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187A - 하우징에의 전방 프레임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하우징에의 전방 프레임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187A
KR19990008187A KR1019970707712A KR19970707712A KR19990008187A KR 19990008187 A KR19990008187 A KR 19990008187A KR 1019970707712 A KR1019970707712 A KR 1019970707712A KR 19970707712 A KR19970707712 A KR 19970707712A KR 19990008187 A KR19990008187 A KR 19990008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rame
housing
receiving groove
wall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5502B1 (ko
Inventor
우도뮌히
마르쿠스노이호프
파울로오트
Original Assignee
노버트뮐러
리탈-베르크루돌프로흐게엠베하앤드캄퍼니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버트뮐러, 리탈-베르크루돌프로흐게엠베하앤드캄퍼니카게 filed Critical 노버트뮐러
Publication of KR19990008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00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65Miter joi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4Corner connections for frame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6Rod end to transverse side of member
    • Y10T403/4602Corner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요소들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개방된 정면부에 전방 프레임을 부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방 프레임의 벽요소(10)와 프레임 다리부(20)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그 요소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상보적인 연결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특수한 형태로 된 모서리편(40)에 의해 모서리 공간들이 채워져, 폐쇄된 전방 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우징에의 전방 프레임 부착장치
이런 타입의 공지의 하우징에서는, 전방 프레임들이 벽요소들의 전방 단부들에 나사로 결합된다. 그 결과, 부품의 비용이 많게 되고 조립작업에 있어서의 수고가 상당하게 되며, 또한, 연결지점들이 전방 프레임의 보이는 측부에서 눈에 띄어 외관상 좋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벽요소들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개방된 정면부에 전방 프레임을 부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방 프레임의 프레임 다리부가 정면의 벽요소에 끼워지는 방식을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2는 끼워진 프레임 다리부가 피봇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3은 고정부재에 의해 벽요소에 체결된 프레임 다리부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4는 프레임 다리부들이 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하우징의 모서리 부위와, 모서리에 부착될 모서리편이 조립될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지점들이 전방 프레임의 보이는 측부에서 눈에 띄지 않으면서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전방 프레임으로 하우징의 개방된 정면부를 폐쇄할 수 있게 하는, 서두에서 언급된 타입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은, 정면부 부위의 벽요소들이,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2개의 벽부분을 가지고 있고, 하나의 벽부분에는, 45°각도로 경사진 수용홈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다른 벽부분은 상기 수용홈부분으로부터 먼쪽으로 향하여 있는 개방된 L자형 스트립을 가지고 있고, 전방 프레임의 프레임 다리부가 둥근 지지 스트립에 의해 벽요소의 L자형 스트립에서 지지되고, 상보적인 형태의 수용홈부분에서 피봇되어 벽요소의 수용홈부분과 정렬되고, 벽요소와 프레임 다리부의 2개의 수용홈부분들에 의해 형성된 폐쇄된 수용기내에 고정부재가 끼워져, 벽요소에 프레임 다리부를 고정시키고, 관통하는 나사 수용기를 가지고 있고 벽요소에 연결된 프레임 다리부에 모서리편이 나사로 체결되어 전방 프레임을 완성하도록 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전방 프레임의 프레임 다리부들이 그들의 지지 스트립에서 벽요소들의 L자형 스트립에 지지되고, 고정부재에 의해 하우징의 벽요소들에 고정된다. 인접한 프레임 다리부들에 나사로 결합되는 모서리편들로 하우징의 모서리들이 채워진다. 이 경우, 체결나사들이 정면부의 면에서 정렬되므로, 전방 프레임의 보이는 측부가 폐쇄된 면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홈부분, 지지 스트립 및 L자형 스트립의 배치는, 벽요소의 반원형 수용홈부분이 벽요소의 외측면 부위에 위치되는 벽부분에 형성되고 하우징의 후방쪽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L자형 스트립이 정면부에 평행한 벽요소의 벽부분에 형성되고 전방 패널의 개방부쪽으로 개방되어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정해질 수 있다.
