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443B1 -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및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및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443B1
KR100488443B1 KR10-2002-0058620A KR20020058620A KR100488443B1 KR 100488443 B1 KR100488443 B1 KR 100488443B1 KR 20020058620 A KR20020058620 A KR 20020058620A KR 100488443 B1 KR100488443 B1 KR 100488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mold
lower mold
transfer tab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6960A (ko
Inventor
문장식
염명윤
Original Assignee
문장식
염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장식, 염명윤 filed Critical 문장식
Priority to KR10-2002-0058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443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직물에 무늬를 성형하기 위한 연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반부 안쪽에 전방 및 양측이 개방된 설치공간부(11)가 마련되어 상부에 플레이트(12)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플레이트(12)의 중앙에 입설되고 로드(21)가 설치공간부(11)의 쪽으로 삽입되어 승강되는 공압실린더(20)와, 상기 공압실린더(20) 로드(21)에 상부 중앙이 고정되며 로드(21)의 동작과 함께 승강되는 지지판(32)과 지지판(32')의 안쪽에 협지상태로 설치되어 모터축(31)이 지지판(32')의 하방으로 인출된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의 모터축(3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면에 원단(90)의 마모를 위한 마모부재(34)가 교체가능하게 접착된 스핀들(33)이 포함되어 구성된 구동부(A)와, 상기 구동부(A)의 하방에 구성되고 설치공간부(11)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핸들(6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송테이블(60) 및 좌우이송테이블(60)의 상부에 구성되고 핸들(71)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전면에 지지홈(62)이 형성된 전후이송테이블(70)과, 상기 전후이송테이블(70)의 지지홈(72)에 전후방으로 이동설치가 가능하게 결합된 바이스(40)와, 상기 바이스(40)의 내측에 협지되어 직물의 원단(90)에 모양을 성형하기 위해 설치되는 금형(50)으로 구성된 이송부(B) 및 본체(10)의 일측에 부착되며 구동부(A)의 공압실린더(20) 및 구동모터(30)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80)가 포함되어 구성된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와, 소정의 형상을 갖춘 돌출부(52a)가 상면 중앙에 형성된 하부금형(52)의 양쪽을 바이스(40)에 내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와, 상기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 상면에 모양이 형성될 재단된 원단(90) 부위을 안착한 다음 상부금형(51)의 결합공(51a)을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에 원단(90)의 표면이 돌출되도록 이를 긴밀히 끼워 원단(90)의 유동을 방지함과 함께 좌우이송테이블(60) 및 전후이송테이블(70)의 핸들(61)(71)을 조작하여 원단(90) 무늬성형면을 스핀들(33)의 직하방에 위치시키는 정렬단계와, 콘트롤박스(80)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30)를 rpm 2000-2400 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공압실린더(20)의 로드(21)를 직하방으로 하강하여 스핀들(33)의 마모부재(34)를 금형(50)에 고정된 원단(90)의 표면에 밀착시켜 이를 0.3㎜-0.8㎜ 정도로 마모시키는 연마단계와, 콘트롤박스(80)의 조작에 의해 공압실린더(20)의 로드(21)를 상승시켜 하부금형(52)으로부터 상부금형(51)을 분리하여 상부금형(51) 및 하부금형(52)에 개재 고정된 원단(90)을 분리하는 취출단계로 이루어진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성형방법도 동시에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청바지 및 청자켓 등과 같은 의류는 물론 각종 직물제품 등에 소정의 무늬를 원하는 부위에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연마장치와 상기 연마장치를 이용한 무늬성형방법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서 의류 및 각종 직물제품에 새로운 변화를 줄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을 일층 돋보이게 하는 등의 효과가 발휘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및 성형방법{Grinding apparatus and forming method for pattern forming of textile fabrics}
본 고안은 주로 청바지 및 청자켓, 청치마 등의 의류는 물론 각종 직물제품에 여러 가지 모양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및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상시 즐겨입거나 사용하는 청바지 등의 의류 내지는 직물제품은 보편 획일화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기 때문에 근래에는 장식을 하거나 염색등의 다양한 변형을 가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을 패션어블하게 표현하고 있다.
