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299U - 압축기의 윤활 구조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윤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299U
KR19990009299U KR2019970022499U KR19970022499U KR19990009299U KR 19990009299 U KR19990009299 U KR 19990009299U KR 2019970022499 U KR2019970022499 U KR 2019970022499U KR 19970022499 U KR19970022499 U KR 19970022499U KR 19990009299 U KR19990009299 U KR 199900092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ressor
strainer
crankshaft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4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교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24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9299U/ko
Publication of KR19990009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299U/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기의 윤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에 혼합되어 있는 금속 마모분 또는 이물질에 의해 베어링 및 크랭크 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오일의 윤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기의 윤활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하우징(50) 저면에 저장되는 오일을 흡입하여 크랭크 축(54)과 베어링(61) 사이에 공급하도록 크랭크 축(54) 저면에 설치된 원통형 오일 픽업(64)을 포함하는 압축기의 윤활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오일픽업(64)의 오일 흡입 부분에 오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설치된 스트레이너(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축기의 윤활 구조
본 고안은 압축기의 윤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유체를 가압하여 유체의 압력, 온도 등을 소정 목적에 적합하도록 변경시키는 장치인 바, 이는 동작 형태에 따라 로터리형, 피스톤형, 스크롤형등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피스톤형 압축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0)과, 상기한 하우징(50) 내부에 고정 설치된 스테이터(51)와, 상기한 스테이터(51)에 삽입되고 회전되는 로우터(52)와, 상기한 로우터(52)에 압입됨과 아울러 일단에 편심축(53)이 형성된 크랭크 축(54)과, 상기한 편심축(53)이 일단에 삽입됨과 아울러 실린더 블록(55)의 보어(56)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는 피스톤(57)이 타단에 삽입되는 컨넥팅 로드(58)와, 상기한 실린더 블록(55)과 밸브 어셈블리(59)를 개재한 상태로 결합된 실린더 헤드(60)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크랭크 축(54)의 회전을 지지 및 윤활하기 위해 스테이터(51)에 고정됨과 아울러 크랭크 축(54)이 삽입된 베어링(61)과, 상기한 베어링(61)과 로우터(52)의 사이에 개재되어 윤활 작용을 하는 와셔(62)와, 상기한 베어링(61) 및 컨넥팅 로드(58)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해 크랭크 축(54)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오일홈(63)과, 상기한 크랭크 축(54)으로 하우징(50)의 저면에 충진된 오일을 흡입하기 위해 오일 픽업(6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압축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한 스테이터(51)와 로우터(52)의 자계에 의해 로우터(52)가 회전되면 여기서 고정된 크랭크 축(54)이 회전하게 된다.
크랭크 축(54)이 회전하게 되면 컨넥팅 로드(58) 및 피스톤(57)이 왕복 운동하게 되는 바, 상기한 피스톤(57)의 왕복 운동에 의해 실린더 헤드(60)로 유체가 흡입 및 압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크랭크 축(54)의 회전 시 오일 픽업(64)으로부터 오일이 흡입되고 나선형 오일홈(63)으로 공급되는 바,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오일 픽업(64)을 통해 흡입된 오일은 편심축(53) 내부에 형성된 이동공(65)을 통해 상승하게 되고, 상기한 오일은 다시 크랭크 축(54)의 표면에 형성된 나선형 오일홈(63)을 통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나선형 오일홈(63)을 통해 오일이 상승하게 되면 베어링(61)과 크랭크 축(54)의 사이에 오일이 충진됨과 아울러 와셔(62)에 공급되면서 윤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와셔(62)에 공급된 오일은 베어링(61)의 상단으로 배출되면서 다시 하우징(50) 저면에 저장되어 상기한 동작을 연속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인 오일 픽업을 크랭크 축에 설치하여 하우징 저면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을 흡입하게 되면 상기한 오일이 베어링과 크랭크 축 사이를 윤활시킬 때 발생되는 금속 마모분 또는 이물질이 오일에 혼합되어 있는 상태로 재 공급됨으로써 윤활 효과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베어링 및 크랭크 축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일에 혼합되어 있는 금속 마모분 또는 이물질에 의해 베어링 및 크랭크 축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오일의 윤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압축기의 윤활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우징 저면에 저장되는 오일을 흡입하여 크랭크 축과 베어링 사이에 공급하도록 크랭크 축 저면에 설치된 원통형 오일 픽업을 포함하는 압축기의 윤활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오일 픽업의 오일 흡입 부분에 오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설치된 스트레이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의 윤활 구조에서 오일 픽업 설치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오일 픽업과 스트레이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피스톤형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오일 픽업을 통한 오일의 흡입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트레이너2 : 걸름망
3 : 본체4 : 걸림 돌기
5 : 걸림홈64 : 오일 픽업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의 윤활 구조에서 오일 픽업과 스트레이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와 오일 픽업과 스트레이너의 분해 사시도로서, 오일 픽업(64)의 선단 즉, 오일이 흡입되는 부분에 오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스트레이너(1)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스트레이너(1)는 오일의 흡입 저항을 최소화한 상태로 오일의 이물질을 걸를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한 스트레이너(1)는 중앙부에 일정 메쉬의 걸름망(2)이 설치된 본체(3)와, 상기한 본체(3)를 오일 픽업(64)에 고정시키도록 오일 픽업(64)와 본체(3) 사이에 설치된 고정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 수단은 스트레이너 본체(3)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4)와, 상기한 걸림 돌기(4)가 압입된 상태로 끼워지도록 오일 픽업(64)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홈(5)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스트레이너 본체(3)를 오일 픽업(64)에 끼우게 되면 상기한 걸림 돌기(4)와 걸림홈(5)이 끼워 맞춤되면서 스트레이너(1)를 오일 픽업(64)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압축기의 조립 시 오일 픽업(64)의 선단에 걸름망(2)이 설치된 스트레이너 본체(3)를 끼우게 된다.
