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712B1 -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712B1
KR100285712B1 KR1019970055462A KR19970055462A KR100285712B1 KR 100285712 B1 KR100285712 B1 KR 100285712B1 KR 1019970055462 A KR1019970055462 A KR 1019970055462A KR 19970055462 A KR19970055462 A KR 19970055462A KR 100285712 B1 KR100285712 B1 KR 100285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raw material
supplied
dispenser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009A (ko
Inventor
이기수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1019970055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712B1/ko
Publication of KR19990034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컵디스펜서에서 컵이 공급된 다음 캐니스터에서 공급되는 원료가 컵에 유입되도록 파지함과 더불어, 원료가 공급되고 나면 급수호스에서 급수가 되어 컵인출도어를 통해 컵을 인출할 수 있도록 컵을 이송하는 컵 이송장치가 설치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컵 이송장치(100)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된 제1,2브라켓트(110, 120)와, 상기 컵디스펜서에서 떨어지는 컵을 받아 컵인출도어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2브라켓트에 고정된 컵안내관(130)과,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작동되면서 상기 컵디스펜서에서 떨어진 컵을 상기 컵 안내관의 상부에서 계지시켜 상기 캐니스터에서 공급되는 원료를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제1브라켓트의 하부에 고정된 솔레노이드(140)와, 상기 컵이 상기 솔레노이드에 계지된 상태로 원료를 공급받은 다음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컵안내관을 따라 낙하하여 급수호스(150)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컵 안내관과 상기 급수호스의 출구측 하측에 설치된 컵 받침대(16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컵에 원료를 투입한 다음 급수를 하는 부위가 간단하여져 고장발생등이 줄어들고 제어가 간편하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컵에 원료를 투입한 다음 급수를 하는 부위가 간단하여져 고장발생등이 줄어들고 제어가 간편하도록 된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상품을 무인판매하는 기기로서, 이로 인한 자동판매기는 커피 등의 컵음료를 판매하기 위한 것과 캔 음료를 판매하기 위한 것 및 일회용품을 판매하기 위한 것 등의 여러 종류가 있다.
종래 자동판매기의 일예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 분말원료가 저장되는 다수의 원료통(20)과 물이 저장되는 물통(30) 및 컵이 저장되는 컵디스펜서(40)와 투출된 컵을 위치이동시키는 컵 이송장치(50) 등은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이 본체케이스(10)는 전면이 개구된 사각통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전면에는 회동가능하게 도어(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컵이송장치(50)의 하측에는 컵이 안착되는 컵안착부(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도어(11)에는 컵안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컵안착부(60)에 안착된 컵을 외부에서 꺼낼 수 있도록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료통(20)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중간부위에 반원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원료통(20)의 하단부에는 일회 작동시 1인분의 원료를 투출시키는 투출장치(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투출장치(21)의 투출구(22)는 반원의 중심을 향하고 있으며, 상기 각 투출구(22)는 하나의 컵안에 원료를 투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컵 이송장치(50)는 컵디스펜서(40)에서 투출된 컵을 받아 원료통(20)의 하측으로 이동시켜 원료통(20)에서 투출되는 원료를 받은 후 컵안착부(60)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컵 이송장치는 컵을 동일반경으로 회전시켜 이송시키는데, 이송위치는 제2도에 도시된 마이크로스위치(54)에 의하여 감지된다.
