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445U - 현가 스프링의 지지기구 - Google Patents

현가 스프링의 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445U
KR19990011445U KR2019970024800U KR19970024800U KR19990011445U KR 19990011445 U KR19990011445 U KR 19990011445U KR 2019970024800 U KR2019970024800 U KR 2019970024800U KR 19970024800 U KR19970024800 U KR 19970024800U KR 19990011445 U KR19990011445 U KR 199900114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uspension
sheet
support mechanis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4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445U/ko
Publication of KR199900114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445U/ko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가 스프링의 지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하로 각각 스프링 시트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스프링 내측으로 쇽업소버가 고정되는 맥퍼슨 스트럿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트 및 하부 시트는 스프링의 양단에서 상호 엇갈리는 반쪽부분만 지지하도록 고정되어 스프링의 작용력이 소정의 오프셋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자동자의 주행중 발생하는 다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현가장치가 보다 간결한 구성으로 동일한 오프셋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공간 활용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현가 스프링의 지지기구
본 고안은 현가 스프링의 지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자의 주행중 발생하는 다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현가장치가 보다 간결한 구성을 지니도록 하여 공간 활용성을 증대하는 현가 스프링의 지지기구(Supporting Device for Suspension System)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제동력 , 가속력, 선회력 등을 흡수하는 기능을 지니는 현가장치에는, 맥퍼슨 스트럿(Mcpherson strut), 댐퍼 스트럿(Damper strut) 등이 있는데, 전륜 구동방식의 자동차에는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 공간이 적은 맥퍼슨 스트럿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 1의 사시도는 맥퍼슨 현가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바, 쇽업소버(11) 및 스프링(12)이 일체로 구성되는 맥퍼슨 스트럿은 댐퍼 스트럿에 비해 설치 높이가 높고 측력(스러스트)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기 때문에 조향안정성에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도면 부호 15는 타이어가 장착되는 허브를 나타낸다.
측력을 용이하게 흡수하기 위해 스프링(12)을 지지하는 상부 시트(13) 및 하부 시트(14)가 쇽업소버(11)와 경사를 이루도록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현가 스프링의 경사구조는, 스프링(12)의 작용력 방향을 오프셋시켜 측력을 흡수하지만 스프링(12)의 직경이 커지므로 기관실의 유효공간을 축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스프링(12) 양단의 가압면(A)의 중심을 연결하는 반작용선(B)이 쇽업소버(11)의 중심선인 작용선(C)으로부터 오프셋(θ) 되는 방향은 상부 시트(13)의 중심과 하부 시트(14)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이고 이것은 상부 시트(13) 및 하부 시트(14)가 각각 수평면과 이루는 경사각과 동일해지는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12)의 작용력 방향을 오프셋(θ)하는 크기가 상부 시트(13) 및 하부 시트(14)의 경사 정도와 일치하기 때문에 스프링(12)의 직경을 불필요하게 증가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자동자의 주행중 발생하는 다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현가장치가 보다 간결한 구성으로 동일한 오프셋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공간 활용성을 증대하는 현가 스프링의 지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맥퍼슨 현가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a)는 종래의 지지기구의 주요부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b)는 (a)의 작용 및 반작용에 의한 오프셋 효과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스프링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기구의 주요부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b)는 (a)의 작용 및 반작용에 의한 오프셋 효과를 나타내는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쇽업소버, 12, 22: 스프링, 13, 23: 상부 시트, 14, 24: 하부 시트, 15: 허브, A, A': 가압면, B, B': 반작용선, C: 작용선, θ: 오프셋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하로 각각 스프링 시트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스프링 내측으로 쇽업소버가 고정되는 맥퍼슨 스트럿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트 및 하부 시트는 스프링의 양단에서 상호 엇갈리는 반쪽부분만 지지하도록 고정되어 스프링의 작용력이 소정의 오프셋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스프링의 지지기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현가 스프링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기구의 주요부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b)는 (a)의 작용 및 반작용에 의한 오프셋 효과를 나타내는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상하로 각각 스프링 시트(23)(24)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스프링(22) 내측으로 쇽업소버(11)가 고정되는 맥퍼슨 스트럿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트(23) 및 하부 시트(24)를 스프링(22)의 양단에서 상호 엇갈리는 반쪽부분만 지지하도록 고정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상,하부시트(23)(24)와 접하는 스프링(22)의 작용력은 상부 시트(23)의 중심과 하부 시트(24)의 중심을 연결하는 방향이 됨으로써, 상부 시트(23) 및 하부 시트(24)의 경사를 종래보다 완만하게 하고 스프링(22)의 직경을 줄이더라도 스프링(22)의 작용력이 이루는 오프셋(θ)은 종래와 동일해진다.
즉, 상기 스프링(22)에 의한 가압면(A')이 종래의 절반으로 줄어들어 반작용선(B')이 외측으로 이동하고 작용선(C)으로부터의 오프셋이 증가하므로 스프링(22)을 종래보다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장착해도 동일한 오프셋(θ)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부 시트(23), 하부 시트(24), 스프링(22)의 크기가 소형화되면서도 종래와 동일한 오프셋(θ) 기능을 수행하여 자동차 주행시 측력을 흡수할 수 있다. 크기의 소형화에 따라 자동차의 중량이 감소되고 기관실의 유효공간이 넓어져 정비성이 향상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고안의 현가 스프링의 지지기구는 자동자의 주행중 발생하는 다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현가장치가 보다 간결한 구성으로 동일한 오프셋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공간 활용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하로 각각 스프링 시트를 개재하여 장착되는 스프링 내측으로 쇽업소버가 고정되는 맥퍼슨 스트럿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트 및 하부 시트는 스프링의 양단에서 상호 엇갈리는 반쪽부분만 지지하도록 고정되어 스프링의 작용력이 소정의 오프셋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스프링의 지지기구.
KR2019970024800U 1997-08-30 1997-08-30 현가 스프링의 지지기구 KR199900114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800U KR19990011445U (ko) 1997-08-30 1997-08-30 현가 스프링의 지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800U KR19990011445U (ko) 1997-08-30 1997-08-30 현가 스프링의 지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445U true KR19990011445U (ko) 1999-03-25

