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738A -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738A
KR19990007738A KR1019980045476A KR19980045476A KR19990007738A KR 19990007738 A KR19990007738 A KR 19990007738A KR 1019980045476 A KR1019980045476 A KR 1019980045476A KR 19980045476 A KR19980045476 A KR 19980045476A KR 19990007738 A KR19990007738 A KR 19990007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ller
sanding
adjustmen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5554B1 (ko
Inventor
노재숙
Original Assignee
노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숙 filed Critical 노재숙
Priority to KR1019980045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554B1/ko
Publication of KR19990007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공급되는 직물원단의 표면을 고속회전하는 샌딩로울러가 마찰하여 선택적으로 기모무늬를 갖는 기모를 형성시키고 직물원단과 샌딩로울러는 극히 정밀하게 미세 조정되는 조정로울러에 의해 마찰정도가 조정되어 기모의 길이를 임의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직물원단 표면 가공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직물원단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무늬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기모가 형성된 고부가 가치의 제품을 얻을 수 있고 형성되는 기모의 길이를 정밀하게 임의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다양화 및 고급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작업중 발생되는 먼지의 적극적 수거에 의해 작업환경의 개선과 제품의 품질저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 및 그 장치, 더욱 상세히는 연속이동하는 직물원단의 표면을 고속회전하는 샌딩로울러가 마찰하여 기모 또는 무늬를 갖는 기모를 형성시키고, 직물원단과 샌딩로울러는 극히 정밀하게 미세조정되는 조정로울러에 의해 마찰정도가 선택조정되어 기모의 길이를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고부가 가치의 직물원단을 얻을 수 있게 한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과 상기 가공방법을 실현 시킬 수 있는 직물원단 표면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완성된 직물원단을 후가공하여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과 장치는 다수 제안된바 있으며, 이들은 각기 다양한 가공방법과 독특한 가구적 장치에도 불구하고, 직물원단의 표면에 형성된 올 들을 전단가공하여 고리형태로부터 2개의 직선상 기모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직물원단의 표면을 샌딩하여 미세한 기모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며, 형성된 기모에 무늬를 형성시킬 경우에는 전단 또는 샌딩에 의해 형성된 기모를 2차 전단함으로서 기모의 길이차이에 의해 무늬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과 장치에 의해 가공된 직물원단은 평탄면의 높낮이를 다르게 즉, 특정부위의 기모를 전단시켜 요철에 의해 무늬를 형성시키게 되므로 원사손실과 제품의 수명단축이 유발되고, 기모의 전단길이를 정교하게 조정할 수 없었으므로, 미감이 향상된 고부가 가치의 직물원단을 얻기 위한 원래 목적을 상실하게 된다는 등의 여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도 상기한 문제점들을 적극적으로 해소시키기 위한 것을, 직물표면에 동일한 길이의 미세 기모가 형성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특정부위의 직물표면에는 기모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스트라이프,체크등의 다양한 무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고부가가치의 직물원단을 얻을 수 있게된,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과 상기 방법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직물원단 표면가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직물원단의 표면가공정밀도를 극히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게된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발명하기 위한 본 발명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은, 연속공급되는 직물원단이 샌딩로울러와 근접한 무늬로울러를 따라 이동되게 하고, 이동하는 직물원단은 전후로 미세이동하는 조정로울러에 의해 샌딩로울러와의 접촉정도가 선택조정되어 기모의 길이를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 직물원단 표면가공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축 설치되어 이동하는 직물원단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슬립장지로울러와, 상기 슬립방지로울러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에 축설치되고 그 표면에 선택적으로 은철 무늬를 형성시킨 무늬로울러와, 상기 무늬로울러의 후방에 근접설치되어 직물원단을 샌딩하는 샌딩로울러와, 상기 무늬로울러와 샌딩로울러의 상부에 설치되어 표면가공된 직물원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전후한쌍의 조정로울러와, 상기 조정로울러를 전후로 이동시켜 직물원단의 표면가공정도를 선택조정하는 조정수단과, 상기 조정로울러의 후방에 설치되어 표면가공된 직물을 수평이동시키는 중계로울러와 상기 중계로울러의 상부에 접촉설치된 권취로울러와 상기 무늬로울러와 중계로울러의 하부에 설치되어 표면가공진행중 발생되는 먼지를 수거하는 집진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복수개소에 설치되어 직물원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로울러 및 상기 샌딩로울러를 정역구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직물원단 표면가공장치의 전체구성도.
도2는 본 발명 직물원단 표면 가공장치의 요부사시도.
도3은 본 발명 직물원단 표면 가공장치의 작동 정단면도.