상기 물통(30)은 상기 컵 이송장치(50)에 의하여 원료통(20)에서 투출되는 원료를 받아 컵안착부(60)에 안착된 컵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본체케이스(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통(30)의 물은 펌핑되어 본체케이스(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온수통(31)으로 이동되어 가열된 후 컵안착부(60)에 설치된 노즐(32)을 통하여 컵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온수가 배수될 때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시키도록 배기팬(8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팬(80)은 증기를 흡입하여 본체케이스(10)의 후방으로 배출시키므로, 증기로 인한 분말원료의 응고 전기부품의 작동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배기팬(80)의 일단에는 증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81)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흡입덕트(81)의 타단은 상기 컵안착부(60)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32)과 흡입덕트(81)는 하나의 브래킷(72)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이하,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로 하여 컵 이송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컵 이송장치(50)는 컵이 컵안착부(60)의 상면으로 스무스하게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61)와, 컵디스펜서(40)에서 투출된 컵을 흔들리지 않게 잡는 홀더(51)와, 이 홀더(51)를 회전시켜 컵을 이동시키기는 모터(53)와, 컵이 컵안착부(60)의 상부에 위치되면 홀더(51)를 벌려 컵이 컵안착부(60)로 투하되게 하는 걸림부재(5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모터(53)에는 축(57)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모터(53)와 축(57)사이에는 감속기어부(56)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홀더(51)는 축(57)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51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51b)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때 고정부(51a)와 회동부(51b)는 서로 결합되었을 때 고리형상의 테를 이루도록 반원형상의 테형상으로 각각 마련됨으로써 컵이 안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51a)와 회동부(51b)사이에는 상기 회동부(51b)에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51c)이 개재되어 있다. 이때 상기 축(57)은 홀더(51)가 컵디스펜서(40)와 원료통(20)의 투출장치(21)의 하부 및 컵안착부(60)의 상부를 통과하는 경로로 회전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55)는 고정설치된 지지부(55a)와 이 지지부(55a)에 스프링(55c)을 개재하여 결합설치되며, 제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회동부(51b)의 일측이 걸려 고정되어 있던 컵이 컵안착부(60)로 토출되도록 하는 걸림부(55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홀더(51)의 스프링과 걸림부재(55)의 스프링(55c)의 탄성력은 회동부(51b)가 벌어져 컵이 떨어진 후에는 회동부(51b)가 걸림부재(55)의 걸림부(55b)를 밀치고 통과하도록 조정된다.
상기 회동부(51b)의 자유단부에는 결림부재(55)의 걸림부(55b)가 원만하게 접촉되도록 하는 90도 정도의 벤딩부(51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축(57)에는 그 외측면에 홈(52a)을 갖는 회전부재(52)가 일체로 결합 설치되고, 이 회전부재(52)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마이크로스위치(54)가 설치됨으로써, 마이콤에서 홀더(51)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대기시에는 마이크로스위치(54)가 홈(52a)에 위치하고 있다가 모터(53)가 작동하여 마이크로스위치(54)가 홈(52a)에서 벗어나게 되면 홀더(51)가 회전함을 인식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을 토대로 모터(53)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홀더(51)가 원료통의 하부에서 소정시간 멈춘 후 회전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판매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커피의 판매가 지시되면 제4도 내지 제6도 및 제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컵디스펜서(40)에서 하나의 컵(A)이 하측으로 투출되고, 이 투출된 컵은 컵 이송장치(50)에 의하여 원료통(20)의 하측으로 이동한 후 원료통(20)에서 투출되는 분말원료를 받는다.
이후, 컵은 컵이송장치(50)에 의하여 컵안착부(60)로 이송되고, 이후 컵에는 온수통(31)에서 배수된 온수가 분사된다.
동시에 배기팬(80)이 작동하여 온수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흡입하여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발생된 증기는 흡입덕트(81)를 통하여 배기팬(80)으로 흡입된 후 본체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컵디스펜서(40)에서 투출된 컵(A)이 컵안착부(60)로 이송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컵디스펜서(40)에서 하측으로 투출된 컵은 고정부(51a)와 회동부(51b)에 의하여 환형의 테형상으로 마련된 홀더(51)에 제4도에서와 같이 걸려 잡히게 된다.
이후, 상기 모터(53)가 회전하여 홀더(51)와 컵을 회전시키는데, 상기 모터(53)의 초기 구동시간이 마이크로 스위치(54)에 의하여 감지된다. 이때 마이컴은 컵이 원료통 투출구(2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모터(53)를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시킨다.
상기 컵이 투출구(22)의 하측에 위치하면, 투출장치(21)가 작동하여 원료통에 있는 원료를 소정량 추출시키고, 이 투출구(22)를 통하여 투출된 원료는 컵으로 자유낙하한다.
