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146A -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146A
KR19990011146A KR1019970034117A KR19970034117A KR19990011146A KR 19990011146 A KR19990011146 A KR 19990011146A KR 1019970034117 A KR1019970034117 A KR 1019970034117A KR 19970034117 A KR19970034117 A KR 19970034117A KR 19990011146 A KR19990011146 A KR 19990011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idle handoff
control channel
strength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5584B1 (ko
Inventor
김규남
Original Assignee
정태기
주식회사 신세기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152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1114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정태기, 주식회사 신세기통신 filed Critical 정태기
Priority to KR1019970034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584B1/ko
Priority to US09/119,632 priority patent/US6195551B1/en
Priority to JP20649698A priority patent/JP4206150B2/ja
Priority to CNB981175260A priority patent/CN1221150C/zh
Publication of KR19990011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 상태에서 빈번한 기지국을 변경함으로써 이에 따른 착신율 저하 및 불필요한 배터리 전력소모 문제를 해결하는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인접 기지국의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를 수시로 체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통신중인 기지국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보다 어떤 기지국의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가 일정크기 이상 크게 될 경우 단말기는 기지국을 바꾸게 되는 유휴 핸드오프 기능 수행시, 유휴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임계값을 현재의 활성 기지국의 제어채널의 세기에 따라 가변시켜서 유휴 핸드오프를 최소화시킨다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과의 접속시 제어채널의 전력세기 변화에 따른 통신단절을 줄여 통화품질을 개선시키게 되며 또한 배터리의 소비전력을 줄임으로써 단말기의 대기시간을 연장하게 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 상태에서 빈번한 기지국을 변경함으로써 이에 따른 착신률 저하 및 불필요한 배터리의 전력소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단말기는 해당기지국의 제어채널을 통하여 호 셋업시 필요한 여러 정보들을 통신하면서 해당 기지국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와 주변 기지국들의 제어채널의 수신세기를 연속적으로 측정한다.
이때 어떤 주변 기지국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가 현재 통신하고 있는 기지국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보다 일정크기 이상 크게될 경우 단말기는 지금까지 통신하고있던 기지국과의 접속을 끊고 수신세기가 큰 새로운 기지국으로 바꾸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유휴 핸드오프라고 하는데 단말기는 대기상태에서 이러한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서 가장 신호를 잘 받을 수 있는 기지국과 통신을 하게 된다.
그러나 무선환경은 시시각각으로 급변하여 심한 페이딩 현상으로 인해 동일 지점에서도 신호의 세기가 심하게 변화하게 되는데 그때마다 단말기에서 유휴 핸드오프가 수행된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그 첫 번째로서, 핸드오프하는 동안 배터리의 소모량이 대기상태일 때보다 많이 필요하므로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는 단말기의 대기시간의 단축을 가져오게 된다는 점이다.
CDMA이동통신에서는 일정한 시간 슬롯(Time slot)만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고 그 외 나머지 시간동안은 가장 필요한 기본동작 외에 배터리 소모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기법을 흔히 사용하여 배터리 유지시간을 최대한 늘리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유휴 핸드오프가 종료되는 시점까지는 계속해서 단말기가 전력을 소모하므로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는 그만큼 많은 량의 배터리를 소모하게 되는 것이다.
두번째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등록 경계지역에 있을때 역방향 제어채널의 통신효율이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동하는 단말기가 착신호를 제대로 받기 위해서는 자기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기지국측에 필요시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보고를 하는 위치등록을 하게되는데, 이러한 위치등록 중에서도 단말기의 이동성을 가장 잘 지원해주는 위치등록으로서 영역근거 위치등록(Zero-based registration)을 들 수 있다.