도1은 본 발명 직물원단 표면가공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표면가공상태를 나타낸 작용정단면도로서, 1은 프레임이고, 2A,2B,2C는 슬립방지로울러, 3은 무늬로울러 4는 샌딩로울러 5A,5B는 조정로울러 6은 조정수단, 7A,7B는 중계로울러, 8은 권취로울러, 9는 집전수단을 나타내며 g1∼g6은 가이드로울러 M은 모터를 나타낸다.
상기 프레임(1)은 가로보(11)와 세로보(12)로 구성된 대략 사각틀체로 이루어 지며, 연결보(13)를 구비하여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통상의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슬립방지로울러(2a,2b,2c)는 직물원단(F)의 이동시에 미끄럼방지된 평탄한 상태에서 무늬로울러(3)를 이동되도록 하여 직물원단(F)의 겹침 또는 미끄럼으로 인한 불량방생을 방지하게 되는데, 통상의 고무로울러(Gum Roller)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외면에 샌드페이퍼를 부착하는등의 구성도 강구될 수 있다.
상기 무늬로울러(3)는 연결보(13)에 고정된 축받이부재(31)에 지지축(32)을 지지시켜 구성되고, 상기 축받이부재(31)는 도시되지 않은 조정기구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어 직물원단(F)의 두께에 따라 후술하는 샌딩로울러(4)와의 간격을 조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그 외면에는 필요에 따라 특정형태의 요철부를 형성시켜 줌으로서, 스트라이프, 체크 등의 다양한 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상기 샌딩로울러(4)는 연결보(13)에 고정된 축받이부재(41)에 지지축(42)을 지지고정시키고, 그 중앙의 로울러(43) 외면에는 샌딩페어퍼(44)가 고정설치되며, 로울러(43)의 내부에는 워터자켓(45)이 형성되어 지지축(42)의 순환통로(46)를 통해 냉각수가 공급 및 배출되므로서 직물원단(F)의 표면가공중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정로울러(5a,5b)는 그 지지축(52a,52b)이 조정수단(6)의 축받이부(61,62)에 각각 고정설치되는데, 상기 축받이부(61,62)는 연결보(13)에 고정된 조정블럭(63)에 각각 구비된다.
여기에서 특히 조정로울러(5a)의 지지축(52a)을 지지하는 축받이부(61)는 조정블럭(63)의 가이드홈(64)에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정레버(65)의 정역구동시에 이송나사(66)에 의해 전후로 미끄럼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축받이부(61)의 중앙상단과 조정블럭(63)에는 지시부(67)와 표시부(68)가 구비되어 조정로울러(5a)의 위치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계로울러(7a,7b)는 조정로울러(5b)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연결보(13)에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축 설치되며 상기 권취로울러(8)는 중계로울러(7b)의 상단에 접촉구동하도록 연결보(13)에 축 설치된다.
상기 집진수단(9)은 상기 무늬로울러(3)와 중계로울러(7b)의 하단에 근접설치되어 직물원단(F)의 가공중 발생하는 먼지를 도시되지 않은 흡출팬에 의해 수거하게 되며 그 후단 상부복수개소에는 상기 중계로울러(7a,7b) 사이를 이동하는 직물원단(F) 표면의 먼지를 털어내는 브러쉬(91,92)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샌딩로울러(4)는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슬립방지로울러(2a,2,2c)와 무늬로울러(3) 및 중계로울러(7a,7b), 권취로울러(8)는 동력원이 없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동력전단계통을 계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구성시에 각각의 모터를 사용하거나 도시되지 않은 기어변속기구 또는 정역구동기구, 회로, 벨트전도기구, 체인전동기구, 예시되지 않은 다양한 기구 회로등에 의해 각각의 동력전당 계통을 구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가이도로울러(g1∼g6)들은 프레임(1)의 필요위치에 고정설치되어 직물원단(F)의 연속이동 및 배출을 안내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72a,72b,82)는 지지축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발명은 가이드로울러(g1∼g3)를 따라 이동하는 직물원단(F)이 슬립방지로울러(2a,2b,2c)를 통과한 후 무늬로울러(3)로 이송되는데 이때 직물원단(F)의 이동속도는 100∼2500yd/h 범위에서 선택조정될 수 있으며, 무늬로울러(3)와 미세 접촉된 샌딩로울러(4)는 그 외면의 샌드페이퍼(44)가 800∼900 R.P.M으로 회전하며 직물원단(F)의 표면을 샌딩하여 기모를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샌딩과정 진행중 무늬로울러(3)와 샌딩로울러(4)의 접촉정도는 결국 직물원단(F)의 샌딩정도 즉, 기모형성정도를 좌우하게 되는데 조정로울러(5a)는 직물원단(F)의 배출방향을 전후로 이동하며 조정하여 샌딩로울러(4)에 대한 직물원단(F)의 접촉정도를 조정하게 된다.
