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265A -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의복합소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의복합소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2265A
KR19990012265A KR1019970035606A KR19970035606A KR19990012265A KR 19990012265 A KR19990012265 A KR 19990012265A KR 1019970035606 A KR1019970035606 A KR 1019970035606A KR 19970035606 A KR19970035606 A KR 19970035606A KR 19990012265 A KR19990012265 A KR 19990012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region
dram
region
manufacturing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2265A/ko
Publication of KR1999001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2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9Manufacture or treatment with simultaneous manufacture of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and memory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에피층(Epi Layer)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DRAM)과 로직(logic)의 복합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셀 영역과 로직 회로부와 주변 회로부로 구성되는 주변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램(DRAM)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셀 영역과 주변영역 전체를 덮는 산화막을 적층하는 제1 단계와, 셀 영역에만 산화막 패턴이 남도록 패터닝을 진행하는 제2 단계와, 산화막 패턴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에피층을 성장시키는 제 3 단계와, 산화막 패턴을 제거하여 셀 영역은 낮은 단차를 갖도록 하고, 주변영역은 성장된 에피층의 두께에 의하여 높은 단차를 갖도록 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결과물 상에 셀 패턴 및 주변 영역 패턴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logic)의 복합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의 복합소자 제조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logic)의 복합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램(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에 있어 디바이스가 점자 대용량화되고, 미세 패턴 형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공정간에 층간절연막(ILD: Inter Layer Dielectric)을 형성할 때에 발생하는 단차는 신뢰성과 수율을 고려할 때,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특히 셀 면적이 삼차원적인 구조를 지향하면서 축소되었지만, 동시에 높은 커패시턴스(Capacitance)를 확보해야 하는 과제는, 커패시터와 센스 앰플이파이어(S/A: Sense Amplifier)로 구성되는 셀 영역(Cell area)과 주변영역(Peri area)간의 ILD 단차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새로운 소자인 디램과 로직의 복합소자에 있어서는 디램과 로직영역의 형성을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데, 이때 셀 영역 및 주변영역/로직영역과의 단차는 후속되는 금속배선 공정에서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램과 로직의 복합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커패시터가 형성되어 있는 셀 영역(3)과, 그 외의 주변회로와 로직회로가 형성된 주변 영역(5)을 갖는 반도체 기판(1)에 층간절연막(7)이 적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셀 영역(3)에는 상부전극(9)과 하부전극(11)을 포함하는 커패시터가 형성되어 있고, 커패시터의 하부에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하부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커패시터의 구조가 3차원적인 구조를 지향함으로 인하여, 셀 영역(3)과 주변 영역(5)간에는 단차가 심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 셀 영역(3)과 주변 영역(5)을 연결하기 위한 콘택홀(19)을 형성하기 위하여 마스크층(13)인 포토레지스트막을 도포한다. 이때, 마스크층(13)인 포토레지스트막(13)은, 셀 영역(3)과 주변영역(5)의 단차 때문에, 셀 영역(3)의 커패시터의 상부전극(9)이 위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게 도포되고, 주변영역(5)에서는 셀 영역(3)에 비하여 두께가 두껍게 도포(coating)된다.
도 2는 상기 도1의 마스크층(13)에 사진 및 식각공정을 진행하여 셀 영역(3)과 주변 영역(5)을 연결하기 위한 콘택홀(19)을 형성하고, 에싱(ashing) 공정으로 마스크층(13)인 포토레지스트막을 제거한 다음, 콘택홀(19)을 매립하는 금속배선(15)을 형성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그러나 콘택홀(19)을 형성하기 위한 식각을 진행하는 공정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영역에 비하여 얇게 도포된 셀 영역(3)의 마스크층(13)인 포토레지스트막에서 오버에칭(Over etching)이 발생하여 층간절연막(7)의 손상 및 심한 경우에는 커패시터 상부전극 및 하부전극의 일부가 손상을 받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손상된 부분은 식각공정의 식각잔류물(17)이 잔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커패시터가 동작하지 않는 원인이 된다. 즉 셀 영역(3)과 주변 영역(5)의 단차 문제는 커패시터에 손상을 초래하여 심한 경우에는 반도체 소자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토레지스트막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패터닝을 진행하지만, 이것은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노광공정에서 초점심도(DOF: Depth Of Focus)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대적으로 낮은 단차를 갖는 주변영역에 에피층을 성장시켜 단차를 해소함으로써 기존의 공정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logic)의 복합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디램과 로직의 복합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logic)의 복합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셀 영역과 로직회로부와 주변회로부로 구성되는 주변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램(DRAM)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셀 영역과 주변영역 전체를 덮는 산화막을 적층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셀 영역에만 산화막 패턴이 남도록 패터닝을 진행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산화막 패턴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에피층을 성장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산화막 패턴을 제거하여 셀 영역은 낮은 단차를 갖도록 하고, 주변영역은 성장된 에피층의 두께에 의하여 높은 단차를 갖도록 하는 제4 단계와, 상기 결과물 상에 셀 패턴 및 주변 영역 패턴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logic)의 복합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셀 영역에만 산화막 패턴이 남도록 패터닝을 진행하는 방법은 산화막 패턴이 셀이 형성될 영역에만 남아 있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 영역을 제외한 주변 영역에 에피층을 성장시켜 단차 문제를 해결하여 후속되는 금속배선 형성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정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logic)의 복합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랜지스터와 같은 하부구조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에 산화막(102)을 일정 두께로 형성한다. 