영역 근거 위치 등록에서는 기지국 또는 기지국의 그룹이 관장하는 지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정의하고 이동 단말기가 이 영역을 벗어나서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면 단말기는 자기의 현재 위치를 역방향 제어채널을 통해 기지국에 보고함으로써 착신호 발생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로 인하여 위치등록 기능을 단말기에서 너무 자주 수행한다면 이동국에서 기지국까지의 역방향 제어채널 부하가 심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역방향 제어채널의 통신은 랜덤 억세스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식은 부하가 심하게 걸리게되는 경우 통신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CDMA 이동통신에서는 제어채널 및 호채널 모두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단말기의 핸드오프에 의한 잦은 위치등록은 더욱 많은 간섭신호(interference)를 가져와 셀 커버리지의 축소, 용량감소 및 통화품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세 번째로, 이동국의 착신률이 떨어진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동국, 즉 단말기가 유휴 핸드오프를 하는 순간 착신호가 발생하면 호가 설정되지 않거나 유휴 핸드오프가 종료된 후에야 비로소 호가 성립이 된다. 특히 위치등록 영역이 바뀌게 되면 호출시 주변 위치등록 영역까지 모두 호출하지 않는 이상 호가 실패하게 되므로 따라서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로 인한 착신률 저하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CDMA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는 파일럿 세기를 기준으로 동작하는데, 여기에서 파일럿 세기라 함은 상대적인 값으로 측정하고 있는 파일럿 채널 에너지 Ec와 자기 기지국 파일럿 에너지를 포함한 측정하고 있는 주파수 대역내 모든 에너지 It의 비(ratio)를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유휴 핸드오프 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을 위한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단말기는 현재 통신하고 있는 활성 기지국의 파일럿 Ec/It(A)을 체크하고 또한 주변 기지국의 파일럿 Ec/It(B)을 체크하여 상기 A값과 B값의 차(C)를 산출하여 여기에서 얻어진 두 기지국의 파일럿 차값(C)이 임계값보다 큰가 여부를 판단한 다음 상기 C값이 임계값을 초과하였을 때 유휴 핸드오프를 실행하여 활성기지국을 변경하게 된다.
이때 임계값은 단말기 제조사가 정하는 파라미터값으로 보통 2dB∼3dB의 값으로 설계되며, 이러한 유휴 핸드오프는 주요 통신 기지국의 신호가 평균적으로 충분히 큰 경우에도 순간적으로 어느 특정 주변 기지국 신호가 세게 수신되면 수시로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여기에서 파일럿 Ec/It의 의미를 다시 살펴보면 파일럿 Ec/It가 크면 클수록 통신 품질 및 통신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판정되며, 단말기가 활성 기지국 셀중심에 가까움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주변 임의의 기지국 파일럿 Ec/It가 활성 기지국 파일럿Ec/It보다 순간적으로 크게 된다고 하더라도 다음 순간에는 다시 Ec/It가 커질 가능성이 상당히 많게 되기 때문에, 가능하면 유휴 핸드오프 시점을 늦추거나 핸드오프를 실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Ec/It가 작으면 작을수록 통신품질 및 통신 신뢰도는 나쁘며, 기지국 셀 중심이 아니라 그들의 경계선에 가까움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가능하면 조금이라도 파일럿 Ec/It가 큰 기지국과 통신하는 것이 통신 신뢰도면에서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 대기상태에서 빈번한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함으로서 가져오게 되는 통화 품질저하 및 배터리의 불필요한 전력소모를최소화로 가져갈 수있게 되는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인접 기지국의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를 수시로 체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통신중인 기지국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보다 어떤 기지국의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가 일정크기 이상 크게 될 경우 단말기는 바로 기지국을 바꾸는 유휴 핸드오프를 실행하지 않고, 그 유휴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임계값을 현재의 활성 기지국의 제어채널의 세기에 따라 가변시켜서 가급적 활성 기지국 전환을 위한 유휴 핸드오프의 수행을 최소화시킨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유휴 핸드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휴 핸드오프 