이러한 마찰정도의 조정은 조정수단(6)에 의해 샌딩작업 진행전에 밀 조정되는데 이를 위해 조정레버(65)를 정역구동시켜 이송나사(66)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키게 되면 조정블럭(63)에 분리방지 및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축받이부(61)가 가이드홈(64)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며 조정로울러(5a)의 위치를 가변시켜 줌으로서 접촉정도를 조정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샌딩로울러(4)에 대한 무늬로울러(3)의 위치를 전후로 미세이동시켜 즘으로서 직물원단(F)의 두께 및 소망하는 기모상태에 맞추어 조정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정완료후 진행되는 샌딩공정에 의해 샌딩된 직물원단(F)의 표면에는 소망하는 길이의 기모가 형성되며, 형성된 기모에 무늬를 형성시킬 경우에는 필요형태의 요철이 형성된 무늬로울러(3)를 사용함으로서 스트라이프, 체크, 등의 다양한 기모무늬를 형성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조정로울러(5a)는 무늬로울러(3)와 샌딩로울러(4)의 접촉면에 대해 수직상부에 위치하도록 조정하여야 함은 물론이며, 경우에 따라 도3에서와 같이 직물원단(F)이 샌딩로울러(4)의 샌드페이퍼(44)와 접촉되도록 조정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기모무늬를 형성할 수 없다는 점을 가만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샌딩공정 진행중 샌딩로울러(4)는 도시되지 않은 얼룩방지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일정구간 왕복이동되어 원사의 종류 굵기, 꼬임수등이 잘못되거나 밀도가 고르지 않을 때 직물원단(F) 표면에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기모얼룩(Uneven raising)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샌딩로울러(4)의 평속을 800∼900 R.P.M.에서 고속 즉, 1000∼1800 R.P.M.으로 회전시킬 경우 샌딩정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기모의 길이에 따라 샌딩로울러(4)의 회전수를 설정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샌딩공정 진행중 샌딩로울러(4)는 샌드페이퍼(44)와 직물원단(F)의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되어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로울러(43) 내부의 워터자켓(45) 내부로는 지지축(42)의 순환통로(46)를 통해 냉각수가 순환공급되어 광열에 의한 품질저하의 우려는 해소되며, 상기 과정을 통해 샌딩된 직물원단(F)은 조정로울러(5b)와 중계로울러(7a,7b) 및 권취로울러(8)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직물원단(F)의 샌딩과정진행중에는 무수한 먼지입자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먼지는 집진수단(9)에서 강력한 흡입력으로 수거하게 되므로, 먼지에 의한 작업장의 오염 우려도 해소되며, 특히 중계로울러(7a,7b)사이를 통과하는 직물원단(F)은 그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를 브러쉬(91,92)가 털어내게 되므로 먼지에 의한 완제품의 품질저하도 적극적으로 방지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직물원단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무늬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기모가 형성된 고부가 가치의 제품을 얻을 수 있고, 형성되는 기모의 길이를 정밀하게 임의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다양화 및 고급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작업중 발생되는 먼지의 적극적 수거에 의해 작업환경의 개선과 제품의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특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슬립방지되도록 100∼2500yd/h 범위의 속도로 연속공급되는 직물원단이 선택적으로 무늬를 요철 형성시킨 무늬로울러를 따라 이동하게 하고, 상기 무늬로울러와 근접설치되어 직물원단 표면에 기모를 형성시키는 샌딩로울러는 그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되어 샌딩진행시 발생되는 마찰열을 냉각시키도록 하며, 상기 무늬로울러와 샌딩로울러의 상부에 전호로 미세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정로울러의 위치에 따라 직물원단과 샌딩로울러의 마찰접촉정도가 조정되어 기모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
  2. 프레임(1)의 연결보(13)에 설치되어 가이드로울러(g1∼g3)를 따라 연소공급되는 직물원단(F)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로울러(2a∼2c)와;
    상기 슬립방지로울러(2c)의 후방에 전후미세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외면에는 선택적으로 요철무늬를 형성시킨 무늬로울러(3)와;
    상기 로울러(3)의 후방에 근접설치되고 그 외면에는 직물원단(F) 외면을 샌딩하는 샌드페이퍼(44)를 구비한 샌딩로울러(4)와;
    상기 무늬로울러(3)와 샌딩로울러(4)의 상부에 설치되어 샌딩된 직물원단(F)의 이동을 안내하는 조정로울러(5a,5b)와;
    상기 조정로울러(5a)를 전후로 이동시켜 직물원단(F)과 샌딩로울러(4)의 접촉정도에 따라 표면가공정도를 선택조정하는 조정수단(6)과;
    상기 조정로울러(5b)의 후방에 설치되어 표면가공된 직물원단(F)을 수평이동시키는 중계로울러(7a,7b)와;
    상기 중계로울러(7b)의 상부에 접촉설치되어 직물원단(F)을 인출 이동시키는 권취로울러(8)와;
    상기 무늬로울러(3)와 샌딩로울러(4) 및 중계로울러(7a,7b)하부에 설치되어 표면가공진행중 발생되는 먼지와 가공후 이동되는 직물원단(F) 표면의 먼지를 흡출력에 의해 수거하는 집진수단(9)을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표면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샌딩로울러(4)의 내부에 샌딩공정진행중 발생되는 마찰열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수가 순환되는 워터자켓(4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표면가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수단(9)의 상부에 중계로울러(7a,7b) 사이를 통과하는 직물원단(F)표면의 먼지를 털어내는 브러쉬(19,92)를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표면가공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6)은, 연결보(13)에 고정설치되고 그 내부에 가이드홈(64)이 형성된 조정블럭(63)과 상기 가이드홈(64)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조정로울러(5a)를 지지고정시키는 축받이부(61)와, 상기 조정블럭(63)의 전방에 설치되어 조정레버(65)에 의해 축받이부(61)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송나사(66)와, 상기 조정블럭(63)과 축받이부(61)에 대응구비 되어 조정로울러(5a)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부(68) 및 지시부(6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원단 표면가공장치.