그러나, 그 배치는, 반원형 수용홈부분과 L자형 스트립이 벽요소에서 그들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제공되어, L자형 스트립이 하우징의 후방쪽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수용홈부분이 정면부의 개방부쪽으로 개방되어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그 2가지 실시예는 조립된 상태를 얻기 위해 프레임 다리부를 피봇시키는 방향이 다르게 된다.
전방 프레임의 한 실시형태의 경우, 프레임 다리부는 2개의 평행한 벽을 가지는 중공체로 되어 있고, 지지 스트립 또는 수용홈을 가진 한쪽 벽이 정면부에 평행한 벽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으며, 다른쪽 벽은 벽요소의 외측면까지 수용홈부분 또는 L자형 스트립 뒤에서 연장한다.
프레임 다리부의 나사 수용기는 종방향 슬리트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트립들을 통해 프레임 다리부의 2개의 벽에 연결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벽요소에 대한 프레임 다리부의 피봇연결은, 프레임 다리부의 정면 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고 벽요소의 L자형 스트립을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된 연결 스트립에 의해 프레임 다리부의 상기 벽에 연결된 둥근 지지 스트립이 벽요소의 상기 L자형 스트립에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프레임 다리부의 수용홈부분은, 그 반원형의 수용홈부분이 프레임 다리부의 벽의 단부부위에 형성되고 그 벽에 대하여 45°각도로 연장하며 그의 개방된 쪽이 프레임 다리부의 다른 평행한 벽쪽으로 향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정성 때문에, 한쪽 벽의 수용홈부분이 스트립을 통해 다른쪽 벽에 연결되어 있다.
전방 프레임이 개방된 정면부에서 하우징을 덮도록, 일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 다리부가 벽요소의 외측면을 넘어 돌출하는 구조가 제공된다.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는 2개의 연결 측부에서 모서리편이, 전방 프레임의 한 모서리의 중공체인 프레임 다리부의 중공 공간내에 끼워지는 체결 어깨부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모서리편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개방측을 폐쇄하는 예를 들어 전방 패널 등이 전방 프레임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 실시형태에서는, 개방된 정면부에 평행하게 정렬된 벽요소의 벽부분이 전방 프레임 내측에서, 체결 수용기 또는 체결 홈을 가진 지지 스트립을 형성하는 구조가 제공된다.
도면에 나타내어진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벽요소(10)들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개방된 정면부에 전방 프레임의 프레임 다리부(20)를 부착하는 구조를 도 1∼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벽요소(10)는 외측 부위에 위치되는 벽부분(11)과, 정면부에 평행한 벽부분(12)을 가지고 있다. 반원형 수용홈부분(14)이 벽부분(11)에 형성되어 있고, 벽요소(10)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하여 있다. 이 수용홈부분(14)은 벽부분(11)에 대하여 대략 45°각도로 경사져 있고, 벽요소(10)의 후방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연속적인 L자형 스트립(13)이 벽부분(12)에 형성되어 있고, 정면부의 개방부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그렇게 형성된 수용홈부분(14)과 L자형 스트립(13)은 프레임 다리부(20)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프레임 다리부(20)는 중공체로 되어 있고, 벽요소(10)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한다.
그 프레임 다리부(20)는, 단부벽부분(28)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평행한 벽(23, 24)을 가지고 있다. 한쪽 벽(23)이 전방 프레임의 보이는 측부를 구성하고, 둥근 단면 형상의 연속적인 지지 스트립(21)을 하단부에 가지고 있다. 이 지지 스트립(21)은 연결 스트립(22)을 통해 벽(23)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스트립(22)은 벽(23)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고, 그 연결 스트립(22)의 크기는, 지지 스트립(21)이 L자형 스트립(13)에 끼워진 때 그 연결 스트립이 L자형 스트립(13)을 가로질러 연장하고 벽(23)이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반대측에 위치된 벽(24)은 상기 벽(23보다 짧게 되어 있고, 그의 하단부에 수용홈부분(25)을 가지고 있다. 그 수용홈부분(25)은 벽요소(10)의 수용홈부분(14)에 상보적이고, 벽(24)에 대하여 45°각도로 연장한다. 그 수용홈부분(25)은 스트립(27)을 통해 벽(23)에 연결되어 있다. 벽(24)은, 프레임 다리부(20)가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그의 수용홈부분(25)이 벽요소(10)의 수용홈부분(14)과 정렬되어, 고정부재(30)를 위한 폐쇄된 수용기를 형성하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프레임 다리부(20)의 지지 스트립(21)은 벽요소(10)의 L자형 스트립(13)내에 비스듬한 상태로 끼워지고, 벽요소(10)에 대한 프레임 다리부(20)의 피봇연결이 얻어진다.