수행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 핸드오프 수행에 있어 임계값이 활성 기지국의 파일럿 수신세기를 함수로 하는 경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휴 핸드오프 수행에 있어 활성 기지국 파일럿 수신세기의 평균값을 사용하는 경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휴 핸드오프 수행에 있어 다중 임계값을 사용한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 핸드오프 수행에 있어 연속적으로 가변하는 임계값을 사용한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 핸드오프 수행에 있어 연속적으로 가변하면서 최소값 이상의 값을 가지는 임계값을 사용한 경우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휴 핸드오프 수행이 있어 단말기의 파일럿 수신세기 측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카운터 및 타이머를 이용한 본 발명의 유휴 핸드오프 수행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말기 11 : 무선 송수신부
12 : 제어부 13 : 시스템프로그램 저장부
14 : 키 입력부 15 : 데이터 저장부
20,30 : 기지국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유휴 핸드오프 수행을 위한 이동통신용 단말기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단말기(10)의 내부는 크게 제어부(12)와, 상기 제어부에 각종 기능의 입력이나 다이얼을 위한 전화번호 키입력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받아들이는 키 입력부(14)와, 단말기의 운용 및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시스템 프로그램 저장부(13)와, 사용자 정의로 결정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5)와, 다수의 기지국(20,30)들과의 무선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주고받기 위한 무선 송수신부(11)로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12)에서는 대기시 무선송수신부(11)를 통하여 수신되는 활성 기지국인 제1 기지국(20)의 제어채널 전력세기와 인접 기지국인 제2 기지국의 제어채널 전력세기를 체크하여 그들 사이의 차 값을 사전에 설정한 값으로 비교하여 유휴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단말기(10)내부의 제어부(12)는 소오스 코드와 같은 프로그램 형태의 소프트 웨어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유휴 핸드오프의 설정 조건에 해당하는 임계값 데이터를 필요시 또는 필요한 조건에 따라 이를 체크된 수신전력세기의 파릴럿 데이터에 비교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서 활성기지국의 파일럿 수신세기를 함수로 하는 임계값을 이용한 본 발명의 첫 번째 유휴 핸드오프 과정의 개념을 도 3에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방법이 종래의 방법과 다른 점은 유휴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값인 임계값이 상수가 아니라 활성 기지국의 파일럿 세기에 따라 변화한다는 점이다.
이 흐름도에서 보이고 있는 것처럼 임계값(thr)은 활성기지국 Ec/It의 함수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 함수는 연속함수이든 이산함수(discrete function)이든 상관없이 단지 함수 f(A)는 Ec/It가 크면 클수록 큰 값을 갖고, 작으면 작을수록 작은 값을 갖는 성질을 가져야만 한다.
이것은 활성 기지국 Ec/It가 크면 클수록 기지국 셀 중심과 가까워서 통신 신뢰성이 높으므로 이때에는 임계값을 높게 하여 유휴 핸드오프할 확률을 줄이도록 하고, 이와는 반대로 활성기지국 Ec/It가 작으면 작을수록 임계값을 줄여서 좀더 나은 통신 신뢰성이 좋은 기지국으로 유휴 핸드를 활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최상의 통신조건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유휴 핸드오프시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또 다른 방식의 개념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활성 기지국 Ec/It(A)와 주변 기지국 x의 Ec/It(B)을 체크하여 주변 기지국 Ec/It(B)가 활성 기지국 x의 Ec/It(A)보다 임계값인 C 이상 크게 되면 x 기지국에서 (C)값이 임계값보다 큰 상태로 충분한 시간 (T-thr)동안 계속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여 설정 값에 이르렀을 때 비로소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임계값을 그대로 두고 종래의 핸드오프 결정과정을 모두 끝낸 후 상대 기지국의 파일럿 Ec/It가 활성 기지국 파일럿 Ec/It보다 큰 기간동안의 시간을 또 다른 하나의 변수로 채택하여 그 시간이 T-thr라는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유휴 핸드오프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순간적으로 활성 기지국 신호가 작아지거나 상대 기지국 신호가 커지는 경우에 유휴 핸드오프하는 단점을 막게 된다.
