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820U - 도막전사기구 - Google Patents

도막전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820U
KR19990007820U KR2019980012041U KR19980012041U KR19990007820U KR 19990007820 U KR19990007820 U KR 19990007820U KR 2019980012041 U KR2019980012041 U KR 2019980012041U KR 19980012041 U KR19980012041 U KR 19980012041U KR 19990007820 U KR19990007820 U KR 199900078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film transfer
feeding
windin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2915Y1 (ko
Inventor
미츠야요시히데
Original Assignee
가게야마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게야마도시히코, 가부시키가이샤고도부키, 윤휘정, 주식회사 수한 filed Critical 가게야마도시히코
Publication of KR199900078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8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9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915Y1/ko

Links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막전사기구에 관한 것으로,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도막전사테이프의 조출과 사용완료테이프의 감아들임의 동기를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된 도막전사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인 바, 본 고안은 케이스(10) 내에 도막전사테이프(16)를 두루 감은 조출릴(18)과, 이 조출릴(18)로부터 조출되어 사용된 사용완료테이프(22)를 감아들이는 권취릴(24)을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조출릴(18)과 권취릴(24)의 각각의 가장 바깥 외주면끼리 항상 접촉되어 조출릴(18)의 회전과 함께 권취릴(24)이 회전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도막전사기구
본 고안은 도막전사테이프로부터 얇은 막을 전사함으로써 지우는 지우개용 도막전사기구에 관한 것으로, 매직펜 또는 풀 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도막전사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도막전사기구들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5-58097호와 동국 특허공개공보 평5-178525호에 게재되어 있는 바, 이들 종래기술에는 도막전사테이프를 감은 조출릴에 큰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한 쪽의 사용완료테이프를 감아들이는 권취릴에는 상기 큰 톱니와 맞물리는 작은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데, 사용할 때 도막전사테이프가 조출릴로부터 조출되고, 이 조출릴이 회전하면서 큰 톱니와 작은 톱니를 매개로 권취릴이 회전하면서 사용완료테이프를 자동적으로 감아들이도록 구성된 도막전사기구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막전사기구에 있어서는, 큰 톱니와 작은 톱니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품수가 많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막전사테이프를 사용할 때 조출릴의 외경이 작게 되고 권취릴의 외경은 커지게 됨에 따라, 조출속도가 느려지는 반면에 감아들이는 속도는 빨라지게 되므로, 이들 릴들의 회전속도 동기가 맞지 않게 되어 테이프에 과대한 장력이 걸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에 따라 조출릴 또는 권취릴을 미끄러짐가능하게 구성하지 않으면 안됨에 따라 자연히 이들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도막전사테이프의 조출과 사용완료테이프의 감아들이는 양쪽 톱니들의 회전속도의 동기가 일정하도록 된 도막전사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막전사기구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방향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4-4선 단면도,
도 5는 도막전사테이프를 막 사용하고 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 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막전사기구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제 2실시예로서 도 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10 - 케이스 16 - 도막전사테이프
18 - 조출릴 20d - 탄성부
20e - 제 2지지축 22 - 사용완료테이프
24 - 권취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막전사기구는, 케이스 내에 도막전사테이프가 감겨진 조출릴과, 이 조출릴로부터 조출되어 사용된 사용완료테이프를 감아들이는 권취릴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조출릴과 권취릴 각각의 가장 외곽부의 외주면끼리 항상 접촉되어 있음에 따라 이 조출릴의 회전과 함께 권취릴이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막전사테이프가 사용될 때 조출릴로부터 조출되도록 조출릴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 조출릴과 권취릴은 서로 가장 바깥 외주면끼리 접촉하고, 상기 권취릴도 조출릴과 함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완료테이프를 자동으로 감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출릴과 권취릴은 접근방향으로 이들 조출릴과 권취릴의 적어도 한 쪽을 항상 밀어붙이도록 밀어붙임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어붙임수단은 조출릴과 권취릴의 어느 한 