Family

ID=69680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800U KR19990011445U (ko) 1997-08-30 1997-08-30 현가 스프링의 지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44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331B1 (ko) * 2003-10-21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횡력 저감용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9331B1 (ko) * 2003-10-21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횡력 저감용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142053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KR19990011445U (ko) 현가 스프링의 지지기구
US20020084614A1 (en) Structure for mounting shock abosorber and spring to suspension apparatus
KR0140743Y1 (ko) 자동차용 차축 현가 장치
KR10018745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완충기
CN214928812U (zh) 悬架系统缓冲块组件、悬架系统及汽车
KR100316267B1 (ko) 리어 코일 스프링 시트
KR200147667Y1 (ko) 차량의 휠하우스 클랙 방지용 지지판
JPS625924Y2 (ko)
KR0114403Y1 (ko) 자동차의 스트러트 어셈블리 상부 지지구조
KR200185460Y1 (ko) 베어링 댐핑식 현가장치
KR200147668Y1 (ko) 차량의 휠하우스 크랙 방지용 지지판
KR100192331B1 (ko) 화물트럭용 2축식 현가장치
KR100302714B1 (ko) 차량의차축식현가장치
KR19980043190U (ko) 자동차용 쇽 업소버의 장착구조
JPH0517288Y2 (ko)
KR200141424Y1 (ko) 쇽업쇼버의 진동흡수장치
KR97000466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상부스프링시트
KR0125067Y1 (ko) 자동차용 전륜 현가장치의 하중분리구조
KR19980054132A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KR19980056522A (ko) 자동차 현가 장치의 스트럿
KR19990019875A (ko)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의 기울기 구조
KR19980034685U (ko) 현가장치의 스프링 시트
KR19980054331U (ko) 차축 현가 장치
KR19990020006A (ko) 볼조인트 리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