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324U -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324U
KR19990009324U KR2019970022524U KR19970022524U KR19990009324U KR 19990009324 U KR19990009324 U KR 19990009324U KR 2019970022524 U KR2019970022524 U KR 2019970022524U KR 19970022524 U KR19970022524 U KR 19970022524U KR 19990009324 U KR19990009324 U KR 199900093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her
cushion
airbag cushion
airbag
fro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구
Original Assignee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2019970022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9324U/ko
Publication of KR199900093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324U/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백 쿠션의 쿠션 프론트부(1) 내부로는 테더(2)가 결합되는 내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접히는 테더 결합부(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쿠션 프론트부(1)가 접혀서 형성된 테더 결합부(3)에 테더(2)가 재봉되어 결합된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를 제공하여, 에어백 쿠션의 쿠션 프론트부(1)가 내부로 겹쳐지는 주름 형태의 테더 결합부(3)를 형성하여 테더(2)가 재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더(2)의 재봉부위가 더욱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테더(2) 및 쿠션 프론트부(1)의 찢어짐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에어백 시스템의 에어백 쿠션의 테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개시 급격한 팽창에 의한 에어백 쿠션의 손상 및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탑승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쿠션 프론트부와 인플레이터로부터 질소가스가 주입되는 쿠션 리어부 간을 연결하는 테더(tether)를 구비한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사고시 운전자를 비롯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운전자 또는 그 외의 탑승자를 시트에 고정시켜 탑승자의 신체 각부에 작용하는 감속도를 경감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벨트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벨트는 2차 충돌 방지 또는 그 충격의 완화를 꾀하면서 탑승자가 자동차 밖으로 튀어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최근 자동차에는 상기한 시트벨트와는 별도로, 충돌시에 운전자와 조향핸들 사이 또는 보조석의 탑승자와 인스트러먼트 패널 사이에 순간적으로 에어백(공기 주머니)을 부풀게 하여 충격으로 인한 부상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백 시스템(air bag system)의 장착이 점차적으로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여기서 에어백 시스템의 전형적인 한 예를 도 1에 도시하였는 바, 그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보조석의 탑승자측으로 향하는 전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패트 커버(125), 뇌관(122)의 폭발에 의해 질소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inflater; 121), 그 발생된 질소가스에 의해 전개부로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124; air bag cushion)으로 이루어져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에어백 모듈(120)과, 주행속도가 급속히 저하되어 중력가속도가 설정치에 도달될 경우 충격 신호를 발생하는 충격센서(130)와, 충격 신호에 따라 인플레이터(121)의 뇌관(122)을 폭발시키는 전자제어모듈(Electronic Control module; 110)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에어백 모듈(120)의 인플레이터(121)는 뇌관(122)이 점화됨에 따라 질소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제(123)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에어백 시스템의 작동을 살펴보면, 차량이 정면 충돌에 의해 주행속도가 급격히 저하되게 되면 상기 충격센서(130)가 작용하여 차량의 충돌사실을 감지하고 그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발생된 충격 신호를 인식한 전자제어모듈(110)은 뇌관(122)을 점화시켜 상기 인플레이터에 내장된 가스발생제(121)를 연소시키고, 이에 따라 연소되는 가스발생제(123)는 급속히 질소가스를 발생시키면서 에어백 쿠션(124)을 팽창시켜 패드 커버(125)의 전개부를 탑승자측으로 전개시킨다.
이와 같이 전개된 에어백 쿠션(124)은 탑승자와 접촉하면서 충돌에 의한 충격하중을 부분적으로 흡수하고, 관성에 의해 탑승자의 머리와 가슴이 팽창된 에어백 쿠션(124)과 충돌될 때, 에어백 쿠션(124)의 질소가스는 에어백 쿠션(124)에 형성된 배출공으로 급속히 배출되며 탑승자의 전면부에 완충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줌으로써 차량의 다른 부품에 탑승자의 몸체가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2차 상해를 경감할 수 있었다.
한편, 에어백 쿠션(124)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개시 급격한 팽창에 의한 에어백 쿠션(124)의 손상 및 탑승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탑승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쿠션 프론트부(124a)와 인플레이터로부터 질소가스가 주입되는 쿠션 리어부(124b) 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테더(126)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테더(126)는 에어백 쿠션(124) 전개시 쿠션 프론트부와 쿠션 리어부(124b)를 일정 형상 및 일정 폭으로 지탱하여 줌으로써, 질소가스를 통한 급격한 팽창력에 의해 에어백 쿠션(124)이 찢겨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강한 팽창력이 탑승자의 신체를 타격함에 따른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테더(126)를 구비한 에어백 쿠션(124)은 상기 테더(126)를 설치하는 구조가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 프론트부(124a)의 내측면에 테더(126)의 끝단부를 접어댄 상태에서 재봉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있는 상태로서, 그 결합상태가 견고하지 못한 실정이다.