쪽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축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막전사기구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막전사기구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케이스 안은 단면으로 하고 있지 않다)이며, 도 2는 도 1의 2-2선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방향 정면도, 도 4는 도 1의 4-4선의 단면도인 바, 상기 각 도면에 따르면, 참조부호 10은 케이스를 나타내는데, 이 케이스(10)는 힌지부(10a)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상부덮개(10b)와 하부덮개(10c)로 이루어져 있고, 이 상부덮개(10b)와 하부덮개(10c)는 걸림부(10d)에 의해서 걸려 맞추어져 내부공간을 형성함과 더불어, 케이스(10)의 앞끝단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덮개(10c)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돌출부(10e, 10f)가 형성되어 있고, 각 돌출부(10e, 10f)에 끼워 넣어지도록 된 고정판(12)이 케이스(10)의 하부덮개(10c) 내에 고정되어 있으며, 한 쪽의 돌출부(10f)에는 고정판(12)에 형성된 원통형의 제 1지지축(12a)이 끼워 넣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판(12)의 상부에는 합성수지로 된 가동판(20)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가동판(20)은 상기 고정판(12)의 제 1지지축(12a)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2b)를 접동가능하게 수용하는 긴구멍(20a, 20b)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고정판(12)에 대해 케이스(10)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판(20)의 중앙부에는 개구부(20c)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20c) 내에서 지그재그로 연장된 탄성부(20d)가 가동판(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탄성부(20d)는 그 지그재그형태가 변형됨으로써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으며, 이 소재의 특성인 탄성력에 의해 밀어붙이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20d)의 앞끝단은 고정판(12)에 돌출된 제 2돌출부(12c)에 걸어 맞춰진다. 또, 상기 개구부(20c)와 긴구멍(20b)과의 사이에는 원통형의 제 2지지축(20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판(12)의 제 1지지축(12a)에는, 도막전사테이프(16)를 두루 감은 조출릴(18)이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고, 상기 가동판(20)의 제 2지지축(20e)에는 사용완료테이프(22)를 감아들이는 권취릴(24)이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는데, 상기 제 1지지축(12a) 및 제 2지지축(20e)에는 각각 조출릴(18)과 권취릴(24)을 위에서 누르는 누름판(32, 34)이 압입되어 있으며, 제 1지지축(12a)에는 조출릴(18)과 권취릴(24)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지지판(36; 도 2)이 압입되어 있다.
또 상기 권취릴(24)을 지지하는 제 2지지축(20e)은 가동판(20)의 탄성부(20d)에 의해 항상 제 1지지축(12a)의 방향으로 밀어붙여지고, 이에 따라 조출릴(18)과 권취릴(24)은 서로의 가장 바깥 외주면끼리 항상 일정한 힘으로 접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5기 도막전사테이프(16)에는 예컨대 플라스틱재질의 필름 위에 박리층을 씌워 백색도료층 등을 목적으로하는 도막층을 적층하고, 그 위에 감압접착제 등의 점착제등을 적층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조출릴(18)은 중간부(18a)의 원반에 점착제층이 외측에 놓이도록 도막전사테이프(16)가 두루 감겨져 있다. 또한, 사용완료테이프(22)는 도막전사테이프(16)로부터 도막층과 점착제층이 제거되어 이루어지고, 권취릴(24)은 그 중간부(24a)의 원반에 박리층이 외측에 놓이도록 사용완료테이프(22)를 두루 감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조출릴(18)로부터 감김이 풀린 도막전사테이프(16)는 하부덮개(10c)로부터 돌출된 가이드핀(10g)에 안내되고, 90도로 비틀어지면서 개구부(11)쪽으로 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1)에는 고정판(12)으로부터 개구부(11)의 양측에서 위아래로 연장된 세로벽(12d, 12d)들 사이에 회전운동할 수 있는 롤(30)이 배치되어 있는 바, 이 롤(30)의 표면에는 여러 개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은데, 이는 도막전사테이프(16)로부터 도막층의 박리가 손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구부(11)의 위아래에는 상부덮개(10b)와 하부덮개(10c)로부터 윗덮개부(10h)와 아래덮개부(10i)가 각각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앞끝단면은 롤(30)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상기 도막전사테이프(16)는 롤(30)의 외주를 감으면서 사용되어 사용완료테이프(22)로 되는데, 이 사용완료테이프(22)는 개구부(11)로부터 다시 케이스 안쪽을 향하여 다시 90도로 비틀려지면서 제 2돌출부(12c)에 안내되어 권취릴(24)에 감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도막전사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케이스(10)를 잡고 롤(30)을 도막하게 되는 바, 예컨대 종이면 위에 눌러 바르면서 이동시킨다. 이때 윗덮개부(10h)와 아래덮개부(10i)의 앞끝단면을 기준으로하여 앞끝단면이 평행이동하도록 케이스(10)를 이동시켜 롤(30)을 똑바로 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리하여 상기 롤(30)을 운동시킴으로써 롤(30)에 감겨져 있는 도막전사테이프(16)의 점착제층이 종이면에 접착되고, 이 점착제층과 함께 도막층이 종이면 등에 전사된다.