그밖에 표현방법으로는 청바지 등은 물론 각종 직물제품을 낡고 오래된 형태로 보이기 위해 외표면을 의도적으로 마모시켜 주는 경우도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출원 제2002-968호 직물연마장치 및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 내용으로는 실제로 청바지를 사람이 입어서 닳은 것과 같이 자연스러운 연마 외관을 지니게 하는 것과 청바지 연마 및 표백 단계에서 청바지의 물성을 열화시키지 아니하고, 슬러지 등 부산물 발생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마네킹의 몸통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몸통을 지탱하고, 몸통을 앞뒤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운동하는 몸통 지지부와; 상기 마네킹의 골반의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골반을 지탱하고 상기 몸통 지지부가 지면에 수직인 평면 상에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 지지부의 회전 운동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상기 회전 운동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골반 지지 로드와; 상 기 마네킹의 다리 내측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마네킹 다리를 지탱하고 상기 골반 지지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마네킹의 다리를 상하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골반 지지 로드를 중심 축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힌지부와; 상기 마네킹의 다리의 내측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마네킹 다리를 지탱하고, 상기 힌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부와 상기 골반 지지 로드를 포함한 평면 상에서 상기 마네킹의 다리를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다리 지탱부를 포함하는 마네킹에 직물을 착의하고 자연스럽게 다양한 동작을 취하게 한 후, 이 때에 만들어지는 주름진 직물 표면에 화학 약품을 분사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연마 표백된 구제 바지 제조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을 요약해보면 스프레이 분무 작업시 작업이 용이하도록 각부위가 다양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마네킹골조를 그 장치로 하고 있으나 직물연마를 위한 장치와는 전혀 무관할 뿐만 아니라 직물연마방법적인 면에서 볼때에도 마네킹에 하의를 입혀 화학약품이 들어있는 스프레이로 단순분사시켜 탈색마모시키는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직물연마방법이라기 보다는 염색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방법에 가까우며 그 효과도 예측가능한 정도에 그치고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청바지 및 청자켓, 청치마 등과 같은 의류는 물론 각종 직물제품에 소정의 무늬를 원하는 부위에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연마장치와, 기존의 방법과는 차별화된 새로운 무늬성형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반부 안쪽에 전방 및 양측이 개방된 설치공간부가 마련되어 상부에 플레이트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에 입설되고 로드가 설치공간부 쪽으로 삽입되어 승강되는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 로드에 상부 중앙이 고정되며 로드의 동작과 함께 승강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안쪽에 협지상태로 설치되어 모터축이 지지판의 하방으로 인출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면에 원단의 마모를 위한 마모부재가 교체가능하게 접착된 스핀들이 포함되어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하방에 구성되고 설치공간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핸들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송테이블 및 좌우이송테이블의 상부에 구성되고 핸들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측면에 지지홈이 형성된 전후이송테이블과, 상기 전후이송테이블의 지지홈에 전후방으로 이동설치가 가능하게 결합된 바이스와, 상기 바이스의 내측에 양측이 협지되고 소정의 형상을 갖춘 돌출부가 상면 중앙에 형성된 하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돌출부가 바깥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결합공이 마련된 상부금형이 포함되어 구성된 이송부와, 본체의 일측에 부착되며 구동부의 공압실린더 및 구동모터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가 포함되어 구성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형상을 갖춘 돌출부가 상면 중앙에 형성된 하부금형의 양쪽을 바이스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와, 