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9780B1 - 무선 통신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9780B1
KR100769780B1 KR1020067002105A KR20067002105A KR100769780B1 KR 100769780 B1 KR100769780 B1 KR 100769780B1 KR 1020067002105 A KR1020067002105 A KR 1020067002105A KR 20067002105 A KR20067002105 A KR 20067002105A KR 100769780 B1 KR100769780 B1 KR 100769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handoff
unit
occurrence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969A (ko
Inventor
마코토 도미즈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9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9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단말은, 복수의 통신 시스템 중 하나와 제각기 통신하는 복수의 통신부와, 각각의 통신부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품질을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을 각각의 통신부에 대해 설정하는 임계값 설정부와, 임계값에 근거하여 각각의 통신부가 통신을 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판단부에 의해, 적어도 2개의 통신부에서 통신 가능하다고 판단되고, 또한, 통신부의 하나에서 핸드오프가 발생한 경우, 임계값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다른 임계값으로 변경하는 변경부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단말{RADIO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하나의 RF 제어부에 의해서 복수의 통신 시스템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 단말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RF 제어부를 2개의 통신 시스템에 대해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무선 통신 단말(hybri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은 2개의 시스템과 단말이 통신할 수 있는 영역 내(즉, 수신 영역 내)에 있는 경우, 필요에 따라 RF 제어부를 사용해야 할 통신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동작하고 있다. 이것을 하이브리드 동작(hybrid operation)이라고 부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이 2개의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착신을 대기하는 대기 상태(waiting status)에 있는 경우는, 단말이 2개의 통신 시스템과 동시에 통신되지 않도록 간헐 수신이 행해진다. 하이브리드 무선 통신 단말은 단말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현재 사용 중인 통신 시스템이 슬립 모드(sleep mode)로 되었을 때에 RF 제어부의 전환을 실행한다. 또한,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 11-346170 호는,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2개의 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기술에서는, 한쪽의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 상태에서의 기지국간의 전환(아이들 핸드오프)이 발생하는 경우, RF 제어부는 RF 제어가 이 핸드오프를 실행하고 있는 중에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 전환할 수 없다.
아이들 핸드오프는, 현재 감시 중인 기지국이 송신하는 파일럿 신호의 통신 품질보다도 좋은 통신 품질의 하이브리드 무선 통신 단말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기지국이 있는 경우에 발생한다. 서비스 영역의 경계 부근 등에서 하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아이들 핸드오프가 빈번히 발생하는 경우를 생각하자. 이 때, 다른쪽 통신 시스템이 수신 영역 외에 있는 경우에 다른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도 발호할 수 없기 때문에 시나리오 상에서는 아무런 문제는 없다. 그러나, 양쪽의 통신 시스템이 수신 영역 내에 있는 경우, 한쪽의 통신 시스템이 아이들 핸드오프를 일으키고 있는 동안에는, RF 제어부가 아이들 핸드오프를 일으키고 있지 않는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 전환할 수 없기 때문에, 그 통신 시스템으로 발호할 수 없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도 5 참조).