또한 T-thr을 고정된 값이 아니라 Ec/It편차값, 또는 활성 기지국 신호세기등에 따라 크기를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상기 도 3에서 보이고 있는 유휴 핸드오프의 기본개념을 좀더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임계값 f(A)가 이산적인(discrete)경우를 보여주고 있는데, 여기에서는 활성 기지국의 크기에 따라 n개의 임계값을 두고 있다.
도 5에서 X1〉X2〉…〉Xn이며, 활성 기지국 Ec/It에 비례하는 값인 임계값의 크기도 thr(X1)〉thr(X2)〉…〉thr(Xn)으로 설정된다.
활성 기지국 Ec/It(A)와 주변 기지국 x의 Ec/It(B)을 체크하고 이들 두 값의 차(C)를 계산하여 주변 기지국 파일럿 Ec/It가 활성 기지국보다 C만큼 클 때, 이 C의 크기에 따라 C〉X1인 경우에는 A〉thr(X1)여부를 체크하여 A값이 thr(X1)보다 크게 되었을 때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또, 활성 기지국 Ec/It(A)와 주변 기지국 x의 Ec/It(B)값의 차(C)가 X2〈C〈X1인 경우에는 A〉thr(X2)여부를 체크하여 A값이 thr(X2)보다 크게 되었을 때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고, 활성 기지국 Ec/It(A)와 주변 기지국 x의 Ec/It(B)값의 차(C)가 X3〈C〈X2인 경우에는 A〉thr(X3)여부를 체크하여 A값이 thr(X3)보다 크게 되었을 때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고, 활성 기지국 Ec/It(A)와 주변 기지국 x의 Ec/It(B)값의 차(C)가 Xn〈C〈Xn-1인 경우에는 A〉thr(Xn)여부를 체크하여 A값이 thr(Xn)보다 크게 되었을 때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일례로 C가 상당히 커서 X1보다 크다면 첫 번째 가지인 C〉X1 가지로 분기된 후 활성기지국 파일럿 세기 A가 충분히 큰 값인 thr(X1)보다 커야만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C가 X1보다는 작지만 X2보다 크다면 A는 thr(X1)보다 작은 값인 thr(X2)보다 큰 경우에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최종적으로 C가 Xn보다도 작다면 유휴 핸드오프를 포기하고 다시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이처럼 활성 기지국 Ec/It가 크면 클수록 임계값의 값을 큰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임계값 thr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과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활성 기지국의 파일럿 세기 A가 크면 클수록 임계값 thr도 그에 비례해서 상수 k배 만큼 커지게 된다.
앞의 도 5의 경우에서는 임계값이 몇 개의 이산적인 값으로 되어 있는데 반하여 도 6에서는 임계값이 활성 기지국 Ec/It와 일차함수 관계로 비례하는 연속적인 값으로 되어 있다.
도 7은 연속적으로 가변하면서 최소값 이상의 값을 가지는 임계값을 사용하게 되는 유휴 핸드오프 방식으로써, 임계값= k×A+c의 식을 살펴보면 활성기지국 Ec/It가 아무리 작더라도 임계값이 최소한 c이상의 값을 유지하도록 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9는 임계값 활성 기지국 파일럿 수신세기의 평균값을 함수로 하여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임계값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카운터나 타이머를 사용하여 충분한 시간동안 상대 기지국 Ec/It가 활성기지국 Ec/It의 값보다 커야만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가 기지국 파일럿 수신세기를 체크하는 순서는 도 8에서 보여주고 있는데 그 순서는 실제로 단말기 제조시 달라질 수 있지만 어떤 식으로 단말기를 제조하더라도 활성 기지국과, 주변 기지국 n개를 찾는 절차를 주기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여기에서 필요한 카운터나 타이며 개수를 기지국별로 할당하면 너무 많은 카운터 또는 타이머가 필요하므로 이것은 적절한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필요한 카운터(또는 타이머)수를 줄이는 것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도 9에서 보면 단말기 전원이 켜지면 카운터나 타이머는 리세트 된다. 이어서 활성기지국 Ec/It과 주변기지국 x의 Ec/It를 체크하고 이어서 이들 두 값의 차 (C)를 임게값에 비교하여, C〉임계값이 아니면 카운트 또는 타이머를 리세트하고 C〉임계값이면 카운트 1업 또는 타이밍 스타트한다.