상기 하부금형의 돌출부 상면에 모양이 형성될 재단된 원단 부위을 안착한 다음 상부금형의 결합공을 하부금형의 돌출부에 원단의 표면이 돌출되도록 이를 긴밀히 끼워 원단의 유동을 방지함과 함께 좌우이송테이블 및 전후이송테이블의 핸들을 조작하여 청바지의 무늬성형면을 스핀들의 직하방에 위치시키는 정렬단계와, 콘트롤박스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를 rpm 2000-2400 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공압실린더의 로드를 직하방으로 하강하여 스핀들의 마모부재를 금형에 고정된 원단의 표면에 밀착시켜 이를 0.3㎜-0.8㎜ 정도로 마모시키는 연마단계와, 콘트롤박스의 조작에 의해 공압실린더의 로드를 상승시켜 하부금형으로부터 상부금형을 분리하여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 개재 고정된 원단을 분리하는 취출단계로 이루어진 일련의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성형방법도 함께 제공함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반부 안쪽에 전방 및 양측이 개방된 설치공간부(11)가 마련되어 상부에 플레이트(12)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플레이트(12)의 중앙에 입설되고 로드(21)가 설치공간부(11) 쪽으로 삽입되어 승강되는 공압실린더(20)와, 상기 공압실린더(20) 로드(21)에 상부 중앙이 고정되며 로드(21)의 동작과 함께 승강되는 지지판(32)과 지지판(32')의 안쪽에 협지상태로 설치되어 모터축(31)이 지지판(32')의 하방으로 인출된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의 모터축(3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면에 원단(90)의 마모를 위한 마모부재(34)가 교체가능하게 접착된 스핀들(33)이 포함되어 구성된 구동부(A)와, 상기 구동부(A)의 하방에 구성되고 설치공간부(11)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핸들(6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송되는 좌우이송테이블(60) 및 좌우이송테이블(60)의 상부에 구성되고 핸들(71) 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전면에 지지홈(72)이 형성된 전후이송테이블(70)과, 상기 전후이송테이블(70)의 지지홈(72)에 전후방으로 이동설치가 가능하게 결합된 바이스(40)와, 상기 바이스(40)의 내측에 양측이 협지되고 소정의 형상을 갖춘 돌출부(52a)가 상면 중앙에 형성된 하부금형(52) 및 상기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가 바깥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결합공(51a)이 마련된 상부금형(51)으로 구성된 이송부(B) 및 본체(10)의 일측에 부착되며 구동부의 공압실린더(20) 및 구동모터(30)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80)가 포함되어 구성된 연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형상을 갖춘 돌출부(52a)가 상면 중앙에 형성된 하부금형(52)의 양쪽을 바이스(40)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와, 상기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 상면에 모양이 형성될 재단된 원단(90) 부위을 안착한 다음 상부금형(51)의 결합공(51a)을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에 원단(90)의 표면이 돌출되도록 이를 긴밀히 끼워 원단(90)의 유동을 방지함과 함께 좌우이송테이블(60) 및 전후이송테이블(70)의 핸들(61)(71)을 조작하여 원단(90)의 무늬성형면을 스핀들(33)의 직하방에 위치시키는 정렬단계와, 콘트롤박스(80)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30)를 rpm 2000-2400 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공압실린더(20)의 로드(21)를 직하방으로 하강하여 스핀들(33)의 마모부재(34)를 금형(50)에 고정된 원단(90)의 표면에 밀착시켜 이를 0.3㎜-0.8㎜ 정도로 마모시키는 연마단계와, 콘트롤박스(80)의 조작에 의해 공압실린더(20)의 로드를 상승시켜 하부금형(52)으로부터 상부금형(51)을 분리하여 상부금형(51) 및 하부금형(52)에 개재 고정된 원 단(90)을 분리하는 취출단계로 이루어진 일련의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성형방법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서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 상면에 수용홈(52b)을 요설하고 상부금형(51)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상부지지금형(53)을 구비하여 이를 원단(90)과 함께 상기 수용홈(52b)의 내측에 삽입시키되,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 외측에 상부금형(51)을 순차 삽입하여 상부로 돌출된 모양의 테두리 부위만이 마모되어 연마될 수 있도록 하여 연마된 부분이 더욱 명확히 표출될 수 있도록 한 금형(50)도 제공하고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 연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연마장치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연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연마장치의 