이 경우에는, 발호를 바라지 않는 통신 시스템이 RF 제어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발호를 바라는 통신 시스템이 장시간 RF 제어부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이브리드 단말에 의해 지지되는 2개의 통신 시스템이 수신 영역 내이고 아이들 핸드오프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우에,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단말 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무선 통신 단말은, 복수의 통신 시스템 중 하나와 제각기 통신하는 복수의 통신부와, 상기 각각의 통신부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품질을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을 각각의 통신부에 대해 설정하는 임계값 설정부와, 상기 임계값에 근거하여 상기 각각의 통신부가 통신을 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 의해, 적어도 2개의 통신부에서 통신 가능하다고 판단되고, 또한, 상기 통신부의 하나에서 핸드오프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임계값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다른 임계값으로 변경하는 변경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르면, 전술한 무선 통신 단말은, 상기 각각의 통신부에서의 핸드오프의 발생 빈도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부는, 상기 산출부에 의해서 산출된 발생 빈도가 사전 결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임계값 설정부에 의해서 설정된 다른 임계값으로 변경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르면, 전술한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에 의해서 산출되는 발생 빈도는 대기 상태에서의 핸드오프 발생 횟수에 근거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르면, 전술한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에 의해서 산출되는 발생 빈도는 단위 시간당 핸드오프의 발생 시간에 근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말(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 단말(1)의 아이들 핸드오프의 발생을 판정하는데 이용하는 초기값을 설정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 단말(1)의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했을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하이브리드 단말에서 2개의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대기 상태의 타이밍차트,
도 5는 하이브리드 단말에서 2개의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발생 시의 타이밍차트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이들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조합하여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무선 통신 단말(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참조부호 10은 메인 제어부(임계값 설정부, 판단부, 변경부, 및 산출부)로서, 하이브리드 무선 통신 단말(1)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참조부호 11은 RF 제어부(통신부)로서, 안테나(12)를 거쳐서 실행하는 음성 통신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한다. 참조부호 13은 통신 시스템 A의 설정을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 참조부호 14는 통신 시스템 B의 설정을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이며, 다른 프로토콜이나 사용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참조부호 15는 키 입력을 하는 조작부, 참조부호 16은 표시부, 참조부호 17은 음성 처리부이다. 참조부호 18은 데이터 일시 기억용의 RAM(random access memory), 참조부호 19는 메인 제어부(10)의 동작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read only memory)이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단말에 사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A와 B의 예시적인 조합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 11-346170 호에 기재된 TACS와 CDMA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조합, 예컨대 CDMA2000 1×와 CDMA2000 1×EV-DO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의 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3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도 가능하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을 갖는 하이브리드 단말(1)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아이들 핸드오프의 발생을 판정하는데 이용하는 초기값을 설정하는 동작에 대해서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조작부(15)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당 아이들 핸드오프의 발생 횟수의 임계값 N을 설정한다(단계 S1). 메인 제어부(10)는 설정된 임계값 N을 RAM(18)에 저장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15)를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 A 및 B의 판정값(criterion values)의 초기값으로서 각각 a1, b1을 입력한다(단계 S2). 메인 제어부(10)는 입력된 판정값 a1, b1을 각각 기억부(13, 14)에 저장시킨다. 또, 이 들 값은 사용자가 이들을 입력이나 설정하지 않더라도 디폴트(default)로 설정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여기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판정값이란, 현재 감시 중인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 전환(핸드오프)하기 위한 임계값이며, CIR(Carrier to Interference ratio: 반송파 대 간섭비)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수신 신호 강도) 등과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하이브리드 단말(1)로 송신되는 파일럿 신호의 통신 품질을 판정하기 위한 임계값이다.
어떤 통신 시스템에서의 판정값을 작은 값으로 설정하면, 현재 감시중인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영역이 좁아지게 되어, 아이들 핸드오프의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반대로, 통신 시스템에서의 판정값을 높은 값으로 설정하면, 현재 감시중인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통신 품질이 그다지 양호하지 않는 영역에서도 그 기지국을 거쳐 통신을 행할 수 있어, 아이들 핸드오프의 발생 빈도가 줄어든다.
다음에, 아이들 핸드오프의 발생 시의 하이브리드 단말(1)의 동작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이브리드 단말(1)은 통신 시스템 A와 B 중 어느 하나에서 기지국과의 통신을 행하고 있다. 통신 중인 시스템에서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하면(단계 S11에서 "예"), 메인 제어부(10)는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하는 직전의 단위 시간당 아이들 핸드오프의 발생 횟수 "n"을 계측한다(단계 S13). 계측한 발생 횟수 "n"이 도 2에 나타낸 단계 S1에서 설정된 임계값 N보다 큰 경우(단계 S15에서 "예"), 메인 제어부(10)는 아이들 핸드오프가 빈발하고 있다고 인식한다.
이 때, 2개의 통신 시스템이 양쪽 모두 수신 영역 내인 경우(단계 S17에서 "예"), 메인 제어부(10)는 통신 시스템 A의 판정값을 a2(a2>a1), 통신 시스템 B의 판정값을 b2(b2>b1)로 상승시켜, 기억부(13, 14)에 저장하고 있는 판정값 각각을 갱신한다(단계 S19). 이와 달리, 아이들 핸드오프가 빈발하고 있는 통신 시스템의 판정값만을 상승시켜도 된다.