즉, 주변 기지국 파일럿 수신세기가 활성 기지국 파일럿 수신세기보다 임계값 이상 크게되면 기지국 x에 해당되는 카운터가 1이 증가되고, 타이머를 사용한다면 기지국 x에 해당되는 타이머가 가동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해당 카운터나 타이머가 파라미터로 셋팅될수 있는 T-thr보다 큰가를 비교해서 크다면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고 작다면 다시 기지국 파일럿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로 루핑(looping)된다.
그후 단말기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주변 기지국 n개에 대한 측정을 완료하고 다시 기지국 x의 파일럿 Ec/It와 활성 기지국 Ec/It측정하고 비교하는 절차를 밟게 된다.
이때 C가 임계값보다 작게된다면 x기지국에 해당되는 카운터나 타이머는 리세트되어 처음부터 다시 위의 절차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전과 동일하게 연속해서 C가 임계값보다 계속 크다면 카운터를 다시 1만큼 증가시키거나 타이머를 사용할 경우 타이머는 리세트 없이 계속해서 가동되게 되며, 그후 T-thr와 비교하여 유휴 핸드오프 수행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CDMA이동통신의 유휴 핸드오프 발생 숫자를 효율적으로 줄임으로써, 단말기 밧데리 소모 전력 감소, 역방향 제어채널의 통신효율 향상 및 착신률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중 단말기와 기지국과의 호 셋업을 위한 통신시 최상의 통화조건을 유지하기위한 유휴 핸드오프에 있어서, 단말기의 제어부가 무선 송수신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활성화 기지국과 인접 기지국의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를 수시로 체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통신중인 활성화 기지국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보다 인접 기지국의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가 일정크기 이상 크게 될 때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인 임계값을 현재의 활성 기지국의 제어채널의 세기에 따라 가변시켜 설정함으로써 유휴 핸드오프 기능 수행의 횟수를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유휴 핸드오프를 결정하게 되는 상기 임계값은 활성기지국의 파일럿 수신세기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파일럿 수신세기는 순시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파일럿 수신세기는 평균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활성기지국의 제어채널의 세기에 따라 다수의 임계값을 가지는 다중 임계값에 의해 유휴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유휴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상기 임계값은 활성기지국의 제어채널의 세기에 따라 연속적으로 가변하는 임계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으로 가변하는 임계값은 최소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8.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중 단말기와 기지국과의 호 셋업을 위한 통신시 최상의 통화조건을 유지하기위한 유휴 핸드오프에 있어서, 단말기의 제어부가 무선 송수신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활성화 기지국과 인접 기지국의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를 수시로 체크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현재 통신중인 활성화 기지국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보다 인접 기지국의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가 일정크기의 임계값 이상 크게 되면 그 시점부터 카운터를 이용하여 카운트하여 설정 임계값 도달후 일정한 기준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유휴 핸드오프가 수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활성화 기지국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보다 인접 기지국의 제어채널의 전력 수신세기가 설정 임계값을 초과하여 일정시간이 유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타이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KR1019970034117A 1997-07-22 1997-07-22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KR100265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117A KR100265584B1 (ko) 1997-07-22 1997-07-22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US09/119,632 US6195551B1 (en) 1997-07-22 1998-07-21 Idle handoff controlling method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JP20649698A JP4206150B2 (ja) 1997-07-22 1998-07-22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イドルハンドオフ制御方法
CNB981175260A CN1221150C (zh) 1997-07-22 1998-07-22 蜂窝通信系统中的空闲越区切换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4117A KR100265584B1 (ko) 1997-07-22 1997-07-22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146A true KR19990011146A (ko) 1999-02-18
KR100265584B1 KR100265584B1 (ko) 2000-09-15

Family

ID=19515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117A KR100265584B1 (ko) 1997-07-22 1997-07-22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95551B1 (ko)
JP (1) JP4206150B2 (ko)
KR (1) KR100265584B1 (ko)
CN (1) CN1221150C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860A (ko) * 1999-08-16 2001-03-05 이계철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불필요한 핸드오프 감소 방법