요부발췌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금형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연마된 원단의 발췌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무늬가 성형된 청바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금형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이 적용된 연마장치의 요부발췌 확대도,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해 연마된 원단의 발췌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해 무늬가 성형된 청바지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 연마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게 공압실린더(20) 및 모터의 작동을 담당하는 구동부(A)와 바이스(40)에 고정된 금형(5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해 마련된 이송부(B)로 분류되어 있다.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콘트롤박스(80)의 조작에 의해 공압실린더(20)의 로드(21) 선단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모터(30)가 회전됨과 동시에 모터축(31)에 축설되어 있는 스핀들(33)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스핀들(33)의 저면에 접착되어 있는 마모부재(34)가 공압실린더(20)의 작동에 의해 구동모터(30)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부금형(51) 및 하부금형(52)에 고정되어 있는 원단(90)의 표면에 밀착되어 그 표면을 마모시켜 이를 연마하게 되는 바, 이와같은 연마수단은 금형(50)에 개재상태로 고정된 원단(90)의 표면만이 마모됨에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제작된 금형(50)의 교체로 인하여 청바지 및 청자켓 그리고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직물제품의 원단(90)에 여러가지 다양한 모양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마모부재(34)는 직물연마용 연마석이 주로 사용되며 되도록 미세한 입자를 갖는 연마석을 채택하여 원단(90)에 더욱 정교한 모양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금형은 바이스(40)의 내측에 하부금형(52)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전후이송테이블(70)의 지지홈(72)에 결합되어 핸들(71)의 조작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송되며 또한 핸들(61)에 의한 좌우이송테이블(60)의 조작에 의해 금형(50)의 위치를 스핀들(33)의 정하방에 용이하게 위치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금형(50)은 소정의 형상을 갖춘 돌출부(52a)가 상면 중앙에 형성된 하부금형(52) 및 상기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 바깥쪽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결합공(51a)이 마련된 상부금형(51)으로 이루어져 소정의 모양을 성형하 고자 하는 원단(90) 부위를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 표면에 올려놓고 상부금형(51)의 결합공(51a)을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 외곽에 맞추어 놓고 이를 하방으로 눌러 끼워주게 되면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에 놓인 원단(90)부위가 연마가능하게 표면으로 돌출되게 되며 연마후 상부금형(51)을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에서 분리하여 주게 되면 원단(90) 표면에 금형(50)에서와 같은 동일한 모양이 성형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이 결합된 금형(50) 즉, 상부금형(51)과 하부금형(52)에 개재된 원단(90)의 표면 전체를 연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같이 모양 일체를 연마하지 아니하고 모양의 둘레만을 마모시켜 연마하여 줄 수 있도록 한 다른실시예의 금형(50)도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 강구된 본 발명 다른실시예의 금형(50)은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 상면에 수용홈(52b)을 요설하고 상부금형(51)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상부지지금형(53)을 구비하여 이를 원단(90)과 함께 상기 수용홈(52b)의 내측에 삽입시키되,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 외측에 상부금형(51)을 순차 삽입하여 상부로 돌출된 모양의 테두리 부위만이 마모되어 연마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는 원단(90)에 모양을 테두리만을 연마하기 위해 원단(90)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원단을 동시에 하부금형(52)에 고정시켜 주기 위해 상부금형(51)이외에 지지금형(53)을 더 필요로 하고 있다.