계측한 아이들 핸드오프의 발생 횟수 "n"이 임계값 N보다 작은 경우(단계 S15에서 "아니오"), 또는 2개의 통신 시스템 중 어느 한쪽이 수신 영역 밖인 경우(단계 S17에서 "아니오"), 메인 제어부(10)는 통신 시스템 A, B의 판정값을 각각의 초기값으로 설정하여, 기억부(13, 14)에 저장하고 있는 판정값 각각을 갱신한다(단계 S2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단말에서는, 통신 중인 한쪽의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핸드오프가 빈발하면, 판정값을 높은 값으로 설정하여 아이들 핸드오프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아이들 핸드오프의 빈발한 발생으로 인해 한쪽의 통신 시스템에서만 RF 제어부가 사용되고, 수신 영역 내인 다른쪽 통신 시스템에서 발호할 수 없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한쪽의 통신 시스템이 수신 영역 이내인 경우는, 임계값을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착신율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설계의 변경도 가능하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아이들 핸드오프가 빈발하고 있음을 판단하는 조건을 아이들 핸드오프의 발생 횟수로 하는 구성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아이들 핸드오프의 발생 시간에 근거하여, 아이들 핸드오프가 빈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단위 시간당 아이들 핸드오프의 발생 횟수와, 그 발생 횟수에 대응한 판정값을 테이블화하여, 하이브리드 단말의 RAM에 기억시켜, 이 테이블을 참조하여 아이들 핸드오프의 발생 횟수의 계측 후에 판정값을 결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무선 통신 단말이 휴대 전화기, 또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고 있는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또는 무선 통신 모듈 등에 적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2개 이상의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한쪽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의 발생 빈도가 소정값보다 큰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품질을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을 변경하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동작 중, 그 통신 시스템에서 아이들 핸드오프의 빈번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그 통신 시스템에 의해서 RF 제어부가 점유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복수의 통신 시스템과 각각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통신부를 갖는 무선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각 통신부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품질 판단의 임계값을, 상기 각 통신부마다 설정하는 임계값 설정부와,
    상기 각 통신부가 통신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통신부 중 하나에서 핸드오프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통신부 이외의 다른 통신부에서 통신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임계값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임계값을 다른 임계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통신부 중 하나에서 핸드오프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통신부 이외의 다른 통신부에서 통신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임계값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임계값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통신부에서의 핸드오프의 발생 빈도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발생 빈도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값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다른 임계값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핸드오프의 발생 빈도는 대기 상태(waiting status)에서의 핸드오프 발생 횟수에 근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핸드오프의 발생 빈도는, 대기 상태에서의, 단위 시간당 핸드오프의 발생 시간에 근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
  5. 복수의 통신 시스템과 각각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통신부를 갖는 무선 통신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부 중 하나에서 핸드오프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통신부 이외의 다른 통신부에서 통신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다른 통신부에서 통신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핸드오프의 판정값을 핸드오프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변경하며,
    상기 다른 통신부에서 통신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핸드오프의 판정값을 변경하지 않고 상기 판정값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통신부에서의 핸드오프의 발생 빈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발생 빈도가 소정값을 초과한 경우, 핸드오프의 판정값을 핸드오프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되는 핸드오프의 발생 빈도는, 대기 상태에서의 핸드오프의 발생 횟수에 근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되는 핸드오프의 발생 빈도는, 대기 상태에서의, 단위 시간당 핸드오프 발생 시간에 근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단말의 제어 방법.