또한 상기 롤(30)의 운동과 함께 도막전사테이프(16)가 조출릴(18)로부터 조출되고, 이 조출릴(18)이 회전하지만, 조출릴(18)과 권취릴(24)은 서로 가장 바깥 외주면끼리 접촉되어 있으므로 권취릴(24)도 조출릴(18)과 함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사용완료테이프(22)를 자동으로 감아들이게 된다. 또, 상기 조출릴(18)은 도막전사테이프(16)의 점착제층이 외측에 놓이도록 두루 감겨져 있으므로, 이들 조출릴(18)과 권취릴(24) 사이에 어느 정도의 점착력이 발생하여 상기 조출릴(18)이 미끄러짐을 일으키지 않게 되고, 항상 한 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탄성부(20d)에 의해 조출릴(18)과권취릴(24)은 항상 어느 정도의 힘을 받으므로 서로의 가장 바깥 외주면끼리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조출릴(18)이 미끄러짐을 일으키지 않고 확실하게 두 릴(18, 24)이 일정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상기 조출릴(18)이 조출하는 도막전사테이프(16)의 길이에 상당하는 길이만큼 권취릴(24)이 사용완료테이프(22)를 감아들이기 때문에, 사용완료테이프(22)는 완전히 권취릴(24)에 감아들여지고 테이프가 느슨해지지 않게 된다.
사용을 계속해서 하게 되면, 상기 조출릴(18)의 반경이 작아지게 되는 반면, 상기 권취릴(24)의 반경은 커지게 되지만, 도막전사테이프(16)가 사용완료테이프보다도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두 릴(18, 24)의 반경의 합계는 작아지게 되고, 그 반경의 변화에 따라 제 2지지축(20e)은 탄성부(20d)에 의해 제 1지지축(12a) 쪽으로 이동해가므로, 조출릴(18)과 권취릴(24)은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조출릴(18)의 반경이 변화하여 조출속도가 변화하게 되더라도 가장 바깥 외주면이 조출릴(18)에 접촉하고 있는 권취릴(24)은 조출속도와 동일한 권취속도를 가지게 되므로, 테이프는 느슨해지지 않게 된다. 이리하여 도막전사테이프(16)가 모두 조출되면,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상기 도막전사테이프(16)를 모두 사용한 뒤에는 걸림부(10d)를 해제시켜 상부덮개(10b)를 열고, 롤(30)을 포함하여 고정판(12) 및 가동판(20)과 함께 하부덮개(10c)로부터 바깥으로 교환하고, 새로운 도막전사테이프(16)가 두루 감겨진 조출릴(18)과 그 도막전사테이프(16)의 앞끝단이 연결된 중간부(24a)가 장착된 가동판(20) 및 고정판(12)을 취부한다. 이 경우 테이프를 정렬하여 감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간단하게 교환작업을 행할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톱니 등을 일절 사용하지 않고 도막전사테이프(16)의 조출과 사용완료테이프(22)의 감기가 이들 릴들의 회전동기에 맞춰 이루어지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고, 도막전사테이프(16)의 사용량에 따라 조출릴(18)과 권취릴(24)의 반경이 변화하여도 이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조출과 감기의 회전동기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권취릴(24)을 조출릴(18) 쪽으로 접근하도록 항상 탄성부(20d)가 제 2지지축에 있는 돌출부(20e)를 밀어붙이고 있기 때문에, 권취릴(24)과 조출릴(18)은 항상 접촉을 유지함과 더불어, 어느 정도의 힘을 가지고 접촉하고 있으므로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20d)와 제 2지지축(20e)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수가 감소되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도막전사기구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7-7선의 단면도인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가 제 2지지축이 형성된 가동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대신에, 제 1지지축이 형성된 고정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판(12')에는 가동판(20')의 상방으로 역 L자 형상으로 연장된 아암(12'e)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아암(12'e)은 가동판(20')에 돌출된 돌출부(20'd)에 걸어맞춰지고, 상기 가동판(20')을 도면 상의 우측으로, 바꾸어 말하면 권취릴(24)을 지지하는 제 2지지부(20e)를 조출릴(18) 쪽으로 밀어붙이고 있다.