원단의 고정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모양이 형성된 하부금형(52) 의 상부에 원단(90)을 올려놓고 이어서 하부금형(52)의 수용홈(52b)에 상부금형(51)과 동일한 구조이나 이보다 작은 형태의 지지금형(53)을 삽입한 다음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 둘레에 상부금형(51)의 결합공(51a)를 순차끼워주게 되면 상부로 돌출된 모양의 테두리만이 마모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으로 기타 모양을 마모시켜 연마하는 과정은 본 발명에서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의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성형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성형방법은 크게 고정단계와, 정렬단계, 연마단계, 취출단계 이 네가지 공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 고정단계에서는 소정의 모양 즉, 본 발명에는 별모양의 돌출부(52a)를 갖고 있는 하부금형(52)을 바이스(40)의 내측에 고정시켜 주는 단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금형(50)의 모양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 내지는 그 크기를 달리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두 번째인 정렬단계에서는 바이스(40)에 고정된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 상면에 모양이 형성될 재단된 원단(90) 부위을 안착하여 상부금형(51)의 결합공(51a)을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에 원단(90)의 표면이 돌출되도록 이를 긴밀히 끼워 고정시켜 주게 되는 바, 이는 연마시 원단(90)의 유동방지와 아울러 좌우이송테이블(60) 및 전후이송테블의 핸들(61)(71)조작에 의해 상기 원단(90)의 무늬성형면을 스핀들(33)의 직하방에 위치시켜주기 위한 단계를 나타내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연마단계에서는 콘트롤박스(80)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30)를 rpm 2000-2400 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공압 실린더(20)의 로드(21)를 직하방으로 하강시켜 주게 되는 바, 스핀들(33)의 마모부재(34) 즉, 직물연마용 연마석을 금형(50)에 고정된 원단(90)의 표면에 밀착시켜서 원단(90)의 표면을 인위적으로 마모시켜 주기 위한 단계를 나타내며 원단(90)의 두께를 감안하여 원단(90)에 금형의 모양이 최대한 명확히 나타날 수 있는 두께 즉, 0.3㎜-0.8㎜ 정도로 마모시켜 연마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 단계인 취출단계는 모양이 성형된 원단(90)을 분리하여 다시 새로운 원단(90)을 금형(50)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초기단계로 복귀시켜 주기 위한 단계를 나타내기 위한 단계를 말하는 것으로, 콘트롤박스(80)의 조작에 의해 공압실린더(20)의 로드(21)를 상승시켜 하부금형(52)으로 부터 상부금형(51)을 분리하여 상부금형(51) 및 하부금형(52)에 개재 고정된 원단(90)을 분리하여 연속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 즉 의류를 기본으로 하여 이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직물로 제작되는 각종제품에 응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청바지 및 청자켓, 청치마 등과 같은 의류는 물론 각종 직물제품 등에 소정의 무늬를 원하는 부위에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연마장치와 상기 연마장치를 이용한 무늬성형방법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서 의류 및 각종 직물제품에 새로운 변화를 줄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을 일층 돋보이게 하는 등의 효과가 발휘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 연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연마장치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연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연마장치의 요부발췌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금형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연마된 원단의 발췌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무늬가 성형된 청바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금형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8이 적용된 연마장치의 요부발췌 확대도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해 연마된 원단의 발췌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의해 무늬가 성형된 청바지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설치공간부
12 : 플레이트 20 : 공압실린더
21 : 로드 30 : 구동모터
31 : 모터축 32 : 지지판
33 : 스핀들 34 : 마모부재
40 : 바이스 50 : 금형
51 : 상부금형 51a : 결합공
52 : 하부금형 52a : 돌출부
52b : 수용홈 53 : 지지금형
60 : 좌우이송테이블 61,71 : 핸들
70 : 전후이송테이블 72 : 지지홈