KR1020067002105A 2003-07-31 2004-07-27 무선 통신 단말 KR100769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04796A JP4364572B2 (ja) 2003-07-31 2003-07-31 無線通信端末
JPJP-P-2003-00204796 2003-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969A KR20060026969A (ko) 2006-03-24
KR100769780B1 true KR100769780B1 (ko) 2007-10-24

Family

ID=3411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2105A KR100769780B1 (ko) 2003-07-31 2004-07-27 무선 통신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32232A1 (ko)
JP (1) JP4364572B2 (ko)
KR (1) KR100769780B1 (ko)
CN (1) CN100539721C (ko)
WO (1) WO20050136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223B1 (ko) 2008-03-28 2012-05-2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단말 장치와 통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1562B2 (en) * 2005-08-30 2014-05-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Detection of control messages for HSDPA
US8094631B2 (en) * 2005-12-09 2012-01-10 Marvell World Trade Ltd. Coexistenc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devices
KR100671103B1 (ko) 2006-03-15 2007-01-17 (주) 엘지텔레콤 1x EV―DO 망에서 1x 망으로의 최적 핸드다운처리방법
JP2010521119A (ja) * 2007-03-09 2010-06-17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再選択タイマおよびセルランキング基準を調整し、サービングセルの劣化信号測定を報告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機器
JP4843008B2 (ja) * 2007-11-21 2011-12-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及び移動通信方法
JP5059592B2 (ja) * 2007-12-27 2012-10-24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9288748B2 (en) 2011-04-05 2016-03-15 Qualcomm Incorporated Measurement in simultaneous TDD-LTE and TD-SCDMA/GSM systems
US9949181B2 (en) * 2013-02-14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terminal adaptation of handover parameter
CN105530671B (zh) * 2015-12-14 2019-03-01 福建星网锐捷网络有限公司 抑制乒乓切换的方法和移动性管理实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8242A (ja) 1999-09-02 2001-03-23 Fujitsu Ltd 無線通信制御装置及びハンドオフ制御方法
JP2002190769A (ja) 2000-12-21 2002-07-05 Sharp Corp 移動体通信機及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3924B2 (ja) * 1995-03-28 1997-12-24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ハンドオフ方法
JP2933615B1 (ja) * 1998-07-15 1999-08-16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ジタルコードレスにおける通話チャネル切替判定装置
JP2002534822A (ja) * 1998-11-02 2002-10-15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ハイブリッドgsm/cdmaネットワークでのアイドルモード取扱い
JP2000197093A (ja) * 1998-12-25 2000-07-14 Casio Comput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2199080A (ja) * 2000-12-22 2002-07-12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装置
JP4606691B2 (ja) * 2002-09-10 2011-01-05 三星電子株式会社 無線電話機及び無線通信方法
US7450977B2 (en) * 2003-07-31 2008-11-11 Vodafone K.K.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8242A (ja) 1999-09-02 2001-03-23 Fujitsu Ltd 無線通信制御装置及びハンドオフ制御方法
JP2002190769A (ja) 2000-12-21 2002-07-05 Sharp Corp 移動体通信機及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223B1 (ko) 2008-03-28 2012-05-21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단말 장치와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39721C (zh) 2009-09-09
CN1830220A (zh) 2006-09-06
WO2005013631A1 (ja) 2005-02-10
JP2005051416A (ja) 2005-02-24
KR20060026969A (ko) 2006-03-24
JP4364572B2 (ja) 2009-11-18
US20080132232A1 (en)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5252B2 (en)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9990011146A (ko)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AU2002348739A1 (en) System and handover mechanism in frequency multiple band environment and equipment therefor
US85326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dios occupying a common frequency region
JPWO2007099700A1 (ja) 通信回線切替方法及びその装置
US7386312B2 (en)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location registration
KR100769780B1 (ko) 무선 통신 단말
CN113543193A (zh) 一种放松测量方法和通信装置
KR100789173B1 (ko) 이동통신 단말 및 통신 제어 방법
US8374606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ndoff determination method
JP4098942B2 (ja) 複数方式携帯電話機
EP1463361A2 (e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a preferred communication system amo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ystems with different radio frequency bands
EP1895719B1 (en)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sharing a frequency band
US74666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multiple communication areas
JP5354640B2 (ja) 構内phs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その負荷分散方法、phs端末、その動作方法及び動作プログラム
JP2000092543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3806643B2 (ja) 移動体通信端末及びその動作方法
KR1006574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JP3769530B2 (ja) 複合型携帯移動機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通信方式切替え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JP4962479B2 (ja) 送信電力制御機能を備えた無線通信機
JP4651438B2 (ja) 通信端末装置
JP3793029B2 (ja) 移動局
JP2002368671A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2003070065A (ja) 複合携帯電話機
JP2001285930A (ja) 無線通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