KR100442137B1 (ko) * 2002-06-21 2004-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착신율 향상을 위한 멀티 콜 방법
KR100462638B1 (ko) * 2001-02-20 2004-12-17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터미널, 및 그것에 이용되는 송신다이버시티 적용방법
KR100524731B1 (ko) * 2002-11-11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KR100597488B1 (ko) * 2004-01-09 2006-07-10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방법
KR100656782B1 (ko) * 2001-08-24 2006-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적 소프트 핸드오프 방법
KR100761697B1 (ko) * 2006-06-13 200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셀 재선택 결정방법 및 장치
KR100781225B1 (ko) * 2006-11-03 2007-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셀 신호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03975B1 (ko) * 2005-05-10 2012-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46295B (en) * 1998-07-24 2003-08-20 Toshiba Kk CDMA mobile terminal device
GB2343330A (en) * 1998-10-29 2000-05-03 Fujitsu Ltd Soft handoff method using a backup link
US6505058B1 (en) * 1998-12-04 2003-01-07 Motorola, Inc.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o wake up a mobile station
JP3367475B2 (ja) 1999-07-06 2003-01-14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機および無線通信機の消費電力制御方法
JP3690717B2 (ja) 1999-07-14 2005-08-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セルサーチ制御方法、移動局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100388924B1 (ko) * 1999-09-06 2003-06-25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인접 셀 검색 제어 방법, 이동국, 및 이동 통신 시스템
US6320855B1 (en) * 1999-09-09 2001-11-20 Qualco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idle handoff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FI109512B (fi) 1999-09-20 2002-08-15 Nokia Corp Menetelmä ehdokassolun määrittämiseksi aktiivijoukkoon
JP2001103529A (ja) * 1999-09-30 2001-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装置及び送信局選択方法
US6360098B1 (en) * 2000-03-15 2002-03-19 Verizon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neighbor list for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ector
US7224719B1 (en) * 2000-03-31 2007-05-29 Qualcomm, Incorporated Fast acquisition of a pilot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647261B1 (en) 2000-07-20 2003-11-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dle handoff method taking into account critical system jobs
US7006468B1 (en) * 2000-07-26 2006-02-28 Qualcomm, Incorporated Pag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CN1159931C (zh) * 2000-10-02 2004-07-28 株式会社Ntt都科摩 移动通信系统、基站移动站和移动通信控制方法
US6771622B1 (en) * 2000-11-17 2004-08-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ilot-signal searching with decimation reordering
US7016325B2 (en) * 2001-01-18 2006-03-21 Strix Systems, Inc. Link context mobility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ch mobility, such as a system employing short range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wireless protocols
KR100388480B1 (ko) * 2001-04-09 2003-06-2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아이들 핸드오프 수행 방법
EP1391100A4 (en) 2001-05-02 2009-03-11 Strix Systems Inc DISCOVERING NEIGHBORS OF A WIRELESS BASE ST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LOW-RANGE FREQUENCY HOPPING PLAN
US7151757B2 (en) * 2001-05-02 2006-12-19 Strix Systems, Inc. Wireless base station to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system employing a short-range frequency hopping or time division duplex scheme
US7194010B2 (en) * 2001-05-02 2007-03-20 Strix Systems, Inc. Wireless base station to base station synchroniz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system employing a short range frequency hopping or time division duplex scheme
JP4016647B2 (ja) * 2001-05-17 2007-12-0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及びそれらに用いるしきい値設定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7065129B2 (en) * 2001-06-29 2006-06-20 Qualcomm, Inc. Acquisition of a gated pilot by avoiding partial correlation peaks
KR100433898B1 (ko) * 2002-01-14 2004-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결정장치 및 방법