왜냐하면, 에어백의 작동시 내부에서 급속히 팽창되는 질소가스에 의해 상기 쿠션 프론트부(124a)가 급격히 팽창 이동되는 것을 상기 테더(126)가 완충하게 되므로 테더(126)에 작용되는 인장력에 의해 상기 쿠션 프론트부(124a)의 재봉된 부위(150)에 심한 응력집중이 발생되며, 이와 같이 발생되는 응력집중은 순간적으로 발생되므로 상기 재봉된 부위(150)가 인접한 다른 부위에 비해 매우 큰 충격을 제공받게 되어 있어서 상기 재봉된 부위(150)의 파손 가능성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재봉된 각 바늘구멍이 쿠션 프론트부(124a)의 팽창력에 의한 인장력과 테더(126)가 제공하는 인장력을 동시에 직접 받게 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은 바늘구멍으로부터의 파손 가능성은 더욱 큰 상태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 작동시 테더와 쿠션 프론트부 사이에 발생되는 응력집중에도 강한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종래 테더를 구비한 에어백 쿠션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종래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를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를 도시한 요부 발췌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쿠션 프론트 2: 테더
3: 테더 결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는 쿠션 프론트부에 테더가 결합되는 내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접히는 테더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쿠션 프론트부가 접혀서 형성된 테더 결합부에 테더가 재봉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쿠션을 도시한 부분 상세도로서, 에어백 쿠션의 쿠션 프론트부(1) 내부로는 테더(2)가 결합되는 내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접히는 테더 결합부(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쿠션 프론트부(1)가 접혀서 형성된 테더 결합부(3)에 테더(2)가 재봉되어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테더 결합부(3)를 에어백 쿠션의 내측으로 접어서 두겹 이상으로 형성되는 부분에 재봉이 이루어지게 되면, 재봉의 강도를 보다 강하게 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와 같은 테더 결합부(3)에 의한 테더(2)의 연결구조는 재봉된 바늘구멍이 직접 쿠션 프론트부(1)의 팽창력에 의한 응력이 테더(2)가 제공하는 인장력과 반비례 관계를 가지고 작용되므로 실질적으로 각 바늘구멍에 작용되는 인장력이 저감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보다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쿠션 프론트부(1)가 확장되면서 상기 테더 결합부(3)로 제공되는 인장력보다 상기 테더(2)가 테더 결합부(3)를 당기는 인장력이 강해지면 상기 테더 결합부(3)의 바늘구멍들에는 쿠션 프론트부(1)의 확장에 의한 인장력은 제공되지 않고 단지 테더(2)에 의한 인장력만이 제공되므로 파손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에어백 쿠션의 쿠션 프론트부가 내부로 겹쳐지는 주름 형태의 테더 결합부를 형성하여 테더가 재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테더의 재봉부위가 더욱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테더 및 쿠션 프론트부의 찢어짐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쿠션 프론트부에 테더가 결합되는 내측면으로 돌출되도록 접히는 테더 결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쿠션 프론트부가 접혀서 형성된 테더 결합부에 테더가 재봉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
KR2019970022524U 1997-08-20 1997-08-20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 KR199900093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524U KR19990009324U (ko) 1997-08-20 1997-08-20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524U KR19990009324U (ko) 1997-08-20 1997-08-20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324U true KR19990009324U (ko) 1999-03-15

Family

ID=6968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524U KR19990009324U (ko) 1997-08-20 1997-08-20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932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593B2 (en) Airbag module having a tether holder
US6991257B2 (en) Side airbag for a vehicle
US7950694B2 (en) Tether for airbag module
KR100504284B1 (ko)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US20100171295A1 (en) Driver's air bag
KR20070042262A (ko) 운전석 에어백 쿠션 구조
KR100527779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분리장치
KR19990009324U (ko) 에어백 쿠션의 테더 결합구조
KR20030026468A (ko) 자동차용 테더 및 벤트홀 연결형 에어백 쿠션
KR100751297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쿠션
KR100788189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및 그 폴딩방법
KR100622119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512854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KR100559894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충격 흡수장치
KR20040023323A (ko) 복수의 테더를 구비한 에어백 쿠션
KR100512867B1 (ko)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KR19990004438U (ko) 에어백 쿠션의 테더 재봉구조
KR20030063738A (ko) 자동차용 천장 에어백
KR19990004427U (ko) 에어백 쿠션의 테더 재봉구조
KR100989491B1 (ko) 조수석 에어백과 그 전개방법
KR19990004439U (ko) 에어백 쿠션의 테더 재봉구조
KR100512868B1 (ko) 차량 조수석용 에어백 쿠션 구조
KR19990037719U (ko) 에어백 쿠션의 테더
KR100291064B1 (ko) 하이브리드형에어백장치의인플레이터구조
KR101326941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