그리하여,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프레임 다리부(20)는, 벽(24)의 수용홈부분(25)이 벽요소(10)의 벽부분(11)의 수용홈부분(14)과 정렬될 때까지 벽요소(10)쪽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그리하여, 양 수용홈부분(14, 25)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단면형상의 수용기를 형성하고, 이 수용기내에 둥근 고정부재(30)가 끼워진다. 그후에는, 프레임 다리부(20)가 더 이상 벽요소(10)로부터 먼쪽으로 피봇될 수 없고, 벽요소(10)와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프레임 다리부(20)의 벽(24)이 벽요소(10)의 벽부분(11)까지 연장한다.
종방향 슬리트를 가진 관통하는 나사 수용기(26)가 중공의 프레임 다리부(20)의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스트립들에 의해 벽(23, 24)에 연결되어 있다.
수용홈부분(14)과 L자형 스트립(13)은 벽요소(10)에서 그들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벽요소(10)에 프레임 다리부(20)를 부착할 때, 프레임 다리부의 비스듬한 위치와 피봇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하우징 모서리가 도 4에 부분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2개의 벽요소(10)가, 벽요소와 일체로 형성된 스트립(5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2개의 벽요소(10)의 전방 가장자리들 각각이 프레임 다리부(20)를 가지고 있고, 모서리편(40)의 도움으로 전방 프레임이 완성된다. 이 모서리편(40)의 단면형상은 프레임 다리부(20)의 단면형상과 일치하여, 모서리편이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프레임 다리부(20)들의 단부들에 꼭맞게 부착될 수 있다.
모서리편(40)의 부착이 대각선으로 행해지고, 모서리편의 양 측부의 중심잡기 어깨부(41)들이 프레임 다리부(20)의 중공 공간내에 끼워진다. 그 과정에서, 모서리편(40)은, 나삿니가 형성된 슬리브(43)내에 끼워져 유지되는 체결 나사(42)가 프레임 다리부(20)의 나사 수용기(26)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위치결정된다. 모두 4개의 모서리가 그러한 모서리편으로 채워져, 보이는 측부에 눈에 띄는 체결지점이 없는 폐쇄된 전방 프레임이 형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정면부의 개방부로 향하는 벽요소(10)의 벽부분(12)이 전방 프레임을 지나 돌출하여,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방부 주위의 지지 스트립(12')을 형성한다. 그 지지 스트립(12')은 도어 또는 전방 패널을 위한 체결 장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벽요소들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개방된 정면부에 전방 프레임을 부착하는 장치로서,
    상기 정면부 부위의 벽요소들(10)이,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된 2개의 벽부분(11, 12)을 가지고 있고,
    하나의 벽부분(11)에는, 45°각도로 경사진 수용홈부분(14)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다른 벽부분(12)은 상기 수용홈부분(14)으로부터 먼쪽으로 향하여 있는 개방된 L자형 스트립(13)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전방 프레임의 프레임 다리부(20)가 둥근 지지 스트립(21)에 의해 상기 벽요소(10)의 상기 L자형 스트립(13)에서 지지되고, 상보적인 형태의 수용홈부분(25)에서 피봇되어 상기 벽요소(10)의 상기 수용홈부분(14)과 정렬되고,
    상기 벽요소(10)와 프레임 다리부(20)의 2개의 상기 수용홈부분들(14, 25)에 의해 형성된 폐쇄된 수용기내에 고정부재(30)가 끼워져, 상기 벽요소(10)에 상기 프레임 다리부(20)를 고정시키고,