JP4004877B2 (ja) * 2002-07-09 2007-11-07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
US7313398B1 (en) * 2002-08-06 2007-12-25 Sprint Spectrum L.P. System and method for handoff in a CDMA network
US7110765B2 (en) * 2002-08-27 2006-09-19 Qualcomm Incorporated Limiting cell reselection based on pilot power
CN100379312C (zh) * 2002-08-27 2008-04-02 高通股份有限公司 空闲模式小区的重新获取和重新选择
JP3916554B2 (ja) * 2002-12-10 2007-05-1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及びハンドオフ判定方法
KR100651430B1 (ko) 2003-11-07 200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FI20040444A0 (fi) * 2004-03-23 2004-03-23 Nokia Corp Verkkoliitäntäkokonaisuuden valitseminen viestintäjärjestelmässä
US7894831B2 (en) * 2004-06-08 2011-02-22 Lg Electronics Inc. Controlling idle mode of mobile subscriber st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US7693521B1 (en) 2004-08-04 2010-04-06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station handoff
CN100373989C (zh) * 2004-10-27 2008-03-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Cdma移动通信系统中切换门限的动态调整方法
JP4181107B2 (ja) 2004-11-25 2008-11-12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ハンドオフ制御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
GB2421148B (en) * 2004-12-08 2007-04-11 Motorola Inc Mobile station,system and method for use in cellular communications
CA2583663C (en) 2005-02-05 2011-06-2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xecuting handoff of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20060089603A (ko) * 2005-02-05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대기상태에 있는 단말의 핸드오프수행 방법 및 그 지원 방법
CN100459791C (zh) * 2005-02-24 2009-02-04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交递控制方法及相关装置
US7302265B1 (en) 2005-03-16 2007-11-27 Sprint Spectrum L.P. Method of selecting carrier frequency for call origination
US7729704B2 (en) * 2005-03-31 2010-06-01 Alcatel-Lucent Usa Inc. Power load balancing in cellular networks employing shadow prices of base stations
KR100690778B1 (ko) * 2005-04-1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룰라 이동통신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US8068835B2 (en) * 2005-10-27 2011-11-29 Qualcomm Incorporated Tune-away and cross paging systems and methods
US9247467B2 (en) * 2005-10-27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during tune-away
US8134977B2 (en) * 2005-10-27 2012-03-13 Qualcomm Incorporated Tune-away protocols for wireless systems
US8229433B2 (en) * 2005-10-27 2012-07-24 Qualcomm Incorporated Inter-frequency handoff
WO2007081174A1 (en) * 2006-01-12 2007-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off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based on efficient set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KR101344743B1 (ko) * 2006-01-12 2013-12-2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단말의 효율적인 셋 관리에 따른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
CN100456891C (zh) * 2006-07-19 2009-01-28 华为技术有限公司 对激活态接入终端进行切换的方法
KR101312876B1 (ko) * 2006-12-13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측정 방법 및 장치
CN101014172B (zh) * 2007-02-07 2010-10-13 重庆重邮信科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降低用户终端在空闲模式下能源消耗的方法
US20090023448A1 (en) * 2007-02-21 2009-01-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system handover
US9497642B2 (en) * 2007-06-29 2016-11-15 Alcatel Lucent Method of automatically configuring a home base station router
US20090111499A1 (en) * 2007-10-24 2009-04-30 Peter Bosch Method of modifying pilot power for a home base station router based on user demand
EP2071738B1 (en) * 2007-12-13 2016-09-07 Alcatel-Lucent USA Inc. A picocell base station and method of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of pilot signals therefrom
KR101623777B1 (ko) * 2008-07-30 2016-05-24 에릭슨 에이비 광대역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페이징 존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194609B2 (en) 2008-09-02 2012-06-05 Kyocera Corporation Handoff management based on non-traffic state uplink signals