스트레이너 본체(3)가 오일 픽업(64) 선단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한 걸림 돌기(4)와 걸림홈(5)이 맞물려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한 본체(3)의 걸림 돌기(4)는 오일 픽업(64)의 선단으로 삽입되면서 확장되고, 다시 걸림홈(5)에 위치되면 수축되면서 본체(3) 자체의 탄성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압축기가 동작되면 피스톤(57)이 왕복운동하면서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상기한 크랭크 축(54)의 회전에 의해 오일 픽업(64)으로부터 오일이 흡입된다.
흡입된 오일은 크랭크 축(54)에 형성된 나선형 오일홈(63)을 타고 상승하게 되는 바, 상기한 오일 흡입 시 오일 픽업(64) 선단에 설치된 스트레이너(1)에 의해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이 제거된다.
즉, 상기한 스트레이너(1)의 걸름망(2)이 일정 메쉬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일에 함유된 금속 마모분 또는 이물질이 상기한 걸름망(2)에 걸리게 되고, 이물질이 함유되지 않은 깨끗한 오일만 오일 픽업(64)으로 흡입되는 것이다.
깨끗한 오일만 오일 픽업(64)으로 흡입되면 상기한 오일이 베어링(61)과 크랭크 축(54) 사이의 윤활 동작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한 와셔(62)에 공급되면서 로우터(52)와 베어링(61) 사이를 윤활하게 되고, 다시 베어링(61) 상면을 통해 흘러 내리면서 하우징(50)으로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오일에 함유된 금속 마모분 등을 제거하게 되면 베어링(61)과 크랭크 축(54) 사이 및 베어링(61)과 로우터(52) 사이의 마모율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오일 픽업의 선단에 금속 마모분 또는 이물질을 제거할수 있는 스트레이너를 설치함으로써 로우터와 베어링 그리고 크랭크 축 사이의 마모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이로 인해 압축기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하우징 저면에 저장되는 오일을 흡입하여 크랭크 축과 베어링 사이에 공급하도록 크랭크 축 저면에 설치된 원통형 오일 픽업을 포함하는 압축기의 윤활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오일 픽업의 오일 흡입 부분에 오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도록 설치된 스트레이너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윤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트레이너는 중앙부에 일정 메쉬의 걸름망이 설치된 본체와, 상기한 본체를 오일 픽업에 고정시키도록 오일 픽업과 본체 사이에 설치된 고정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윤활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수단은 스트레이너 본체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와, 상기한 걸림 돌기가 압입된 상태로 끼워지도록 오일 픽업과 선단에 형성된 걸림홈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윤활 구조.
KR2019970022499U 1997-08-20 1997-08-20 압축기의 윤활 구조 KR1999000929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499U KR19990009299U (ko) 1997-08-20 1997-08-20 압축기의 윤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499U KR19990009299U (ko) 1997-08-20 1997-08-20 압축기의 윤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299U true KR19990009299U (ko) 1999-03-15

Family

ID=6967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499U KR19990009299U (ko) 1997-08-20 1997-08-20 압축기의 윤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929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073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이물질차단구조
KR101014589B1 (ko) * 2007-11-29 2011-02-16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압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073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이물질차단구조
KR101014589B1 (ko) * 2007-11-29 2011-02-16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63017A1 (en) Lubricant pump with magnetic and centrifugal traps
KR19990009299U (ko) 압축기의 윤활 구조
KR100350802B1 (ko) 밀폐형 압축기
JP2009197684A (ja) 密閉型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246404B1 (ko) 밀폐형 전동식 압축기의 피스톤 오일공급구조
KR100226408B1 (ko) 압축기의 오일픽업장치
KR200152161Y1 (ko) 압축기의 윤활 구조
KR100816832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JPH02163489A (ja) ロータリー型圧縮機
KR100226415B1 (ko) 압축기의 윤활 구조
KR100350804B1 (ko) 밀폐형 왕복동식 압축기의 윤활장치
JPH0326320Y2 (ko)
KR101454244B1 (ko) 왕복동식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냉동기기
KR20080069171A (ko) 압축기
KR19990074572A (ko) 압축기의 오일 공급 구조
KR20010055150A (ko)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와 피스톤핀 간의 마모방지 장치
KR200387436Y1 (ko) 왕복동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 구조
KR19990026295A (ko) 압축기의 냉각 구조
KR950009652Y1 (ko) 압축기의 오일 공급 장치
KR100197714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마찰감소장치
JP2013100797A (ja) 密閉型圧縮機
KR200387437Y1 (ko) 왕복동 압축기의 여과 구조
KR200194916Y1 (ko) 밀폐형 전동식 압축기의 오일공급구조
KR940000194Y1 (ko) 횡형 회전식 압축기의 급유장치
JP2593536B2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