이러한 산화막(102)은 후속되는 에피층을 성장하기 위한 수단이 되는 층이기 때문에 셀 영역과 주변 영역의 단차가 심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고, 미세한 경우에는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산화막(102)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하고 사진 및 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셀 영역(106)에만 산화막 패턴(104)이 남도록 한다. 상기 셀영역(106)은 다시 커패시터가 형성되는 영역(108)과, 센스 앰플이파이어(Sense amplifier)가 형성될 영역(110)으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산화막 패턴(104)은 커패시터가 형성될 영역(108)만을 덮도록 형성하는 적당하다. 또한 주변 영역(112)은, 디코더(decoder)/입출력 버퍼(I/O biffer) 등과 같은 주변회로가 형성되는 영역(114)과, 로직회로부가 형성되는 영역(116)으로 구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산화막 패턴(104)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실리콘 에피층(silicon Epi layer, 118)을 재성장시켜 주변영역과, 셀영역중에서 S/A가 형성될 영역의 단차를 높인다. 이어서, 상기 산화막 패턴(104)을 제거함으로써 커패시터가 형성되는 영역의 단차를 상대적으로 낮춘다. 상기 에피층(118)의 재성장에 의해 형성된 구조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핵심적인 수단으로서, 상대적으로 높은 단차를 갖게 구성되는 커패시터 영역의 단차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후속되는 층간절연막(ILD)의 적층시에 셀 영역과 주변영역의 전체적인 단차도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결과물 상에 통상의 방법으로 셀영역(106)에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디램 셀(DRAM cell, 122), 센스 S/A 회로부(124)를 형성하고, 주변영역(112)에는 주변회로부(126)와 로직회로부(128)를 형성한다. 이어서, 층간절연막(ILD, 120)을 적층한다. 따라서, 상기 도 5에서 사용되었던 에피층(118)은 셀 영역(106)과 주변영역(112)의 단차를 해소하여 금속배선 공정을 위한 층간절연막(ILD, 120)의 적층시에 셀 영역(106)이 상대적으로 얇게 도포되어 커패시터의 상부 및 하부전극에 침해(damage)가 발생하거나,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포토레지스트를 두껍게 도포해야 하는 공정상의 문제점을 없앨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셀 영역과 주변영역으로 구성되는 디램과 로직의 복합소자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에피층의 재성장으로 인한 단차 문제를 해결하여 공정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셀 영역과 주변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램(DRAM)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셀 영역과 주변영역 전체를 덮는 산화막을 적층하는 제1 단계;
    상기 셀 영역에만 산화막 패턴이 남도록 패터닝을 진행하는 제2 단계;
    상기 산화막 패턴이 형성된 결과물 상에 에피층을 성장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산화막 패턴을 제거하여 셀 영역은 낮은 단차를 갖도록 하고, 주변영역은 성장된 에피층의 두께에 의하여 높은 단차를 갖도록 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결과물 상에 셀 패턴 및 주변 영역 패턴을 형성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logic)의 복합소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영역에만 산화막 패턴이 남도록 패터닝을 진행하는 방법은 산화막 패턴이 셀이 형성될 영역에만 남아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logic)의 복합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70035606A 1997-07-28 1997-07-28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의복합소자 제조방법 KR19990012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606A KR19990012265A (ko) 1997-07-28 1997-07-28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의복합소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606A KR19990012265A (ko) 1997-07-28 1997-07-28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의복합소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265A true KR19990012265A (ko) 1999-02-25

Family

ID=6604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606A KR19990012265A (ko) 1997-07-28 1997-07-28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의복합소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22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940B1 (ko) * 2000-12-29 2005-08-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선택적 단결정 실리콘막 형성 방법
KR100761655B1 (ko) * 2001-06-27 2007-09-2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940B1 (ko) * 2000-12-29 2005-08-0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선택적 단결정 실리콘막 형성 방법
KR100761655B1 (ko) * 2001-06-27 2007-09-2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660B1 (ko) 고집적 소자용 미세콘택 형성방법
JPH11330245A (ja) 半導体装置のコンタクト形成方法
KR100482029B1 (ko) 엠아이엠 캐패시터 형성방법
US618414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two etching patterns
KR20150131145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9990012265A (ko) 에피층을 이용하여 셀 영역의 단차를 억제한 디램과 로직의복합소자 제조방법
KR19990012665A (ko) 운전 영역별 학습치 보정을 위한 노크 제어 방법
KR0165491B1 (ko) 더미 패턴을 구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10209402A (ja)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35960B1 (ko) 반도체소자의 도전 라인 형성방법
KR0138292B1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홀 형성방법
KR0166491B1 (ko)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418588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88173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960013644B1 (ko) 캐패시터 제조방법
KR0128834B1 (ko)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KR100250741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10061085A (ko)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KR19990043724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0130454B1 (ko)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9990018737A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KR100239450B1 (ko) 반도체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KR20010005082A (ko)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
KR19980025851A (ko) 미세 콘택 형성을 위한 고집적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JPH10294439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