이후, 마이컴은 다시 모터(53)를 구동하여 컵과 홀더(51)를 회전시키는데 이 컵과 홀더(51)가 컵안착부(6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홀더(51)의 회동부(51b)는 걸림부재(55)에 걸려 정지되고 고정부(51a)가 회동하게 된다. 이로써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정부(51a)와 회동부(51b)에 의하여 형성된 환형의 테의 직경이 커짐으로써 걸려있던 컵이 하측으로 낙하되어 컵안착부에 안착된다.
컵이 떨어지면, 상기 회동부(51b)는 걸림부(55b)를 밀치고 제6도에서와 같이 원상태로 복귀되는 바, 초기에서 회동부(51b)를 지지하는 스프링(51c)의 탄성력보다 작으나 회동부(51b)와 고정부(51a)사이가 벌어짐으로써 압착되다가 컵이 떨어지는 순간을 기하여 커지게 됨으로써 회동부(51b)가 걸림부(55b)를 밀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소비자는 컵안착부(60)에 있는 컵을 꺼낸 후 별도로 제공된 스틱을 이용하여 저은 다음 마시면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판매기는, 컵이 컵 이송장치(50)에 의하여 컵안착부(60)로 이송되어 도어(11)의 개구부(12)로 나올 때, 상기 컵이송장치(50)와 컵안착부(60)의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발생이 많고, 제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컵디스펜서에서 투출된 컵에 원료를 투입하기 위하여 파지하는 것과 원료가 투입된 컵에 급수를 하기 위해 파지하는 구성이 간단히 이루어져, 고장발생 등이 줄어들고 제어가 간편하도록 된 자동판매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컵 이송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컵 이송장치의 측면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컵 이송장치의 작동상태 설명도.
제7도는 제2도의 걸림부재의 분해사시도.
제8도는 종래 기술에 따라 컵에 원료가 공급된 다음 급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이송장치에 의해 컵에 원료가 공급된 다음 급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컵 10 : 본체 케이스
22 : 캐니스터 40 : 컵디스펜서
100 : 컵 이송장치 110 : 제1브라켓트
120 : 제2브라켓트 130 : 컵 안내관
140 : 솔레노이드 150 : 급수호스
160 : 컵받침대 200 : 컵인출도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컵디스펜서에서 컵이 공급된 다음 캐니스터에서 공급되는 원료가 컵에 유입되도록 파지함과 더불어, 원료가 공급되고 나면 급수호스에서 급수가 되어 컵인출도어를 통해 컵을 인출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컵 이송장치가 설치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컵 이송장치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된 제1, 2브라켓트와, 상기 컵디스펜서에서 떨어지는 컵을 받아 컵인출도어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 2브라켓트에 고정된 컵안내관과,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작동되면서 상기 컵디스펜서에서 떨어진 컵을 상기 컵 안내관의 상부에서 계지시켜 상기 캐니스터에서 공급되는 원료를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제1브라켓트의 하부에 고정된 솔레노이드와, 상기 컵이 상기 솔레노이드에 계지된 상태로 원료를 공급받은 다음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컵안내관을 따라 낙하하여 급수호스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컵 안내관과 상기 급수호스의 출구측 하측에 설치된 컵 받침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컵 이송장치에 의해 컵에 원료가 공급된 다음 급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제1도 내지 제8도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컵디스펜서(40)에서 컵(A)이 공급된 다음 캐니스터(22)에서 공급되는 원료가 컵에 유입되도록 파지함과 더불어, 원료가 공급되고 나면 급수호스에서 급수가 되어 컵인출도어를 통해 컵을 인출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컵이송장치가 설치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컵이송장치(10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되는 제1,2브라켓트(110, 120)와, 이 제1, 2브라켓트(110, 120)에 의해 고정되어 컵디스펜서(40)에서 떨어지는 컵을 받아 컵인출도어(200)쪽으로 안내하도록 된 컵안내관(130)과, 상기 제1브라켓트(110)의 하부에 고정됨과 더불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작동되면서 상기 컵디스펜서(40)에서 떨어진 컵을 컵안내관(130)의 상부에서 계지시켜 상기 캐니스터(22)에서 공급되는 원료를 담을 수 있도록 된 솔레노이드(140)와, 이 솔레노이드(140)에 계지된 상태로 원료를 공급받은 다음 솔레노이드(140)의 작동에 의해 컵안내관(130)을 따라 낙하하여 급수호스(150)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받쳐주는 컵받침대(160)가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컵받침대(160)는, 상기 컵인출도어(200)에 일체로 설치되어 컵인출도어(200)의 회전시 컵받침대(160)에 놓여진 컵이 소비자에게 나오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컵디스펜서(40)에서 컵이 투출되면 컵안내관(130)의 내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솔레노이드(140)에 의해 컵이 지지되고, 이 컵(A)에 원료공급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140)가 작동되어 컵이 컵안내관(130)을 따라 하부로 낙하되게 된다.