    관통하는 나사 수용기(26)를 가지고 있고 상기 벽요소(10)에 연결된 상기 프레임 다리부(20)에 모서리편(40)이 나사로 체결되어, 상기 전방 프레임을 완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에의 전방 프레임 부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요소(10)의 상기 반원형 수용홈부분(14)이 상기 벽요소(10)의 외측 부위에 위치되는 벽부분(11)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쪽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L자형 스트립(13)이 상기 정면부에 평행한 벽요소(10)의 벽부분(12)에 형성되고 전방 패널의 개방부쪽으로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에의 전방 프레임 부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 스트립(13)이 상기 하우징의 후방쪽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수용홈부분(14)이 상기 정면부의 개방부쪽으로 개방되어 있도록, 상기 수용홈부분(14)과 상기 L자형 스트립(13)이 서로 바뀌어 상기 벽부분들(11, 12)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에의 전방 프레임 부착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다리부(20)가 2개의 평행한 벽(23, 24)을 가지는 중공체로 되어 있고, 상기 지지 스트립(21) 또는 수용홈을 가진 한쪽 벽(23)이 상기 정면부와 평행한 상기 벽부분(1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다른 벽(24)이 상기 벽요소(10)의 외측면까지 수용홈부분(14) 또는 L자형 스프립(13) 뒤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에의 전방 프레임 부착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수용기(26)가 종방향 슬리트를 가지고 있고, 스트립들을 통해 상기 프레임 다리부(20)의 2개의 벽(23, 24)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에의 전방 프레임 부착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둥근 지지 스트립(21)이 연결 스트립(22)을 통해 상기 프레임 다리부(20)의 정면 벽(23)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 스트립(22)이 상기 벽(23)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고 상기 벽요소(10)의 상기 L자형 스트립(13)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에의 전방 프레임 부착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원형 수용홈부분(25)이 상기 프레임 다리부(20)의 벽(예를 들어 24)의 단부 지역에 형성되고, 그 벽에 대하여 45°각도로 연장하며, 그의 개방된 쪽이 상기 프레임 다리부(20)의 다른 평행한 벽(23)쪽으로 향한 상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에의 전방 프레임 부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하나의 벽(예를 들어 24)의 상기 수용홈부분(25)이 스트립(27)을 통해 다른 벽(예를 들어 23)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에의 전방 프레임 부착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다리부(20)가 상기 벽요소(10)의 외측면을 넘어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에의 전방 프레임 부착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는 2개의 연결 측부에서, 상기 모서리편(40)이 체결 어깨부들(41)을 가지고 있고, 그 어깨부들이, 상기 전방 프레임의 한 모서리의 중공체인 프레임 다리부(20)의 중공 공간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에의 전방 프레임 부착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된 정면부에 평행하게 정렬된 벽요소(10)의 벽부분(12)이 상기 전방 프레임 내측에서, 체결 수용기 또는 체결 홈을 가진 지지 스트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에의 전방 프레임 부착장치.
