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855U - 자동판매기용 컵이송장치의 홀더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용 컵이송장치의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2855U
KR19990012855U KR2019970026014U KR19970026014U KR19990012855U KR 19990012855 U KR19990012855 U KR 19990012855U KR 2019970026014 U KR2019970026014 U KR 2019970026014U KR 19970026014 U KR19970026014 U KR 19970026014U KR 19990012855 U KR19990012855 U KR 199900128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rotated
vending machin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76799Y1 (ko
Inventor
윤대룡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70026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799Y1/ko
Publication of KR199900128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8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7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7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mixing drinks; Hand-held shak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용 컵이송장치의 홀더에 관한 것으로, 컵이송장치에서 회동부가 회동하여 컵이 낙하할 때 낙하위치가 정확함은 물론, 음료가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하게 낙하되도록 된 것이다.
본 고안은, 모터(53)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는 축(57)에 고정결합되어 회동되는 고정부(51a)와, 이 고정부(51a)의 상단으로 끼워짐과 더불어 축(5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컵이 안착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축(57)를 중심으로 회동될 때 걸려서 벌어질 수 있도록 된 벤딩부(51d)가 일체로 구비된 회동부(51b)와, 상기 고정부(51a)와 회동부(51b)사이에 회동된 회동부(51b)를 원상복귀시킬 수 있도록 된 스프링(51c)으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용 컵이송장치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1a)의 하부단에 상기 회동부(51b)가 회동되어 컵이 낙하할 때 직각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컵가이드(51e)가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용 컵이송장치의 홀더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용 컵이송장치의 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컵이 낙하할 때 낙하위치가 정확함은 물론, 음료가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하게 낙하되도록 된 자동판매기용 컵이송장치의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상품을 무인판매하는 기기로서, 이로 인한 자동판매기는 커피 등의 컵음료를 판매하기 위한 것과 캔 음료를 판매하기 위한 것 및 일회용품을 판매하기 위한 것 등의 여러 종류가 있다.
종래 자동판매기의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분말원료가 저장되는 다수의 원료통(20)과 물이 저장되는 물통(30) 및 컵이 저장되는 컵디스펜서(40)와 투출된 컵을 위치이동시키는 컵이송장치(50)등은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이 본체케이스(10)는 전면이 개구된 사각통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전면에는 회동가능하게 도어(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컵이송장치(50)의 하측에는 컵이 안착되는 컵안착부(60)가 마련되고, 이에 대면하는 도어(11)에는 개구부(12)가 설치되어 컵안착부(60)에 안착된 컵을 외부에서 꺼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료통(20)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중간부위에 반원형상으로 배치되는데, 각 원료통(20)의 하단부에는 일회 작동시 1인분의 원료를 투출시키는 투출장치(2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투출장치(21)의 투출구(22)는 반원의 중심을 향하는데, 이 각각의 투출구(22)는 하나의 컵안에 원료를 투출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컵이송장치(50)는 컵디스펜서(40)에서 투출된 컵을 받아 원료통(20)의 하측으로 이동시켜 원료통(20)에서 투출되는 원료를 받은 후 컵안착부(60)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컵이송장치는 컵을 동일반경으로 회전시켜 이송시키는데, 이송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스위치(54)에 의하여 감지된다.
상기 컵이송장치(50)에 의하여 원료통(20)에서 투출되는 원료를 받아 컵안착부(60)에 안착된 컵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통(30)은 본체케이스(10)의 하부에 서치되고, 이 물통(30)의 물은 펌핑되어 본체케이스(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온수통(31)으로 이동되어 가열된 후 컵안착부(60)에 설치된 노즐(32)을 통하여 컵으로 분사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온수가 배수될 때 발생되는 증기는 분말원료를 응고시키거나 기타 전기부품의 작동을 행할 수 있어서, 상기한 증기를 본체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팬(80)이 설치되어, 이 배기팬(80)은 발생되는 증기를 흡입하여 본체케이스(10)의 후방으로 배출시키고, 이때 발생된 증기가 배기팬(80)으로 흡입되도록 일단은 배기팬(80)에 연통되고 타단은 컵안착부(60)에 연통된 흡입덕트(81)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노즐(32)과 흡입덕트(81)는 하나의 브래킷(72)에 고정결합된다.
이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컵이송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컵안착부(60)의 상면으로 컵이송장치(50)에서 투출되는 컵이 스므스하게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61)가 설치된다.
또 상기 컵이송장치는 투출된 컵이 안착되어 위치 고정되는 홀더(51)와 홀더(51)를 회전시켜 컵을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53)와 컵이 컵안착부(60)의 상부에 위치되면 홀더(51)를 벌려 컵이 컵안착부(60)로 투하하도록 하는 걸림부재(55)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53)에는 축(57)이 설치되는 데, 상기 모터(53)와 축(57)사이에는 감속기어부(56)가 개재된다.
상기 홀더(51)는 축(57)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51a)에 회동가능하게 결함되는 회동부(51b)를 포함하고, 이때 고정부(51a)와 회동부(51b)는 서로 결합되었을 때 고리형상의 테를 이루도록 반원형상의 테형상으로 각각 마련됨으로써 컵이 안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51a)와 회동부(51b)사이에는 스프링(51c)이 개재되어 회동부(51b)를 원상 복귀시킨다.