80 : 콘트롤박스 90 : 원단

Claims (5)

  1. 직물에 무늬를 성형하기 위한 연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반부 안쪽에 전방 및 양측이 개방된 설치공간부(11)가 마련되어 상부에 플레이트(12)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플레이트(12)의 중앙에 입설되고 로드(21)가 설치공간부(11)의 쪽으로 삽입되어 승강되는 공압실린더(20)와, 상기 공압실린더(20) 로드(21)에 상부 중앙이 고정되며 로드(21)의 동작과 함께 승강되는 지지판(32)과 지지판(32')의 안쪽에 협지상태로 설치되어 모터축(31)이 지지판(32')의 하방으로 인출된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의 모터축(3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면에 원단(90)의 마모를 위한 마모부재(34)가 교체가능하게 접착된 스핀들(33)이 포함되어 구성된 구동부(A)와, 상기 구동부(A)의 하방에 구성되고 설치공간부(11)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핸들(6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좌우이송테이블(60) 및 좌우이송테이블(60)의 상부에 구성되고 핸들(71)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전면에 지지홈(72)이 형성된 전후이송테이블(60)과, 상기 전후이송테이블(70)의 지지홈(72)에 전후방으로 이동설치가 가능하게 결합된 바이스(40)와, 상기 바이스(40)의 내측에 협지되어 직물의 원단(90)에 모양을 성형하기 위해 설치되는 금형(50)으로 구성된 이송부(B) 및 본체(10)의 일측에 부착되며 구동부(A)의 공압실린더(20) 및 구동모터(30)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80)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금형(50)은 소정의 형상을 갖춘 돌출부(52a)가 상면 중앙에 형성된 하부금형(52)과 상기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의 둘레에 일정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결합공(51a)이 상면에 형성된 상부금형(51)으로 이루어져 돌출된 모양 전체가 마모되어 연마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 상면에 수용홈(52b)을 요설하고 상부금형(51)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상부지지금형(53)을 구비하여 이를 원단(90)과 함께 상기 수용홈(52b)의 내측에 삽입시키되,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 외측에 상부금형(51)을 순차 삽입하여 상부로 돌출된 모양의 테두리 부위만이 마모되어 연마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마모부재(34)는 직물연마용 연마석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5. 소정의 형상을 갖춘 돌출부(52a)가 상면 중앙에 형성된 하부금형(52)의 양쪽 을 바이스(40)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와, 상기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 상면에 모양이 형성될 재단된 원단(90) 부위을 안착한 다음 상부금형(51)의 결합공(51a)을 하부금형(52)의 돌출부(52a)에 원단(90)의 표면이 돌출되도록 이를 긴밀히 끼워 원단(90)의 유동을 방지함과 함께 좌우이송테이블(60) 및 전후이송테이블(70)의 핸들(61)(71)을 조작하여 원단(90) 무늬성형면을 스핀들(33)의 직하방에 위치시키는 정렬단계와, 콘트롤박스(80)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30)를 rpm 2000-2400 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공압실린더(20)의 로드(21)를 직하방으로 하강하여 스핀들(33)의 마모부재(34)를 금형(50)에 고정된 원단(90)의 표면에 밀착시켜 이를 0.3㎜-0.8㎜ 정도로 마모시키는 연마단계와, 콘트롤박스(80)의 조작에 의해 공압실린더(20)의 로드(21)를 상승시켜 하부금형(52)으로부터 상부금형(51)을 분리하여 상부금형(51) 및 하부금형(52)에 개재 고정된 원단(90)을 분리하는 취출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성형방법.
KR10-2002-0058620A 2002-09-27 2002-09-27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및 성형방법 KR100488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620A KR100488443B1 (ko) 2002-09-27 2002-09-27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및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620A KR100488443B1 (ko) 2002-09-27 2002-09-27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및 성형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943U Division KR200297969Y1 (ko) 2002-09-27 2002-09-27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960A KR20040026960A (ko) 2004-04-01
KR100488443B1 true KR100488443B1 (ko) 2005-05-16

Family