US20100054205A1 (en) * 2008-09-02 2010-03-04 Amit Kalhan Handoff management for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s based on non-traffic state uplink signals
CN101437272B (zh) * 2008-12-03 2011-04-06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发射hpb的方法、装置、系统和引导终端切换的方法
US8265039B2 (en) * 2009-06-05 2012-09-11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idle state handoff
JP6090604B2 (ja) * 2012-02-17 2017-03-08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ネットワーク内の隣接アクセスポイント検出
WO2014036695A1 (en) * 2012-09-05 2014-03-13 Qualcomm Incorporated Setting up network parameters after an idle handoff of an access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140274050A1 (en) * 2013-03-14 2014-09-18 Qualcomm Incorporated Cell reselection with performance-based suitability criter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2445B2 (ja) 1992-07-17 1999-11-08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電界レベル測定方式
US5889768A (en) * 1996-08-30 1999-03-30 Motorola,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ilot channel acquisition
US5920550A (en) * 1996-10-11 1999-07-06 Motorola,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 handof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860A (ko) * 1999-08-16 2001-03-05 이계철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불필요한 핸드오프 감소 방법
KR100462638B1 (ko) * 2001-02-20 2004-12-17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동 통신 시스템, 이동 터미널, 및 그것에 이용되는 송신다이버시티 적용방법
KR100656782B1 (ko) * 2001-08-24 2006-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적 소프트 핸드오프 방법
KR100442137B1 (ko) * 2002-06-21 2004-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착신율 향상을 위한 멀티 콜 방법
KR100524731B1 (ko) * 2002-11-11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KR100597488B1 (ko) * 2004-01-09 2006-07-10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방법
KR101103975B1 (ko) * 2005-05-10 2012-0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듀얼밴드/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KR100761697B1 (ko) * 2006-06-13 2007-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셀 재선택 결정방법 및 장치
KR100781225B1 (ko) * 2006-11-03 2007-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셀 신호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13042A (ja) 1999-04-23
JP4206150B2 (ja) 2009-01-07
CN1206311A (zh) 1999-01-27
CN1221150C (zh) 2005-09-28
KR100265584B1 (ko) 2000-09-15
US6195551B1 (en) 2001-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5584B1 (ko)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EP1179961B1 (en) A method for optimizing a number of communication links
KR100388872B1 (ko) 이동 통신에서의 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FI114845B (fi) Kanavaskannaus solukkopuhelinjärjestelmässä
CA1271224A (en) Vox remote unit control in a cellular system
JP4933099B2 (ja) セルラーネットワークのターミナルにおいて信号電力レベルの測定を開始する方法及びターミナル
KR100433899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결정장치 및 방법
KR100290674B1 (ko) 다중밴드시스템에서셀선택방법
US723379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ndoff judgment method
JP388876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切替方式
JP2005020458A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のセクタ選択方法
JP414424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EP1146756A1 (en)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dynamic monitoring of neighbouring cells
KR100769780B1 (ko) 무선 통신 단말
KR100433898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결정장치 및 방법
US8170555B1 (en) Method of selecting a new cell
JP3484017B2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周波数帯使用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KR100211955B1 (ko) 무선가입자망에서 단말국의 통신품질 열화방지를 위한 무선링크의 전환 제어방법
KR100282962B1 (ko) 셀룰러 시스템에서 슬롯 사이클 인덱스 설정방법
JP2004356739A (ja) 無線通信装置及びアンテナ切り替え方法
WO2001062028A1 (en) Mobile telephone allowing for reduced battery consumption during idle mode
JP3793029B2 (ja) 移動局
KR2005009936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셀 재선택 제어 방법
JP2002368671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597488B1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