이렇게 하더라도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용할 수 있고 (가상선은 도막전사테이프(16)를 모두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부품 수 역시 제 1실시예에 비하여 증가하지도 않는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권취릴(24)을 지지하는 제 2지지축(20e)을 가동하고 조출릴(18)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밀어붙였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서, 조출릴(18)을 지지하는 제 1지지축(12a)을 가동하고 권취릴(24)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밀어붙이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밀어붙임수단으로서 가동판 또는 고정판과 일체로 된 것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별도의 스프링과 패널 등의 밀어붙임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톱니 등을 일절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도막전사테이프의 조출과 사용완료테이프의 감기를 회전동기가 맞춰져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조출릴과 권취릴이 접근하는 방향에서, 조출릴과 권취릴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이 항상 밀어붙이는 밀어붙임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조출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항상 조출릴과 권취릴이 한 줄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어붙임수단을 조출릴과 권취릴 중 어느 하나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축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부품수를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Claims (3)

  1. 케이스(10) 내에 도막전사테이프(16)를 두루 감은 조출릴(18)과, 이 조출릴(18)로부터 조출되어 사용된 사용완료테이프(22)를 감아들이는 권취릴(24)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조출릴(18)과 권취릴(24) 각각의 가장 바깥 외주면끼리 항상 접촉되어 조출릴(18)의 회전과 함께 권취릴(24)이 회전되도록 된 도막전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출릴(18)과 권취릴(24)이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출릴(18과) 권취릴(24)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을 항상 밀어붙이는 탄성부(20d)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20d)는 조출릴(18)과 권취릴(24)의 어느 한 쪽이 회전가능하도록 제 1지지축(20e) 또는 제 2지지축(12a)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전사기구.
KR2019980012041U 1997-07-11 1998-07-02 도막전사구 KR20024291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186135 1997-07-11
JP97-186135 1997-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820U true KR19990007820U (ko) 1999-02-25
KR200242915Y1 KR200242915Y1 (ko) 2001-12-17

Family

ID=69510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041U KR200242915Y1 (ko) 1997-07-11 1998-07-02 도막전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9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915Y1 (ko) 2001-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3990B1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US4350454A (en) Ribbon cartridge including hub brake
US5792263A (en) Tape cartridge for coating film transfer tool and coating film transfer tool containing the cartridge
US5772840A (en) Tape applicator for applying a transferring material to a sheet
JP3296265B2 (ja) 塗膜転写具のクラッチ機構および塗膜転写具
US7228882B2 (en) Tape dispenser with a cushioned applicator tip
US6079660A (en) Gear arrangement for driving the spool core of a take-up spool for the transfer tape of a transfer dispenser
JP5850951B2 (ja) 修正テープ分与装置及び修正テープ分与装置内の修正テープの再引張方法
JP2544030Y2 (ja) 塗膜転写具
JP3957820B2 (ja) 塗膜転写具
JP2001010290A (ja) 塗膜転写具
JP2551062Y2 (ja) 転写フィルム用カセット
CA2008820A1 (en) Device for transferring film from a backing tape to a substrate
JPH0718677Y2 (ja) 塗膜転写具
KR19990007820U (ko) 도막전사기구
JP3459686B2 (ja) 塗膜転写具
US3915409A (en) Magnetic tape cassette
JP3400030B2 (ja) 塗膜転写具
JPH0718676Y2 (ja) 塗膜転写具のテープ保持構造
JP2569662Y2 (ja) 塗膜転写テープの走行構造
JP2569663Y2 (ja) 塗膜転写テープの走行構造
JP3441490B2 (ja) 塗膜転写具
JP3874483B2 (ja) 塗膜転写具
AU701330B2 (en) Tape dispensers
JP2800108B2 (ja) 転着テープホルダ及び転着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