이때 낙하되는 컵은 상기 컵받침대(160)에 놓여지게 되어 급수호스(150)에서 급수되면 컵인출도어(200)를 열고 컵을 꺼내서 마시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컵디스펜서에서 투출된 컵에 원료를 투입하기 위하여 파지하는 것과 원료가 투입된 컵에 급수를 하기 위해 파지하는 구성이 간단히 이루어져, 고장발생등이 줄어들고 제어가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컵디스펜서에서 컵이 공급된 다음 캐니스터에서 공급되는 원료가 컵에 유입되도록 파지함과 더불어, 원료가 공급되고 나면 급수호스에서 급수가 되어 컵인출도어를 통해 컵을 인출할 수 있도록 컵을 이송하는 컵 이송장치가 설치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컵 이송장치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된 제1, 2브라켓트와, 상기 컵디스펜서에서 떨어지는 컵을 받아 컵인출도어쪽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1, 2브라켓트에 고정된 컵안내관과,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작동되면서 상기 컵디스펜서에서 떨어진 컵을 상기 컵 안내관의 상부에서 계지시켜 상기 캐니스터에서 공급되는 원료를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제1브라켓트의 하부에 고정된 솔레노이드와, 상기 컵이 상기 솔레노이드에 계지된 상태로 원료를 공급받은 다음 상기 솔레노이드의 작동에 의해 컵안내관을 따라 낙하하여 급수호스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기 컵 안내관과 상기 급수호스의 출구측 하측에 설치된 컵 받침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받침대는, 상기 컵인출도어의 회전시 컵받침대에 놓여진 컵이 소비자에게 나오도록 컵인출도어에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KR1019970055462A 1997-10-27 1997-10-27 자동판매기 KR100285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462A KR100285712B1 (ko) 1997-10-27 1997-10-27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462A KR100285712B1 (ko) 1997-10-27 1997-10-27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009A KR19990034009A (ko) 1999-05-15
KR100285712B1 true KR100285712B1 (ko) 2001-04-02

Family

ID=3751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462A KR100285712B1 (ko) 1997-10-27 1997-10-27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7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009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512B1 (ko) 자동판매기
JP6076635B2 (ja) 飲料自動販売機
EP0950996B1 (en) Automatic cupped drinks dispenser
KR920001392A (ko) 컵식 자동판매기
KR100285712B1 (ko) 자동판매기
US4640656A (en) Device for supplying rod-shaped articles, for example cigarettes, to a processing machine
JP7358832B2 (ja) 飲料供給装置
KR102289621B1 (ko) 컵 및 식품캡슐 자판기
KR200176799Y1 (ko) 자동판매기의컵이송장치용홀더
EP2713838B1 (en) Beverage vending machine
KR19990011477U (ko) 자동판매기
JP3192828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JP7367378B2 (ja) 飲料供給装置
EP1107201B1 (en) Automatic beverage vending apparatus with improved arrangement for displacing the dispensing spouts
JP4003701B2 (ja) 飲料供給機のカップ搬送装置
KR200385347Y1 (ko) 컵음료 자동판매기의 보조컵보관통 이송장치
JPH10167452A (ja) 略円筒状の物品の払い出し装置及び略円筒状の物品の払い出し方法
JPS589346Y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2940688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100362755B1 (ko) 자동 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KR200290583Y1 (ko) 물품 리프트 기능을 가진 자동판매장치
KR19980040443A (ko) 컵걸림 및 컵기울음의 자동 해제 기능을 갖는 자동판매기
KR950000098Y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JPH0528360A (ja) カツプ式自動販売機の容器搬送装置
KR19980040446A (ko) 불량 컵 자동 폐기 구조의 자동 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