ID=37329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620A KR100488443B1 (ko) 2002-09-27 2002-09-27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및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4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039B1 (ko) 2010-05-28 2012-10-17 권희철 청바지의 가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247811B1 (ko) 2011-06-03 2013-03-26 권희철 청바지의 가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448407B1 (ko) 2013-12-24 2014-10-27 배낙철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423B1 (ko) * 2010-04-22 2010-07-26 김광철 구제기계
CN106192280B (zh) * 2016-08-25 2018-10-19 中山市鑫翰数控科技有限公司 服装打磨设备
CN111962248B (zh) * 2020-08-07 2022-10-28 佛山市润君瑞服装有限公司 一种自动式乞丐款牛仔裤腿开口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0661A (ja) * 1988-04-20 1990-03-20 Kanebo Ltd 図柄起毛織編物の製造方法
KR930006229A (ko) * 1991-09-13 1993-04-21 피오렌조 비안칼라니 직물의 연마처리용 기계 및 방법
KR100218830B1 (ko) * 1995-02-06 1999-09-01 토넬로 에스엔씨 디 토넬로 오스발도 앤 씨. 의류품에 마모된 외양을 제공하는 작업방법 및 장치
KR100285554B1 (ko) * 1998-10-28 2001-04-02 노재숙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 및 그 장치_
KR200230441Y1 (ko) * 2001-01-10 2001-07-04 정만용 직물의 무늬형성장치
JP2002155465A (ja) * 2000-11-20 2002-05-31 Howa Kk 皺模様繊維製品の製造方法
KR200277636Y1 (ko) * 2002-02-27 2002-06-15 박주강 직물원단의 표면 가공장치에 있어서, 연마석을 이용한연마드럼 장치
KR200288231Y1 (ko) * 2002-05-28 2002-09-09 김도연 직물표면의 마찰에 의한 무늬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0661A (ja) * 1988-04-20 1990-03-20 Kanebo Ltd 図柄起毛織編物の製造方法
KR930006229A (ko) * 1991-09-13 1993-04-21 피오렌조 비안칼라니 직물의 연마처리용 기계 및 방법
KR100218830B1 (ko) * 1995-02-06 1999-09-01 토넬로 에스엔씨 디 토넬로 오스발도 앤 씨. 의류품에 마모된 외양을 제공하는 작업방법 및 장치
KR100285554B1 (ko) * 1998-10-28 2001-04-02 노재숙 직물원단 표면가공방법 및 그 장치_
JP2002155465A (ja) * 2000-11-20 2002-05-31 Howa Kk 皺模様繊維製品の製造方法
KR200230441Y1 (ko) * 2001-01-10 2001-07-04 정만용 직물의 무늬형성장치
KR200277636Y1 (ko) * 2002-02-27 2002-06-15 박주강 직물원단의 표면 가공장치에 있어서, 연마석을 이용한연마드럼 장치
KR200288231Y1 (ko) * 2002-05-28 2002-09-09 김도연 직물표면의 마찰에 의한 무늬 가공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2039B1 (ko) 2010-05-28 2012-10-17 권희철 청바지의 가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247811B1 (ko) 2011-06-03 2013-03-26 권희철 청바지의 가공방법 및 그 장치
KR101448407B1 (ko) 2013-12-24 2014-10-27 배낙철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960A (ko) 200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443B1 (ko)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및 성형방법
KR200297969Y1 (ko)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EP0616099A1 (en) Pool cleaner disc
USD489904S1 (en) Surface pattern for textile fabric used for manufacture of bags
KR20120134719A (ko) 청바지의 가공방법 및 그 장치
CN201001421Y (zh) 装饰钉压订器
KR100895108B1 (ko) 다수개의 무늬모양 및 문자를 직물지 표면에 형성하는연마장치.
KR200312709Y1 (ko) 직물의 무늬성형을 위한 연마장치
CA107105S (en) Showerhead
JP2003171865A (ja) 染色済みデニム布地における立体模様の加工方法
KR200160469Y1 (ko) 파일직물의 엠보스 성형장치
CN209492235U (zh) 一种环保墙纸生产用压花机
KR101192039B1 (ko) 청바지의 가공방법 및 그 장치
CN112548689A (zh) 一种金饰表面处理装置及处理工艺
KR100972423B1 (ko) 구제기계
KR200256235Y1 (ko) 청바지의 부분 연마를 위한 지지장치
CN113584793B (zh) 一种火山咀环保免石洗水内胆
KR200347435Y1 (ko) 청바지 주름성형장치
KR20150003018A (ko) 청바지 성형장치
USD505961S1 (en)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electric machine component of a desired magnetic pattern
CA104247S (en) Seating unit
USD502298S1 (en) Lift located in a drum of a washing machine
KR200206112Y1 (ko) 화장용 분첩
KR100367937B1 (ko) 단추의 무늬 성형방법
CN209774027U (zh) 一种样模加工机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