이때 상기축(57)은 홀더(51)가 컵디스펜서(40)와 원료통(20)의 투출장치(21)의 하부 및 컵안착부(60)의 상부를 통과하는 경로로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55)는 고정설치된 지지부(55a)와 이 지지부(55a)에 스프링(55c)을 개재하여 결합설치되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회동부(51b)의 일측이 걸려 고정되어 있던 컵이 컵안착부(60)로 토출되도록 하는 걸림부(55b)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홀더(51)의 스프링과 걸림부재(55)의 스프링(55c)의 탄성력은 회동부(51b)가 벌어져 컵이 떨어진 후에는 회동부(51b)가 걸림부재(55)의 걸림부(55b)를 밀치고 통과하도록 조정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51b)의 자유단부에는 걸림부재(55)의 걸림부(55b)가 원만하게 접촉하도록 하는 90도 정도의 벤딩부(51d)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축(57)에는 그 외측면에 홈(52a)을 갖는 회전부재(52)가 일체로 결합설치되고, 이 회전부재(52)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마이크로스위치(54)가 설치됨으로써 마이콤에서 홀더(51)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대기시에는 마이크로스위치(54)가 홈(52a)에 위치하고 있다가 모터(53)가 작동하여 마이크로스위치(54)가 홈(52a)에서 벗어나게 되면 홀더(51)가 회전함을 인식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을 토대로 모터(53)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홀더(51)가 원료통의 하부에서 소정시간 멈춘 후 회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판매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커피의 판매가 지시되면, 상기 컵디스펜서(40)에서 하나의 컵이 하측으로 투출되고, 이 투출된 컵은 컵이송장치(50)에 의하여 원료통(20)의 하측으로 이동한 후 원료통(20)에서 투출되는 분말원료를 받는다.
이후 컵은 컵이송장치(50)에 의하여 컵안착부(60)로 이송되고, 이후 컵에는 온수통(31)에서 배수된 온수가 분사된다.
동시에 배기팬(80)이 작동하여 온수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흡입하여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발생된 증기는 흡입덕트(95)를 통하여 배기팬(80)으로 흡입된 후 본체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컵디스펜서(40)에서 투출된 컵이 컵안착부(60)로 이송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컵디스펜서(40)에서 하측으로 투출된 컵은 고정부(51a)와 회동부(51b)에 의하여 환형의 테형상으로 마련된 홀더(51)에 도 4에서와 같이 걸려 위치 고정된다.
이후 상기 모터(53)가 회전하여 홀더(51)와 컵을 회전시키는데, 상기 모터(53)의 초기 구동시간이 마이크로스위치(54)에 의하여 감지된다. 이때 마이컴은 컵이 원료통 투출구(2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모터(53)를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시킨다.
상기 컵이 투출구(22)의 하측에 위치하면 투출장치(21)가 작동하여 원료통에 있는 원료를 소정량 추출시키고, 이 투출구(22)를 통하여 투출된 원료는 컵으로 자유낙하한다.
이후 마이컴은 다시 모터(53)를 구동하여 컵과 홀더(51)를 회전시키는데 이 컵과 홀더(51)가 컵안착부(6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홀더(51)의 회동부(51b)는 걸림부재(55)에 걸려 정지되고 고정부(51a)이 회동하게 되므로, 이로써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정부(51a)와 회동부(51b)에 의하여 형성된 환형의 테의 직경이 커짐으로써 걸려있던 컵이 하측으로 낙하되어 컵안착부에 안착된다.
컵이 떨어지면 상기 회동부(51b)는 걸림부(55b)를 밀치고 도 6에서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되는 바, 초기에서 회동부(51b)를 지지하는 스프링(51c)의 탄성력보다 작으나 회동부(51b)와 고정부(51a)사이가 벌어짐으로써 압착되다가 컵이 떨어지는 순간을 기하여 커지게 됨으로써 회동부(51b)가 걸림부(55b)를 밀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소비자는 컵안착부(60)에 있는 컵을 꺼낸 후 별도로 제공된 스틱을 이용하여 젓은 후 마시면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판매기용 컵이송장치의 홀더는, 상기 회동부(51b)가 회동되어 컵이 낙하할 때, 상기 고정부(51)에 계지된 컵이 기울어져 낙하하게 되므로 상기 컵안착부(60)의 가이드(61)에 의해 안착될 때 정위치로 되면서 음료가 튀어 컵주위가 지저분해짐은 물론, 상기 컵안착부(60)에 음료가 떨어져 지저분해지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홀더를 구성하는 고정부에 상기 회전부가 회동되어 컵이 낙하할 때 하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컵가이드가 갖춰진 구조로, 낙하위치가 정확함은 물론, 음료가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하게 낙하되도록 된 자동판매기용 컵이송장치의 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컵이송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컵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4 내지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컵이송장치의 작동상태 설명도.
