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돌기부(40)의 돌출단면(41)도 덮은 상태에서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을 투광성을 지닌 플라스틱재료로 구성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상기 끈고정구(T2)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을 통하여, 상기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형성한 상기 돌기부(40)을 보고 알 수 있고,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상기 끈고정구(T2)와 다른 의장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에 상기 끈고정구(T2)에 있어서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상기 끈고정구(T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으로서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상기 각 도면에 나타내고 있는 부분에 관하여는, 동일도면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 내지 도 20에 있어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내고 있는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도 23은 이 실시형태에 상기 끈고정구(T3)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상기 끈고정구(T3)를 종단면 상태로서, 또 도 24는 사시도상태로서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끈고정구(T3)를 구성하는 제 1 차 성형품부분(F)에 상기 암부재(10)의 바닥판(12’) 외면과 숫부재(20)의 머리부(22’)상면에 문자, 도형, 기호 등의 표시부분(50), 여기서는 별모양의 도형을 인쇄등에 의하여 나타내고 있음과 아울러, 이 표시부분(50)을 덮은 상태에서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을 제 1 차 성형품부분(F)의 외면부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을 투광성을 지닌 플라스틱재료로 구성하고 있다.
이 결과, 이 실시형태에 상기 끈고정구(T3)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S)을 통하여, 상기 제 2 차 성형품부분(F)에 형성한 상기 표시부분(5)을 보고 알 수 있고,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상기 끈고정구(T3)와 다른 의장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제 3 실시형태에 상기 끈고정구(T3)에 있어서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에 상기 끈고정구(T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분으로서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상기 각 도면에 나타내고 있는 부분에 관하여는, 동일도면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 내지 도 20에 있어서 이용한 부호와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상기 끈고정구에 의하면, 상기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외면부에 이 제 1 차 성형품부분을 인서트하여, 상기 플라스틱재료로 이루어진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외면부와 제 2 차 표면성형부분과의 일체성을 높일 수 있고, 끈고정구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이 제 1 차 성형품부분과 분리되는 사태를 일으키는 일이 적고, 또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외면부에 새긴 모양등을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을 통하여, 끈고정구의 외면부를 평탄 또는 원활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보고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상기 끈고정구에 의하면,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외면부의 촉감이나 의장적 특성등을 향상시키는 가공을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에 의하여, 끈고정구의 사용에 문제점을 일으키지 않고 용이하고 확실하게 이룰 수 있다.

Claims (2)

  1. 일측 통단이 막힌 통형상을 이루는 암부재와
    이 암부재내로 이동가능하게 끼워넣어진 끼워넣음부를 구비한 숫부재와,
    상기 숫부재를 상기 암부재내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에 대항하는 상기 숫부재의 밀어넣음위치에서 끈이 끼워통과되기 가능하도록 서로 연통되는 상기 끈의 통과구멍을, 상기 숫부재의 끼워넣음부와 상기 암부재의 측부에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밀어넣음위치에서 서로 연통되는 상기 통과구멍에 끼워통과된 끈을, 상기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하여 상기 숫부재의 통과구멍 가장자리부와 상기 암부재의 통과구멍 가장자리부에서 끼워부착하여, 상기 끈에 고정부착된 끈고정구로서,
    이 끈고정구에 있어서 암부재와 숫부재가 제 1 차 성형품부분과,
    이 제 1 차 성형품부분을 인서트하여, 적어도 상기 암부재에 있어서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외면부와, 상기 숫부재에 있어서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상기 암부재로부터 돌출시키는 측에 있는 외면부에 형성된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이 고무 또는 고무형상 탄성을 지닌 플라스틱재료, 또는 투광성을 지닌 플라스틱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차 성형품부분의 외면부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돌기부의 돌출단면과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의 표면이 거의 동일면을 이루도록, 상기 외면부에 상기 제 2 차 표면성형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고정구.
KR1019970076928A 1997-07-03 1997-12-29 끈고정구 KR100230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2059 1997-07-03
JP19205997 1997-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75A true KR19990013275A (ko) 1999-02-25
KR100230993B1 KR100230993B1 (ko) 1999-11-15

Family

ID=162849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6928A KR100230993B1 (ko) 1997-07-03 1997-12-29 끈고정구
KR1019980021331A KR19990013395A (ko) 1997-07-03 1998-06-09 끈 고정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331A KR19990013395A (ko) 1997-07-03 1998-06-09 끈 고정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2) KR100230993B1 (ko)
CN (2) CN1232196C (ko)
HK (1) HK1017978A1 (ko)
TW (2) TW35252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2981B (en) * 2007-09-21 2012-10-17 Otter Controls Ltd Electrical appliances
WO2010061450A1 (ja) * 2008-11-27 2010-06-03 Ykk株式会社 紐固定具
DE102010005795B3 (de) 2010-01-27 2011-06-01 Autoliv Development Ab Schalenelement für die Schlosskappe eines Gurtschlosses, Gurtschlos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alenelementes
CN104939442A (zh) * 2014-11-13 2015-09-30 联扬塑胶(深圳)有限公司 减震防撞保护扣
JP6358995B2 (ja) * 2015-08-28 2018-07-18 株式会社ニフコ コード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168C (zh) 2004-08-25
CN1494840A (zh) 2004-05-12
CN1208590A (zh) 1999-02-24
TW355671B (en) 1999-04-11
TW352520U (en) 1999-02-11
KR100230993B1 (ko) 1999-11-15
HK1017978A1 (en) 1999-12-10
CN1232196C (zh) 2005-12-21
KR19990013395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3576B1 (ko) 끈고정구
KR890000076Y1 (ko) 끈 조임구
KR950003133A (ko) 끈 체결구
CA2241727A1 (en) Spring badge clip
ITTO20010923A1 (it) Fibbia.
KR100230993B1 (ko) 끈고정구
KR100288619B1 (ko) 끈고정구
US20080098574A1 (en) Cord Lock
US5974632A (en) Eyeglasses fastening device
KR20040014269A (ko) 버클
KR100279924B1 (ko) 띠,끈 형상체의 단말커버
KR960014744B1 (ko) 끈고정구
CN216723408U (zh) 嵌入凸出部加以固定的装饰物
DE60236004D1 (en) Fender
KR200231529Y1 (ko) 버클
JP3523862B2 (ja) 紐留め具
KR200229143Y1 (ko) 손잡이용 착탈식 요철커버
JPH0626692Y2 (ja) ドアノブ装飾用握り
KR200267497Y1 (ko) 머리핀
JP4162744B2 (ja) 紐留め具
KR200193558Y1 (ko) 자석식 장식부재
KR200210895Y1 (ko) 목걸이용 필기구 케이스
KR0158914B1 (ko) 결합구
KR200315186Y1 (ko) 머리핀
KR0140838Y1 (ko) 가방 괘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