KR1019980045476A 1998-10-28 1998-10-28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 및 그 장치_ KR100285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476A KR100285554B1 (ko) 1998-10-28 1998-10-28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 및 그 장치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476A KR100285554B1 (ko) 1998-10-28 1998-10-28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 및 그 장치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738A true KR19990007738A (ko) 1999-01-25
KR100285554B1 KR100285554B1 (ko) 2001-04-02

Family

ID=3751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476A KR100285554B1 (ko) 1998-10-28 1998-10-28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 및 그 장치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5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797A (ko) * 1999-08-06 1999-12-06 권순호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KR20030023791A (ko) * 2001-09-14 2003-03-20 김판호 음영무늬직물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음영무늬가공장치
CN114836930A (zh) * 2022-05-30 2022-08-02 浙江福发纺织有限公司 一种用于超细绒感环保面料整理设备及其工艺
CN115434093A (zh) * 2022-09-01 2022-12-06 桐乡市龙翔纺织有限责任公司 一种针织超纤定量磨毛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443B1 (ko) * 2002-09-27 2005-05-16 문장식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및 성형방법
KR101778911B1 (ko) 2017-01-03 2017-09-14 김태흥 기모형성이 가능한 투포원 연사기
CN113373581B (zh) * 2021-08-12 2021-10-08 南通恒臻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除尘作用的水冷型纺织机架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797A (ko) * 1999-08-06 1999-12-06 권순호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KR20030023791A (ko) * 2001-09-14 2003-03-20 김판호 음영무늬직물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음영무늬가공장치
CN114836930A (zh) * 2022-05-30 2022-08-02 浙江福发纺织有限公司 一种用于超细绒感环保面料整理设备及其工艺
CN114836930B (zh) * 2022-05-30 2022-11-25 浙江福发纺织有限公司 一种用于超细绒感环保面料整理设备及其工艺
CN115434093A (zh) * 2022-09-01 2022-12-06 桐乡市龙翔纺织有限责任公司 一种针织超纤定量磨毛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5554B1 (ko)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042B1 (ko) 버 자동제거장비
JP5889471B1 (ja) 表面処理装置
US4463483A (en) Fabric napping apparatus
JP3044289B2 (ja) バリ取り装置
KR100285554B1 (ko)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 및 그 장치_
CN108677444B (zh) 一种纺织物自动剪毛设备及其剪毛加工工艺
KR100829037B1 (ko) 가공물의 표면 연마장치
US2269197A (en) Grinding and polishing apparatus
CN203185111U (zh) 一种清刷抛光系统
US4286449A (en) Machine for mechanical pickling of wires with the aid of rolling
KR19990012559U (ko) 철제롤용 이물자동제거장치
CN102962168B (zh) 无纺布施胶机
KR100799047B1 (ko) 대리석 광택기
CN116713601A (zh) 一种自动激光切割焊接设备
WO2010119466A1 (en) Machine for working the surface of ceramic products
KR20210068795A (ko) 기모의 길이 조정과 다양한 무늬 형성이 가능한 직물원단의 표면가공장치
CN211594074U (zh) 一种用于清洗机的输送装置
US4388750A (en) Wrinkle remover for a web of running material
KR20200045349A (ko) 테이블 롤러 연마장치
JP2001327932A (ja) ゴムロール洗浄装置
CN113289984A (zh) 一种快速清洗热辊的装置及其方法
US4424613A (en) Apparatus for brushing pile fabric
KR100758421B1 (ko) 벨트콘베어 부착물 제거장치
JP2000024907A (ja) 研磨装置
KR20030012541A (ko) 루퍼의 롤 전폭 크리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