KR1019970707712A 1995-07-15 1996-06-21 하우징에의전방프레임부착장치 KR100405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25876A DE19525876C1 (de) 1995-07-15 1995-07-15 Gehäuseanordnung mit einem an die offene Frontseite eines aus Wandelelementen zusammengesetzten Gehäuses angebrachten Frontrahmen
DE19525876.2 1995-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187A true KR19990008187A (ko) 1999-01-25
KR100405502B1 KR100405502B1 (ko) 2004-02-18

Family

ID=776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712A KR100405502B1 (ko) 1995-07-15 1996-06-21 하우징에의전방프레임부착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21050A (ko)
EP (1) EP0839299B1 (ko)
JP (1) JP3199745B2 (ko)
KR (1) KR100405502B1 (ko)
DE (1) DE19525876C1 (ko)
WO (1) WO19970042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804896U1 (de) * 1998-03-18 1998-06-04 Rolec Gehaeusesysteme Rose & R Steuergerätegehäuse
DE19953729C1 (de) * 1999-11-08 2001-07-19 Loh Kg Rittal Werk Bediengehäuse
US20020124478A1 (en) * 2001-03-06 2002-09-12 Rush James C. Post and beam furniture system
US7211191B2 (en) * 2004-09-30 2007-05-01 Thermogenesis Corp. Blood component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373763B2 (en) * 2003-03-13 2008-05-20 Extech/Exterior Technologies, Inc. Glass block assembly
DE102004050499B3 (de) * 2004-10-15 2006-05-18 Rittal Gmbh & Co. Kg Gehäuse mit einem die Gehäuseöffnung abdeckenden Frontrahme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89278A (en) * 1975-05-15 1977-10-19 Norema As Sectional strips for joining together panels
US4325204A (en) * 1980-01-10 1982-04-20 Martine Walter I Door construction
DE3011946C2 (de) * 1980-03-27 1985-03-21 Golde GmbH Spritzgußwerk, 8192 Geretsried Schiebefenster oder -tür
US4594812A (en) * 1984-11-01 1986-06-17 Sash Controls, Inc. Sliding door construction
DE3538188A1 (de) * 1985-03-28 1986-10-09 Aluminium-Walzwerke Singen Gmbh, 7700 Singen Verbundelement aus zwei aneinander festliegenden profilelementen
DE3633284A1 (de) * 1986-09-30 1988-04-07 Loh Kg Rittal Werk Mehrzweck-tischgehaeuse
US4941288A (en) * 1987-11-02 1990-07-17 Dayton Extruded Plastics, Inc. Window assembly of rigid plastics material
US4944118A (en) * 1989-01-19 1990-07-31 Chelsea Industries, Inc. Welded window construction
DE4312850A1 (de) * 1993-04-21 1994-10-27 Bopla Gehaeuse Systeme Gmbh Gehäuse mit eingelegter Frontpla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25876C1 (de) 1996-12-12
EP0839299A1 (de) 1998-05-06
KR100405502B1 (ko) 2004-02-18
EP0839299B1 (de) 2001-09-26
US5921050A (en) 1999-07-13
JPH11500518A (ja) 1999-01-12
JP3199745B2 (ja) 2001-08-20
WO1997004270A1 (de) 1997-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993B2 (en) Switchgear cabinet
CA1202357A (en) Modular elements for composing frames for the construction of cabinet structures and containers for electrical, electromechan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for internal and external use
JPH05284614A (ja) 枠組と組付けプレートとを備えた配電盤キャビネット
US6062665A (en) Switchgear cabinet
KR19990008187A (ko) 하우징에의 전방 프레임 부착장치
US20030047657A1 (en) Lug system
GB2285388A (en) Rack framework
GB2132473A (en) Display case
JPH09209545A (ja) 建築用パネルの端部仕舞装置
KR0128393Y1 (ko) 칸막이 판넬 문틀 고정장치
JPH05321536A (ja) ドア,窓およびクロゼット等の部品組立構造
JP2727893B2 (ja) 机上パネル
JPS6334058Y2 (ko)
KR200232042Y1 (ko) 모니터의이중캐비넷장치
KR200321390Y1 (ko) 현관도어의 조립식 프레임.
JP3131338B2 (ja) カウンターの設置構造
JP3815009B2 (ja) 二部材の連結装置
JP3248356B2 (ja) 格 子
KR970005198Y1 (ko) 트럭용 리어 콤비램프의 취부구조
KR200308892Y1 (ko) 문에사용하는피보트힌지
EP1265039A2 (en) Rapidly assembled oven door
GB2205142A (en) Connector assembly
KR200143469Y1 (ko) 창문 액자바용 지지체
JP3521437B2 (ja) 露出・埋込両用筺体
KR0115882Y1 (ko) 차량도어용 인핸들의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