도 7은 도 2의 걸림부재의 상세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컵이송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홀더51a:고정부
51:회동부51c:스프링
51d:벤딩부51e:컵가이드
53:모터57:축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는 축에 고정결합되어 회동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상단으로 끼워짐과 더불어 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컵이 안착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때 걸려서 벌어질 수 있도록 된 벤딩부가 일체로 구비된 회동부와, 상기 고정부와 회동부사이에 회동된 회동부를 원상복귀시킬 수 있도록 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용 컵이송장치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하부단에 상기 회동부가 회동되어 컵이 낙하할 때 직각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컵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컵이송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모터(53)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는 축(57)에 고정결합되어 회동되는 고정부(51a)와, 이 고정부(51a)의 상단으로 끼워짐과 더불어 축(5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컵이 안착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축(57)를 중심으로 회동될 때 걸려서 벌어질 수 있도록 된 벤딩부(51d)가 일체로 구비된 회동부(51b)와, 상기 고정부(51a)와 회동부(51b)사이에 회동된 회동부(51b)를 원상복귀시킬 수 있도록 된 스프링(51c)으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용 컵이송장치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1a)의 하부단에 상기 회동부(51b)가 회동되어 컵이 낙하할 때 직각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컵가이드(51e)가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51a)와 컵가이드(51e)는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상기 모터(53)가 회전하여 홀더(51)와 컵을 회전시키는데, 상기 모터(53)의 초기 구동시간이 마이크로스위치(54)에 의하여 감지된다. 이때 마이컴은 컵이 원료통 투출구(2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모터(53)를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컵이 투출구(22)의 하측에 위치하면 투출장치(21)가 작동하여 원료통에 있는 원료를 소정량 추출시키고, 이 투출구(22)를 통하여 투출된 원료는 컵으로 자유낙하한다.
이후 마이컴은 다시 모터(53)를 구동하여 컵과 홀더(51)를 회전시키는데 이 컵과 홀더(51)가 컵안착부(6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홀더(51)의 회동부(51b)는 걸림부재(55)에 걸려 정지되고 고정부(51a)는 계속해서 회동하게 되므로, 이로써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정부(51a)와 회동부(51b)에 의하여 형성된 환형의 테의 직경이 커짐으로써 걸려있던 컵이 하측으로 낙하되어 컵안착부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51a)의 하부에 설치된 컵가이드(51e)가 컵을 안내하여 수직상태로 낙하시키게 되므로 음료(원료)가 튀거나 흐르지 않게 된다.
이후 컵이 떨어지면 상기 회동부(51b)는 걸림부(55b)를 밀치고 도 6에서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홀더를 구성하는 고정부에 상기 회전부가 회동되어 컵이 낙하할 때 하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컵가이드가 갖춰져, 낙하위치가 정확함은 물론, 음료가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하게 낙하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는 축에 고정결합되어 회동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상단으로 끼워짐과 더불어 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컵이 안착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때 걸려서 벌어질 수 있도록 된 벤딩부가 구비된 회동부와, 상기 고정부와 회동부사이에 회동된 회동부를 원상복귀시킬 수 있도록 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자동판매기용 컵이송장치의 홀더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하부단에 상기 회동부가 회동되어 컵이 낙하할 때 직각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컵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컵이송장치의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컵가이드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컵이송장치의 홀더.
KR2019970026014U 1997-09-13 1997-09-13 자동판매기의컵이송장치용홀더 KR200176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014U KR200176799Y1 (ko) 1997-09-13 1997-09-13 자동판매기의컵이송장치용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014U KR200176799Y1 (ko) 1997-09-13 1997-09-13 자동판매기의컵이송장치용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855U true KR19990012855U (ko) 1999-04-15
KR200176799Y1 KR200176799Y1 (ko) 2000-04-15

Family

ID=1951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014U KR200176799Y1 (ko) 1997-09-13 1997-09-13 자동판매기의컵이송장치용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7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258B1 (ko) * 2001-02-19 2003-10-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자동판매기의 컵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258B1 (ko) * 2001-02-19 2003-10-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자동판매기의 컵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799Y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2898B2 (ja) 飲料抽出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294512B1 (ko) 자동판매기
EP0950996B1 (en) Automatic cupped drinks dispenser
KR920001392A (ko) 컵식 자동판매기
KR200176799Y1 (ko) 자동판매기의컵이송장치용홀더
JP2008167849A (ja) 飲料供給装置
KR100285712B1 (ko) 자동판매기
EP0503999B1 (fr) Lave-linge muni d'un distributeur de produits lessiviels
JP2000315280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KR19990011477U (ko) 자동판매기
JPH01142894A (ja) 食品自動販売機の扉開閉機構
JP6443026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H0755666Y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ストロー供給装置搬出機構
KR200385347Y1 (ko)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
JPH06348949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JP6443025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H0991536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のカップ支持装置
KR200162571Y1 (ko) 자동판매기의 컵홀더
JP3681505B2 (ja) 飲料自動販売機
JP2008181476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19990028952U (ko) 자동판매기의 컵이송장치
JPS589346Y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940004638Y1 (ko) 음료 자동판매기의 회전믹싱 급수장치
JPH0528360A (ja) カツプ式自動販売機の容器搬送装置
JPH08249538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